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 유창성 관련 실험연구 문헌 분석 - 2001년 ~ 2011년 국내 연구 중심으로 -

        김태강 ( Tae Gang Kim ),정은희 ( Eun Hee Jeong ),박윤 ( Youn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국내 읽기 유창성 관련 실험연구의 동향과, 각 연구들이 과학적연구의 질적 기준을 얼마나 충족시키고 있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문헌분석을 위해 국내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 및 수집하였고, 분석틀은 단일대상연구의 경우, Horner 등 (2005)의 질적 지표와 이소현 등(2005)을 참고하였고, 집단실험연구의 경우, Gersten 등 (2005)의 질적 지표를 재구성한 허유성 등(2010)을 참고하여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내 읽기 유창성 관련 실험연구는 총 21편으로 단일대상연구가 12편, 집단실험연구가 9편이었고,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독립변인은 2편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각기 다른 중재를 사용하여 어떤 중재전략이 가장 효과적인지 제안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단일대상연구는 질적 지표의 충족도가 비교적 높았으나, 독립변인의 충실도와 관찰자간 일치도 및 신뢰도, 반복 가능한 기초선의 기술 측면에서는 제한적이었다. 셋째, 집단실험연구는 질적 지표를 대부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특히 연구 대상자, 중재충실도, 비교집단, 중재수행자, 연구 도구의 타당도 등에 대한 정보들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추후 실험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제고하도록 하여, 증거기반 교수법의 선택기준을 제공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reading fluency-related experimental studies in Korea for 10 years and how they met the qualitative standards of scientific research. For literature analysis, literatures were searched and collected by domestic digital DB. For an analysis framework,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referred to Horner et al., (2005)’s quality indicators and Lee SH et al., (2005) and group experimental studies used Heo YS et al., (2010) who reconstructed Gersten et al., (2005)’s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21 domestic reading fluency-related experimental studies were examined with 12 of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and 9 of group experimental studies and most of them were for elementary students. Since independent factors of all experimental studies but two used different intervention, it was difficult to suggest what intervention strategy was the most effective. Second, while the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was relatively high in qualitative indicators satisfaction, independent factor fidelity, inter-observer agreement, reliability, and replicable baseline description was limited. Finally, most group experimental studies did not meet a qualitative indicators. In particular, information on subjects, intervention fidelity, comparison group, intervention performer, and instrument validity was not sufficient.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the standards for selecting evidence-based instruction by helping improve elem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further experimental studies.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학술지의 연구 동향 분석

        김태강(Kim, Tae-gang)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0년부터 2021년까지 학술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연구 목록을 수집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된 195편의 연구 주제는 키워드 클렌징 작업을 거쳐 KrKwic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고 키워드 간 연결 중심성을 시각화를 하기 위해 NodeXL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에서 주요 핵심어는 ‘청각장애’와 ‘청각장애아동’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수화언어’, ‘통합교육’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키워드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청각장애’와 ‘청각장애아동’, ‘수화언어’가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 중심성 결과를 토대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시각화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의 핵심 연구 주제를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Study of Education for Hearing-Language Impairments’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direction of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2010 to 2021 article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which is provided by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The research subjects selected for the analysis were keyword cleansing work, extraction major keyword using KrKwic program and using NodeXL program to visualize the degree of centrality between keywor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in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e study of the research subject, major keywords ‘hearing impairment’ and ‘Hearing Impaired Children’ have higher degree of centrality, and ‘Sign Language’, ‘Inclusive Education’ used frequently in consecutive order. Second, analysis of the centrality of keywords shows that ‘hearing impairment’, ‘Hearing Impaired’, ‘Sign Language’ were a key word. As the results of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ain keywords of each network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the main subjects were investigated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e research was discussed.

      •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평생교육 이용실태 및 요구조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지영 ( Kim Ji-young ),김태강 ( Kim Tae-gang ),정은희 ( Jeong Eun-he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3

        이 연구는 광주지역 청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이용실태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청각 장애인의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 농아인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청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여 142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결과, 첫째, 청각장애인의 이용실태의 경우, 대부분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참여한 경우에는 교양 및 자기개발을 위한 것이었으며, 주 참여기관은 농아인협회, 프로그램은 문화예술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에서는 가장 선호하는 기관이 농아인협회였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은 직업능력교육으로 나타났으며,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여 청각장애인들의 평생교육프로그램 참여 기회를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oviding fundamental data that can be used in developing and distributing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questionnaires for welfare center users were written based on references that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s. A total of 142 questionnaires for individua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irst, looking at the util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 among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most of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s never participate the program,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was self-improvement and learning culture, the institution was association of the deaf, the most interest program that wants to learn w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cond, the demand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preferred institution was association of the deaf, the content of program was vocation and work force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to activate lifelo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ing various education programs.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guidances for improv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create more opportunities for individuals with hearing impairments to participate lifelong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과 진단·평가에 대한 문헌 고찰

        정은희 ( Eun Hee Jeong ),김태강 ( Tae Gang Kim ),박윤 ( Youn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다문화사회에서 교사들에게 가장 큰 문제들 중 하나는 아동의 발달 특성을 파악하는 것과 함께 문화적, 언어적으로 다양한 배경을 지닌 아동들을 공정하고, 적절하게 평가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다문화가정 아동 언어관련 국내 학술지논문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을 알아보고, 이들 연구에서 사용한 진단·평가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초기에는 어휘력 중심의 언어 발달 실태에 집중되었는데 점차 형태 구문론적 영역, 조음음운영역, 음운인식과 읽기 등으로 주제가 다양해졌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와 읽기능력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낮은 성취를 보이며, 어머니관련 변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환경을 고려한 진단·평가, 조기 선별과 가족 지원, 문화적응적인 교사 양성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제언하였다. 둘째, 진단·평가 방법들을 살펴본 결과 규준참조검사와 비공식적인 방법 등을 사용하여 다양하고 다각적인 진단·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화용영역과 음운인식 영역은 규준참조검사를 사용한 연구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보다 공정한 평가를 위하여 다문화아동을 포함한 규준검사 도구 개발의 필요성과 다문화환경을 반영한 보완적인 평가의 병행, 교사들의 진단·평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ne of the biggest problems facing teachers is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the fair and appropriate evaluation of children from various culture and language backgrounds. This study examined languag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domestic scientific treatises related to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ublished since 2000 and reviewed assessment methods used in the researches. Th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early researches focused on language development of vocabulary, their subjects were extended to syntax,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and phonological awareness areas and reading. Most researches reported that language and reading 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lower than those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and mother-related variables had great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first, the need of assessment based on multicultural environment, early screening, family support, and culturally adaptive teachers was suggested. Second, assessment methods were examined and it was found that various and diversified methods were conducted such as a norm-referenced test and informal assessment. But pragmatic and phonological awareness areas have never used a norm-referenced test.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orm test instruments which includ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fairer assessment and conduct complementary assessment which reflects multicultural environment simultaneously. Moreover, teachers should understand assessment.

      • KCI등재

        청각건강신념과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 연구

        조수진(Cho, Soo-Jin),김태강(Kim, Tae-Gang),권미지(Kwon, Mi-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청각건강신념과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G 지역 소재 N 대학교의 518명 대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2일부터 9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84명의 자료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설문조사지는 배경정보와 청각건강신념과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 등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청각건강신념의 경우 성별, 학년, 학과의 장애관련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학년과 전공 학과의 장애관련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청각관련 특성을 살펴본 결과 청각건강신념의 경우 보청기착용 가족 유무, 자신의 주관적 청력상태 특성 및 청각장애관련 교과목 수강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경우 청각장애관련 교과목 수강 및 청각장애 학생과의 상호작용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에 기여하고, 향후 대학생들을 위한 청각건강관리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Hearing health beliefs and perception on hearing disorder people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 to September 20, 2019 for 518 university students from N universities in G region. The final 484 dat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University students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36 background information, Hearing health beliefs, perception on hearing disorder people question item. As the results of study first, examin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Hearing health beliefs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Perceptions of the hearing impaired differed according to grade and major. Second, the hearing-relate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examined. Hearing health beliefs differ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earing aid wearing families, their subjective hearing status, and their experience in taking courses related to hearing impairment. The perception of hearing impaired people differs depending on the course of hearing related subjects and the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erception of the hearing impaired,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hearing management and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의사소통장애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우진(Woo Jin Lee),김태강(Tae Gang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言語治療硏究 Vol.25 No.1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ways to improve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worker’s professionaldevelopment by surveying workers at these centers about their overall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their basic knowledge of communication disorders, and about their skills and attitudes. Methods: This study surveyed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located in Gwangju City. There were five questions about awareness of communication disorders. There were 11 questions regarding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disorders. These 11 questions asked about the following:their diagnostic criteria, categorization, diagnostic tools, language characteristics, teaching and coping methods for children with speech problems, degree of knowledge about helping parents understand their children’s speech characteristics and speech problems, the amount of information from speech language pathology institutes, the level of acquiring speech language pathology information, and their knowledge of speech language pathology programs. A total of 46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First, the level of overall education that workers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have about disabilities is lacking, and they said they need related training. Second,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reported that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is important, and academic achievement is one of the biggest difficulties childre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face. Third, most workers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do not understand communication disorders well. Conclusions: As the numb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creases, researching related disabilities and training about communication disorders needs to be expanded to assur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workers’ have the relevant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