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먹는 행동에 대한 외적 요소의 영향

        김지호(Kim, Gho),권승원(Kwon, Seung Won),김춘경(Kim, Chun Kyung),최명숙(Choi, Myung So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최근 건강에 관한 이슈가 대두됨에 따라 건강 측면뿐만 아니라 소비측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먹는 행동에 대한 외적 요소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과자의 크기, 용기의 크기에 따른 먹는 행동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먹는 행동이 적극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제품 시식상황)에서의 외적단서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참가자들은 과자의 크기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자의 크기가 클수록 더 많이 먹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과자의 절반 이상을 먹었다. 하지만 용기의 크기에 따른 먹는 행동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먹은 양(g)과는 달리 먹은 개수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 먹는 행동의 빈도와 먹는 양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단순히 과자의 크기에 따라 먹는 행동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는 먹는 행동에 비의식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외적요소에 의한 먹는 행동빈도와 먹는 양의 관계를 추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직, 간접적으로 소비적 측면과 건강 측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recent health issues are on the ri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about eating behavior, which can be applied both in terms of consumption and the health aspects. It was specifically shown the difference of behavior of eating in the size of snack, and the size of the bowl.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act of external factors in the situation where eating behavior is actively required. First, it was seen whether there are any differences of eating depending upon the sizes of snacks and the bowl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influenced by the size of the snacks they received. It was verified that the larger the size of the snack was, the more they eat. But ate amount of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ize of the snack and the size of bowl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for confirming factors that can unconsciously affect on eating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these external factors would be applied on both in terms of consumption and the health aspects.

      • KCI등재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의 독립형광고 효과연구

        김지호(Gho Kim),임영덕(Young Duck L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0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9 No.4

        본 연구는 인터넷 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히고, 실제 이용되고 있는 비히클(vehicle)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며, 그 로그(log)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립형 인터넷 광고의 효과를 연구하여 실험실 연구의 여러 가지 한계점을 최소화함으로써 실제와 근접한 결과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을 통해 인터넷 광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자극성, 관여, 소구유형 등의 변인 세 가지를 도출해 내어 3×2×2 조건을 처치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극성과 관여, 소구유형이 모두 클릭을 유도하는데 유의미하게 작용하였다. 자극성의 증가는 광고의 클릭을 높여주었고, 고관여 광고는 저관여 광고보다 클릭이 높았으며, 유머소구는 정보소구보다 클릭이 높았다. 또한 자극성이 증가하면 광고에 대한 태도와 제품태도, 제조사태도가 모두 낮아졌다. 고자극은 저자극보다 태도가 낮았지만, 중자극은 저자극보다 광고에 대한 태도, 제품태도 제조사태도가 모두 높았다. 또한 고관여는 저관여보다 모두 높은 태도를 나타냈고, 정보소구와 유머소구 역시 모두 높은 태도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ternet advertising and to introduce new type of internet advertising, Stand Alone Internet Advertising.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sensation, involvement and types of advertisement appeal to internet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we research the advertising clicks and advertisement attitude, product attitude company attitude of advertising through the log data of AD server. To test above variables, 3(sensation)×2(involvement)×2(types of advertising appeal) factorial experimental design is used. And real vehicle, The Adrenalin, multimedia player like Windows Media Player of Microsoft, is Used. It has impressed 1,805,209 times to 1,164,888 peoples based on reach value.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analysis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sensation and degree of involvement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advertising clicks. And humor type of advertising appeal had more clicks than the other. However, sensation had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advertising attitude, product attitude and company attitude. But mid-sensation treatment advertisement had the most high attitude. And high involvement advertising, non-humor advertising had significantly higher attitude.

      • KCI등재

        유튜브 광고 환경에서의 소비자 경험 연구: 지각된 침입성과 통제감을 중심으로

        김지호 ( Kim Gho ),서혜원 ( Seo Hyewon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유튜브 광고 환경에서의 소비자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지각된 침입성과 통제감이라는 두 가지 핵심변인을 다루었다.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의 광고에 대한 지각된 침입성과 통제감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의 구성요소를 규명하고, 나아가 지각된 침입성과 통제감이 광고·브랜드 및 매체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1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광고의 길이와 크기는 지각된 침입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광고의 지각된 가치는 지각된 침입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광고와 콘텐츠의 시공간적 인접성은 지각된 침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광고의 회피 용이성은 지각된 통제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지각된 침입성은 광고 및 브랜드 태도와 매체 태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지각된 통제감은 광고 및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오직 매체 태도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유튜브 광고 환경의 맥락에서 광고 관리자와 매체 관리자의 입장이 다소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튜브 광고 환경에서의 소비자 경험에 대한 광범위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광고 및 매체 관리자들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유형과 특징에 따른 구체적인 소비자 반응을 예측하고, 실무적으로 적용할 가능성을 지닌다. In these days, Youtube is one of the most powerful advertising media. The research concerns the effect of perceived intrusiveness and perceived control in the youtube advertising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variable that affect consumers' perceived intrusiveness and perceived control in youtube advertising environment, and further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intrusiveness and perceived control on advertising, brand and media attitudes. The authors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217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ngth and size of the advertis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erceived intrusiveness, and the perceived value had a negative effect. However, the placement of the advertisement did not affect perceived intrusiveness. The ease of avoid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control. Furthermore, perceived intrusiven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dvertising, brand and media attitudes, but perceived control did not affect advertising and brand attitude, and only affected media attitude, positively.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stance of marketers and media managers may be somewhat exclusive in the context of the Youtube advertising environment. This study provided understanding of consumer experience in the Youtube advertising environment. Based on the findings, marketers and media managers can predict specific consumer responses and apply to practice.

      • KCI등재

        Effects of Display Size and Type of Input on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 to Screen Tasks

        Gho Kim(김지호)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9 No.1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이 보편화되면서 여러 가지 방식의 디스플레이들이 개발되고 있다. 화면크기 및 입력방식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주로 다루어져 온 측면이 있으며, 화면 크기의 효과에 주로 초점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면의 크기와 입력 방식에 대한 영향을 동시에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실제 사용 환경에서 소비자들은 다양한 컨텐츠를 접하는데, 각 컨텐츠 특성에 따라 더 적합한 입력방식, 혹은 더 알맞은 화면 크기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인지적, 감정적 반응이 다양한 입력방식과 화면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감정 반응을 주로 이끌어내기 위한 컨텐츠인가, 수행성을 요하는 작업이 주인 컨텐츠인가에 따라 입력방식 및 화면크기에 따른 다양한 영향이 나타났다. 수행성이 요구되는 컨텐츠에서는 화면크기와 입력방식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한편 감성반응을 이끌어 내는 컨텐츠에서는 상대적으로 화면크기보다는 입력방식이 더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입력방식에 따른 차이를 종합해보면 터치는 감성반응을 일으키는 컨텐츠, 마우스는 수행성을 위한 컨텐츠에 사용이 적절할 것이다. 마우스의 수행이 상대적으로 더 좋았던 것은 정확한 포인팅과, 손에 비해 전체적으로 주의하도록 하는 것이 긍정적으로 귀결된 것으로 보인다. 터치 조건에서 마우스 조건보다 훨씬 더 정신생리적 측정치의 값이 컸는데, 이는 터치를 함으로써 컨텐츠에 더 집중을 하여 마우스 조건과 서로 다른 감각 경험을 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Display size and type of input affect individual psychological responses to screen displays. The effects of display size and input type were measured in two experiments where the contents of stimuli led to either cognitive processing or emotional response; we included a psychophysiological dependent measure (skin conductance). As expected, touch contributed to increased emotional response of users. Computer-mouse input was associated with better performance. An effect of screen size was found for the cognitive task, but not for emotional response.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display size and type of input is significant to user experience. Furthermore, it shows that selection of the appropriate device can vary depending on stimulus contents. Theore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광고의 시지각적 연구를 위한 아이트래킹 방법론의 이해, 현황 및 제언

        김지호(Kim, Gh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2

        본 연구는 2006년 이후 10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아이트래커 연구 중 광고 분야와 관련된 학회지에 수록된 연구들을 검토하여 아이트래커 연구의 현황 파악 및 적절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광고연구>,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등 총 4개의 학회지에 수록된 총 22편의 논문을 살펴보았다. 아이트래킹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사람들의 시선에 대한 시각심리학적 설명을 기술하였다. 또한 연구들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경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아이트래커 활용의 방법론적 관점에 따라 분류하여, 방법론의 적절한 사용 방향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아이트래킹 연구가 경쟁력이 있는 접근법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뚜렷한 사용 규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용어 및 개념, 분석 방법 등에서 일관성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이트래킹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성과 보완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좋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to suggest proper direction of EyeTracker research. So It was examining researches included in the Journal related to advertisement field. Then we reviewed total of 22 papers in the four Korea articles since 2006: Advertising Research,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ye tracking, It was described visual psychological theory. In addition, we sought to examine the tendencies by classifying studies by researches. In spite of Eye-tracking research is a competitive approach, There is no established standard of use yet. And there is no consistency in terms, concepts, and analysis methods. In this study, we tried to grasp the overall tendency and the complementary points of eye tracki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good follow - up research will be done.

      • KCI등재

        터치가 소유를 이끈다: 디스플레이 화면크기와 입력방식이 온라인 쇼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지호 ( Gho Kim ),신지연 ( Jiyeon Shin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1

        정보의 제공과 구매의 편리함을 동시에 갖춘 온라인 쇼핑은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과 같은 여러 형태의 스마트 기기들이 등장하면서 사용 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이를테면 데스크탑 PC에서 쇼핑을 하는 소비자는 큰 모니터와 마우스를 이용해 쇼핑을 하고, 작은 화면의 스마트폰을 손가락으로 터치하며 쇼핑을 즐기기도 한다. 여기서 화면크기와 입력방식은 쇼핑을 하고 있는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인식되는 요소는 아니지만, 기존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의 지각 및 정서적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적 요소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화면크기와 입력방식이 소비 행동 및 제품 반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실제 온라인 쇼핑에 사용되는 컴퓨터 모니터, 태블릿 PC,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참가자를 마우스를 사용하는 집단과 터치 입력방식을 사용하는 두 집단으로 나누어 입력방식에 따른 차이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품 유형을 촉각이 중요한 촉각적 경험재와 비교적 촉각의 중요성이 적은 탐색재로 나누어 그 효과를 세밀하게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화면크기는 제품에 대한 생생함을 더 높여주며, 입력방식은 실질적인 구매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제품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촉각적 경험재에서 터치 입력방식의 효과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상을 만지는 행위는 대상에 대한 지각된 가치를 높여준다는 보유효과 이론이 터치 입력방식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촉감과 같은 속성이 중요한 제품일수록 시·촉각적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기의 특성에 따라 소비자의 반응이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온라인 쇼핑 사이트나 앱의 제작 및 판촉이 제품 유형 및 기기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야 한다는 시사점을 함의한다. Nowadays online shopping is a major way for product purchase beyond offline shopping. With the rapid growth in technology, consumers are granted with many options on how they can shop from home. With the advent of tablets and smartphones, consumers in today`s world now can shop on such devices by swiping and touching. In other words environmental factors of online shopping have varied since the advent of smart devices ― display size and input type. For instance, Consumers use not only a desktop pc with a large display size using mouse input, but also a smart phone with a small size using touch input. Although screen sizes and input types are not the elements of product that comsumer can easily notice, Previous studies found that Both factors affect their perception and affective respons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impacts of screen size and input type on consumption behavior and response according to products. So the current experiment adopted a 3(screen size: PC monitor(23.6") vs. tablet computer(11.6") vs. smartphone(5.5")) × 2(input type: mouse vs. touch) × 2(product type: haptic experience goods vs. search goods) mixed factorial designs. Screen size and product type are within-subjects factor, and input type is a between-subjects factor. The result of experiment shows that When shopping online, participants preferred touching and inputting using a large and small size devices. However, on bigger sized screen devices, participants felt uncomfortable. In consumer responses according to products, large screen size enhance vividness of a product image and touch input devices have a positive effect in purchase behavior. It shows that endowment effect―physical contact influences valuations positively― is also applicable in touch display. Besides, these effects are apparent when participants see tactile experience go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rketers have to consider device`s attributes and product type when they select a way to promote, designs of online shopping sites, and applications.

      • KCI등재

        사적 자의식이 소비자 행동과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지호 ( Kim Gho ),임현정 ( Lim Hyunj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6

        소비자들은 매장 내에서 쇼핑 시 주변에 다양한 환경적 요소들과 함께 제품이나 광고에 노출되는데, 이러한 환경적 요소들은 거울, 소도구, 마네킹, 조명, 음악 등 매우 다양하며,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구매 상황에서 접하게 되는 환경적 요소가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중요한 것으로 보고, 특히 거울 요소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매장 내 거울을 통해 자신에게 초점이 맞춰짐으로써 자기 자신에 대해 인식하게 되는 경우 사적 자의식은 증가하게 된다. 사적 자의식이 높아지게 되면 자신의 신념이나 취향, 감정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이는 소비자의 제품 및 광고에 대한 반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거울을 통해 높아진 사적 자의식이 제품 소비 행동(구매 다양성 추구 행동, 선호도-구매의도 일관성, 충동구매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거울로 인한 영향이 광고 소구 유형에 따라 광고에 대한 소비자 반응(광고 태도, 제품 태도, 구매의도)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기 위해 2(거울 조건: 유 vs. 무) × 2(광고 소구 유형: 제품 속성 vs. 이미지)의 피험자 간 설계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거울이 있는 조건의 참가자들이 거울이 없는 조건의 참가자들에 비해 제품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경향성이 적으며, 제품을 선택하는 개수 및 총 구매 금액 또한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울 유무 조건과 광고 소구 유형에 따라 광고태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거울이 존재하는 조건의 참가자들은 이미지에 대해 소구하는 광고에 대해 가장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적 자의식에 따라 소비자 행동이 달라질 수 있으며, 더불어 광고 소구 유형과 함께 광고 효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 및 추후 연구에서 보충되어야 할 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Consumers are exposed to products and advertisements along with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while shopping in the store. These environmental factors are very diverse, including mirrors, mannequins, lights, and music. In this study, we paid attention to mirror elements, especially. when consumers perceive themselves through mirrors, the private self-awareness increases. As personal self - awareness increases, it tends to attach much importance to their beliefs, tastes, and emotions, which can also affect consumer responses to products and advertisemen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presumption that self-awareness elevated through a mirror influences product consumption behavior such variety seeking behavior, preference-behavior consistency and impulse buying behavior) and that how it can affect to the consumer response such as advertising attitude,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advertising appeal typ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2(mirror condition: presence / absence) × 2(advertising appeal type: image / utilitarian) between-subject desig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ith a mirror conditions selected less variable product type and the number of products and total purchase amount of them were small than participants with a mirrorless condition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 attitudes according to mirror condition and advertising appeal type. Participants with a mirror condition showed the most favorable attitude toward the image appeal adverti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onsumer behavio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private self-awareness, and it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image and utilitarian appeals.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ome points to be supplemented in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심리적 온도가 사회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김지호(Gho Kim),채은혜(Eunhye Chae),신지연(Jiyeon Shi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8 No.2

        제품 자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이 아닌 주변에 존재하는 환경적 요소들 역시도 소비자들의 최종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는 누구나 동의한다. 직접적인 점원의 설득부터 시작해서 제품들이 정렬되어 있는 상태, 그리고 매장 내에서 흘러나오고 있는 배경음악과 이리저리 움직이며 마주치게 되는 다른 고객들까지 구매 상황에서 접하게 되는 환경적 요소들은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크고 작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렇다면 그러한 환경적 요소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게 되는 것인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영향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체화된 인지이다. 체화된 인지는 신체적 감각이 태도와 정서 등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인데, 그 중에서도 이번 연구에서는 온도를 통한 경험이 소비자의 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온도는 사회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 자주 사용되는데, 이러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온도에 대한 경험과 사회적인 소비와의 관련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연구1에서는 시원하거나 따뜻한 온도를 경험하는 것이 더 사회적이거나 덜 사회적인 소비를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으며, 연구2에서는 점화를 통한 온도 경험이 더 사회적이거나 덜 사회적인 패키지 디자인을 평가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관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온도가 구매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It is an indisputable fact that there are a lot of factors besides the product itself that can effect consumers’ choice. From the sales-clerks to products display, the kind of music played and the other customers in the store. Many environmental factors also have a powerful impact on consumers’ decision- making process, it is therefore important to understand how factors these factors can influence consumers" minds. One of the theories that can explain consumers’ unconscious decision- making process is Embodied cognition. It suggests that physical experiences can cause some changes in attitude or effect consumers. We focused on how temperatures can affect consumption behavior. In study 1, we examined if cold (warm) thermal experience leads to more (less) pro-social decisions about the same product. In study 2, cold (warm) thermal experience primed by advertising affects evaluation of more(less) pro-social package design. With these results, we expected to confirm how thermal experie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luencing consumers’ decision- making process.

      • KCI등재

        프리미엄 식품 매장에서의 소비자 체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SSG 푸드마켓을 중심으로

        김효정 ( Kim Hyo-jung ),라선아 ( La Sunna ),김지호 ( Kim Gho ),이준영 ( Lee June-young ),김소연 ( Kim So-yun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3

        소비자 체험을 통하여 형성된 기억은 오랫동안 지속되며 강렬하다. 또한 소비자 체험을 통하여 대상에 대한 특별한 가치가 더해져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강점으로 인하여 소비자 체험에 대한 마케팅적 관심이 증대되며 소비공간의 체험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체험은 즐거움, 심미적 만족감, 스트레스 해소의 기회 등을 제공하며 소비자의 삶의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어 소비자에게도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공간이 제공하는 일탈적인 분위기에 휩싸여 충동소비 등 비합리적인 소비행동이 야기될 수 있고, 원하지 않는 체험요소들로 인하여 성가심이나 부정적 감정을 경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통공간에서 소비자 체험을 다각도로 고찰하고, 이러한 체험이 소비자에게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장 대표적인 필수재인 식품을 구매하기 위하여 소비자들이 일상적, 반복적으로 방문하는 식품매장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프리미엄 식품 매장에서의 소비자 체험을 고찰하였다. 소비자 심층면접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프리미엄 식품 매장에서의 소비자 체험은 5개의 체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체험 유형은 다차원의 범주를 구성하고 있으며 총 23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먼저 Pine & Gilmore(1998)가 제시한 4가지 체험유형과 유사한 인지적 체험, 쾌락적 체험, 심미적 체험, 현실도피적 체험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Pine & Gilmore(1998)의 체험 분류 틀에 적용된 분류 축으로는 각각의 체험 유형이 잘 설명되지 않는 측면이 있어 유통 공간에서 소비자들의 체험을 더욱 잘 설명할 수 있는 분류 틀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Pine & Gilmore(1988)의 체험분류와 유사한 4가지 체험 외에 관계적 체험 영역도 나타났는데, 이는 Schmitt(1999)가 브랜드 체험마케팅에서 제시하였던 `관계적 체험`과 유사한 측면이 있었다. 관계적 체험의 경우 가장 많은 하위 범주로 구성되어 프리미엄 식품 매장에서 소비자들은 다양한 사회적 가치가 투영된 다차원적인 관계적 체험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일반적인 공간(space)이 아닌 유통공간에서는 유통공간의 브랜드와 관련되어 관계적 체험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통공간에서 소비자 체험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계적 측면을 포괄하는 분석틀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소비 공간에서 소비자 체험마케팅이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 소비자들이 체험 자극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경험하고 있는지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유통공간에서 소비자 체험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마련하고, 소비자지향적인 체험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emory formed through consumer experiences is intense and lasts for a long duration. Moreover, consumer experience helps consumers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ir purchase. Owing to the merits of experience marketing, there is a significant rise in marketers` interest in consumer experience, leading to the experientialization of consumption spaces. For instance, this consumer experiences in consumption spaces offer pleasure, aesthetic satisfaction, and an a recess from ordinary stresses and could also enhance the value of consumers` life. On the other hand, experiential marketing stimuli promote irrational consumption behaviors, such as impulsive consumption. Also, unwanted experiential marketing stimuli can be annoying to consumers. Thus, this study explored consumer experiences in a premium food store and investigated how consumers reacts to their experiences.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s with regular users of the premium food store, the current study found five types of consumer experiences, where each experience type is composed of multi-level categories. The four types of consumer experiences, cognitive experience, hedonic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and escapist experience, were similar to the four types of space experiences suggested by Pine & Gilmore(1998). However, the classification axis applied to the Pine & Gilmore(1998)`s do not fully explain the categories in consumer experiences in a premium food market. Also, this study identified relational experience. This has a commonality with the “relational experience” in Schmitt(1999)` experience marketing scheme. Especially, the relational experiences reflected various social values and composed of the largest number of sub-categories, showing consumers had multi-dimensional relational experiences in the premium food store. Based on the five consumer experience types in a premium food store, this study proposed that a new classification scheme is necessar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onsumer experiences in a retail space. In an age where consumer experience marketing has spread over a variety of consumption spa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reveals how consumers perceive and experience in consumption space. The findings could assist in developing a new framework for consumer experience in retail spaces and provide implications to establish experiential environment in retail stores from a perspective from consum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