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자산 자금세탁방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김지현 ( Kim¸ Jihyun ) 한국지급결제학회 2021 지급결제학회지 Vol.13 No.2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항은 무엇인가를 묻는다면 많은 이들이 가상자산에 대해 얘기할 것이다. 하루에도 수십 건의 가상자산에 대한 뉴스가 보도되고 투자자들의 글이 쉴 새 없이 올라오면서 가상자산에 관한 관심이 날이 갈수록 커져가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2013년 최초의 가상자산거래소인 코빗이 등장하면서부터 가상자산의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국가에서 규제하고 있는 방안이 없어 개인이나 법인의 탈세 문제, 거래소 해킹 및 범죄수익의 세탁 문제 등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로 국내에서도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가이드라인에 맞춘 특정금융정보법을 발의하였으나 국자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유예기간에 맞춰 제정하다 보니 미흡한 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특정금융정보법의 추가적인 발의에 대해서 꾸준히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만큼 먼저 가상자산의 자금세탁 문제의 실태와 해외의 규제방안을 살펴보고, 국내의 자금세탁 방지법안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을 알아보고자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개선점으로 첫째, 투자자보호제도의 도입, 둘째, 금융서비스 기관별 규제제도의 도입에 대해 논해보고자 하며 이 논의로 가상자산 자금세탁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 중요한 정보로 쓰이길 바라는 바이다. Considering what has become a hot topic around the world lately, people will be talking about virtual assets. Dozens of news about virtual assets are reported a day, and investors are constantly posting messages raising interest in virtual assets. Since KORBIT the first virtual asset exchange appeared in Korea in 2013. Virtual asset transactions have been active but there have been no national regulations Resulting in tax evasion of individuals, corporations hacking of exchanges and washing of criminal profits. Accordingly, We proposed a specific financial information law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of the Financial Action Task Force. But it was not sufficient because it was enacted in accordance with the Financial Action Task Force. Therefore, the National Assembly is continuing to discuss additional proposals for a specific financial information law. In this paper, as points of improvement the introduction of the investor protection system and financial system for each financial service institution will be discussed. It is hoped that this discussion will be used as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finding a solution to the virtual asset money laundering problem.

      • KCI등재

        국가기록원 직접관리기관 공기업의 기록관리에 관한 연구

        김지현,Kim, Jihy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공공기록물관리법에 의거하여 기록관리를 수행해야 하는 공공기관 중 국가기록원의 직접관리기관으로 지정되어 있는 공기업들의 기록관리 현황과 특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직접관리기관으로 지정된 8개 공기업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을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여 기록관리 실무 현황, 기록관리에 대한 기관 내 인식, 전문요원에 대한 인식과 처우,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평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비전자기록물에 대한 기록관리 업무는 비교적 원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전자기록물의 이관과 폐기 및 보존은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록관리 업무의 기관 업무효율성과 투명성에 대한 기여도에 있어서 대다수 참여자들은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기관 내에서 기록관리는 낮은 직급의 직원들이 수행하는 귀찮은 업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었다. 참여자들 중 정규직보다 무기계약직이나 계약직이 더 많았으며 이들은 직접관리기관 간 연봉 차이와 기관 내 정규직과 계약직 간 처우 및 인식 차이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해당 기관 기록관리 업무수행의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국가기록원 기록관리 평가를 유용하다고 언급하였다. 그러나 평가 지표의 일관성이 부족하고 중앙행정기관의 기록관리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직접관리기관에 적합하지 않으며 평가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업무는 무시될 수 있다는 단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Records Management(RM) practice of public enterprises supervised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 These enterprises are included among public institutions mandated to perform RM according to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of 2006. The study performed telephone interviews of 8 records managers employed in public enterprises and investigated current status of RM practices, perception of the practices and records managers within the enterprises and treatment to them, as well as opinions of the NAK's assessment of RM in public institutions, While non-electronic records were managed in an appropriate manner, electronic records needed to be transferred, disposed of, and preserved properly.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expressed positive opinions on the contribution of RM to effectiveness and transparency of the enterprises. However, RM was perceived as irksome work conducted by those in a low position. More interviewees were permanent contract workers or contract personnel than regular employees. They felt a sense of deprivation due to the discrepancy of annual incomes among public enterprises and the differences in treatment and attitude toward between contract workers and regular workers. Interviewees suggested that NAK's assessment of RM was useful since it provided a basis for RM in their institutions. Yet, they pointed out that its measurements were lack of consistency and relevance to public enterprises because those focused on RM in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y also noted that RM practices that the assessment do not cover might be ignored.

      • KCI등재

        다상태 κ-out-of-n 시스템의 효율에 관한 연구

        김지현,남해별,차지환,Kim, Jihyun,Nam, Hae Byur,Cha, Ji Hwan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1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n$개의 부품 중 적어도 ${\kappa}$개의 부품이 제대로 작동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kappa}$-out-of-$n$ 시스템이라 한다. 기존의 ${\kappa}$-out-of-$n$ 시스템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단지 시스템의 작동여부에만 관심을 갖고 시스템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문제를 주로 다루었다. 하지만 시스템이 작동할 때 작동하는 부품의 개수에 따라 시스템의 효율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다상태 ${\kappa}$-out-of-$n$ 시스템을 고려하고 시스템의 총 효율을 산출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시스템이 수리 가능할 경우, 시스템의 총 효율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수리 시점을 찾아보기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효율은 기존의 평균수명을 일반화한 형태가 됨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다루는 모형은 기존의 모형을 보다 일반적인 경우로 확장한 모형이라 할 수 있다. A system with $n$ components which functions when at least ${\kappa}$ of the components function is called ${\kappa}$-out-of-$n$ system. Most studies on ${\kappa}$-out-of-$n$ system derive the system reliabilit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ystem has just two states: functioning or failed. However, the system efficiency may depend on the number of functioning components. This paper considers a Multi-state ${\kappa}$-out-of-$n$ system and derives the total system efficiency. In addition, assuming that the system is repairable, the optimal repair policy to maximize the system efficiency is studied. The system efficiency considered in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a generalized measure of the mean time to the failure of the system.

      • KCI등재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윤리강령 비교 연구 - 해외 전문직협회 윤리강령을 중심으로 -

        김지현,Kim, Jihy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investigated professional values on which the practices and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s were based, then identified common professional values and different ones. The codes of ethics by professional organizations of libraries, archives, or museums in the U.S., Canada, the U.K. and Australia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Predicated on the literature review, common professional values were derived from the existing studies. While conducting the analysis, 13 values were identified and finali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mmon professional values included access, privacy, stewardship, professional conduct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o the society. Intellectual freedom in the library area, records as an evidence in the archive area, and research and interpretation in the museum area are those emphasized and unique in each area. 본 연구는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의 협력에 있어 실무자들의 업무와 인식의 근간이 되는 전문직 가치를 논의하고 윤리강령 분석을 통해 세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전문직 가치와 각 분야에서 차별적으로 제시되는 전문직 가치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의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 협회 윤리강령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직 가치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조사하여 공통된 가치를 추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분석을 실시하면서 최종적으로 13개의 공통 요소를 포함하는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통된 전문직 가치로는 접근, 개인정보 보호, 소장물 관리, 전문직으로서의 임무, 사회적 책임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분야에서는 지적자유, 기록관 분야에서는 증거로서의 기록, 박물관 분야에서는 연구 해석 기능이 각 분야에서 고유하면서도 강조되는 윤리적 측면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GC-MS 를 이용한 하천수 중 Bisphenol계 화합물의 동시분석 및 모니터링

        김지현,최정희,강태우,강태구,황순홍,심재한,Kim, Jihyun,Choi, Jeong-Heui,Kang, Tae-Woo,Kang, Taegu,Hwang, Soon-Hong,Shim, Jae-Han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하천수 중 bisphenol계 화합물 종 6 (BPA, BPB, BPC, BPE, BPF, BPS)을 동시분석하기 위하여 GC-MS를 이용하였다. 또한 최적의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고자 SPE 및 LLE법을 이용하여 표준시료로부터 검량선의 직선성, MDL, LOQ, 정확도 및 정밀도를 비교하였다. SPE 및 LLE 전처리 방법에 의한 MDL은 각각 $0.0005{\sim}0.0234{\mu}g/L$와 $0.0037{\sim}0.2034{\mu}g/L$, LOQ는 각각 $0.0015{\sim}0.0744{\mu}g/L$와 $0.0117{\sim}0.6477{\mu}g/L$, 검량선의 결정계수($r^2$)는 모두 0.9969이상 정확도는 각각 93.2~108%와 97.4~120%, 정밀도는 각각 1.7~4.6%와 0.7~6.5%범위로 만족한 정도관리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SPE법에 의한 MDL 및 LOQ 값은 LLE법보다 약 4~45배 정도 높은 감도를 보였고, 특히 BPA의 경우는 다른 화합물들보다 45배 정도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PE법을 적용하여 하천수 시료를 분석하였고, 조사지점은 본류 7개, 지류 6개, 하수종말처리장 2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Bisphenol계 화합물 중에서 BPB, BPC, BPE, BPF 및 BPS는 모두 불검출 되었으나, BPA 농도는 $0.0095{\sim}0.2583{\mu}g/L$ 범위로 본류 $0.0166{\sim}0.0810{\mu}g/L$, 지류 $0.0095{\sim}0.2583{\mu}g/L$, 하수종말처리장$0.0352{\sim}0.1217{\mu}g/L$으로 미량 수준이었다. BACKGROUND: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efficient sample preparation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isphenols (BPs) in river water sample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Sample preparation was examined with conventional extraction methods, such as solid-phase extraction (SPE) and liquid-liquid extraction (LLE), and their efficiency was compared with validation results, including linearity of calibration curve, method detection limit (MDL), limit of quantification (LOQ), accuracy, and precision. METHODS AND RESULTS:The BPs (bisphenol A, BPA; bisphenol B, BPB; bisphenol C, BPC; bisphenol E, BPE; bisphenol F, BPF; bisphenol S, BPS) were analyzed using GC-MS. The range of MDLs by SPE and LLE methods was $0.0005{\sim}0.0234{\mu}g/L$ and $0.0037{\sim}0.2034{\mu}g/L$, and that of LOQs was $0.0015{\sim}0.0744{\mu}g/L$ and $0.0117{\sim}0.6477{\mu}g/L$, respectively. The calibration curve obtained from standard solution of $0.004{\sim}4.0{\mu}g/L$ (SPE) and $0.016{\sim}16{\mu}g/L$ (LLE) showed good linearity with $r^2$ value of 0.9969 over. Accuracy was 93.2~108% and 97.4~120%, and precision was 1.7~4.6% and 0.7~6.5%, respectively. The values of MDL and LOQ resulted from the SPE method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LLE method, particularly those values of BPA were highest among the BPs. Based on the results, the SPE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BPs in river water samples.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instream, tributary and sewag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SWTP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The concentration of BPB, BPC, BPE, BPF and BPS were not detected in all sites, whereas BPA was ranged $0.0095{\sim}0.2583{\mu}g/L$, which was $0.0166{\sim}0.0810{\mu}g/L$ for mainstreams, $0.0095{\sim}0.2583{\mu}g/L$ for tributaries, $0.0352{\sim}0.1217{\mu}g/L$ for SWTPs.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the SPE method was very effective for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BPs in river water samples using GC-MS. We provided that it is a convenient, reliable and sensitive method enough to monitor and understand the fate of the BPs in aquatic ecosystems.

      • KCI등재

        대학 내 연구자들의 연구데이터 관리에 관한 연구

        김지현,Kim, Ji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3

        본 연구는 대학 소속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데이터의 관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과 2011년 한국연구재단 지원사업의 최종선정과제 연구책임자들 중 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31명의 설문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학에서 생산 수집되는 연구데이터의 유형은 인문 사회과학 분야와 자연과학 의학 및 공학 분야 연구자들 간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응답자들은 주로 관련정보와 데이터를 연결시키거나 추가적으로 생산된 데이터를 병합하는 활동을 통해 연구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 있었다. 연구데이터 보관을 위해 개인 PC나 이동식 매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약 80%의 응답자들이 과제 종료 이후 연구데이터의 유용성이 유지되는 연한을 10년 미만으로 보았다. 연구데이터의 공유는 주로 소속 연구팀 내에서 이루어지거나 외부에서 데이터를 요청하는 연구자들과 이루어지고 있었다. 타인의 연구데이터를 활용하는 응답자의 비율은 본인의 데이터를 공유한다는 응답자의 비율보다 높았으며 다수의 응답자들이 출판된 논문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개인적으로 연락하는 방식을 통해 타인의 연구데이터를 획득하고 있었다. 대학 내에서 연구데이터 관리체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특히 데이터의 장기보존과 메타데이터 작성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연구데이터 아카이빙 서비스의 개발이 요청된다.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data management practices from the perspectives of university researchers. A survey was conducted for principal investigators of projects in universities selected to be fund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in 2010 and 2011. Predicated on the analysis of 131 survey responses,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ypes of research data between Humanities & Social Science fields and Science, Medicine and Engineering fields. Most respondents added value of their data by linking to other types of information or combining data from other sources. For storing data, PC or portable media were generally employed, and around 80% of respondents saw their data having a useful life under 10 years. Data was shared within research team and with outside researchers who requested data.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have reused data was higher than that of respondents who have shared data. In order to obtain data for reus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drew data from published articles, or contacted data creators. In most cases, mechanisms for managing data did not exist in projects or universities where respondents belong. Si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long-term preservation and metadata description of research data was found to be low, it was necessary to develop data archiving services to support the data management procedures.

      • KCI등재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관리서비스에 관한 연구 - 미국 연구중심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김지현,Kim, Jihy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에서는 미국 연구중심대학도서관에서 최근 구축 운영되고 있는 연구데이터관리(Research Data Management, RDM) 서비스의 구성요소와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현황을 조사하였다. 미국 카네기분류에서 제시된 최고연구중심대학(RU/VH) 중 RDM 서비스를 제공하는 31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기준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서비스의 구성요소 9가지로 (1) DMP 작성지원; (2) 데이터 파일 정리; (3) 데이터 기술; (4) 데이터 저장; (5) 데이터 공유 및 접근; (6) 데이터 보존; (7) 데이터 인용; (8) 데이터관리 교육; (9) 데이터 지적재산권을 포함한다. 분석 결과 대다수의 기관에서 DMP 작성지원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었으며 절반 이상의 기관에서 데이터 기술과 데이터 보존 및 데이터관리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학문분야별 데이터에 적합한 메타데이터 및 레포지터리로의 안내와 워크숍 또는 개별 컨설팅을 통한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기관 내 혹은 기관 간 협력에 기반을 둔 RDM 서비스 운영과 서비스 담당자의 지식 및 역량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practices of Research Data Management (RDM) services recently built and implemented at research university libraries in the U.S. by analyzing the components of the services and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ir web sites. The study then analyzed the content of web pages describing the services provided by 31 Research Universities/Very High research activity determined based on the Carnegie Classification. The analysis was based on 9 components of the services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including (1) DMP support; (2) File organization; (3) Data description; (4) Data storage; (5) Data sharing and access; (6) Data preservation; (7) Data citation; (8) Data management training; (9) Intellectual property of data. As a result, the vast majority of the universities offered the service of DMP support. More than half of the universities provided the services for describing and preserving data, as well as data management training. Specifically, RDM services focused on offering the guidance to disciplinary metadata and repositories of relevance, or training via individual consulting services. More research and discussion is necessary to better understand an intra- or inter-institutional collaboration for implementing the services and knowledge and competency of librarians in charge of the services.

      • KCI등재

        연구데이터 레포지터리의 데이터 접근 및 이용 통제 정책 요소에 관한 연구

        김지현,Kim, Jihy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3

        전 세계적으로 오픈 데이터가 강조되는 환경에서 데이터의 공유 및 재이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적 논의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데이터 레포지터리에서 데이터의 접근 및 이용을 통제하는 정책요소들을 조사하고 학문 분야별로 그러한 정책 요소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연구데이터 레포지터리 37곳을 대상으로 데이터 접근 및 이용 통제를 규정하고 있는 정책 요소를 분석하였다. 생명과학 및 보건과학분야 20개 레포지터리, 화학 지구환경과학 물리학 분야 10개 레포지터리, 사회과학 및 일반과학 분야 7개 레포지터리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저작권 및 라이선스 규정, 데이터 인용, 면책조항 및 엠바고 적용 관련 규정이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정책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야별로 규정되고 있는 정책 요소의 다양성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분야별로 강조되는 데이터 접근 및 이용 통제 근거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s Open Data has been emphasized globally, discussions on data policies have occurred for minimizing problems resulting from data sharing and reuse.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policy components for controlling access and use of data and examin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policy components across disciplines. For the purpose, the study analyzed policy components for data access and use controls provided by 37 research data repositories overseas. These included twenty repositories in biological and health science, ten in chemistry,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 physics, as well as seven in social science and general science. The analysis showed that common policy components involve copyright/licenses, data citation, disclaimers and embargoe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diversity of policy components among the disciplines and it indicated that the rationales of access and use controls emphasized would be different in the disciplines.

      • KCI등재

        미국 주립기록관 페이스북에서의 이용자 참여에 관한 연구

        김지현,Kim, Jihy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미국 주립기록관 페이스북에 게시된 이용자 댓글을 분석하여 이용자 참여도와 게시물에 대한 이용자 반응의 유형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27개 주립기록관에서 2016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 사이에 생성된 페이스북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용자 댓글 수, 개별 이용자 수 및 게시물 당 평균 댓글 수를 토대로 이용자의 참여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용자 참여도가 높은 순서대로 상위 10개의 주립기록관을 선정하였다. 이들 중 최상위인 오하이오 주립기록관과 5위권의 플로리다 주립기록관, 10위권의 아칸소 주립기록관 페이스북에서 이용자 댓글 687개와 댓글이 달린 게시물 132개를 수집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용자의 감성적 의견판단, 게시물에 대한 설명 추가 및 개인이야기 공유와 관련된 댓글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질문을 통한 이용자 간 또는 이용자와 아키비스트 간 상호작용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게시물의 경우 소장자료와 관련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유형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기록관에서 이용자의 삶과 연결되는 역사적 사실 및 관련 기록물을 발굴하여 제시하고 소셜 미디어에서 이용자와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며 온라인 이용자 커뮤니티를 구축 유지하여 소셜 미디어를 통한 기록관 홍보 및 확장 서비스를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hat users participated in Facebook of U.S. state archives and the types of user responses to posts on the Facebook. For the purpose, data created between August 1st and September 30th in 2016 were collected from Facebook continuously operated by 27 state archives. The extent of user participation was measured based on the number of user comments, the number of unique commenters, and the average number of comments per post. According to the measures, top 10 Facebook of state archives were selected. Out of these, Facebook of Ohio (1st), Florida (5th) and Arkansas (10th) state archives were chosen to collect 687 user comments and 132 posts. The analysis showed that comments regarding users' emotional opinion and judgement, adding explanations to a post, and sharing personal stories occupied a large portion. Interactions among users or between a user and an archivist were also identified. With regard to posts, those for sharing information/knowledge of records held in archives were identified as a high percentage. The study suggested that archives should collect and present historical information and related records connected to users' lives, examine method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users via social media and facilitate publicity and outreach services of archives based on shaping and maintaining online user community through social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