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 속 자본주의 사회의 풍경과 소통의 문제

        김중철(Joong-chul, Kim) 어문연구학회 2012 어문연구 Vol.71 No.-

        This thesis studies the scenery of capitalistic society and communication in Jeongisu(story-teller) story written by Lee, Seung-woo. This work makes us think the meaning of literature or novel in this age, so-called ‘the death of litreature’, Furthermore, this work gives us the problem of capitalistic society and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age. This work is the story of an unemployed person(protagonist, ‘I’). He is thrown out of employment because of understanding capacity’s weakness. He is a slow-witted and unsociable person. After employed, he acclimates himself to a wearisomeness. idleness and joblessness life. Instead of him, his wife starts a business - ‘story-teller business’. That business is to go to see a customer and read a book(novel) for him/her. ‘I’ as story-teller meet Han Sang-chul as a customer. At first, Han is not interested in the story of book. But Han takes a growing interest in the plain, vivid life story of ‘I’. In the end, Han becomes a story-teller for ‘I’. This work gives us a change of literature distribution channel in contemporary capitalistic society. And this work explains a interruption of communication through relation of ‘I’ and higher officer, wife, and Han. And this work throws us the fundamental questions connected with a role of story-teller(narrator, writer etc.), of story, and of novel(literature). 이 글은 이승우의 소설 〈전기수(傳奇叟) 이야기〉에 나타난 자본주의 사회의 풍경과 문학의 모습을 함께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 작품은 실직자 ‘나’의 평범한 일상을 통해 현대인이 겪을 만한 보편적 상황들과 그것에 스며있는 자본주의 양상들을 함축적이고 흥미롭게 보여준다. ‘나’는 직장에서 쫓겨나 집에서 무료한 일상을 보내지만 이내 그러한 생활에도 익숙해지고 대신 아내가 돈벌이를 위해 일을 시작하는데, 그것은 고객을 찾아가 책을 일어주는 현대판 전기수(이야기꾼) 사업이다. 아내의 강요에 의해 전기수 역할을 하게 된 ‘나’는 고객 한상철을 만나지만 처음 한상철은 그가 읽어주는 책의 이야기에 흥미를 주지 않다가 그가 화제를 돌려 들려주는 생생하고 구체적인 일상의 이야기들에 관심을 갖는다. 이러한 두 사람의 관계는 결국 한상철이 ‘나‘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관계로 뒤바뀌게 된다. 작품은 이처럼 실직과 구직의 문제, 일상 속의 안주와 유혹들, 경제력과 남녀부부의 문제 등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대중적 삶의 문제들을 집약적이고 총체적으로 보여준다. 더욱이 ‘나’와 직장 상사, 아내, 고객 한상철과의 관계, 그리고 ‘나’가 한상철에게 들려주는 여러 이야기들을 통해 현대 사회의 불통의 양상들을 다채롭게 드러낸다. 무엇보다 작품은 소설 자체에 대한 자의식적 담론을 담고 있는데, 전기수라는 조선조 이야기꾼의 현대판 재생을 통해 화자의 역할, 이야기의 역할. 나아가 소설의 역할이라는 본질적인 질문들을 던진다. 또한 작품은 ‘나’가 한상철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와 그 화법과 더불어 독자에게 말을 걸듯 전달하는 서술방식을 통해 불통의 시대에 맞서는 문학적 자세를 보여준다. 이는 결국 이야기 창작자와 독자, 문학과 대중의 관계를 고민하는, 문학적 소통을 위한 또다른 모색으로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 KCI등재

        소설과 영화의 소통과 확장

        김중철(Kim, Joong Chul) 구보학회 2006 구보학보 Vol.1 No.-

        영상시대에 대중적 관심과 흥미의 원천은 대부분 시각 매체나 시각적 감각과 관련된다. 영상이미지는 새로운 의사소통 매체로 부상하면서 언어의 개념을 바꿔놓는다. 영화는 영상시대를 주도하는 이 시대의 문화적 표상이다. 영화의 성장과 발전에 소설의 기여는 결정적이었다. 최근의 영화 텍스트의 소설 출판 경향은 두 장르간 새로운 관계 양상을 보여준다. 농후한 상업성과 조악한 문학성의 문제를 노정함에도 영화의 소설화는 두 장르간 또다른 소통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영역별 새로운 모색이라는 점에서도 관심을 갖는다. 문화의 소비와 향유가 문제되는 대중사회에서 소설의 영화화는 여전히 영화라는 대중적 매체를 통해 소설과 대중이 만나는 유효한 통로로 기능한다. 문학이 문자라는 제한된 매체를 벗어나 다양한 매체로 전이되거나 그것들과 결합하면서 대중과의 소통 공간을 확장시키고 찾아야 하는 것은 문학이 안고 있는 또다른 과제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novel and the film. Recently, one of distinguishing features in the novel is that the film were frequently appeared as a motif or an essential material for the novel. These features prove that the novel and the film were overturned their roles in which they had provided essential motifs each other, or under- went to equal positions. Now the film is a new stimulus and an essential nutriment for the novel. The use of film as a motif or subject matter in the contemporary novel presents that the two genres becomes a crucial participant to take a part in a story-telling mutually. And a filmized of novel do not signify only the transference from one media to other media. A filmized of novel will inevitably become a different artistic entity from the original. Furthermore, fulfilling the wishes and tastes of the masses, it afford an opportunity of experience novel with easy and with interest. The filmized of novel can safisfy the popular’s desire, and can fill up complements that the novel itself is apt to lack. Eventually the filmized text provides the way which get intimate with novel for the popular.

      • KCI등재

        근대 초기 도시 이미지와 자연 체험

        김중철(Kim Joong-Chu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5 한국민족문화 Vol.26 No.-

        This study aims at studying the aspect of the urban image and the experience nature in early modern korea that appears in writings of that time. The urban is representation of modern, and that concentrate modernity. On that point, the writings about urban of early modern korea are basic raw materials that show the landscape of that time. the recognition of urban is strictly connected with the recognition of nature. Because, urbanization and civilization have an influence on the relation between human and nature in the end. The writings in early modern korea don't distinguish between urban and nature into the civilized and the uncivilized,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n the contrary, the reverse is the case. Urban was portrayed with negatively and incredulously. it was represented as the place of vanity, sin, and gloom in that writings. On the other hand, nature was portrayed as place of purity, liberty, and disengagement, not as uncivilized and wild. That writings show that early modern korean rediscovered nature with the progress of urban. The image of nature that opposed or contrasted urban is the another production of modernization.

      • KCI등재

        영화 < 일 포스티노(Il Postino) >의 `비유` 연구

        김중철 ( Kim Joong-chul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화 Vol.0 No.46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aspects and meaning of `metaphor` in the film Il postino directed by Michael Radford. This film treats of poetry and metaphor. This film has many explanations and scenes about poetry and metaphor. In this film story, Pablo Neruda and Mario tells about those. In addition to that, this film shows many poetic scenes and metaphoric images. Therefore Il postino suggests that there is some resemblance between a film and a poetry(literature). Metaphor connotes a similarity or an analogy between A and B. From the viewpoint of that Il postino explains metaphorically about metaphor. Because this film deals with metaphor in contents and in method. In contents, Mario and Neruda become intimate with mutually through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the other characters make free use of abundant metaphor. In method, this film has many lyrical, symbolic scenes, and romantic, pathetic background music. Il postino connects between Mario and Neruda, mediates between daily language and poetic language, intervenes between literature and film. In brief, Il postino is filled with metaphor. Metaphor is not only literary embellishments or rhetorical flourishes but also method of understand and explain the world. To sum up, Metaphor is a frame of analyze and interpretate this film.

      • KCI등재

        문학과 만나는 영화의 한 방식

        김중철(Kim, Joong-chul) 한국영화학회 2014 영화연구 Vol.0 No.61

        This thesis is a study on a method of meeting between cinema and literature through considering 〈The Russian Novel〉 directed and written by Shin Youn?sik.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 and cinema. One of the distinguishing aspects of recent novels is that cinema frequently appears as a motif or an essential material for a novel. This feature proves that novel and cinema have overturned their roles so that they provide essential motifs to each other or share equal positions. Now cinema is a new stimulus and an essential nutriment for novel. Similarly, one of the distinctive features of contemporary cinemas is that letter media like novels and poems frequently appear as a motif or an essential material for the genre. As in 〈The Russian Novel〉, it is an interesting feature that most of contemporary cinemas frequently create a significant number of characters who like a literature genre, who are related to the literature industry, or who are interested in novel writing. The selection and choice of a subject matter is the result of the director’s(or the writer’s) careful attention and cognition. Therefore, the multiple uses of literature or novel in a cinema indicate that directors are interested in literature and they are aware of its new significance. The usage of literature as a subject matter or motif in a cinema presents that a motion picture(cinema) and literature are forming a close relationship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motion pictures legitimately has effects on each other’s story telling.

      • 불안과 상실의 시대 속 ‘주변인’의 삶 -영화 <파이란>을 중심으로-

        김중철 ( Kim Joong-chul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1 교양교육과 시민 Vol.3 No.-

        이 글은 사회의 중심에서 밀려난 ‘주변인’의 형상과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외형상 어느 시기보다 풍요롭고 화려하지만 실상은 비정하고 삭막한 시대 속에서 불안과 상실감을 안고 살아가는 자들에 대한 영화적 형상화와 의미를 살펴보려 한다. 영화 <파이란>은 한국사회에서 살아가는 ‘주변인’의 삶을 담아낸다. 두 주인물 파이란과 강재는 이 사회에 뿌리내리지 못한, ‘배제되고 추방된’ 자들이다. 그들은 모두 사회의 중심에 들어와 있지 못하며 오히려 경계와 감시의 대상으로 그려진다. 이를 통해 영화는 그들을 안주하지 못하게 하는 사회적 폭력성을 보여준다. 파이란과 강재의 서로에 대한 ‘친절함’은 이 사회의 ‘불친절함’을 역설적으로 고발한다. 자꾸만 변두리로 밀려나다 결국 허망하고 쓸쓸한 죽음을 맞이하는 그들의 운명은 영화가 보여주고자 하는 지금 시대의 사회상이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shape and meaning of ‘expelled person’ that has been pushed out of the center of society. Although it is richer and more colorful than any other time in appearance, the reality is that it is trying to examine the cinematic shape and meaning of ‘expelled person’ living in an unorthodox and stark era. The movie “Failan” captures the life of a ‘expelled person’ who lives in Korean society. Both Kangjae and Failan are people who are out of the realm of human love or interest without being incorporated into society. They are subject to the vigilance and system of society. This film shows the violent side of a social organization that keeps them from complaining. This film paradoxically charges the society’s “unkindness” through the “kindness” of Failan and Kangjae. The movie “Failan” depicts ‘exclusion and expulsion’ who have not taken root in Korean society. The vain and lonely deaths of the characters in this movie, which was pushed to the outskirts, are the reality of ‘here and now’ that the movie wants to show.

      • KCI등재

        영화 속 글쓰기 교육의 양상과 의미

        김중철(Kim Joong Chul) 동남어문학회 2015 동남어문논집 Vol.1 No.40

        이 글은 영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글쓰기 교육의 형상화에 대한 것이다. 영화에서 글쓰기 교육은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 그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글쓰기 교육에 있어 그 필요성이나 중요성을 일방적이고 직접적으로 강조하기보다는 ‘이야기’의 형식을 빌어 우회적이거나 비유적으로 전한다면, 그것 역시 한 가지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글쓰기 교육 역시 ‘스토리’를 통해 ‘텔링’하는 방식을 취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영화의 대중성과 접근성, 파급력은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도 충분한 활용 가치를 제공한다. 이 글에서는 영화 「프리덤 라이터스」의 예를 제시하였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온갖 폭력과 차별 속에서 ‘버림받은’ 학생들의 변화와 성장을 보여준다. 교사 에린 그루웰은 학생들로 하여금 끊임없는 독서와 글(일기)쓰기를 주문하였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점차 변해간다. 이 영화는 글을 읽고 쓴다는 것의 의미와 가치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이 글에서는 그루웰이 학생들에게 제공했던 작품(글)들과 그들 자신의 글(일기) 모두가 결국 ‘스토리’의 형태를 지닌 것들이라는 점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은 실제의 이야기를 책이나 영화로 경험하고, 또한 자신들의 이야기를 글(일기)로 내놓음으로써 타인과 경험을 나눈다. 그러한 그들의 글 읽기/쓰기는 결국 ‘교감/공감’의 행위로 요약할 수 있다. 세상의 온갖 폭력 속에서 절망과 반감으로 가득했던 그들은 마침내 타자와의 공감 속에서 자신들의 상처와 문제를 발견하고 치유한다. 영화 「프리덤 라이터스」는 청소년의 성장을 이야기하면서 ‘진정한 성장(변화)’을 ‘진실한 글쓰기/읽기’의 의미로 풀어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using movies as a method of writing education. This paper seeks after relevant cases of using a movie for teaching effective writing. This paper deals with the aspects and images related to writing education in a movie. It can be more effective to make the writing scenes shared than to make them practice writing. It is also required to approach the writing education by finding a way of ‘telling’ through ‘the story.’ Moreover, writing education takes advantage of the popularity and accessibility in the movie genre. In this paper, I treat Freedom Writers(2007) directed by Richard LaGravenese as a case for this indirect approach. Freedom Writers, a movie based on a real story, shows the growth and transformation of the students who suffered from violence and prejudice. In the movie, the students gradually change while their teacher Erin Gruwell lets them keep reading books and writing diaries. This movie manifests the meaning and value of writing.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an example of movie-aided writing. I focus on the storytelling of a teacher through which their students are improved in Freedom Writers, a story of growth and changes in the youth. Freedom Writers shows the effective and essential power of reading and writing to our students.

      • KCI등재후보

        인문학의 실천과 교양교육

        김중철 ( Kim Joong-chul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2 교양교육과 시민 Vol.6 No.-

        이 글은 인문학과 교양교육의 실천적 수행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인문학은 지식이나 학문 영역에 머물러 있지 말고 현실과 일상의 삶으로 이행하여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미디어와 영상 플랫폼이 범람하는 현대사회에서 인문학의 가치와 역할은 더욱 부각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인문학의 적용과 실천에 대한 인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인문교양과 그것의 실천을 위한 한 방식으로서 읽기와 쓰기의 의미를 강조해야 한다. 인문학의 실천과 교양교육은 다양한 대상과 현상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인간의 삶은 타인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글쓰기 행위는 인문학을 실천하는 중요한 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대학생들은 인문교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그 실천 방법인 글쓰기에 대해서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거나 거리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문학이 추구하는 인간적 삶을 위해 적극적인 표현과 소통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This thesis is about the meaning of the humanities practice and liberal arts education. The humanities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realm of knowledge or academics, but should be implemented in real life and daily life. The value and role of the humanities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the modern society where various media and image platforms are overflowing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use and practice of the humanities. The meaning of reading and writing should be emphasized as a way to practice the humanities. Human life is made up of constant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refore, writing is important ways of practicing the humanities.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Nevertheless, they still face difficulties or distance themselves from writing, the practice method of the humanities. Education on active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is necessary for the ‘human life’ pursued by the humanities.

      • KCI등재

        소설속에서의 영화 쓰임에 대하여

        김중철(Joong Chul Kim) 한국언어문화학회 2000 한국언어문화 Vol.18 No.-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use and meaning of a motion picture as a motif or a subject matter in a novel after 90s. After 90s, one of distinctive features in the novel is that the image media like movie and television were frequently appeared as a motif or an essential material for the genre. It is an interesting feature that most novels after the 90s frequently created a significant number of characters who watched, is watching, or will be watching TV or movie in the content. Moreover, incidents or events in a novel occurred by those image media. Some scenes in TV or movie are also occasionally adopted. The selection and choice of a subject matter is a result of a writer`s careful attention and cognition. Therefore the multiple use of a motion picture in a recent novel proves a growing interest in a visual media, and awareness of their new significance. Also the use of visual media signifies a tactics to gain popularity while applying the public`s interest in TV and motional picture. These features prove that the novel and motion picture were overturned their roles in which they had provided essential motifs each other, or underwent to equal positions. Now a film is a new stimulus and an essential nutriment for a novel that has to create new stories continually. The use of visual media as a subject matter or motif in a novel presen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 and motion picture legitimately becomes a crucial participant to take a part in a story-telling while overcoming their simple level of borrowing techniq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