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중학교 미진학 농민의 학습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김주연(Kim, Joo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한 농민의 중학교 미진학 이후의 학습 경험을 통해 학교 밖에서 이루어진 농촌지역의 학습 활동을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6년 9월부터 2017년 9월까지 농촌지역의 중학교 미진학 농민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 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열악한 농촌지역에서도 중학교를 미진학한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통신강의록, 4-H활동, 농업 기술자 협회, 가톨릭 농민회 등의 학습활동이 존재했다, 둘째, 중학교 미진학 농민의 다양한 학습경험은 자신에 대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경험은 한 농민을 자기주도적인 학습자로 성장시켰으며, 농촌 사회 문제에 대한 행동가로 변화시켰다. 한편, 농촌지역의 학습 활동을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농촌지역의 다양한 배경을 가진 학습자 의 경험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후속 연구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activities of rural areas outside of school through the learning experience of a farmer not in middle school. For this purpose, from September 2016 to September 2017, research was conducted on middle school non-school farmers in rural area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ven in rural areas, there wer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correspondence lectures, 4-H activities, associations of agricultural engineers, and the Catholic farmers’ Association, which students could participate in. Second,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of farmers who did not enter middle school in rural are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ir identity. This experiences turned a farmer into a self-directed learner and transformed into an activist on rural social issues. In addition, in order to clarify the learning activities in rural area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learners of various backgrounds in rural areas, which need to be dealt with in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한국어 교재 대화문의 구어문법 분석

        김주연(Kim Jooyun),심우진(Shim Woojin),박수현(Park Soohyeon),신동일(Dongil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구어문법/교육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더욱 주목받고 있음에 따라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에서 나타난 구어문법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 담화의 구어성에 초점을 맞춘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Thornbury와 Slade(2006)가 제시한 구어 어휘/문법 범주를 기반으로 구성하였다. 구어어휘 특성에 해당하는 세부 항목은 ‘반복’, ‘허사’, ‘담화표지’, ‘평가표지와 참여표지’로 나누었고, 대화문법 특성의 세부항목은 ‘머리말’, ‘꼬리말’, ‘생략’, ‘대용어’, ‘의문문’, ‘시제와 상’, ‘화법’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교재 대화문은 다양한 구어 담화 전략을 반영하기 보다는 일부 몇 가지 전략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담화표지는 가장 높은 사용 빈도가 나타냈지만, 반복이나 생략은 해당 교재의 대화문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머리말과 꼬리말은 전형적인 구어문법 특성이지만 해당 교재에 머리말(26회)에 비해 꼬리말(3회) 사용에 인색했다. 모든 문장은 의문문과 현재 시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영어 구어문법을 선행연구로 삼았기 때문에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분석에 동일한 추론이 가능할지 추가 논의가 필요하겠지만 구어적 요소는 개별 언어에 상관없이 보편적인 현상으로 이해된다. 한국어 학습자가 구어적 의사소통을 제대로 습득하기 위해서는 한국어 교재에 보다 실제적인 구어적 요소가 반영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se of Korean spoken grammar in Korean textbooks as research is drawing more attention recently on spoken grammar and teaching. Methods Thornbury and Slade(2006)’s framework of spoken grammar was applied from twelve criteria for analyzing features of spoken grammar. The detailed items that cor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vocabulary are as follows: reapeating, filler, discourse markers, appraisal, as the characteristics of conversation grammar are head/tail, ellipsis, an interrogative sentence, aspect. Results It was found that features of spoken discourse analyzed were dependent on a limited strategies. The highest frequency was found in the categories of ‘discourse markers’ and ‘pro-forms’ as repetition and ellipsis were not found. Head was found 25 times, but tail was used 3 times. All sentence had an interrogative form in present tense. Conclus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whether the items of English spoken grammar can be well applied in the analysis of Korean conversation and textbook. It was concluded that Korean textbooks which aim to foster Korean conversational skills and natural spoken interaction should be based on the authentic features of spoken vocabulary and grammar.

      • KCI등재

        개인형 이동수단의 자전거도로 사용을 위한 도로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승호 ( Kim Seungho ),김수홍 ( Kim Soohong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개인용 이동수단(퍼스널 모빌리티. Personal Mobility. PM)이 자동차 중심의 교통문제를 해소하면서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이라는 장점으로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수요측면에서도 2014년 기준 약 3,500대의 이용대수에서 2022년에는 2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법적 규제와 이용가능한 도로, 안전기준 등이 규정되지 않아 이용자들은 차도 뿐만 아니라 보도에서도 이용하면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인형 이동수단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 도로 환경디자인에 대한 제도적·물리적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형 이동수단의 개념 및 특징, 이용현황을 우선 살펴보고, 선진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 개인형 이동수단의 범위는 저/중속의 1인용 교통수단 기기를 대상으로 하였고, 제도적·물리적 이용환경 기준을 범위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국내의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 제도적 현황 및 향후 이용가능성이 높은 자전거도로의 주요환경요소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후, 선진사례 연구를 통해 제도적 측면에서는 주행가능 공간 및 이용규칙 등을 살펴보았으며, 물리적 측면에서는 주요 주행가능도로인 자전거도로를 대상으로 주요 시설 요소의 현황 분석을 통해 국내에 도입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물로 국내 개인형 이동수단의 안전한 이용을 위한 도로환경디자인 조성방향을 제안하였다. 우선 개인형 이동수단이 자전거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관련제도 구축방향으로 대상기기의 종류와 허용규모, 이용자의 자격요건, 필수 안전장치 등의 사항을 제안하였으며, 물리적 환경구축 방향으로 현행 자전거도로의 기준 폭 확장과 개인형 이동수단의 시각요소 개발을 통한 안전표지의 변경사항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최근 급증하는 새로운 개인형 이동수단은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써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용자는 매년 급속히 증거하고 있으나 관련법이 없어 이용자들에게 혼란과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고 있다. 이에 자전거도로에서의 개인형 이동수단의 이용을 위해 제도적 기반 구축 세부기준의 설정과 물리적 요소 등의 개선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제안내용들을 기반으로 개인형 이동수단 관련법률의 개정과 세부적인 규제지침 마련, 폭넓은 활성화 방안과 인프라 구축을 위해 이용자 행태까지 고려된 자전거도로 설계지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as the personal Mobility solves the automobile-centered transportation problem, the number of users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the advantage of sustainable transportation. In terms of demand, it is expected to exceed 200,000 in 2022 from approximately 3,500 units in 2014. However, since legal regulations related to personal mobility methods available roads and safety standards are not yet established, various safety accidents are occurring while users use them on roads as well as on pedestrian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se social problems,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n institutional and physical composition plan for road environment design for the safe use of personal transportation. (Method) Therefore,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usage status of personal mobility, and laid the foundation for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advanced cases. The scope of personal mobility was targeted at low / medium speed single-person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the institutional and physical use environment were set as the scope of the study.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institutional status related to personal transportation in Korea and the major environmental factors of bicycle roads with high potential for future use were grasped. Afterwards, through the case study of advanced cases, the driving space and usage rules were examined in the institutional aspect, and in the physical aspect, elements that could be introduced into the Korea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main facility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irection of designing a road environment design for the safe use of personal mobility in Korea was proposed. First of all, in order to establish a related law that allowspersonal mobility to use the bicycle road, the types of target devices, allowable size, user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essential safety devices were proposed.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the physical environment, it proposed the extension of the standard width of the current bicycle road and changes in safety sig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isual elements for personal mobility. (Conclusions) Recently, the new personal mobility means, which is rapidly increasing, has unlimited possibilities as a next-generation eco-friendly transportation method. However, users are witnessing rapidly every year, but there are no related laws, causing confusion and various safety accidents to users. For this,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and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actors, etc., must be carried out for the use of personal transportation on bicycle roads. Based on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sign guidelines for bicycle roads considering the user's behavior should be conducted to revise the laws related to personal transportation and to prepare detailed regulatory guidelines and to establish a wide range of revitalization methods and infrastructure.

      • KCI등재

        아동친화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김연주 ( Kim Yeonjoo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포용력을 갖춘 사회는 국가가 사회적 약자를 어떠한 방식으로 대하고 있느냐에 따라 그 척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성숙한 시민의식과 함께 사회적 약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국가와 지방정부의 행정 능력을 요구한다. 하지만 오늘날 우리 사회는 사회적 약자에 관하여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데 그중 아동과 관련한 사고와 범죄 등에 있어서 만큼은 국가와 시민의식 모두에게 사회적인 경종을 울린다. 그리하여 아동의 양육은 더는 개인의 영역이 아닌 국가의 사회적 책임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를 위해 공공의 개입과 더불어 아동친화적인 도시환경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시대로 도래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친화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현재 국제사회가 추구하는 아동친화도시 계획과 함께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아동의 안전과 편의 등에 관하여 제시하고 있는 정책과 사업의 동향을 파악하여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아동친화 도시환경 조성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국제사회와 국가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아동친화 공공디자인 정책 동향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참고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아동친화 도시환경과 공공디자인의 정의 및 의미를 고찰하였으며 국제사회가 추구하는 아동친화 공공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유니세프의 아동 대응 도시계획 지침과 아동친화 시범도시로써 선도적 의미가 있는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둘째, 국제사회와 비견하는 국가 및 지방정부의 아동친화 공공디자인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국가의 아동친화 정책, 국가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과 함께 광역지자체인 서울시와 경기도, 그리고 아동친화도시를 추진하고 있는 성남시와 안산시를 기초지자체의 사례로 선정하여 국가와 지방정부의 아동친화 정책과 공공디자인의 계획 현황을 비교·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앞서 연구한 국제사회와 비교하여 국가 및 지방정부가 갖추어야 할 아동친화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 정책의 방향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국제사회와 국가 및 지방정부가 바라보는 아동친화 공공디자인의 관점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국제사회는 도시환경 전반에서 아동의 관점으로 물리·비 물리적 정책과 계획을 마련할 때 아동의 참여와 거버넌스의 구축을 중요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국가와 지방정부는 정책과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보다 현재 사회문제에 기인한 대안적 방안으로 아동의 교육환경에 집중하여 정책에서는 아동 교육의 질적 제고를 목표로 하며, 계획에서는 아동 교육환경의 물리적 안전성의 강화를 목표하는 것을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회 공공디자인 정책은 아동친화 도시환경을 위한 공공디자인이 계획의 과정에서부터 문제의 정의와 이에 따른 공공디자인적 대안을 제시하기까지 아동의 관점이 반영될 수 있도록 국가와 지방정부 차원의 아동 참여 제도를 마련하고 확장된 범위로 아동의 생활 활동 전반을 포함하는 계획의 근거가 되는 폭넓은 정책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n inclusive society can measure its scale depending on how the state treats the socially disadvantaged. This requires a mature sense of citizenship and the administrative ability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o protect the socially disadvantaged. However, among the various social problems facing our society today, child-related accidents and crimes are a social alarm for both the state and citizenship. Therefore, child rearing has been transformed into a social responsibility shared by the state and the local community, which has come to an era where public intervention and the need for a child-friendly urban environment are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of policies and projects proposed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on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children, along with the child-friendly urban environment pursu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ethod) In order to derive trends in child-friendly public design pursu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based on reference and prior research, we reviewed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child-friendly urban environment and public design, and looked at UNICEF guidelines for child-friendly urban planning and Germany's case of leading as a child-friendly city. Second, to draw characteristics of child-friendly public design by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e selected Seoul, Gyeonggi-do, Seongnam and Ansan as examples of child-friendly policies and public design promotional plans. Third, the direction of child-friendly public design policies that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have compar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tudied earlier was reviewed. (Results) Through this study, we could see that different perspective of child-friendly public design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Whil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s able to see the importance of child participation and governance in preparing physical and non-physical policies and plans throughout the urban environment, the nation and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children as alternative measures based on current social problems rather tha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olicies and plans. The national policy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education, and the national plan aimed to strengthen the physical safety of the children's education environment.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public design for child-friendly urban environments will be transformed into a wider policy that will cover children's perspective from the planning process to the definition of problems and the public design alternatives as a basis that establishment of child participation systems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and a plan that includes the whole life activities of children.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기업 사옥 공유 공간 방문 동기에 관한 연구

        김새록 ( Kim Saerok ),양지윤 ( Yang Jiyun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정보 전달 방식에서의 변화는 현대공간의 형태에도 영향을 주어 기업 사옥 내에도 대중 중심의 공유 공간을 제공하여 만남의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기업 사옥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사옥의 로비부터 저층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업이 현재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장소로 사옥을 활용함에 있어서 방문 동기를 파악하는 것은 대중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을 기법을 통하여 기업 사옥 공유 공간에 대중의 방문 동기 키워드를 도출함으로써 기업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려고 한다. (연구방법) 연구 범위는 일반인에게 개방한 기업 사옥의 내·외부 공유 공간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기업선정은 텍스톰을 활용하여 수집된 키워드의 상위 두 기업인 아모레퍼시픽과 네이버를 선정하여 소비자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통해 기업 이미지, 기업 사옥 공간, 방문 동기 및 만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소셜 네트워크 중심의 텍스트마이닝을 통하여 대중의 반응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셋째, 분석을 토대로 결과를 도출하여 대중의 방문 동기를 파악한다. (결과) 첫째, 아모레퍼시픽의 “건물”과 네이버의 “도서관”키워드는 목적지 결정의 핵심 요소로 대중들이 현재 생각하는 각 기업의 매력·관심 키워드로 유추할 수 있다. 둘째, 두 기업 모두 약속과 만남의 장소로서 사옥을 방문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셋째, “카페”와 “맛집”키워드를 통해 목적지에서 식음료 공간을 이용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반면 네이버의 경우 사옥 내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식당이 없음에도 맛집 키워드가 도출된 것으로 보아 고객의 니즈로 파악되며 이는 대중의 기대치와 욕구 충족이 맞지 않게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두 기업 모두 “무료” 키워드가 도출되었으며 무료로 제공하는 콘텐츠를 통해 고객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며, “후기”, “추천”, “공유” 키워드를 통해 직접적인 경험과 방문 후기가 잠재적 소비자의 기업 이미지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결론) 대중들은 기업의 사적인 공간을 문화와 휴식의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성이 중시되고 있는 현 시점에 공간이 기업이미지 향상에 효과적인 수단이 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기업은 사옥의 공유 공간을 개방하면서 Pull factor 요인인 목적지의 매력을 강조하고 Push factor 요인의 내부·감정적 측면인 고객의 기대치를 맞추는 노력을 함으로써 소비자의 기업 이미지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방문객의 만족, 재방문, 긍정적 기업 이미지 형성을 위해 방문객 동기를 파악하여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A study of antecedents related to corporate buildings shows that a variety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loors lower than the lobby. Therefore, identifying motives behind visits in utilizing the office building as a place f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public behavio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n the formation of corporate image by eliciting the motivation behind the public’s visit-related keywords in the shared space of the corporate office building through text-manning. (Method) The scop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shared space inside and outside corporate offices that were opened to the public, and the selection of analysis companies was made by selecting AmorePacific and Naver, the top two companies of keyword, using Texstorm to analyze consumer responses.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first, considering corporate image, space in corporate office building, motivation for visit and satisfaction theoretically through prior study and literature. Secon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public reactions through social network-oriented text-manning. Third, deriving results from the analysis regarding the motivation behind public visits. (Results) First, AmorePacific’s "Building" and Naver’s "Library" can be inferred as the keywords of attraction and interest for each company that the public now considers a key element of the destination-related decision. Second, both companies can be inferred by visiting the office building as a venue for appointments and meetings. Third, the use of food and beverage space at destination can be inferred through the keywords, "caf‰" and "taste house.” Naver, on the other hand, is seen as a customer’s need because the keyword for the restaurant was derived even though there are no restaurants available to the public in its office building, which could not meet public expectations and desires. Fourth, both companies have come up with the keyword, "free" and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free content, and direct experience through keywords, "review," "recommendation," and "share"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potential consumers’ corporate image. (Conclusion) The public recognized the private space of a company as a space of culture and rest, and at a time when emotions were valued, it was an effective means of improving the corporate image. In other words, an entity can significant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a consumer’s corporate image by emphasizing the attractiveness of the destination that is a pull factor and by making efforts to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customer, an internal and emotional aspect of the push factor, while opening up the office building’s shared space.

      • KCI등재

        근린공원의 CPTED 디자인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김수민 ( Kim Sumin ),김주연 ( Kim Jooyun ),안진근 ( Ahn Jink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근린공원에서의 범죄율이 증가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은 높아지고 범죄로부터 안전성 확보를 위해 범죄예방설계(CPTED)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날로 증가하는 범죄를 예방하고 시민들이 안전한 공원 이용과 휴식을 위해 CPTED 디자인을 적용한 근린공원의 사례를 분석하고 분석한 사례를 바탕으로 안전한 근린공원의 CPTED디자인 제안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근린공원의 효과적인 범죄예방환경설계(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CPTED)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들을 문헌조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근린공원의 CPTED디자인에 관해 최근의 연구 동향과 CPTED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사례들의 공간적 범위는 국내 근린공원 중에서 CPTED디자인이 반영된 4곳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했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통해 평가항목인 안전성, 개방성 활용성, 친환경성, 지속가능성이라는 5가지 항목을 도출 하였으며, 도출된 요소와 세부내용을 토대로 근린공원 이용자와 디자인 전문가의 설문을 통해 근린공원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과) 근린공원 CPTED 디자인을 적용해서 설계를 진행한 2013년 이후 국내 서울, 경기도 내에 있는 근린공원 4개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안전성에 대한 부분이 부족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CPTED 디자인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생각되는 안전성과 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비상벨의 위치가 4곳의 사례에서 전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범죄예방을 위해 설계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공원의 위치도 안전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 이에 본 연구에서는 CPTED 디자인을 적용하여 설계하는 근린공원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실제 범죄율 감소와 시민들의 불안도 감소를 보여줌으로 근린공원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시민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근린공원을 계획하고 설계함에 있어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an increasing tendency of the crime rate at the neighborhood parks in recent days, the anxiety of citizens is becoming higher, and accordingly, it has been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for securing safety from crimes. In this aspect, this study aimed to first analyze the cases of neighborhood parks that have employed the CPTED design in order to prevent the ever-increasing crimes and to ensure that citizens safely use and relax the parks under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hen to propose a safe CPTED design of neighborhood parks based on the case analysis. (Method) In order to design the effective CPTED of neighborhood parks,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ssues to be improved through investigat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proceeded the in-depth study with regard to CPTED design of neighborhood parks by focusing on the recent study trend as well as the cases of CPTED design. In terms of the spatial scope for the cases, this study selected 4 neighborhood parks in South Korea in which the CPTED design was reflected. As for the study method, 5 domains such as safety, openness, utilization, eco-friendliness, and sustainability were derived from precedent studies as the evaluation items, and based on the domains and their details that were deriv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4 cases of neighborhood parks through surveys with the design experts and users of the neighborhood parks.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4 cases of neighborhood park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of South Korea, which were designed by applying the CPTED design of neighborhood parks after 2013 and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safety domain was insufficient overall. In particular, safety, which is deem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he CPTED design, as well as the position of emergency bells, which directly affects safety, received a relatively low appraisal in all 4 neighborhood parks. In this context, even though the design of a neighborhood park is important for crime prevention, it was believed that the location of a park also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safety. (Conclusions) Thus, from the case analyses of neighborhood parks by applying the CPTED design, it was concluded that the utilization of neighborhood parks can be raised by demonstrating decreased actual crime rate and reduced anxiety of citizen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lanning and designing the neighborhood parks that citizens can safely use.

      • KCI등재

        안내사인의 복잡성과 이용자 인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도시철도 환승역사 사례를 중심으로 -

        김현수 ( Kim Hyeonsoo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지역의 경제, 문화, 산업의 발전의 중요한 운송수단인 도시철도는 대중교통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되며, 새로운 노선이 증가함에 따라 역사 내부는 한정된 공간내에서 복잡해지고 대형화가 되어가고 있다. 이용자의 입장에서 읽기 쉬운 정보 안내사인에 대한 요구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도시철도역사 건축이 완료된 후에 운영사마다 각기 다른 매뉴얼을 통해 안내사인을 계획 및 설치하는 경향이 강하여 정보의 복잡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철도 환승역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역사 내에서 나타나는 정보의 복잡성이 이용자의 입장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를 파악하고, 용이한 정보전달을 위해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복잡성을 가진 환승역사와 이용자의 인지성에 초점을 두고 이론 고찰 및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복잡성이 환승역사 이용자들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고 공공의 관점에서 안내사인에 대한 구성요소를 파악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도출한 평가 지표를 기반으로 국내·외 총 6개소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비교 분석하고 복잡성이 환승역사 이용자들의 인지에 미치는 영향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을 도출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인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의 과부하 현상이나 인지 부하 현상을 통해 정보의 소화 판단 결정이 더 많이 작용하도록 유도하므로 이용자들이 혼돈 및 스트레스를 초래하게 되어 안내사인 인지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안내사인 체계에 대한 통합가이드라인의 부재, 혹은 미적용에 따라 계속해서 추가되는 새로운 노선과 환승역이 되는 경우 무계획적으로 안내사인이 추가하게 되면서 점차 역사 내 안내사인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용자에게 불편과 이동간의 동선 흐름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결론) 본 연구는 도시철도 안내사인의 복잡성이 이용자의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복잡성과 인지복잡성 및 인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지복잡성이 증가하고 인지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복잡성 개선을 위하여 시지각적, 심리적 접근성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용자 중심에서 연속성을 높이는 안내사인의 구성 및 배치가 필요하다. 또한 명료성을 확보하고 연계성을 높여 이용자의 자연스러운 동선 유도를 통해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 점차 복잡해지고 대형화가 되어가는 도시철도역사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통합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적용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Metro, which is an important means of transport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s economy, culture, and industry,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construc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s an increasing number of new routes have emerged, station building interiors have become more complex and large-scale, and the need for easy-to-read metro signboards has become more urgent. Currently, there is a strong tendency in Japan to plan and install signboards using different manuals for each operating company after construction on a metro station building has been completed; thus creating information complex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information complexity in metro stations from users’ standpoint by analyzing the metro’s transfer station buildings with the goal of extracting the elements that facilitate easy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With a focus on metro station users’ recogn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information complexity affects metro station user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review of prior research, and looking at signboard components from a public point of view. Six cases, both domestic and abroad,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pertaining to how information complexity affects metro station users’ recognition were derived. (Results) Since the information digestion decision is more frequently stimulated by the overload and cognitive load phenomena with respect to information in users’ cognitive processes, users were found to experience confusion and stress, which greatly influence their cognitive recognition of signboards. In the case of a new route or a transfer station that is added due to the absence or non-application of an integrated signboard system guideline, unplanned guidance prevails, and as the complexity of the guidance that is offered in the metro station gradually increases, the flow of traffic between user inconvenience and movement is affected. (Conclusions) Increased cognitive complexity and reduced cognitive efficiency were noted, based on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information complexity, cognitive complexity, and recognition. In sum, the complexity of metro signboards affects user recogni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strengthen visual perception and psychological access, and organize and deploy a guide that enhances user-centered continuity. In addition, to ensure clarity, there must be enhanced cooperation. Furthermore,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through natural-flow line guidance for user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ddress ever-increasing metro station complexity and size, and research on ways to stimulat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mprehensive guidelines is urgently needed.

      • KCI등재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대한 CVR 분석 연구

        김주영 ( Kim Jooyoung ),임선희 ( Lim Sunhee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분야 메타버스는 정부 기관과 관련된 기관들이 가상현실 공간에서 시민과 상호 작용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가상환경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정책 정보 전달, 상담 서비스, 교육 콘텐츠 제공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공분야 메타버스와 어포던스 디자인의 연관성을 연구하며, 메타버스에서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을 모색하려고 한다. 전문가 평가를 통해 어포던스 디자인의 중요도를 분석하여 공공분야 메타버스에서 지속적이고 활발한 사용자 참여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며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서비스를 향상하고 보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하여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정의와 공공 서비스 분류를 이해하고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어포던스 디자인의 평가 요소를 분류하여 3개의 사례 분석의 대상을 선정하였다. 셋째, 전문가들의 평가를 통해 중요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넷째, 중요도 분석 결과에서 각 요소에 배점된 점수를 활용하여 실제 사례 평가를 통해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공공분야의 어포던스 디자인 요소에 4개의 대분류와 13개의 세분류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요소별 CVR 분석을 진행한 결과 대분류에서는 인지적 어포던스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세분류에서는 인지적 어포던스의 다양성, 기능적 어포던스의 정보성, 물리적 어포던스의 경험성, 감각적 어포던스의 심미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사례 분석 결과 비교 값을 보면 3개의 사례 모두에서 각각의 대분류 별로 심미성, 다양성, 경험성, 정보성 요소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심미성, 다양성, 경험성, 정보성 등이 CVR 분석 결과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고 그 결과 공공분야 메타버스의 개발 시에 이 4개 요인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결론) 공공분야 메타버스 공간에서 어포던스 디자인을 고려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시민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며, 효과적인 공공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분야 메타버스에 어포던스 요소를 적용하여 요인별 중요도를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공공분야 메타버스 공간에서는 정보 전달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사용자의 지속적인 참여와 소통을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public sector, a metaverse is a digital virtual environment in which the government and related agencies interact with citizens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in a virtual reality space. Through this, various objectives, such as policy information delivery, counseling services, and educational content, can be achieve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averse and affordance designs in the public sector and sought ways to induce user participation in the metaverse. Analyzing the importance of affordance design through expert evaluation is expected to promote continuous and active user participation in the public sector metaverse, thereby providing effective public services and improving and supplementing the services of the public sector metaverse. (Method)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we came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the public sector metaverse and the classification of public services, and examined the affordance design elements of the public sector metaverse. Second, three case analysis targets were selected by classifying the evaluation elements of affordance design based on prior research. Third, the importance was analyzed via expert evaluation. Fourth, the importance analysis results for affordance design elements in the public sector metaverse were derived through actual case evaluations using the scores distributed to each element in the importance analysis. (Results) An expert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4 major categories and 13 subdivisions of affordance design elements in the public sector.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VR analysis of each element, cognitive affordanc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major classification, and in the sub-classification, the diversity of cognitive affordance, the informativity of functional affordance, the experience of physical affordance, and the aesthetics of sensory affordanc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values of the expert case analysis, aesthetics, diversity, experience, and information factors were evaluated as the highest in each major category in all three cases. These results show that aesthetics, diversity, experience, and information for each category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CVR analysis and, as a result, these four factors must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metaverse in the public sector. (Conclusion) Considering affordance design in the public sector, metaverse spaces are critical for improving user experience, enhancing interaction with citizens, and developing plans for effective public service deliver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by applying affordance elements to the public sector metaverse and found that information delive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ublic sector metaverse space. However, efforts are needed to induce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among users.

      • KCI등재

        이용자의 공간인지를 고려한 지하철역사 재난대응시설에 관한 연구

        김명화 ( Kim Myeonghwa ),김주연 ( Kim Jooyun ),장영호 ( Jang Youngho ),백승경 ( Back Sungke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에 최초의 지하철은 1863년 영국 런던에서 시작하여 우리나라는 1974년 1호선 개통을 시작으로 일상에 자리 잡았다. 현재 2020년, 서울과 경기 지하철은 각각 9개 노선, 부산 4개, 대구 3개, 광주 1개, 대전 1개 노선으로 성장했다. 지하철은 우리의 일상에서 가장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의 경제와 문화 등 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철의 발전으로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과 역할이 확장되고 있는 지하철 역사에 쾌적한 환경을 제시하고 지하철역사의 안전정보디자인 방향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4·7호선 환승역 총신대입구(이수)역, 2·6호선 환승역 합정역, 2·수인분당선 환승역 선릉역, 5·9호선 환승역 여의도역의 지하철역사공간을 중심으로 범위를 선정하였으며 지하철역사, 재난대응시설,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해 이론적 고찰 후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유니버설디자인 분석요소를 도출하고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여 재난대응시설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한다. (결과) 재난대응시설은 타시설에 비해 접근성과 주목성이 결여되어 있고 이용자 인지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정된 지하철역사에서 시설의 중복으로 인지성이 떨어져 접근하기에 어렵고 사회적 약자가 이용하기에 시설의 높이와 이용방법에 한계가 있어 시각적, 물리적, 사회적인 요소 지원이 강화되어야 하며 유니버설디자인적용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시설마다 디자인과 정보가 상이하고 비품의 부재로 사용성이 떨어져 기존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해 혼란과 거부감을 주고 있었다. 이것은 정보전달과 주목성을 강조하여 시설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지원해주며 이용자 동선을 침해하지 않고 안전과 주목성이 공감되는 범위에서 이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결론) 지하철역사의 재난대응시설에 대해 이용자의 인지와 모두 공평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재난대응시설이 되도록 올바른 개선을 위한 계속적인 연구 설정에 의의를 두고 있다. 지하철은 앞으로 더욱 우리의 일상에 자리잡아 발전해 나아갈 것이며 지하철역사의 공간과 기능적인 요구도 앞으로도 증가될 것이다. 꾸준히 증가하는 지하철 역사 이용자들의 안전을 위하여 이 연구를 기반으로 지하철역사에 주목성 강화된 재난대응시설을 적용하고 모두가 공평하고 안전하게 지하철역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world's first subway system started in London, England in 1863, and Korea became a part of everyday life with the opening of Line 1 in 1974. Currently in 2020, Seoul and Gyeonggi subways grew to nine routes, four for Busan, three for Daegu, one for Gwangju and one for Daejeon. The subway is becoming the most important means of transportation in our daily lives,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ies such as the economy and culture of the reg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se subways, the number of passengers is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a pleasant environment in the subway stations, where spaces and roles are expanding,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safety information design of subway stations. (Research method) The scope was selected based on the subway station spaces of Chongshin University Station(Isu) Station (Line 4 and 7), Hapjeong Station (Line 2 and 6, Seonreung Station(Line 2 and Suin Bundang Line), and Yeouido Station (Line 5 and 9), which are operated by the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and the leading studies of subway stations,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and universal design were analyzed after theoretical consideration to draw up the current problems. (Results)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lacked accessibility and attention compared to other facilities and had difficulty in user recognition.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due to overlapping facilities in limited subway stations, it was difficult to access the facilities, and the need for application of visual, physical, and social elements was emphasized due to the limited height and use of the faciliti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the need for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was emphasized, and the design and information of each facility was different and the usability of equipment was not harmonized with the existing environment, causing confusion and rejection. This supports the effective delivery of information on facilities by emphasizing information transfer and attention, and should be provided to users to the extent that safety and attention are empathized without prejudice to user movements.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o establish continuous research to improve the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of subway stations so that they can be used fairly and equally by users. The subway system will become more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our daily lives, and the space and functional demands of subway stations will continue to increase. For the safety of the steadily increasing number of subway station users, we hope that based on this research, we will apply disaster response facilities that have strengthened the focus on subway stations and create a safe environment for everyone to use subway station s fairly and safely.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언택트 시대의 공간 소비 행동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김새록 ( Kim¸ Saerok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대한 이해와 오프라인 공간 중심 산업의 발전을 위해 소비 공간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를 분석하는 것은 대중의 소비 행위를 이해하고 관련 산업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따라서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소비 공간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를 알아본다. 이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변화하는 소비환경에서의 오프라인 공간 중심 산업의 역할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대중의 소비 공간에 대한 인식 분석을 위해 텍스톰을 이용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였다. 시기적으로는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며 변화를 보였던 2020년을 상ㆍ하반기로 나누어 데이터 수집을 진행하였으며 수집한 데이터를 토대로 비교 분석하여 대중의 인식 변화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사회 전반적인 분위기는 우려했지만 대중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급작스러운 변화를 빠르게 적응하며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소비 공간에 대한 4가지 속성은 없어지거나 추가되지 않았고, 단지 세부 목적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앞으로의 공간은 공간의 목적과 구조를 유연하게 변경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오프라인” 키워드는 2020년 하반기 수집 키워드에서 없어지는 것이 아닌 2020년 상반기 수집 키워드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으로 언급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번 코로나19 상황이 2020년 하반기로 갈수록 심해졌어도 대중들의 오프라인에 대한 욕구와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디지털 기술이 발달되었지만 오프라인 교류가 단절될수록 대중들에게 심리적 우울감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대면 소통의 제한은 오히려 대면 접촉의 욕구를 더욱 불러일으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 2020년 상하반기 물리적 소비와 심리적 소비 키워드 군집의 차이를 통해 코로나19상황이 장기화될수록 사람들은 본인을 위한 외면적인 물질적 소비보다는 내면적 소비 또는 주변을 위한 소비, 그리고 사람들과의 소통을 위한 오프라인 중심의 소비 공간을 찾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교류와 소통은 온라인으로 대체 및 해소가 불가한 영역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변화할 오프라인 공간 중심의 산업에 중요한 키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맞춰 공간 목적과 구조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어야 하며, 오프라인 중심 소비 공간에서의 교류와 소통에 대해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Understanding environmental changes and analyzing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of the consumption space for the development of offline space-oriented industries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to comprehend public consumption behavior and predict changes in related industries. Therefore,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text mining was used to determine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of the consumption space.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the offline space-oriented industry ahead of the post-COVID-19 era. (Method) Text mining was performed using Textom to analyze public perception of the consumption spa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out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2020, when deterioration and mitigation were repeated in terms of timing; the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were derived from a comparative analysis that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Results) First, although there was a concern regarding the overall atmosphere of society, the public’s flexible response was based on quickly adapting to the sudden changes caused by COVID-19. Second, four attributes of the consumption space were not removed or added, and only detailed objectives could be seen to change. As can be seen from these results, future spaces need to flexibly change their purpose and structure. Third, the word "offline" did not disappear in the data from the second half of 2020. Through this, even if the COVID-19 situation worsened toward the second half of 2020, the public's desire for, and the necessity of, offline spaces remained. In addition, digital technology was developed to communicate online, but as offline exchanges and face-to-face contact were restricted, the public’s overall level of depression increased. Fourth,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sumption keyword clusters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2020, we found that the longer the COVID-19 situation goes on for, the more people look for offline-oriented consumption spaces for internal or surrounding consumption. (Conclusions) Exchange and communication are expected to be an area that cannot be replaced or resolved online, which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keyword for the changing offline space-oriented indus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lexibly change the purpose and structure of the space in lin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and a strategic approach to exchanges and communication in offline-centered consumption spaces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