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삼불 수집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자료집』의 기초 연구

        김종철 ( Kim Jong-cheol ) 판소리학회 2020 판소리연구 Vol.50 No.-

        『김삼불 수집 신재효 판소리 사설 자료집』은 김삼불(金三不)이 한국전쟁 전 2~3년 동안 수집하고 검토한 자료 묶음으로, 그가 1950년 9월 말경에 북으로 가면서 이능우(李能雨)에게 맡겼던 것이다. 이 자료집에는 <춘향가(남창)>(신만종본), <적벽가>(국문본)(신만종본), <적벽가>(국한문본)(청계본), <박타령>(국문본)(읍내본), 가사(歌辭) 2편, 단가(短歌) 2편, <사설 방아타령>, 그리고 김삼불이 가람 이병기와 기획했던 『신재효전집』 표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자료들은 모두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이거나 이본들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매우 크다. 또한 김삼불이 이 판소리 사설들과의 대비 작업에 인용된 와촌본(瓦村本) <춘향가(남창)>, 성두본(星斗本) <박흥보가>(김영진소장), 와촌본 <놀보흥보가>, 신씨본(申氏本) <박타령> 등의 정보도 부분적인 자료라는 한계가 있으나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이 자료집은 신재효연구 제2세대의 대표적 연구자인 김삼불의 신재효 연구 노트이기도 하다. 김삼불이 <춘향가>, <적벽가>, 그리고 <박타령> 등의 본문을 대상으로 한 이본 대비, 작품 분석, 주석 작업 등은 신재효연구 제2세대의 학문적 관심의 실체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이 자료집과 이 자료집에서 행한 김삼불의 작업은 신재효 자료에 대한 원전(原典) 연구를 전반적으로, 그리고 세밀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촉구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Sam-Bul Kim’s transcripts of Jae-Hyo Shin’s Pansori works include four Pansori works and other songs. Kim transcribed these works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June 25, 1950), and his transcripts has been concealed due to the cold war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Pansori works included in these transcripts, such as “Chunhyang-ga (for a male singer),” “Jeokbyouk-ga,” and “Baktaryoung,” are new versions of Jae-Hyo Shin’s works. Furthermore, some songs by Jae-Hyo Shin included in these transcripts are made accessible for the first time ever. Sam-Bul Kim conducted comparative studies with these Pansori texts on copy paper. Furthermore, he annotated and analyzed the texts. 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trend of the pioneering days of Pansori studies.

      • KCI등재

        신축공동주택내 실내유해공기오염물질(HAPs)의 건강위해성평가

        김종철,김윤신,노영만,홍승철,이철민,전형진,Kim, Jong-Cheol,Kim, Yoon-Shin,Roh, Young-Man,Hong, Seung-Cheol,Lee, Cheol-Min,Jun, Hyung-Jin 한국환경보건학회 2007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3 No.1

        This study accomplished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of HAPs and to examine efficiently carcinogenic and non-carcinogenic health effects through health risk assessment in new apartments from June, 2004 to May,2005. Moreover, we performed uncertainty analysis by Monte-Carlo analysis to control uncertainty of exposure factors.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cancer risk of formaldehyde for male was $1.67{\times}10^{-5}$ in CTE in point estimation. Cancer risk of formaldehyde was showed $2.94{\times}10^{-3}$ in RME that applied worst case used results of 95 percentile in point estimation. It exceeds $10^{-6}$ of guide line in US EPA. Moreover, cancer risks of formaldehyde for female were $3.98{\times}10^{-5}$ in CTE and $3.93{\times}10^{-3}$ RME. Secondly, every hazard index for non-carcinogenic pollutants was less than 1 of permitted standards in CTE. However, in RME of male, hazard indexes of 1,2-Dichloropropane and Toluene were 1.3 and 2.0, respectively. Hazard indexes of 1,2-Dichloropropane and Totuene for female in RME were 1.7 and 2.6, respectively.

      • KCI등재

        『신오위장본집(申五衛將本集)』의 편찬 과정과 그 필사(筆寫) 저본(底本)

        김종철 ( Kim Jong Cheol ) 판소리학회 2021 판소리연구 Vol.51 No.-

        가람 이병기(李秉岐, 1891~1968) 편찬의 『신오위장본집(申五衛將本集)』(전6책)은 국문학계에서 편찬된 최초의 신재효 판소리문학전집이자 신재효 연구의 초석이지만 그 편찬 과정과 필사 저본(底本)에 대한 연구는 지금껏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신재효 사설의 필사 정보를 담고 있는 『가람일기』를 비롯한 자료를 기반으로 필사와 편찬 과정을 재구하고, 현재 이용할 수 있는 신재효 사설 전승본들, 즉 읍내본, 성두본, 와촌본, 청계본 등과 가람본을 비교하여 그 저본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람은 1932년 말엽에 청계본 <춘향가(동창)>(1908), <춘향가(남창)>(1907)을 필사하여 제1책을, 1933년 초에 청계본 <심청가>(1906)와 <적벽가>(1926)를 필사하여 제2책을, 역시 1933년 초에 청계본 <횡부가>(1915)와 <오섬가>(1911)를 필사하여 제3책을 구성하였다. 1935년 초에 조운(曺雲)으로부터 김종길 소장 본 <토끼타령>(1889년에 필사된 창본)의 사본을 받고, 1938년 전반기에는 보성전문학교 소장본 <토별가>(정한규본, 1917)을 직접 필사하여 제5책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1949년 2월에 읍내본 <박타령>(1904?)을 필사하여 제6책을 구성하였다. 제4책의 시가(詩歌)들의 필사 저본은 신기업(申基業)본과는 다른 읍내본으로 추정된다. 제4책의 필사 시기는 미상인데, 전체 6책을 필사 순서대로 배열한 것으로 본다면 제5책보다 먼저 필사가 시작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고 1948년 말에 제4책이 보충되었다는 기록이 있고, 또 <구구가>처럼 제4책의 표지에 제목이 제시되지 않은 작품도 있으므로 1950년대에도 보충 필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가람은 본문 필사 후에 주석 작업을 하여 본문 난외에 기록하였고, 또 다른 전승본과의 대비 작업을 하여 본문 옆에 병기하였다. 이 대비 작업은 전체 본문 필사가 완료되기 전인 1948년부터 시작되었고, 이를 위해 가람본의 필사 저본과 다른 전승본들을 차람(借覽)하기 위해 1956년까지 고창을 거듭 방문하였다. 그러나 1957년 후반에 건강이 좋지 않게 되면서 대비 작업은 미완으로 남게되었다. 이상에서 가람은 『신오위장본집』을 약 4반세기에 걸쳐서 편찬하였고, 동리의 판소리 사설과 시가의 사설은 거의 다 갖추었지만, 주석과 대비 작업은 완료하지 못한 것이다. For the first time, Byoung-Gee Lee (이병기, 1891~1968) compiled Shinowijangbonjip (申五衛將本集) (six volumes), the complete pansori works of Jae-Hyo Shin (신재효, 1812~1884), which have been a corner-stone in Pansori Studies. Lee compiled the hand-written copies of Shin’s works over a long time, but the compilation process and the scripts of the copies have not been investigated until now. In this study, I used Garam-ilgi, Lee’s Diary, to reconstruct the process of compilation and compared Lee’s copies with other handed-down copies for the specification of the scripts. Volume 1 of Shinowijangbonjip consists of Nam-chang Chunhyang-ga (남창 춘향가), Chunhyang-ga for the male singer, and Dong-chang Chunhyang-ga (동창 춘향가), Chunhyang-ga for the child singer. These were transcribed in late 1932, and their scripts were Chunhyang-ga copies known as Cheonggye-bon (청계본, 淸溪本), which were transcribed by and handed down to Park’s family of the Cheonggye village in the Gochang county. Volume 2 consists of Shimcheong-ga (and Jeokbyouk-ga). These were transcribed in early 1933, and their scripts were also copies known as Cheonggye-bon. Volume 3 consists of Hwengbu-ga (횡부가), Osem-ga (오섬가), and Chesan-ga (치산가). These were transcribed in early 1933, and the scripts of the former two were also copies known as Cheonggye-bon, but the latter’s script is uncertain. Volume 4 consists of many songs such as Heodu-ga (허두가), Gwangdae-ga (광대가), and Doriwha-ga (도리화가). Both the transcription time and the scripts are uncertain. Volume 5 consists of Tokki-taryoung (토끼타령) and Twebyoul-ga (퇴별가). Lee acquired the former from poet Wun Cho in February 1935, and its script was the copy owned by pansori singer Jong-gil Kim. Lee transcribed the latter in the first half of 1938, and its script was the copy that had been transcribed by Han-gyu Jeong and had become a collection of Boseong College. Bak-taryoung compiled in Volume 6 was transcribed in February 1949, and its script was the copy known as Eupnae-bon (읍내본), which was transcribed by and handed down to Jae-hyo Shin’s descendants in the town of the Gochang county. In addition to transcription, Lee annotated the copied texts and compared them with other texts handed down to the Gochang area, but these works were not finished due to his ill-health in 1957.

      • KCI등재

        식물 및 미생물 유래 유기농자재 살충효과: 단감해충 감꼭지나방,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김종철,유정선,송민호,이미롱,김시현,이세진,김재수,Kim, Jong Cheol,Yu, Jeong Seon,Song, Min Ho,Lee, Mi Rong,Kim, Sihyeon,Lee, Se Jin,Kim, Jae S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4

        단감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현재까지 주로 화학 살충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화학 살충제의 과다 사용은 해충 저항성과 농약 잔류 문제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EFOP)의 주요 단감 해충인 감꼭지나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 활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11 종을 실험실 조건에서 대상 해충에 분무 처리하였다. 대조 약제는 화학 살충제인 buprofezin+dinotefuran (20+15) 수화제를 사용하였다. 감꼭지나방에 대한 유기농자재의 살충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감꼭지나방 유충의 개체수 부족 문제로 인하여 배추좀나방 유충을 1차 실험충으로 사용하였으며, 세 종류의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사전 선발하였다. 선발된 친환경 유기농자재는 목초액 (EFOP-1), 회화나무, 양명아주, 멀구슬나무의 혼합추출물 (EFOP-2),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NT0423 (EFOP-11)이었으며, 선발된 유기농자재의 감꼭지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력 실험 결과, EFOP-2의 처리구에서 생충율이 27.7% (5 일차), 13.3% (7 일차), 6.7% (10 일차)로 가장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 효과 평가에서는 회화나무, 양명아주, 멀구슬나무의 혼합추출물 (EFOP-2, EFOP-9)과 고삼, 데리스의 혼합추출물 (EFOP-10)이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특히 EFOP-2의 처리구에서 생충율이 20.0% (5 일차), 16.7% (10 일차)로 가장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친환경 유기농자재인 EFOP-2를 이용하여 단감의 주요 해충인 감꼭지나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를 포함한 다양한 노린재 해충에 대한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to control persimmon pests, however the overuse of the pesticides caused insect resistance, followed by failure in pest management and residual problems. Herein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EFOP) on the control persimmon pests, Stathmopoda masinissa (persimmon fruit moth) and Riptortus pedestris (bean bug). Ten commercially available plant-derived organic pesticides and one microbial pesticide were sprayed on the target insects in laboratory conditions. The chemical pesticide, buprofezin+dinotefuran wettable powder served as a positive control. In the first bioassay against persimmon fruit moth, alternatively Plutella xylostella larvae were used due to the lack of persimmon fruit moth population from fields, and three organic pesticides showed high control efficacy, such as pyroligneous liquor (EFOP-1), the mixture of Chinese scholar tree extract, goosefoot and subtripinnata extracts (EFOP-2) and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NT0423 (EFOP-11). When the three selected organic pesticides were treated on the persimmon fruit moths, the EFOP-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icacy: 27.7% (5 days), 13.3% (7 days) and 6.7% (10 days) of survival rates. In the bioassay against bean bugs, the mixture of Chinese scholar tree, goosefoot and subtripinnata extracts (EFOP-2 and EFOP-9) and the extracts of sophora and derris (EFOP-10) showed high control efficacy, particularly the highest in the treatment of EFOP-2: 20.0% (5 days) and 16.7% (10 days) of survival 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xture of Chinese scholar tree, goosefoot and subtripinnata extracts (EFOP-2) has high and multiple potential in the management of the persimmon pests.

      • KCI등재후보

        한문 문체 분류의 전개양상

        김종철(Kim Jong-cheol) 대동한문학회 2004 大東漢文學 Vol.20 No.-

        <獨斷> <典論論文> <文賦> 등과 같은 문체 분류 초기 자료들은 아직 일정한 분류체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한정된 특정 문체들에 대하여 설명하는 논설형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문장류별론』을 거치면서 『문심조룡』과 『문선』에 이르게 되면 특정 문체들에 대한 논설과 함께 문체 분류의 체계성을 갖춘 저서형과 시문선집 형태의 문체 분류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자료들의 분류체계는 하위분류에 중점을 둔 層次 분류체계를 취하고 있다. 이들의 층차분류 형태는 1차로 문체를 나누고 2차로 子目 층차분류하고 3차로 선발된 시문을 수록하는 분류 방법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들에서는 동일한 문예적 성격을 지닌 작품들만을 대상으로 분류하는 개성적 문체 분류 방법 또한 처음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체 분류체계는 『문장변체』와 『문체명변』에 의하여 총체적으로 정리 제시된다. 이들 다음으로 18, 19세기의 자료들에서는 특정 문체에 대하여 논설하고, 분류하며, 그 아래로 시문 또한 선집하여 수록하는 총집형 형태가 나타난다. 대표적 자료에 해당하는 『古文辭類纂』 『經史百家雜초』 『涵芬樓古今文초』등은 기본적으로 1차로 문체를 제시하고, 2차로 子目 층차분류하고, 3차로 선발된 시문을 싣는 이전 자료들의 중심 분류체계인 하위분류체계를 기본으로 취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의 특징은 체재와 주제의 유사성을 가진 문체들을 묶어 “論辨類“와 같은 방법으로 상위분류하거나, 문체들을 주제나 용도 체재의 유사성을 근거로 하는 큰 갈래로 묶어 著述門, 告語門, 記載文과 같은 門분류의 상위단계를 본격적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한문 문체 분류체계는 평면적인 서술형-子目, 項과 같은 하위분류 체계를 설정한 저서형과 시문선집형-하위 분류체계를 기본으로 하면서 類, 門과 같은 현대적 장르 개념의 상위분류체계를 제시한 총집형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Embryonic data of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in the ancient times like <Dok Dan>, <Jun Non Non Mun>, <Mun Bu>, etc. did not yet form the system of fixed classification and was mostly the editorial type that enumerated literary style simply.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of writing type and garland type represented by 『Mun Sim Jo Ryong』, 『Mun Sun』 in the middle ages, that its turning point was 『Mun Jang Bun Ryu Non』, has appeared and such a classification was mainly the system of stratified classification focused on sub-classification. Its stratified classification also suggested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with a personality that consisted of firstly,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secondly, stratified classification, thirdly, selection of prose and poetry. Such a classification was fixed as a standard in the middle ages and was arranged totally by 『Mun Jang Byun Che』, 『Mun Che Myoung Byun』. 『Go Mun Sa Ryu Chan』, 『Kyoung Sa Baek Ga Jab Cho』, 『Ham Bun Ru Go Gium Min Cho』, etc. as typical data of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in the 18th, 19th century maintained the standard system of stratified classification in the middle ages basically, then classified from the top as a way of “Non Byun Ryu” to compile writings with similar format and subject arranged by 『Mun Jang Jung Jong』, 『Mun Sim Jo Ryong』 formerly, or set higher level of Mun(門) classification like Jeo Sul Mun, Go Eo Mun, Gi Jae Mun to compile literary styles based on similar subject and use. It was a characteristic of classification of literary style in that time that modern system of classification from the top sprea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