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두와와 상부 경관에서 발생한 원발성 연수막 악성 흑색종:1예보고

        김정혁,이남준,Kim, Jeong-Hyeok,Lee, Nam-Jun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5 No.5

        연수막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멜라닌세포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멜라닌세포종양은 분화가 잘된 연수막 멜라닌세포종에서 가장 악성도가 높은 악성 흑색종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는 질환군 이다.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멜라닌세포성 종양은 자기공명영상(이하 MRI)에서 멜라닌의 상자성 효과에 의해서 특징적으로 T1 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T2 강조영상에서 매우 낮은 신호강도를 보인다.양성 멜라닌세포종과 악성 흑색종은 예후가 달라 임상적으로 감별이 매우 중요하나 영상 소견만으로는 양자의 감별이 어렵고 조직의 면역조직화학적 소견을 봄으로써 정확히 진단할 수 있다. 저자들은 후두와와 상부 경관에 발생하여 연수막에 넓게 기저를 두면서 조영증강전 CT상 고음영으로,MRI에서는 T1 강조영상에서 고신호강도로,T2 강조영상에서 매우 저신호강도로 보이며 조영증강이 균일하게 잘 되는 원발성 연수막 악성 흑색종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The term ‘primary melanocytic neoplasm’covers a wide disease spectrum, from well differentiated meningeal melanocytoma to malignant melanoma, its most aggressive malignant counterpart. Previous reports have shown that due to the paramagnetic effect of melanin, melanocytic neoplasms show high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s and very low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s, with relatively homogeneous contrast enhancement. The differentiation of leptomeningeal malignant melanoma from benign melanocytoma is important because of their different prognosis but on the basis of imaging findings alone is difficult. Ultrastructural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s a possible alternative. We report the imaging findings of rare primary malignant melanoma, revealed by noncontrast-enhanced CT as a high-density mass, and demonstrating high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s, and very low signal intensity on T2WI, with relatively good contrast enhancement.

      • KCI등재

        유방의 비정형유관사이증식증: 방사선학적 소견과 병리학적 소견의 연관성

        김정혁,오유환,Kim, Jeong-Hyeok,O, Yu-Hwan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4

        목적: 비정형 유관상피증식증의 임상소견, 유방촬영술과 유방초음파상의 방사선학적 소견을 분석하고, 방사선학적 소견과 병리학적 소견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수술로 확진된 64명 환자들의 64 병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64예 모두가 유방촬영술을 시행하였고, 30예에서 유방초음파를 시행하였다. 두 명의 유방 방사선과 전문의가 후향적으로 유방촬영술소견과 초음파소견을 분석하여, 병면을 종괴, 미세석회화, 이외의 기타소견(유관변화 등)과, 병면이 보이지 않은 경우 등 4군으로 나누었다. 유발촬영술상종괴의 경우는 모양, 경계, 음영, 석회화 동반 여부 등을 알아보았고, 미세석회화의 경우는 모양과 분포를 관찰하였으며, 유방초음파에서는 종괴의 모양, 경계, 내부와 후방 에코패턴, 석회화 동반 여부, 유관과 연결유무, 피부와 나란한 방향인지 등을 살펴보았다. 비정형 유관상피증식증의 방사선학적 병리학적 연관성을 직접연관(direct), 근접연관(near direct), 연관성 없음(remote correlation) 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결과: 유방촬영술에서는 미세석회화가 37예(57.8%), 종괴가 14예(21.9%), 기타소견은 2예(3.1%)이었고, 11예(17.2%)에서는 병면이 발견되지 않았다. 미세석회화의 경우, 모양은 원형이 19예(50.0%), 비균질한 다형성이 16예(42.1%)이었고, 분포는 군집형이 29예(76.3%)로 가장 많았다. 유방초음파를 시행한 30예 중 29예가 종괴로 보였고, 타원형이나 원형의 모양이 15예(51.7%), 불규칙한 모야이 14예(48.3%)이었다. 종괴의 경계는 불분명한 경우가 16예(55.2%), 저에코가 19예(62.1%), 주변 유관과의 연결은 22예(75.9%)에서 보였으며, 22예(75.9%)는 종괴의 장축이 피부와 평행하였다. 방사선학적 소견과 병리학적 소견은 직접연관은 44예(68.8%), 근접연관은 13예(20.3%)였고, 나머지 7예(10.9%)는 연관성이 없었다. 임상소견은 64예중 47예(73.4%)에서 증상이 없이 우연히 선별검사에서 병면이 발견되었고 증상을 동반한 17예중 7예(10.9%)는 촉지되는 종괴를, 7예(10.9%)는 유두분비물을, 나머지 3예(4.7%)는 통증을 동반하였다. 결론: 비정형 유관상피증의 가장 흔한 유방촬영술 소견은 군집형 분포를 보이는 원형 또는 비균질한 다형성 모양의 미세석회화이고, 가장 흔한 초음파소견은 불분명한 경계의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의 저에코의 종괴로서 피부와 평행하게 위치하며 유관과의 연결을 동반한다. 비정형 유관 상피증식증은 임상적으로 특별한 소견이 없이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예가 대부분이며, 이 연구에서 유방촬영술에서 병면이 보이지 않는 17.2%가 유방초음파에서 발견되므로, 유방촬영술과 함께 유방초음파가 보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of atypical ductal hyperplasia (ADH) using mammography and ultrasonography, and to correlate the radiologic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Sixty-four pathologically proven lesions in 64 patients who were examined between March 2000 and March 2003 were the subject of this study. Mammography was performed in all 64 cases, and ultrasonography in 30. Two radiologists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radiologic findings, classifying them as one of four types: mass, microcalcification, other finding, and no detected lesion. At mammography, mas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hape, margin, and density and microcalcifications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distribution. At ultrasonography, mass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ir shape, margin, internal and posterior echotexture, ductal extension, and parallelism to skin. Geographic correlation between the radiologic and histopathologic findings was classified as direct, near direct, or remote correlation. Results: Mammography demonstrated 37 cases of microcalcification (57.8%), 14 in which masses were present (21.9%), two in which there were other findings (3.1%), and 11 in which lesions were not detected (17.2%). The "other finding" was ductectasia. Microcalcifications were round in 19 cases, pleomorphic heterogeneous in 16, and branching linear in one. The most common distribution of microcalcification was clustered (29 cases; 78.4%). Masses were oval or round in nine cases and irregular in three, and in seven cases their margin was ill-defined. In 13 cases, the density of the masses was equal to that of breast tissue. Ultrasonography showed that the masses were round or oval in 15 cases and irregular in 14, and that the margin was ill-defined in 16 cases and circumscribed in ten. In 19 cases, the echotexture of the masses was low, and in 20 cases, heterogeneous. Parallel orientation was seen in 25 cases, and ductal extension in 22. Category 4 was the most common final assessed BI-RADS category, found in 75% of cases. Radiologic-histopathologic correlation was direct in 44 cases, near direct in 13, and remote in seven. Clinically, self or clinical examination of the breast revealed no abnormality in 47 cases, a palpable mass in seven, nipple discharge in seven, and breast pain in three. Conclusion: At mammography, the most common finding of ADH was clustered round or pleomorphic heterogeneous microcalcifications, and at ultrasonography, illdefined, round or oval, or irregular-shaped, hypoechoic masses with parallel orientation and ductal extension. Clinically, most ADH was incidentally discovered at radiologic examination. In this study, 17.2% of ADH cases were not demonstrated by mammography but were detected at ultrasonography, and for the detection of ADH, the use of this latter modality, alongside mammography, is thus feasible.

      • KCI등재후보

        군 통합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SCOR모델 도입방안 연구

        김정혁,최석철,Kim, Jeong-Hyeok,Choi, Seok-Cheol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 2005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Vol.31 No.1

        The SCOR(supply chain operations reference) model which is a management tool, has been developed to describe the business activities associated with all phases of satisfying a customer's demand. The model is able to successfully describe and provide a basis for supply chain improvement. In this paper, we review the SCOR model, the present status of the Korean defense logistics system, and suggest an application of the model for the integrated defense logistics system.

      • KCI등재후보

        신경교육종의 자기공명영상소견: 3예 보고

        노형준,김정혁,강창호,최재웅,이남준,No, Hyeong-Jun,Kim, Jeong-Hyeok,Gang, Chang-Ho,Choe, Jae-Ung,Lee, Nam-Jun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6

        신경교육종(gliosarcoma)은 종양성 신경교세포와 육종성 방추상 세포로 구성된 원발성 뇌종양으로 매우 드물게 발생한다.저자의 3예에서는 자기공명영상에서 악성 성상세포종의 소견으로 보이는 종양이 주로 뇌의 주변부에 위치하고 뇌경막과 접하거나 침범하고 있으면서,특히 T2 강조영상에서 악성 성상세포종보다 다소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는 경우 감별진단에 신경교육종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Gliosarcoma is a rare primary brain tumor composed of neoplastic glial cells and a sareomatous spindle-cell element. We report three cases of gliosarcoma, and describe their MR findings, which in many respects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malignant astrocytomas. Gliosarcomas are, however, more peripherally located, abutting and/or invading the dura mater, and at T2-weighted imaging their signal intensity is lower than is usually the case with malignant astrocyomas. Despite its rarity, the possibility of gliosarcoma should be considered when MR findings of this nature are apparent.

      • 이동식 부탄가스 연소기 역화 및 열변형 현상 방지 연구

        석병훈(Byeong Hun Seok),김정혁(Jeong Hyeok Kim),윤성환(Sung Hwan Yoon),황정호(Jungho Hwang),박대근(Dae Geun Park)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1970년, 이동식 부탄가스 연소기 시작으로 현재도 많은 제조사가 다양한 버너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식 부탄가스 연소기는 사용 중 간헐적으로 버너의 바디 및 헤드에서 열변형 및 역화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인명과 재산 피해와 직결되어 제조사들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동식 부탄가스 연소기의 버너 바디는 벤투리관으로 제작되어 주변 공기가 유입이 되는 구조로 예혼합화염 형태를 가진다. 부탄가스의 예혼합화염 특성을 고려하면 역화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으로 제작된 버너 바디의 물성치를 조사하여 열변형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는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HEMKIN을 통해 부탄 화염의 전파속도를 계산하였으며, 이때, 초기온도는 20℃, 50℃, 10 0℃, 200℃, 400℃, 600℃에서 당량비는 0.6-1.4에서 고려하여 계산하였다. 또한, 실험적으로 실제 이동식 부탄가스 연소기의 당량비 및 버너헤드출구에서의 속도를 파악하기 위해 연료 및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였다. 역화는 화염전파속도가 버너헤드출구속도보다 빠른 경우 발생하기 때문에 두 속도를 비교하여 역화에 대한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버너 과열 시 버너의 열변형을 확인하기 위해 버너 헤드 부에 Thermal couple을 이용하여 가열 시간별 온도를 측정하고 분석하였으며, 버너 바디의 알루미늄 합금을 SEM, EDS를 통해 정성적, XRD를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KCI등재

        절제된 정상위벽의 자기공명영상기법에 관한 연구:조직소견과의 비교

        서보경,설혜영,이남준,차인호,정규병,김정혁,박철민,이지영,Seo, Bo-Gyeong,Seol, Hye-Yeong,Lee, Nam-Jun,Cha, In-Ho,Jeong, Gyu-Byeong,Kim, Jeong-Hyeok,Park, Cheol-Min,Lee, Ji-Yeong 대한영상의학회 2001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5 No.5

        목적:급속자기공명영상기법을 이용하여 절제된 정상위벽을 관찰하고,이를 조직소견과 비교 연구하여,위벽의 관찰을 위한 최적기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25명 환자의 모두 41개 절제된 정상위조직을 수술후 수지(polyethylene)통에 넣고,생리식염수로 채워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하였다.T1강조FLASH,지방억제T1강조FLASH, T2강조TSE와 True-FISP 등 4가지 기법으로 위조직의 영상을 얻었다.자기공명영상에서는 위벽의 층수와 각층의 신호강도를 관찰하였고,이를 조직소견과 비교하였다.자기공명영상소견을 조직소견과 비교한 후 위벽 각층의 명확성과 각층간의 구분,및 전체 영상의 질에 대하여 비교하였다.4가지 기법 중 가장 좋은 방법은 3,가장 나쁜 방법은 0으로 하여 등급을 판정하였다. 결과:자기공명영상에서 위벽의 층수는 T1강조FLASH에서 2층이 41예 중 6예(14.6%),3층 31예(75.6%),및 4층 4예(9.8%)였고,지방억제T1강조FLASH에서 2층 6예(14.6%)와 3층 35예(85.4%),T2강조TSE에서 3층 24예(58.5%),4층 11예(26.8%),및 5층 6예(14.6%)였으며,True-FISP에서 1층 2예(4.9%),2층 8예(19.5%),3층 23예(56.0%),4층은 4예(9.8%), 및 5층 4예(9.8%)이었다.위벽의 신호강도는 T1강조FLASH와 지방억제T1강조FLASH에서 2층으로 보인 예는 위내강으로부터 고-중등도,3층인 경우는 고-저-고/중등도,4층인 예는 고-저-고-중등도신호강도였다.T2강조TSE에서는 3층으로 보인 예는 등도/고-저-중등도,4 층인 경우는 중등도-저-고-중등도/저,5층인 예는 저-고-저-고-저신호강도였다.자기공명 영상소견을 조직소견과 비교하였을 때 위벽이 3층으로 보인 경우 이것은 “점막층-점막하층-근층 ”에 해당하였다.관찰한 3가지 면 모두에서 T1강조FLASH,지방억제T1강조FLASH,T2강조TSE 기법이 True-FISP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p=0.001).점막층의 명확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기법은 T1강조FLASH와 지방억제T1강조FLASH이었고(p<0.05),점막하층의 명확성과 점막하층과 근층간의 구분은 T2강조TSE가 가장 우수하였다(p<0.05).전체적인 영상의 질은 T1강조FLASH와 T2강조TSE에서 가장 우수하였다(p<0.05). 결론:자기공명영상은 위벽의 각 층을 구별할 수 있는 우수한 검사로 조직소견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며,전체 영상의 질,점막하층의 명확성 및 점막하층과 근층간의 구분이 T2강조TSE에서 가장 우수한다. Purpose: To evaluate normal human gastric wall layers in vitro using magnetic resonance*(MR) imaging, to correlate the results with the histologic findings, and to determine the optimal technique for evaluation of the gastric wall. Materials and Methods: Forty-one normal resected gastric specimens obtained from 25 patients were dissected and placed in a polyethylene tube filled with normal saline. MR imaging with four MR sequences, T1-weighted FLASH*(T1FLASH), fat-saturated T1-weighted FLASH, T2-weighted TSE*(T2TSE), and True-FISP, was performed. The number of gastric wall layers and signal intensity of each layer were determined, and after correlating MR images with the histologic findings, the conspicuity of each layer*(mucosa, submucosa, and muscle), the distinction between each layer, and overall image quality were assessed. results: The gastric wall was shown by TIFLASH to have two (n=6, 14-6%), three (n=31, 75.6%) and four layers (n=4, 9.8%); by fat-saturated TIFLASH to have two (n=6, 14.6%) and three (n=35, 85.4%) ; by T2TSE to have three (n=24, 58.5%), four (n=11, 26.8%), and five (n=6, 14.6%); and by True-FISP to have one (n=2, 4.9%), two (n=8, 19.5%), three (n=23, 56%), four (n=4, 9.8%), and five (n=4, 9.8%) . The signal intensity of each layer at T1FLASH and fat-saturated T1FLASH was high-intermediate from the lumen in two-layer cases, high-low-high/intermediate in three-layer cases, and high-low-high-intermediate in four-layer cases. The signal intensity of each layer at T2TSE was intermediate/high-low-intermediate in three-layer cases, intermediatelow-high-intermediate/low in four-layer cases, and low-high-low-high-low in five-layer cases. Three-layered gastric wall corresponded mostly to mucosa, submucosa, and muscle from the inner to outer layers, respectively. T1FLASH, fat-saturated T1FLASH, and T2TSE were superior to True-FISP in evaluating the gastric wall. T1FLASH and fat-saturated T1FLASH were the best sequences for demonstrating mucosa (p<0.05), and T2TSE was the best for submucosa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and muscle (p<0.05). Both T1FLASH and T2TSE provided the best overall image quality (p<0.05). Conclusion: In-vitro MR imaging is an excellent technique for the evaluation of layers of normal gastric wall. T2TSE is the sequence which best demonstrates the conspicuity of submucosa, the distinction between submucosa and muscle, and overall image quality.

      •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회수 및 체외수정에 관한 연구

        박성원,김정혁,홍승표,이지삼,정장용,박희성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99 農業技術硏究所報 Vol.12 No.-

        본 연구는 돼지의 체외수정에 있어서 난포란의 회수방법과 체외수정란 및 체외발달율을 조사하여 체외수정의 기본 원리를 밝히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축장으로부터 채집한 난소의 난포에서 흡입법, 세절법 및 흡입후세절법 등으로 난포란을 채취하여 등급별로 분류하여 회수율을 조사하였으며, 채취한 난포란은 액상정액과 정소상체미부 정액을 사용하여 체외수정을 시킨후 TCM-199 와 NCSU-23 배양액으로 체외배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회수방법당 각각 37개의 난소에서 회수한 난포란의 수는 흡입법이 1,365개, 세절법이 1,884개 및 흡입후 세절법이 3.830개로써 난소당 난포란의 수는 각각 36.9, 50.9 및 103.5개로써 회수방법간에 유의적(P<0.05)인 차이가 있었다. 액상정액과 정소상체미부 정액을 사용하였을 때 수정율은 각각 83.0 및 83.% 로써 정액간에 유의적(P<0.05) 인 차이는 없었다. 체외수정이 이루어진 난자들의 분할율도 액상정액(60.8%) 과 정소상체미부 정액(69.0%) 간에 유의적(P<0.05) 인 차이는 없었다. 2-4세포기로의 발달율은 24.6 및 28.4%로써 배양액간에 위의적(P<0.05)인 차이는 없었으며, 상실배로의 발달율도 TCM-199 와 NCSU-23 배양액이 각각 14.8 및 24.5% 로써 이들간에 유의적(P<0.05)인 차이는 없었다.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 vitro production of embryos with follicular oocytes in pig, the recovery rates, in vitr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and the time required for collectng and processing oocytes by aspiration with or without slicing were evaluated comparatively. The oocytes were collected by aspiration of follicles(2-6mm) with or without slicing ovaries after aspiration, and classified into grade I-IV oocytes by the morpholoy of cumulus cells attached and the homogeneity of cytoplasmic granules. The grade Ⅰ-Ⅱ oocytes were matured invitro for 46 hours in TCM-199 and NCSU-23 supplemented with 1㎍/㎖ FSH, 2IU/㎖ hCG, 1㎍/㎖ estradiol-17 at 39℃ under 5% CO_2 in air. They were fertilized in vitro by epididymis sperm and ejaculated sperm treated with hypotaurin for 24 hours. and then the zygotes were co-cultured in vitro with pFF(porcine follicular fluid) for 7-9 day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ocytes recovered per ovary was averaged 30.7 by aspiration, 50.8 by slicing and 103.5 by aspiration post slicing. The number of grade Ⅰ oocytes recovered was total 0.2% by aspiration, 0.1% by slicing and 0.1% by aspiration post slicing. The oocytes recovered per ovary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as recovery methods. The cleavage rates of the embryos obtained from 83.0(ejaculate sperm) and 83.1(epididymis sperm) respectively(P<0.05). In vitro developmental rates(9.9 and 18.6%) of embryos cultured in TCM-199 and NCSU-23 up to morula stage were non significantly(P<0.05) different between the culture media.

      • 한우 체외수정란의 동결보존 및 핵이식에 관한 연구 : Ⅱ. 체외수저란의 동결방법이 동결.융해후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Ⅱ. Effects of Survival Rates of Frozen-Thawed Embryo Frozen Methods

        정장용,박희성,홍승표,김정혁,桑潤滋,離素娟 진주산업대학교 농업기술연구소 1999 農業技術硏究所報 Vol.12 No.-

        본 연구는 수정란의 동결기법을 확립하고자 배반포기에 있는 한우 체외수정란을 이용하여 유리화 및 직접이식 동결방법으로 동결을 실시하여 동결·융해후 생존성, 동해방지제의 종류, 평형 및 할구의 손상여부 등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리화 동결방법중 GESD-VS와 EFS 용액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였을 때 동결·융해 수정란의 생존율은 각각 69.8 및 37.3%로써 이들간에 유의적(P<0.05)인 차이가 있었으며, 동결기를 이용한 직접이식 동결법은 생존율이 56.0%로써 유리화 동결방법과는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다. 동결·융해후 생존한 수정란의 발달율은 GESD-VS용액을 사용하였을때가 53.4%로써 EFS용액을 사용하였을때의 24.0%보다는 유의적(P<0.05)으로 높게 나타났다. 1 및 2단계 평형시 단계별 생존율은 각각 11.7 및 23%로써 이들간에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으며, 동결·융해 수정란의 발달율도 각각 10 및 16.8%로써 평형방법간에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다. 신선수정란, 유리화 동결수정란 및 동결비를 이용한 직접이식 동결법으로 동결하였을 때 동결·융해 수정란의 할구수는 각각 98.7±2.3개, 69.1±2.6 및 84.2±2.7개로써 동결방법들간에 유의적(P<0.05)으로 할구수의 차이가 많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equilibration step, number of blastomeres on survival and developmental rates of bovine in vitro fertilized blastocysts(Korean native cattle) frozen/thawed by vitrification and frozen for direct transfer(1.8M ethylene glycol). The bovine oocytes were collected from 2-5mm follicles, matured for 24hrs in 5% CO_2 incubator and then fertilized with cauda epididymis sperm. Blastocyst at day 7-9 ater IVF were frozen in vitrification and frozen for direct transfer(1.8M ethylene glycol). Survival and developmental rates of frozen-thawed IVF embryos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 The survival rate of IVF blastocyst after vitrification in GESD-VS, EFS and 1.8M ethylene glycol solution were 69.8, 37.3 and 56.0%, respectively(P<0.05). When equilibrated in 1 step(11.7%) was similar to the result from 2 step(23.0%), and no significantly(P<0.05) different between the equilibrated steps. The number of blastomere at blastomere at blastocyst of bovine embryos frozen/thawed in fresh, vitrification and freezing for direct transfer were 98.7±2.3, 69.1±2.6 and 84.2±2.7, respectively, and were significantly(P<0.05) different between the freez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