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의 장기추시결과

        김정일,서근택,Kim, Jeung-Il,Suh, Keun-Ta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2

        목적: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흉골, 쇄골, 상부 늑골 및 주변 연부조직의 골화와 골막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골종양과의 감별이 요구되고 있다. 이질환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나 병인이 불분명하고 흔하게 나타나지는 않기 때문에 장기관찰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장기간 추적관찰을 통해 이질환의 치료 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환자에 대해서 이학적 검사, 방사선 소견, 조직학적 소견,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분포는 남자가 4례, 여자가 13례로 여자가 더 많았다. 이환된 시기의 환자의 나이는 17세부터 60까지로 평균나이는 48.7세였다. 전례에서 흉쇄골 관절 및 흉골, 늑골 주위의 흉골, 쇄골, 상부 늑골에 과골화 소견을 보였고 이것은 시간 경과후에도 변화 없거나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피부과 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5례가 있었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소염진통제에 반응을 하였지만 2년 이상의 소염진통제 및 항상제의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은 경우가 3례가 있었다. 결론: 흉골 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골주사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되어질 수 있는 비교적 드문 양성 질환으로 비교적 항염증 약물, 항생제, 항류마치스약물등의 보존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나 동통이 지속되는 경우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 같은 약제의 사용이 추천되어진다. 장기간 추시관찰시 동통은 대부분 소실되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골화부분은 변화 없거나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연부조직의 침범이 있거나 악성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고 외형상문제로 수술적 치료가 요하는 경우가 있다. Purpose: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SCCH) is a disease of unknown etiology, which is characterized by periosteal reaction and endosteal hyperossification of the sternum, clavicles and upper ribs as well as ossification of the surrounding soft tissue. SCCH is a well recognized but uncommon condition which is important differential diagnosis to consider to avoid misdiagnosis and to differentiate the condition from malignant process. But few studies have reported long-term clinical result of SCCH. We report long-term clinical result of SCCH.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86 to 2000, 17 cases of SCCH were followed up over two to 14 years. We evaluated the radiologic, pathologic and clinical results. Results: Four men and thirteen women were studied. The age when first symptom appeared were raged from17 to 60(average-48.7) There are no specific bacteriological, serological or histological finding. Usually a permanent increase in the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s found. The radi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e signs of proliferate destructive arthritis in most case. The majority of patients respond to NSAIDs and antibiotics. Conclusion: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is uncommon benign condition, but important condition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inflammatory or malignant process of this joint.

      • 연부조직 종물의 진단에서 초음파 유도하 중심부 침생검

        김정일,윤명수,천상진,최경운,이태홍,Kim, Jeung-Il,Youn, Myung-Soo,Cheon, Sang-Jin,Choi, Gyung-Un,Lee, Tae-H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0 No.2

        Purpose: To determine the utility of sonographically guided percutaneous core needle biopsy to diagnose musculoskeletal soft tissue masses. Methods: A p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55 patients referred for image-guided needle biopsy of primary or recurrent soft tissue masses and bone lesion or suspected solitary metastasis with extraosseous masses. Tissue samples were obtained with a 14-gauge or 18-gauge cutting needle coupled to an automated biopsy device under local anesthesia and sonographic guidance. Statistical analysis was based on 49 biopsies confirmed by successful clinical treatment (11 cases) or surgical resection (38 cases). Results: An accurate diagnosis was obtained in 47 (97%) of 49 biopsies; sensitivity was 95%, and specificity was 100%. The method did not yield sufficient tissue to establish a diagnosis in 6 cases. Considering all 55 biopsies, high-quality specimens were obtained in 87%. There were no serious complications. Conclusions: Sonographically guided core needle biopsy is accurate and safe, in soft tissue masses and bone tumors with extraosseous masses in the appendicular skeleton. In such patients, the sonographically guided procedure is the most prompt and effective method for obtaining tissue samples. 목적: 근골격계 종물의 진단에 있어 초음파 유도하 생검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3년 8월 사이에 본원 정형외과를 내원한 환자 중 연부조직 종물을 가지는 환자의 진단을 위하여 조직 생검이 필요하였던 5 5명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조직검사는 초음파 유도하에서 조직의 채취 부위에 국소마취하에 시행하였으며 14 gauge 또는 18 gauge의 굵은 바늘을 사용하여 5~6개의 조직을 얻을때까지 시행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임상적으로 치료가 가능하였던 11명의 환자와 수술적 절제 후 조직의 최종 확인이 가능한 38명을 포함하여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불충분한 조직을 얻은 경우나 조직학적 진단이 불가능한 6명의 환자를 제외하고 정확한 진단은 49명의 환자중 47명의 환자에서 얻을 수 있어 정확도는 96%였고 민감도는 90%, 특이도는 100%였다. 전체 55명의 환자중 89%(49명)에서 조직학적 진단이 가능한 충분한 조직을 얻을 수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특별한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생검은 연부 조직 종물의 정확한 위치에 바늘을 위치시킬 수 있어 연부조직 종양의 진단이나 골종양의 진단에서 골외 부분이 있는 경우 시행할 수 있는 안전하면서 유용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신경초종 진단에 있어 자기공명영상촬영(MRI)의 진단적 가치

        김정일,김엄지,문태용,이인숙,송유선,최경운,Kim, Jeung Il,Kim, Um Ji,Moon, Tae Yong,Lee, In Sook,Song, You Seon,Choi, Kyung 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목적: 연부조직 종양 중 지방종과 신경초종(Schwannoma)은 자기공명영상촬영(MRI)만으로 충분한 진단적 가치를 가지는 종양이다. 하지만 신경초종의 경우 종양의 특성상 MRI에서 다양한 형태의 영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 신경주변에 생긴 다른 종양이 MRI상 신경초종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있다. 따라서 MRI상 신경초종으로 의심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RI에서 신경초종을 감별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술 전 자기공명영상촬영(MRI)상 신경초종(schwannoma)이 의심된 환자 10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를 통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최종 진단 하였다. 조직 검사 결과 신경초종이 나온 경우를 1군으로 하고, 다른 병변이 나온 경우를 2군으로 나누어서 MRI 상 신경초종을 의심할 수 있는 영상의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04예의 조직검사 결과 신경초종으로 진단된 경우는 92예이며, 신경초종 외에 다른 병변으로 진단된 경우는 12예였다. MRI 특이 소견중 target sign은 1군에서는 41예(45%), 2군에서는 없었으며, fascicular sign은 1군에서는 47예(51%), 2군에서는 2예(17%), fat split sign은 1군에서는 44예(48%), 2군에서는 5예(42%), nerve entering and exiting sign은 1군에서는 28예(30%), 2군에서는 1예(9%)가 나타났다. 위 네가지 소견 모두 나타나지 않은 경우는 1군에서 8예(9%), 2군에서 6예(50%) 였다. 종양이 신경 주행 경로에 있는 경우는 1군에서 52예(57%), 2군에서 5예(42%)였다. Chi-squared test를 이용한 통계학적 분석에서, 위의 네가지 소견 중 target sign이 신경초종의 진단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신경초종 진단에 MRI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지만, 신경초종이 지닌 여러가지 특성으로 인해 MRI상 신경초종으로 의심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최종적으로는 다른 종양으로 확진 된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다. 그러므로 MRI상 과녁징후가 보이지 않는 신경초종의 경우에는 다른 종양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접근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diagnose soft tissue tumor, such as lipoma and Schwannom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sufficient in most cases. However, various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MRI images of Schwannoma, thus other type of tumors are often misdiagnosed as Schwannoma with MRI image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ecific MRI findings of Schwanno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May 2013, 104 patients who are suspected as Schwannoma rith MRI images are included in data, and the final diagnosis is confirmed with biopsy. Patients are divided into group 1 and group 2 who are confirmed as Schwannoma and other disease with biopsy, respectively. Results: 92 patients were diagnosed as Schwannoma (group 1) and 12 patients were diagnosed as other disease (group 2). We investigate the diagnostic value of specific MRI findings of Schwannoma. 41 patients of group 1 (45%) and 0 patients of group 2 (0%) showed target sign, 47 patients of group 1 (51%) and 2 patients of group 2 (17%) showed fascicular sign, 44 patients of group 1 (48%) and 5 patients of group 2 (42%) showed fat split sign, 28 patients of group 1 (30%) and 1 patients of group 2(9%) showed nerve entering and exiting sign, and 8 patients of group 1 (9%) and 6 patients of group 2 (50%) showed none of four specific findings on their MRI images. 52 patients of group 1 (57%) and 5 patients of group 2 (42%) have tumors on the pathway of nerve. Target sign could be considered as the best diagnostic value of the sign we investigate (p<0.05). Conclusion: Although specific MRI findings have powerful diagnostic value, patients are often misdiagnosed as Schwannoma with MRI findings. Therefore, if patients who are suspected as Schwannoma based on MRI findings have no target sign on their MRI images,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other disease.

      • KCI등재

        상완골 양성 골종양에 동반된 병적 골절의 치료 방법에 대한 비교

        김정일(Jeung Il Kim),김엄지(Um Ji Kim),문남훈(Nam Hoon Moon),김휘택(Hui Taek Kim),안태영(Tae Young Ahn),이인숙(In Sook Lee),송유선(You Seon Song),최경운(Kyung Un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6

        목적: 상완골의 양성 골종양에 동반된 병적 골절의 치료 방법 중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의 결과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접근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4년 4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상완골의 양성 골종양에 동반되어 병적 골절로 진단된 환자는 총 15예로, 이 중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8예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7예를 대상으로 하여 골절 유합에 걸리는 기간과 원발 종양의 관해 정도를 비교하였다. 진단 시 평균 연령은 13.1세(1-19세)였고 남자 8명, 여자 7명이었으며 평균 추시 관찰 기간은 24.9개월(4-72개월)이었다. 치료 후 원발 종양의 관해에 대한 평가는 변형 Neer 분류를 사용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연령, 성별, 평균 추시 관찰 기간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골유합은 15명의 환자 모두 2차적인 전위 없이 이루어졌고, 골유합에 걸리는 기간(p=0.164)과 종양의 관해정도(p=0.931) 모두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군과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군 사이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상완골 양성 골종양에 동반된 병적 골절에서 수술적 치료뿐 아니라 보존적 치료도 하나의 중요한 치료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therapeutic approach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conservative therapy and surgical therapy for a pathologic fractures of the humerus caused by benign bone tumor. Materials and Methods: We selected 15 cases with a pathologic fracture of the humerus caused by benign bone tumor from January 2000 to April 2014 to evaluate the fracture union period and remission of primary bone tumor. Eight cases were treated with conservative therapy, and 7 cases by surgical therapy. The mean age was 13.1 years, and the age range was between 1 year and 19 years; there were 8 male cases and 7 female cas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9 months, with a range from 4 months to 72 months. We evaluated the remission of primary benign tumor in accordance with the ‘Modified Neer classification’ system.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sex, and mean follow-up period between the two groups. The pathologic fracture was united in all cases without secondary displac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acture union period (p=0.164) and remission of primary benign tumor (p=0.931)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We suggest that both conservative and surgical therapies can be a treatment for pathologic fracture of the humerus caused by benign bone tumor.

      • KCI등재

        근위 대퇴골에 발생한 섬유성 골 이형성증의 수술적 치료방법에 따른 결과

        김정일 ( Jeung Il Kim ),서정탁 ( Jeung Tak Suh ),서근택 ( Kuen Tak Suh ),김휘택 ( Hui Taek Kim ),천상진 ( Sang Jin Cheon ),문남훈 ( Nam Hoon Moon ) 대한고관절학회 2009 Hip and Pelvis Vol.21 No.3

        Purpose: Single or multiple fibrous dysplasia of the proximal femur can cause coxa vara, Shepherd`s crook deformity and a leg length discrepancy for those patients who require surgical treatment. We wan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surgical treating fibrous dysplasia of the proximal femur.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at our hospital during the period of June, 2001 to October, 2007, we selected 18 patients who underwent curettage and bone graft or valgus osteotomy and internal fixation due to proximal femur involvement. The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atients` clinical records and radiologic findings. Results: The group of patients with a normal neck-shaft angle (Group 1) could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by undergoing curettage, bone graft and internal fixation. The other group of patients who progressed to Shepherd`s crook deformity (Group 2) could have satisfactory results when they underwent valgus osteotomy and soft tissue release or both proximal femur shortening osteotomy and valgus osteotomy, but not with undergoing valgus osteotomy only. Conclusion: Varus deformity in patients with fibrous dysplasia may progress even though they undergo valgus osteotom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preoperative biomechanical condition of the proximal femur before performing surgery.

      • KCI등재

        전이성 골종양의 수술적 치료와 예후 인자

        김정일(Jeung-Il Kim),유총일(Chong-Il Yoo),서정탁(Jeung-Tak Suh),서근택(Kuen-Tak Suh),김휘택(Hui-Taek Kim),문남훈(Nam-Hoon M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목적: 저자들은 수술적 치료를 한 전이성 골종양 환자의 후향적 연구를 통하여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여 병적 골절이나 경막 외 침범들이 있는 환자와 같이 수술적 적응이 필요한 환자들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월부터 2003년 12월 사이에 걸쳐 수술적 치료를 받은 78예의 전이성 골종양 환자에 대해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예후 인자를 찾기 위해 Cox 비례위험모형과 Kaplan-Meier 생존곡선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생존에 의미 있는 4가지 예후 인자로는 원발암의 종류, 내장기 또는 뇌로의 전이 유무, 다발성 전이 유무, 이전 항암치료의 유무이었다. 4가지 예후 인자 중 2가지 이상을 만족시킬 경우를 좋은 예후군으로 분류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를 나뿐 예후군으로 분류하였다. 좋은 예후군의 6개월 평균 생존율은 95%, 1년 생존율은 87%이었고 나쁜 예후군의 6개월 평균 생존율은 28%, 1년 평균 생존율은 13%였다. 결론: 골 전이 환자의 수술적 치료의 결정에 있어서 생존 가능기간이 짧은 환자에게는 보다 덜 침습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생존 기간이 길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에게는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사지의 골 전이에서는 생존 가능 예상 기간이 최소한 2개월 이상, 척추의 전이의 경우는 3내지 6개월이라면 적극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골 전이 환자의 치료의 결정에 있어서 본 연구의 예후 예측인자를 고려하면 더욱 유용한 수술적 치료의 선택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tried to find out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treatment for some conditions that are indicated for surgery like pathological fractures or epidural compress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85 and 2003 we treated 78 patients with skeletal metastases. A multivariab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rates of survival were calcul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We identified four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the site of the primary lesion, the presence of visceral or cerebral metastases, any previous chemotherapy and multiple skeletal metastases. With these factors, we could divide the patients into two prognostic groups: the good prognostic group satisfies more than two of the four significant factors and the poor prognostic group doesn't. For the good prognostic group, the average rates of survival at 6 months and a year were 95% and 28%, respectively, and those for the poor prognostic group were 28% (6 mo) and 13% (1 yr), respectively. Conclusion: Each patient's life expectancy should be considered when we decide the surgical method for treating metastatic bone tumor. Patients with a very short life expectancy should probably be treated with a less invasive method but patients with a long life expectancy require aggressive surgery. If the life expectancy is estimated to be at least more than 2 month and 3-6 months for bony metastases to the extremity and spine respectively, then an aggressive surgical method should be chosen. With these practical prognostic factors, the life expectancy may be predicted more accurately and so the optimal surgical treatment can be selected more appropriately.

      • KCI등재

        수족부의 단관골에 발생한 내연골종의 치료

        김정일(Jeung Il Kim),최경운(Kyung Un Choi),이인숙(In Sook Lee),송유선(You Seon Song),정재윤(Jae Yoon Je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2

        목적: 수족부에 발생하는 내연골종에 대한 비수술적, 수술적 치료의 결과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내연골종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에 대해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부터 2017년까지 내연골종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환자들 중 그 발생부위가 수족부의 지골, 중수골, 중족골의 단일 병변에 해당하는 총 102예 중 6개월 이상 추시한 74예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부에 발생한 내연골종의 기능적인 결과에 대해서는 Wilhelm과 Feldmeier가 제시한 미용상의 문제, 관절 운동성, 파악력, 영상학적 소견 등을 분석하여 우수(excellent), 양호(good), 충분(satisfactory), 불량(poor) 4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74예 중 30예는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44예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관절운동 제한 및 통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74예 중 18명의 환자에서 병적 골절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이 중 9명은 비수술적 치료, 9명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았다. 단순 방사선 추시상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18예에서 모두 골유합 소견이 확인되었으며 관절운동 범위와 통증, 외형, 근력 등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수족부에서 발생하는 내연골종에 있어서 수술적, 비수술적 치료 모두에서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수술적 치료로 인한 부작용 및 여러 가지 단점들을 고려하였을 때 비수술적 치료 역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appropriate treatment method by comparing nonsurgical treatment and surgical treatment for enchondroma in the hands and feet.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 four cases with enchondroma of the hands and feet from January 1996 to March 2017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s. Thirty cases were treated with nonsurgical treatment, and 44 cases were treated with surgical treatment, such as curettage only or curettage with a bone graft.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8.1 months. The functional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Wilhelm and Feldmeier formula. Results: The mean age was 38 years, and the age range was between eight and 69 years. According to the Wilhelm and Feldmeier formula, the mean score of hand enchondroma was 3.09±0.85 and 3.20±0.91 in the non-operative and operative group, respectively. The mean scores of the foot except for the grip strength were 2.57±0.79 and 2.75±0.50,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ccording to the functional results. Among the 18 cases of enchondroma with pathological fractures, nine cases were treated non-surgically and nine cases were treated by surgically. In all 18 cases, complete bone healing was observed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Relatively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both surgical and nonsurgical treatm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nctional outcomes. In cases of enchondroma in the hands and feet, nonsurgical treatment can also be a good treatment option.

      • KCI등재

        연부 조직 육종에서 18-FDG PET CT의 유용성

        김정일(Jeung Il Kim),오종석(Jong Seok Oh),서근택(Kuen Tak Suh),문태용(Tae Yong Moon),이인숙(In Sook Lee),최경운(Kyung Un Choi),김성장(Seong Ja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3

        목적: 최근 연부 조직 종양의 전이에 대한 진단 및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을 PET CT를 이용하여 감별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연부 조직 종양에서 18-FDG PET CT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악성연부 조직 종양이 의심되어 PET CT를 촬영한 6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15예는 양성, 34예는 악성, 15예는 염증성병변이었다. 모든 환자들은 18-FDG CT촬영 후 수술적 치료가 이루어졌으며, 제거된 모든 조직은 수술 후 조직검사로 확진되었다. 반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Maximal standard uptake value (SUVmax)를 구하였으며, SUVmax를 ROC 분석,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연부조직종양에서 SUVmax 값을 이용하여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구분이 가능하였나, 종양의 등급간 SUVmax 값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그리고 악성종양과 감염을 동반한 연부조직병변의 SUVmax값 역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PET CT는 연부 조직 육종의 국소 재발 및 전이를 진단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양성종영과 악성종양을 감별하는데 유용한 핵의학영상 장치로 사료된다. 그러나 염증을 동반하는 경우나 염증성 병변이 의심될 경우 진단에 유의를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use PET-CT for the diagnosis of metastasis of soft tissue tumors and for differentiating benign tumors from malignant tumors. In this study, we wan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18-FDG PET CT in soft tissue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n=64) with suspected malignant soft tissue tumor had 18-FDG PET CT scans This included 15 cases of benign soft tissue tumor, 34 cases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and 15 cases of inflammatory lesions. All patients went through surgical treatment after PET-CT imaging was done, and all dissected tissues were biopsied. For semiquantitive analysis, SUVmax(Maximal standard uptake value) was measured, and SUVmax was determined using ROC analysis, the Kruskal-Wallis test and the Mann-Whitney test. Results: Using 18-FDG PET CT it was possible to differentiate benign from malignant tumor using SUVmax values. But. discrimination between different grades of tumor was not possible. Also discrimination between malignant tumors and inflammatory lesions was not possible. Conclusion: PET-CT can be considered as a useful nuclear imaging method that can detect loc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of soft tissue sarcoma and can differentiate benign from malignant tumors. But PET-CT results must be interpreted carefully in diagnoses when there is inflammatory disease or a suspected lesion present.

      • 전 절제술로 치료한 근위 비골의 거대 세포종

        서정탁,최성종,김영균,김정일,김휘택,유총일,Suh, Jeung-Tak,Choi, Sung-Jong,Kim, Young-Goun,Kim, Jeung-Il,Kim, Hui-Taek,Yoo, Chong-Il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2

        목적: 근위 비골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 환자 5명에 대한 임상 양상, 치료 방법 및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근위 비골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으로 수술적 치료를 하였던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관찰(평균 2.2년: 1.1~5년)이 가능하였던 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수술 전 단순 방사선 검사, 자기 공명 영상 검사, 핵의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모든 예에서 비골 신경을 보존하면서 일괄 절제술 및 대퇴 이두근을 이용한 외측 측부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단순 방사선 검사 및 진찰 소견으로 국소 재발의 유무를 판단하였으며 내반 스트레스 검사로 슬관절 외측 불안정을 측정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23세(21~29세)였으며 남자 1예, 여자 4예였다. 모든 환자에서 병변부의 동통이 주증상이었으며 2예에서는 종물이 촉지되었다. 모든 예에서 수술 전 자기 공 명 영상 검사상 T1 강조영상에서 병변내의 저 신호 강도와 T2 강조영상에서 고 신호 강도를 보였고, Technetium-99 m을 이용한 골주사 검사상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골섭취 소견이 관찰되었다. 1예에서 수술 후 일시적 비골 신경 마비를 보인 경우를 제외하고 나머지 예에서 비골 신경 마비 및 종양의 국소 재발은 보이지 않았다. 최종 추시 관찰시 5예중 1예에서 다소의 외측 불안성이 있었으나 기능상 문제가 없었으며 나머지 4예에서는 내반 스트레스 검사상 안정성을 보였다. 결론: 근위 비골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은 비골 신경을 보존하면서 일괄 절제술 및 대퇴 이두근을 이용한 외측 측부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o report our experiences of clinical features, treatment method and results of giant cell tumor of 5 patients in proximal fibula. Materials and Methods: Five patients managed with an en bloc resection preserving common peroneal nerve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biceps femoris tendon followed up between January 1997 and July 2001. Preoperative plain radiograph and MRI and bone scan were checked. The recurrence of the tumor was judged by plain radiograph and clinical signs. Lateral instability of knee joint was checked during the outpatient follow-up.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twenty- three (21-29). There were one male and four female patients. Dull pain was main symptom and palpable mass was seen in two patients. Peroneal nerve palsy and local recurrence were not observed except one case of temporary peroneal nerve palsy. During the outpatient follow up, one among 5 patients showed slight lateral instability and the other 4 patients showed no instabililty. Conclusion: Giant cell tumor in proximal fibula managed with an en bloc resection preserving common peroneal nerve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biceps femoris tendon showed favorable resul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