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캐나다 금융교육의 현황 및 사례

        김재근 ( Jaegeun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캐나다의 금융교육 현황과 사례를 주요 주별로 분석하고, 나아가 연방 정부에서 추진 중인 금융교육 국가전략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금융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캐나다는 철저한 교육 자치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금융교육의 양상도 주별로 차이가 크다. 앨버타 주에서는 고등학교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진로 및 생활관리’에서,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에서는 ‘수학’ 교육과정의 K-12 전 학년에서 금융이해력을 다루고 있다. 온타리오 주에서는 중등의 ‘진로탐구’와 초등의 ‘수학’에서, 퀘벡 주는 ‘경제’ 과목을 통해 금융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캐나다 연방 정부 차원에서의 금융교육으로는 금융소비자청(FCAC)의 설립, ‘금융교육 국가전략’의 추진, 국가 수준의 ‘금융역량조사’ 실시 등이 있다. 캐나다의 금융교육의 특징으로 첫째, 교육과정의 의무화와 융합화 경향, 둘째, 국가수준의 금융교육 강화, 셋째, 금융소비자 보호, 넷째, 쉽고 다양한 금융교육 등이 논의되었다. 이러한 캐나다의 금융교육 사례는 아직까지 금융교육이 학교 교육에서 의무화 되어 있지 않고, 또한 국가 수준의 금융교육 추진이 아직은 저조한 우리나라에 좋은 참고가 되어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plored Canada’s financial education in terms of both provincial cases and federal strategies for the implications for Korean financial education. Since Canada does not have a federal department or national system of education, provincial and territorial governments set up and run their own school systems. Financial literacy is included in different courses in different provinces: Career and Life Management course(Alberta), Mathematics(British Columbia), Career Studies(Ontario), and Economics(Quebec). On the other hand, there also are federal governmental efforts for the Canadians’ financial literacy. FCAC(Financial Consumer Agency of Canada) ensures financial entities comply with consumer protection measures, and promotes financial education. National Strategy for Financial Literacy tries to empower Canadians to meet their financial challenges through education. Canadian Financial Capability Survey examines Canadian’s financial competence periodically. Canada’s financial education has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has implications for Korea. First, mandatory financial literacy education and integration with diverse disciplines. Second, national wide and federal efforts for the financial education. Third, financial literacy for the protection of financial customers. Lastly, easy and diverse approach to financial education.

      • KCI등재

        통합사회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초기 대학수학능력시험 통합형 문항 분석-

        김재근 ( Kim Jaegeun ),배화순 ( Bae Hwasoon ),송성민 ( Song Seong-mi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통합사회 과목의 평가 및 문항 개발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초기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기출된 통합형 문항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정리하고 통합사회 문항 개발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1994학년도부터 2004학년도까지 11개 학년도 12회에 걸친 수능시험의 사회탐구 문항 564개를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통합형 문항의 비율은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대체로 5차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시기가 6차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시기에 비해 비중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통합형 문항의 유형은 자료통합형, 답지통합형, 통합소재형, 자료답지통합형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형 문항의 통합 정도와 난이도는 상, 중, 하 수준의 문항 수가 고르게 분포하였으나, 연도별로 변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 문항의 내용 요소를 살펴본 결과 일반사회 과목군이 주요 내용 요소로 가장 빈번하게 활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각 과목군 별로 이웃 과목군과의 친밀도 및 통합가능성을 고려한 문항 개발의 가능성, 통합형 문항 출제에 있어 각 유형의 특성에 유의하여 문항을 개발할 필요성, 향후 통합형 문항 개발 및 평가 방향 정립을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arly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tegrated qu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evaluation questions. 564 questions from 11 years of CSAT (1994~2004)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ratio of integrated questions fluctuated a lot through the years, but 5<sup>th</sup> period of national curriculum exhibited higher ratio than 6<sup>th</sup> period of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type of integrated questions were identified as ‘passage-integrated question’, ‘answers-integrated question’, ‘integrative topic question’, and ‘passage-answers-integrated question’ types in order of large numbers. The intensity of integration and the difficulty of question fluctuated a lot through the years, but the number of ‘high’, ‘middle’, ‘low’ questions distributed evenly.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questions were analyzed to exhibit the largest number of general social studies materials to be employed. From these research findings, followings we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evaluation questions: the possibility to consider the affinity with the neighboring subject matters, the necessity to take heed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question types, the need for more related researches regarding integrated social studies evaluation.

      • KCI등재

        학교 경제 교육과정으로서 ‘시민 경제’의 개발 및 쟁점에 대한 성찰

        김재근 ( Jaegeun Kim ),박영석 ( Youngserk Park ),김경모 ( Kyungmo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1 경제교육연구 Vol.28 No.2

        본 논문은 시민교육으로서 경제교육을 구현하고, 경험중심, 역량중심 경제교육을 지향하고자 고등학교 선택과목으로서 ‘시민 경제’ 과목 및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찾고자 한 것이다. ‘시민 경제’ 과목을 개발한 과정에서 부각된 쟁점으로는 ‘시민’과 ‘경제’의 융합가능성,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문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문제, 내용 구성과 관련한 범위와 계열의 문제 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시민 경제’ 교육과정 안은 공식적인 내용이 아니지만, 후속 연구 또는 정책 시행과정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또한 여기서 정리된 쟁점들은 ‘시민 경제’ 교육과정이 공식적으로 논의되는 과정에서 또 다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신중히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 process of developing “Civic Economy” as high school electives curriculum in order to realize economic education as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find its meaning. Issues highligh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Civic Economy” subject included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between “citizen” and “economy”, the problem of life-centered curriculum, the problem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he scope and sequence of contents composition. The “Civic Economy” curriculum proposed in this study is not official, but i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subsequent research or policy implementation. In addition, the issues outlined here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in that the “Civic Economy” curriculum is likely to be highlighted again in the process of official discussion of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경제정의교육의 시민교육적 정당화

        김재근(Kim, Jae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오늘날 우리 학교교육에서, 특히 사회과 교육에서 경제정의의 문제를 다루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빈곤과 불평등과 같은 경제정의의 문제를 다루는 것은 사회과교육과 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에 서 상대적으로 등한시 되어 왔던 ‘경제정의’와 관련된 문제들이 시민교육과 사회과교육의 목표와 어떤 방식으로 관련이 되며,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고자 하였다. 사회과 교육은 민주주의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바람직한 민주시 민의 자질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 진술에서 명시적으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사회과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민주 시민(democratic citizen)’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민주주의’와 ‘시민성’의 개념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데, 빈곤과 불평등이 이러한 사회과 교육의 두 가지 핵심적인 목표의 달성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즉 경제정의의 문제는 필연적으로 ‘민주주의의 위기’와, ‘시민성의 약화’를 가져온다. 따라서 빈곤과 불평등을 포함하는 경제정의의 문제는 민주 주의의 위기를 초래하고, 나아가 시민성의 약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는 사회과 교육의 목표와 본질에 대한 위기를 의미하며, 역설적으로 사회과에서 경제정의의 문제를본격적으로 다루는 경제정의교육의 필요성을 마련해주는 이유가 된다. 또한 이와는 대칭적으로, 민주주의와 시민권이 사회과 교육에서 경제정의의 문제가 다루어져야하는 이유인 동시에 경제정의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Why should today’s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deal with the issue of economic justice? What is economic justice problems such as poverty and income inequality to do with social studies education or civic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answer these questions: how economic justice issues are related to the orientation and objective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why it needs to be discussed within social studies education. Social studies education aims to cultivate the proper characteristics as citizens that are required as a member of democratic society. As is explicitly expressed in such objective statement, the most important no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the ‘democratic citizen.’ The term democratic citizen contains two combined meanings: democracy and citizenship. And the problem of economic justice, that is the poverty and inequality, works in a way that hinders the achievement of such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t is because the crisis of economic justice, the problem of poverty and inequality incur the crisis of democracy, and the deterioration of citizenship. In other words, poverty and inequality or the crisis of economic justice bring about the crisis of democracy then becomes the reason of the deterioration of citizenship. These problems, therefore, threats the essence and objective of social studies and citizenship education and provide us the justification of economic justice education. And on the other hand, social studies education contains a possibility to solve the problem of economic justice.

      • KCI등재

        경제정의교육에의 두 가지 접근

        김재근 ( Jaegeun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그 동안 경제교육의 관심사에서 멀어져있던 `경제정의`의 문제를 두 가지 대비되는 접근방법을 통해 다시금 조명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경제정의에 대한 주류적인 접근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고, 이러한 주류적 접근의 한계는 무엇인지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지금까지 경제정의에 대한 접근이 공정한 분배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 하는 정의의 방법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것의 제도적 해결에 의존한다는 점, 근대적 주체개념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 등이 비판점으로 제시된다. 이어서 이러한 비판적 분석에 기초하여 경제정의와 경제정의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즉 타자지향적 경제정의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특히 경제정의에 대한 타자지향적 접근은 왜 정의가 필요한지, 누구를 위한 정의인지에 대답하려 한다는 점, 그리고 주체의 근본적인 존재원리를 타자로부터 찾고자 한다는 점 등이 주로 논의된다. 이에 타자에 대한 조건 없는 환대와 비대칭적인 책임으로서의 경제정의의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이러한 타자 지향적 접근이 경제정의교육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지 탐색해본다 This study examines two different approaches to the issue of economic justice: Subject-centered approach and Others-oriented approach. The Subject-centered approach to economic justice is based on the question of `How to achieve justice?` Since it focuses on the `method` of justice, the ensuing answers are tied to principles and theories of justice, and the creation of just institutions. In general, economic justice from this approach is regarded to be a just distribution of economic resources such as wealth and income. Compared to that, an Others-oriented approach asks the question of `Why justice?` and the answer for the reason of economic justice is `the face of Other,` which comes up to us as an irresistible imperative. It demands us to respond to the vocation of the Other, to give away what we possess, to replace my space for the suffering Other, and to offer unconditional hospitality.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se two different approaches, this study suggests to re-conceptualize economic justice education as responding to the vocation of the Others.

      • KCI등재

        조세교육에 대한 시민교육적 접근 : 개념 및 가능성의 탐색

        김재근 ( Jaegeun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조세교육이 그 중요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미미하고 인식도 저조한 이유가 무엇인지 검토하고, 조세교육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법에 대한 대안으로 시민교육으로서의 조세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세교육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법의 경우, 건전한 정부 재정 운영을 위한 안정적인 세수 확보라는 국가주의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역진적인 논리를 거쳐 도입되고 실천되어 온 것이며, 국가에 대한 의무라는 가치를 주입하는 의무중심적 접근이 지배적인 방법론으로 채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접근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주시민의 양성을 목표로 하는 ‘시민교육으로서의 조세교육’이 제안되었다. 시민교육으로서의 조세교육은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지식 영역에는 조세의 기초, 조세의 기본원리, 조세제도 및 종류, 조세관련 논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기능 영역에는 자료 활용기능, 납부 및 신고 기능, 문제 해결 기능, 사회 참여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가치 및 태도영역의 경우 훈시적인 접근, 발달단계 접근, 가치명료화 접근, 가치분석 접근 등을 통해 교수·학습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sons why tax education, despite its importance and necessity, is under-represented and under-recognized in the education field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ax education as a citizenship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 tax education. The traditional approach to tax education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as a means of achieving the nationalistic goal of securing stable tax revenues for sound government finances, and a duty-oriented approach that instills the value of duty to the state has been adopted as the dominant methodology.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traditional approach, 'tax education as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proposed, which aims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Tax education as civic education can be organized in terms of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s follows. Knowledge areas may include the basics of taxation, basic principles of taxation, tax systems and types, and tax controversies. Functional areas may include resource utilization, payment and filing, problem solving, and social participation. Values and attitudes may be taught and learned through a didactic approach, a developmental approach, a value clarification approach, or a value analysis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