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張從正 吐法의 경험례

        김의태(Kim Eui tae),차웅석, 남일(Kim Nam il) 한국의사학회 2006 한국의사학회지 Vol.19 No.2

        Jang Jong jeong thought that, because all diseases come from miasma, for treating diseases, it is important to attack or remove miasma infiltrating into the body. Thus, he treated diseases using three methods, namely, vomiting against miasma on the top, sweating against miasma on the surface, and diarrhea against miasma on the bottom. Among them, vomiting is rarely used in contemporary Oriental medicine, but still one of major disease treatment methods. Vomiting is quite meaningful in today’s clinics and particularly effective for acute diseases, the miasma of which is in the upper chest. According to the present researcher’s experiences, it is effective in cases that the pathological symptoms are observed in the upper chest such as early stroke, dyspepsia, chest congestion and congestion heat. For vomiting, the researcher applied Dokseongsan, Samseongsan, Gwachesan, Gangyeomtang, Bangpungtongseongsan, etc. Dokseongsan was used for vomiting in a cool way, and Samseongsan and Gwachesan were used for vomiting in a warm way. Bangpungtongseongsan was used when inner heat was choked up by the attack of external miasma and when the pathological symptoms of Bangpungtongseongsan were observed.

      • 내적 법정에서의 성품 관련 무자격(Irregularitas) 및 장애(Impedimentum)에 관한 소고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8 이성과 신앙 Vol.65 No.-

        본 연구는 내적 법정에서 이루어지는 성품 관련 무자격/장애에 관련된 내용을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성직후보자가 성품을 받기에 무자격/장애’가 되는 경우와 ‘성품을 이미 받은 성직자가 성품을 행사하기에 무자격/장애’가 되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이 규정이 탄생하게 된 배경을 간략히 살펴보았으며 현행법전에서 어떻게 변화했고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무자격자가 된 경우 관할권자(직권자, 상급 장상 혹은 사도좌)의 관면을 요청받아야 관련 규정이 종지되며, 장애에 처한 경우 장애의 요인을 제거하면 관할권자의 관면 없이 관련 규정이 종지된다. 또한 고해사제는 철저히 죄를 용서해 주는 성사적 권한이 있을 뿐, 법적으로 통치권을 가질 수 없기에, 이와 같은 무자격과 장애에 처한 이들을 위해 관할권자의 관면을 청하는 탄원서를 작성해 주어야 하고, 장애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주어야 한다. 또한 신학교에서도 신학생과 양성자들에게 철저한 교육과 식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treated the content of Irregularity/impediment related to the character to be made in the internal forum. Specifically, we looked at cases that the candidate for ministry is irregular for and impeded from receiving orders, and cases that the priest who has already received orders is irregular for and impeded from the exercise of orders. I briefly reviewed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his regulation, and examined how it changed and applied in the 1983 canon law. In the event of becoming an irregular person, the relevant provisions shall be terminated by a dispensation of the competent (ordinary or Holy See). And in the event of becoming an impeded person, through removing of some impeded element, the relevant provisions shall be terminated without a dispensation of the competent In addition, the confessor just has a sacramental faculty to forgive the sins, and because he can not have legal jurisdiction, he has to write a petition to appeal to the jurisdictions for that who is a irregular or impeded person. In addition, education and discrimination should be done for seminarist in the seminary.

      • 가톨릭교회 내 여성 부제에 대한 역사적 접근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1 이성과 신앙 Vol.70 No.-

        본 연구는 2016년 5월 12일 여자 수도회 장상 연합회 모임 때 ‘여성 부제직’이라는 주제를 연구하기 위한 위원회를 설치하겠다는 교황 프란치스코의 약속에 대해 ‘과거 교회 내 여성 부제는 존재하였을까? 그리고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을까?’라는 물음에서 출발한다. 과거 교회 안에서 여성의 지도자 역할에 대해 상당한 다양성을 지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여성을 안수하는 전례가 교회 안에 존재하였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구약성경에서 비롯된 정결법(레위 12,1-5)이 점차적으로 우선시 되면서, 그리고 ‘ordinatio’라는 용어의 의미가 변화되며 당시 여성 ‘diakonos’라는 직책은 성직자와 같은 품계에서 제외되었다. 교회 안에서 여성 부제가 존재하였고 교회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사실을 통해 본 연구의 열매라 여기며, 본 연구가 현재 여성을 대하는 교회의 태도에 대한 새로운 변화와 시선을 제공할 것이다. We started with a question of ‘female diaconate’ at the meeting of International Union of the Women's Superiors General on May 12, 2016. “Have there been female deacons in the past? And what role did she play?” Through this study it is knowable that there was considerable diversity of women's leadership in the church of the past and a liturgy for ordination of women existed in the church. However the female deacon was faded in the history because chastity law of the Old Testament (Leviticus 12:1-5) gradually took precedence and for a reason that the meaning of the term “ordinatio” changed, the female “diakonos” at that time was excluded from the orders of priests. Through the fact that female deacon existed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hurch, this study will provide new changes and perspectives on the church's attitude toward women.

      • 『사랑의 기쁨』에서 제시한 혼인문제에 관한 사목적 접근과 한국교회의 수용 가능성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7 이성과 신앙 Vol.63 No.-

        본 연구는 『사랑의 기쁨』이 전하는 혼인문제에 대해 교회는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 또 어떠한 사목적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논자는 『사랑의 기쁨』이 전하는 혼인과 가정에 대한 교회의 문제점들 크게 세 가지, 1) 교회의 이상주의가 만들어낸 이혼에 대한 인식문제, 2) 고질적이고 끊임없는 이혼에 대한 배척문화, 3) 모든 문제에 있어 최초로 윤리적-규범적 기준에 따라 판단하려는 습성 등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제는 세계교회만의 문제가 아닌 한국교회 역시 안고 있는 문제들이며, 이와 함께 어려운 혼인 현실에 있는 이들에 대한 신자들의 전체적인 무관심이 큰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한 해법을 『사랑의 기쁨』 역시 고민하였고 문헌은 어려운 혼인현실에 있는 이들에게 존재하는 ‘약함(fragilitas)’에 대해 주목한다. 그들의 약함에 교회가 ‘동감-동반-식별-통합’이라는 사랑과 자비의 원리로 다가가야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국교회는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할 것인가? 논자는 세 가지 실마리를 제시하였다. 1) 적극적인 사목조사-최근 혼인무효소송의 간소화 가능성이 열리게 됨에 따라 혼인무효소송 기간도 짧아질 수 있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교황은 사목조사 실시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셨다. 소공동체를 운영하고 있는 대부분의 한국교회의 여건에는 긍정적이다. 또한 서울대교구 가정사목부에서 마련한 ‘혼인장애체크프로그램’을 통해, 인터넷이 되는 곳이면 어디든 혼인장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또한 교회가 어려운 혼인현실, 특히 파경에 이른 이들에 대한 회복 및 돌봄 프로그램도 마련하여야 한다. 2) 내적법정에 대한 명확한 매뉴얼 필요-내적 법정도 외적 형식을 갖추어 식별을 위한 매뉴얼을 제공함으로써, 당사자의 상황에 대해 사목자의 진단이 이루어지고, 나아가 진정한 참회와 교회참여가능성까지 살펴볼 수 있다. 매뉴얼에 대한 시칠리아 주교회의에서 제시한 사목지침을 참조하였다. 3) 한국교회의 통합 문제-고해사제가 죄를 사해 줄 수 없는 상황이 있더라도 그들에게 축복을 해줄 수 있으며 이들에게는 분명 하느님의 은총과 보호를 간청할 권리(준성사)가 있다. 또한 사목자와의 사목면담을 통해 이들이 교회 생활에 대한 온전한 참여를 방해하는 요소들을 찾아주어야 하며, 또한 당사자들의 용기 역시 필요하다. 그리고 한국교회의 노력만이 아니라 한국사회에서도 어려운 혼인현실에 있는 이들의 보호를 위해 입법절차도 고려해볼 사안이다. In this study, we looked for what attitude the Catholic Church should take and what kind of direction and alternatives it offers in relation to the marriage’s issue of Amoris laetitia. First of all, we divided the problems of the Catholic Church on marriage and family by Amoris laetitia into three categories. 1) a problem of the prejudice created by the church’s idealism 2) a obstinate culture of rejection on the divorce 3) a custom of judging according to ethical-normative standards in all matters. these problems are the problems of all Catholic Church, specially in the Korean Church has another big problem of indifference of the believers to the marriage’s issue in the Church. Apostolic Exhortation Amoris laetitia focuses on the “fragility” that exist in those families who are in difficult reality. the Church must approach the principle of love and compassion the has fellow-feeling, accompany their fragility, also discern their various situations, in order to integrate them in the Church. How does the Korean Church understand and accept this? We presented three proposals. 1) active pastoral investigation 2) the necessity of a clear manual on the internal forum 3) the problem to integrate in the Korean Church.

      • 『사제성소의 선물』에서 말하는 사제 양성의 기초와 여정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0 이성과 신앙 Vol.68 No.-

        This study examined the basis, contents, methods, and journey of Priestly Form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Ratio Fundamentalis Institutionis Sacerdotalis’(Pastores dabo vobis in 1992 and The Gift of the priestly vocation in 2016). The basis and purpose of Priestly Formation cannot be changed(Priestly Identity), but the time has passed and the subject of Formation has also changed. Therefore the changed content and method for them are necessary. In the past, the values ​​of priestly cultivation were made in a uniform and group-oriented manner at the institutional level, but in the present, internalizing and integrating journey for interior life is important and special methods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circumstance of the seminarians are required. Through the concept of ‘accompaniment’ emphasized by Pope Francis, The Gift of the priestly vocation mentioned the necessity of personal and community’s accompaniment. Lastly, we looked at process of Priestly Formation and examined the points to underline in this present document. 본 연구는 사제양성의 기본지침인 두 문헌 1992년 『현대 사제 양성』과 2016년 『사제성소의 선물』의 비교분석을 통해 변화된 사제양성의 기초와 내용, 방법, 그리고 그 여정을 살펴본다. 사제양성의 기초와 목적은 변화될 수 없지만, 시대가 변하고 양성의 대상도 변하였고, 그에 맞는 사제양성의 내용과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과거 제도적 차원에서 집단 위주로, 획일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 사제양성인 반면, 현재 내적 여정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신학생들의 개별적인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이 요구된다. 문헌은 교황 프란치스코가 강조한 개념인 ‘동반’을 사제양성의 키워드로 설정하고 신학생들에게도 개인 동반, 공동체 동반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사제성소의 선물』이 말하는 사제양성의 여정을 살펴보며 과거 지침과 차이점을 밝히고 무엇이 강조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세계주교시노드 규정에서 드러난 교회의 식별 자세 : 교황령 「주교들의 친교(Episcopalis Communio)」를 중심으로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0 이성과 신앙 Vol.68 No.-

        This study includes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few regulations which governs the Synod of bishops (「Apostolica sollicitudo」 in 1965, 「Codex Iuris Canonici」 in 1983, and Ordo Sinodo Episcoporum in 2006), and Apostolic Costitution 「Episcopalis Communio」 in 2018. The author analyses the theological and canonical meaning of the apostolic Constitution, starting from its title and its main elements: the function and nature of the Synod of bishops, the typology of synodal assemblies, the daily running and role of the general secretariat of the synod, etc. The author picks out some valuable values: authoritative decision and consensus that results from the communion and correspondence of the Bishops, synergies and considered discernments were appeared when the church walks with God’s people, a principle of the discernment that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Bishop’s. Furthermore, The author hopes that these values ​​in Korean Church are actually realized. 본 연구는 주교시노드과 관련된 여러 규정들(1965년 「사도적 염려(Apostolica sollicitudo)」 , 1983년 「교회법전(Codex Iuris Canonici)」, 2006년 주교시노드 정관인 「Ordo Sinodo Episcoporum」)과 2018년 입법된 교황령 「주교들의 친교(Episcopalis Communio)」를 비교 분석하여 주교시노드의 변화된 법률들과 입법 의도, 그리고 새로운 목적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소중한 가치들, 즉 주교들의 친교와 일치에서 나오는 권위 있는 결정과 합의, 교회가 하느님 백성과 함께 걸어갈 때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와 견고한 식별, 주교시노드의 과정에서 드러난 식별의 원리(‘인식하기[준비단계]’ - ‘해석하기[거행 단계]’ - ‘선택하기[투표 및 최종문서 승인]’), 온전한 식별 과정을 위해 필요한 경청-겸손-대화의 자세, 주교시노드라는 곳은 하나의 배움의 장이 된다는 점 등 발견하였다. 나아가 한국교회 내에서 이러한 가치들이 구체적으로 실현되기를 희망해 본다.

      • 가톨릭교회의 순명과 자유에 관한 교회법적 고찰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8 이성과 신앙 Vol.64 No.-

        본 연구는 과거 1917년 교회법전과 1983년에 개정된 현행법전을 비교분석하며 공의회의 친교의 교회론과 신학적 인간학, 종교자유선언, 그리고 보조성의 원리 등을 토대로 교회가 과거 권위주의적 입장에서 벗어나려는 노력들을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이 과연 한국 교회에서 제대로 수용되고 있는가? 생략할 수 없는 자유와 순명, 이 두 가지의 가치를 토대로 살펴보았다. 모든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세례를 통해 그리스도와 결합되어 새롭게 탄생된다. 그래서 신자 개개인의 존엄성이 그리스도로 인해 격상되고, 당연히 자유와 평등이라는 신자의 권리가 주어진다. 신자는 세례를 통해 자유로운 존재가 되지만 교회의 구성원으로써 순명의 의무가 주어진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가치가 상호의존적이며 균형을 이룰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개인의 자유가 공동체의 기준을 넘어설 수도 있으며, 공동체의 권위가 개인을 짓누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어려움에 대해 현행법전은 보조성의 원리를 적용하여 교회권위자 단독의 결정이 아닌 권위자의 자문기관들을 이용해 공동합의, 공동결정을 이끌어내는 제도를 명시한다. 뿐만 아니라 필자는 교회로 인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중재 조정 위원회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회권위자들이 자신들에게 주어진 고유한 권한이 권력이 아닌 봉사를 위한 요소임을 인지하고 편중된 구조 속에 이루어지는 독단적 선택이 아닌 개방된 구조 속에 공유하고 대화하는 선택일 때, 모든 교회 구성원들에게 능동적이며 자발적인 순명을 이끌어낼 거라 확신한다. This study found to examine two precious values of catholic church, liberty and obedienc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1917 Canon Law and the revised Canon Law of 1983. we could know that church is based on the ecclesiology of the Council,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the Declaration of Religious liberty and tried to escape from the past authoritarianism. However, is this trend well landed in Korean churches? All Christian believers are baptized and reunited with Christ. Thus, the dignity of individual believers is elevated by Christ, and of course believers' rights, liberty and equality, are given. The believer becomes free through baptism, but is obliged to be obedient as the member of the church. This study found that these two values ​​are interdependent and need to be balanced. Individual liberty may go beyond the standards of the community, and the authority of the community may overwhelm the individual. For this difficulty, the current law uses the Subsidiarity Principle to specify a system for collective consensus and joint decision through the advisory organization of authorities rather than a single decision of the church authority. The present writer also mentioned the need for an arbitration committee to compensate for losses from the church. Most importantly, when church authorities recognize that their own authority is not the power but the factor for service and when they choose to share and communicate within an open structure, rather than an single choice in a biased structure, the writer is sure that it will lead to active and voluntary obedience.

      • 교황령 「복음을 선포하여라(Praedicate Evangelium)」에 따른 교황청개혁에 관한 연구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2 이성과 신앙 Vol.73 No.-

        2022년 3월 19일 성 요셉 대축일에 프란치스코 교황은 교황청과 교황청의 교회와 세상에 대한 봉사에 관한 교황령 「복음을 선포하여라」를 공포하였다. 교황령 서문에서 교황령의 목적을 밝히고 있는데 “오늘날 교황청이 수행하는 봉사가 무엇보다도 교회가 이 시대에 걷고 있는 복음화의 여정과 더욱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교황령과 비교분석을 통해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그리고 어떠한 시대적 요청과 입법 의도가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는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룩한 여러 가지 변화들 중에 하나로 교황을 보필하는 기관의 개혁 역시 본연의 정체성을 찾고, 교회가 지닌 분명한 사명을 밝히고 증진하기 위한 노력들 중에 하나임을 밝히는 바이다. On March 19, 2022, the Solemnity of St. Joseph, Pope Francis promulgated the apostolic constitution Praedicate Evangelium (PE) on the Roman curia and its service to the Church in today’s world. The Preamble reveals Pope Francis’ purpose, “to better harmonize the present-day exercise of the curia’s service with the path of evangelization the Church is living at this tim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gislator's intention to revis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past norms. This is one of the many changes that Pope Francis has made, and the reform of the institution that supports the Pope is also one of the efforts to find the original identity and to clarify and promote the clear mission of the Church.

      • 한국교회 내 발생 가능한 혼인장애에 대한 체크 프로그램 연구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9 이성과 신앙 Vol.67 No.-

        프란치스코 교황은 사도적 권고 『사랑의 기쁨』에서 교회가 혼인을 지나치게 추상적이고 인위적이며 신학적인 개념으로 만들어, 실제 가정의 구체적 상황과 현실적 가능성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어려운 혼인현실에 있는 이들을 단지 이상적 교회 가르침에 끼워 맞추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상황으로 바라보고 그에 따른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좀 더 쉽고 용이한 접근을 모색해 보았다. 한국교회 내에서 발생 가능한 혼인장애들을 살펴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그래서 누구나 쉽게 인터넷이 되는 곳이면 어디서든 각자의 혼인현실을 진단해 볼 수 있는 혼인장애 체크 프로그램을 각 본당 봉사자들이 활용하여 어려운 이웃들을 찾아가며 동반해주는 역할이 되길 희망한다. Pope Francis points out in the apostolic exhortation, 『Amoris laetitia』, that the church has made marriage too abstract, artificial, and theological, thus failing to approach the concrete circumstances and positive possibilities of the real family. It is not just fitting the ideals of the church to those in difficult marriage reality, but to seeing them in a realistic and concrete situation and requiring action. We tried to find an easier and easier approach. A computer program was created to examine possible impediments to marriage in Korean churches. Therefore, I hope that the parish volunteers will visit and accompany difficult neighbors by using ‘check program for impediments to marriage’ where anyone can easily diagnose their marital reality wherever there is cyber space.

      • ‘시노달리타스’ 실현을 위한 한국 사회와 교회의 현실, 그리고 전망: 본당 공동체를 중심으로

        김의태(Kim, Eui-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2 이성과 신앙 Vol.72 No.-

        본 연구는 ‘한국교회가 왜 시노달리타스에 대해 공감하지 못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사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세계주교시노드 제정 50주년 기념 연설을 통해 시노달리타스의 필요성이 절실해졌지만, 한국 사회와 교회 안에 스며든 장애요인들로 인한 시노달리타스의 실현에 진통을 겪고 있다. 특별히 한국의 민주주의와 정당정치의 한계, 한국의 전통문화와 현대문화와의 충돌, 소통 방식에 대한 충돌, 성직자 중심주의로 인한 위기, 코로나로 인한 신앙생활의 변화 등 공감대 형성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시노달리타스의 실현을 위한 변화의 실마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변화의 열망이 시대적 요구라는 점, 본당신부가 모든 문제에 있어 정답을 알 수 없다는 인식과 솔직한 피드백이 가능한 환경 조성, 장기적이며 주기적인 본당 시노드, 평신도들이 본당신부뿐만 아니라 주교님과 함께 하는 상호 양성프로그램을 제안해 본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Why can't the Korean church sympathize with synodality?' First of all, the synodality is highlighted by Pope Francis' speech commemo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ynod of Bishops. But there are the obstacles against the realization of synodality in Korea. In particular, the limits of democracy and political parties in Korea, conflict between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culture in Korea, problem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crises caused by clericalism, and changes in Pendemic. Therefore, I would like to present the prospect for the realization of synodality: 1) the fact that the desire for change in democracy in Korea is the demand of the times 2) the recognition that the cleric can’t answer to all pastoral problems 3) the make an environment where opportune feedback is possible 4) periodic and permanent parochial synod 5) the mutual formation program with the bishop and the lay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