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시말하기 검사에서 나타난 읽기부진 학생과 일반 학생의 이야기글 읽기이해 특성

        김의정(Ui Jung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7 言語治療硏究 Vol.26 No.3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reading comprehension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text in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SRD) and typically developing students (TDS) measured by the retelling test. Methods: The retelling test,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story elements (character, time and place, problem/initiating event, a series of events, resolution), was administered to 51 students including 32 second graders (15 SRD, 17 TDS) and 19 fourth graders (8 SRD, 11 TDS). A two-way ANOVA tes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grades and groups. The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story elements was calculated to identify the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of each story element.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between second and fourth graders and between SRD and TDS. The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score of second graders was lower than that of fourth graders, and the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score of SRD was lower than that of TDS. Second, the analysis of the story elements indicated that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ere observed in the character, followed by problem/initiating event, resolution, a series of events, and time and place. Furthermore, a low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o entire story elements were observed in second graders and SRD compared to that of fourth graders and TDS. Conclusions: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ades and group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still low in most of the story elements regardless of grades and groups. Understanding story elements helps reading comprehension; therefore, instruction in the structure of narrative texts is needed.

      • KCI등재후보

        The Effects of Milieu Teaching Procedures on the Spoken Language of Children with Autism

        김의정(Ui Jung Kim),최혜승(Hye Sung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3

        본 연구는 환경요법이 자폐아동의 구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구어발달의 초기단계에 있는 세 명의 자폐 아동이었다. 실험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가 사용되었다. 환경요법을 실시한 결과, 모든 참여자들은 습득한 언어기술을 그들의 담임교사와 보조교사에게 일반화 하였고 중재가 끝난 이후에도 그들의 언어기술이 유지되었다. 모든 참여자가 목표한 언어를 자발적으로 사용하는 횟수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이후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ilieu teaching procedures on the spoken language of three children with autism. Participants were in the early stage of spoken language development.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ilieu teaching procedures and early functional spoken language. Results indicated that all participants acquired their language targets upon the implementation of milieu teaching procedures. The participants generalized the use of the acquired language skills to their teacher or teaching assistant and maintained their target language skills after the intervention was discontinued. Increases in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use of language targets also were observed in all participants, especially in two of the thre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present study, limitations,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읽기 어려움의 이질성 연구

        애화(Kim, Ae-Hwa),김의정(Kim, Ui-Jung),재철(Kim, Jae-Chul)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어려움의 이질성을 살펴보고자 함에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 지능’ 여부와 ‘읽기 하위 영역 중 어떠한 영역에서의 어려움’을 지녔는지 여부에 따라 읽기 어려움을 지닌 6개 집단과 일반학생 2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이 집단들 간 읽기 성취도와 인지처리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306명 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성취도(단어인지, 읽기이해) 평가와 인지처리(음운인식, 음운기억, 빠른 자동이름대기, 어휘, 듣기이해, 문장따라말하기, 동작성 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은 주요 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정상 지능이면서 일반학생인 G집단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읽기 어려움을 지닌 학생의 출현율은 다음과 같다. 저학년의 경우, 정상 지능이면서 단어인지만 어려움이 있는 A집단의 출현율이 가장 높고, 정상 지능이면서 단어인지와 읽기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B집단과 경계선 지능이면서 단어인지와 읽기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E집단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고학년의 경우, 정상 지능이면서 읽기이해만 어려움이 있는 C집단의 출현율이 가장 높고, 경계선 지능이면서 단어인지와 읽기이해에 어려움이 있는 E집단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 성취도 및 대부분의 인지처리 평가 결과에서 단어인지와 읽기이해 모두에 어려움을 보이는 B집단과 E집단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셋째, 단어인지와 읽기이해에 모두 어려움을 보이는 B집단과 E 집단은 모든 인지처리 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특히 음운인식, 어휘, 문장따라말하기에서 특히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읽기이해만 문제를 지닌 C 집단과 F 집단은 듣기이해에서 낮은 수행을 보인 반면, 음인인식, 음운기억, 빠른자동이름대기에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수행을 보였다. 넷째, 경계선 지능에 따른 집단 간에는 모든 인지처리 검사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terogeneity of reading difficulties. Specifically, the study was divided into six groups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and two groups of general students according to intelligence(normal v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ifficulties in the subareas of reading. Then the differences in reading achievement and cognitive processing characteristics among these groups were compared. Method: For this purpose 306 students from grades 1 through 6 were evaluated for reading achievements(word recognition, reading comprehension and cognitive processing abilities(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rapid naming vocabulary listening comprehension sentence repetition mobility intelligence). Result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main results: First, the ratio of G-group who includes general students with normal intelligence was the highest. The prevalence of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reading is as follows: In the lower grades, the A-group who has normal intelligence and difficulty in word recognition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rate, and then the B-group who has normal intelligence and difficulties in both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he E-group who ha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ifficulties in both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order. In the upper grades, the C-group who has normal intelligence and difficulty in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the highest prevalence rate, and the E-group who ha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ifficulties in both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followed by. Second, the scores of B-group and E-group showing difficulty in both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both reading achievements and most of the cognitive process assessments. Third, B-group and E-group showing difficulty in both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received low scores in all cognitive process assessments, particularly in phonological awareness, vocabulary, and sentence repetition. C-Group and F-group with only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showed a low performance in listening comprehension, while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rapid naming showed relatively good performance.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cognitive process assessments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boundary intelligence. Conclusions: Summary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on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읽기 성취 및 읽기 심리처리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애화(Ae Hwa Kim),김의정(Ui Jung Kim),유현실(Hyun Sil Yoo),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3

        배경 및 목적: 언어의 투명도와 상관없이 다양한 언어권에서 읽기 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이 비슷하게 보고되었다. 국내 연구들에서도 지난 10여년 간 읽기 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을 밝히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져 왔고, 여러 읽기 검사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읽기의 다양한 영역(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별 읽기 성취도와 각 읽기 영역의 기저에 관여하는 심리처리를 전반적으로 평가하는 데는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읽기 영역별 성취도와 심리처리를 기반으로 읽기 검사를 개발한 후, 읽기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외 이론적 근거 및 예비 검사를 통해 읽기 성취도와 읽기 심리처리로 구성된 읽기 검사를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1학년∼초등학교 6학년 총 511명을 대상으로 표준화 검사를 실시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읽기 검사의 신뢰도를 문항내적합치도와 측정의 표준오차를 통해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소검사와 영역 척도의 문항내적합치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소검사와 영역 척도의 측정의 표준오차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본 읽기 검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읽기 검사의 내용타당도는 국내외 선행문헌 및 검사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인타당도와 관련하여서는 본 읽기 검사가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구성된 것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고,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심리처리 변인은 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는 KISE 기초학력검사의 음독과 본 읽기 검사의 단어인지 영역 간 상관과 KISE 기초학력검사의 짧은 글 이해와 본 읽기 검사의 읽기영역 간 상관을 통해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읽기 검사는 표준화된 검사로써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고, 읽기장애 진단을 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Regardless of language and orthography, similar variables that predict reading achievement have been identified. In the past 10 years,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variables that predict reading achievement and have developed reading tests. However, there is no standardized reading test that measures reading achievement in three areas of reading (i.e.,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well as the psychological process variables underlying reading achievement in these area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ading test that measures reading achievement and psychological processes in these three areas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rough extensive literature and existing test review with a preliminary study, a reading test consisting of reading achievement and psychological processes was developed. Standardization testing was conducted with 511 students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The results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the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Specifically, the results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a low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The results of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demonstrated satisfactory validity. Content validity was obtained by a literature review and related test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independent reading areas. Psychological process variables underlying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garding concurrent validit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word recognition subtest and the KISE BAAT decoding subtest and between the reading comprehension subtest and the KISE BAAT comprehension subtest. Discussion & Conclusions: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value of the test in identifying students’ instructional needs and serving as a diagnostic test for reading disabilities. Results were summarized and the study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이야기 지도 전략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애화 ( Ae Hwa Kim ),김의정 ( Ui Jung Kim ),강은영 ( Eun Young K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지도 전략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세 명의 읽기장애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중재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A-B 설계를 세 참여자에게 반복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중재의 실시와 함께 모든 참여자의 읽기이해 성취도가 기초선에 비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유지기간 동안 모든 참여자의 읽기이해 성취도가 중재단계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중재기간에 습득한 읽기이해 성취도 평가 점수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야기 지도 전략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읽기이해 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의 요약 및 연구 결과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tory map strategy instruc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three 3rd grad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ho were enrolled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AB design was repeatedly employed across thre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all three participants’ reading comprehension average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up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Furthermore, the reading comprehension average scores during the maintenance were close to those of the intervention phase. These findings provided evidence that the story map strategy instruction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단어인지와 읽기유창성에 대한 예측변인 연구

        애화 ( Ae Hwa Kim ),김의정 ( Ui Jung Kim ),유현실 ( Hyun Sil Yoo ),황민아 ( Min A Hwang ),박성희 ( Sung Hee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읽기의 주요 요소인 단어인지와 읽기유창성 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충청남도 지역 내 초등학교 1∼6학년에 재학 중인 총 511명(1학년 91명; 2학년 77명; 3학년 89명; 4학년 83명; 5학년 86명; 6학년 8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단어인지 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으로는 지능, 음운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자음이름, 자모소리, 단기기억, 작동기억, 어휘, 문장 따라 말하기, 듣기이해, 표기처리가 포함되었으며, 읽기유창성 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으로는 앞에 언급한 변인들을 비롯하여 단어인지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어인지 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할 때, 4학년을 제외한 모든 학년에서 단기기억이, 2, 3, 6 학년에서 빠른 자동 이름대기가, 1, 3 학년에서 표기처리가, 4, 5학년에서 자모소리가 유의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읽기유창성을 종속변인으로 할 때, 모든 학년에서 빠른 자동 이름대기와 단어인지가, 2, 3, 4학년에서 어휘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In this study, variables that predict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fluency, which are the major components of reading, were examined for a sample of 511 first through sixth graders(91 first graders, 77 second graders, 89 third graders, 83 forth graders, 86 fifth graders, 85 sixth grader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the areas of Gyeonggido and Chungcheonnamdo. The predictor variables included for word recognition were intelligence,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letter naming, letter name, letter sound, short-term memory, working memory, vocabulary, sentence repetition, listening comprehension, and orthographic processing. The predictor variables included for reading fluency were word recognition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 short-term memory for all except for fourth grade, rapid letter naming for second, third, and sixth grades, orthographic processing for first and third grades, and letter sound for forth and fifth grades were important variables contributing to word recognition. Second, rapid letter naming and word recognition for all grades and vocabulary for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s were important variables contributing to reading fluency. The summary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study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1, 3, 5학년 학생의 읽기이해 특성 연구: 상위 읽기이해 처리 특성을 중심으로

        애화 ( Ae Hwa Kim ),김의정 ( Ui Jung Kim ),성소연 ( So Yeon S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 3, 5학년 학생의 읽기이해 특성을 상위 읽기이해 처리 특성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가지 대표적인 글의 유형(이야기글, 설명글)에 따른 글의 구조에 관한 지식과 추론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읽기이해 검사를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1, 3, 5학년에 재학 중인 18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읽기이해 성취도 분석 결과, 이야기글의 경우, 읽기이해 성취도에서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설명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글의 유형별로 글의 구조에 관한 읽기이해 성취도 분석 결과, 이야기글의 경우, 이야기 문법 요소 중 인물에 관한 읽기이해 성취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목적 또는 문제, 발단, 사건, 배경 순으로 나타났다. 설명글의 경우, 중심내용에 관한 읽기이해 성취도가 세부 내용에 관한 읽기이해 성취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글의 유형별로 추론에 관한 읽기이해 성취도 분석 결과, 이야기글과 설명글 모두에서 사실적 이해에 비해 추론 읽기이해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In this study, reading comprehension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on higher-order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es, of 1st, 3rd, and 5thgraders were examined.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a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test was developed to test knowledge of text structures and inference making abilities for the two basic types of texts, narrative and expository. This test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180 1st, 3rd, and 5thgrader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of narrative text among grade levels,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reading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 Second, the results on knowledge of text structures of two types of texts indicat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in characters was the highest for narrative text, and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in main ideas was higher than that of details for expository text. Third, the results on inference making abilities of two types of texts indicat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in literal questions was higher than that of text-based inferential questions and evaluative inferential questions for both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The summary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의 대상자로서의 난독증: 읽기 및 쓰기 영역에서의 이질성

        애화(Ae Hwa Kim),김의정(Ui Jung Kim)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외의 공신력 있는 난독증 관련 단체의 정의, 미국의 난독증 법의 정의 및 국내 난독증 관련 조례의 정의를 분석하여 난독증 정의에 공통적으로 포함된 난독증의 핵심 교육적 특성과 이차적인 교육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국내 초등학교 읽기 및 쓰기 부진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및 쓰기 평가를 실시하여 난독증의 핵심 특성과 이차적 특성을 보이는 출현율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첫 번째 연구목적을 위해 국외 난독증 관련 단체에서 제시한 난독증 정의, 미국의 난독증 법적 정의, 그리고 국내 난독증 관련 조례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목적을 위해 국내 초등학교 읽기 및 쓰기 부진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읽기 및 쓰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독증의 핵심 교육적 특성은 단어인지와 철자에서의 현저한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학년의 경우, 읽기 및 쓰기 부진학생의 34%가 난독증의 핵심 교육적 특성인 단어인지와 철자에서의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들 34% 중의 30%의 학생이 단어인지와 철자뿐만 아니라 읽기이해 등 이차적인 읽기 및 쓰기에서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종합해보면, 난독증의 핵심 특성인 단어인지와 철자에서의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 이차적인 어려움의 여부와 상관없이 난독증으로 진단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읽기 및 쓰기 부진학생의 경우, 단어인지와 철자에서의 어려움 외에 이차적인 읽기 및 쓰기에서의 어려움을 동반하기 때문에 학생의 교육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별적 지원을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dyslexia by analyzing common elements of the definitions by credible international dyslexia-related organizations, dyslexia laws in the United States and dyslexia-related regulations in Korea. Second, reading and writing assessments were conducted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low-achieving in the areas of reading and writing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characteristics of dyslexia among them. Method: For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the definitions by dyslexia-related organizations abroad, legal definitions of dyslexia in the United States, and regulations related to dyslexia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reading and writing assessments were conducted on 2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poor reading and writing achievements. Result: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imary educational characteristic of dyslexia was significant difficulty in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Second, in all grades, 34% of students with poor reading and writing showed difficulty in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Third, it was found that 30% of these students had difficulty in secondary reading and writing areas, such as reading comprehension besides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difficulties. Conclusion: To summarizei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the diagnosis of dyslexia is valid regardless of secondary reading and writing difficulties if difficulties in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which is the primary characteristic of dyslexia, are shown. Nevertheless, most of the students with poor reading and writing achievements showed secondary difficulties in reading and writing areas other than word recognition and spell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dividualized support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애화(Ae Hwa Kim),유현실(Hyun Sil Yoo),황민아(Mina Hwang),김의정(Ui Jung Kim),고성룡(Sung Ryong Koh)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읽기이해는 읽기의 궁극적인 목적이며, 미국을 중심으로 읽기이해 능력을 예측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그에 비해 국내에서는 단어인지에 대한 예측변인에 대한 연구는 발표된 반면, 읽기이해에 대한 예측변인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읽기이해 능력에 대한 예측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학년~초등학교 6학년 총 511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자모이름, 자모소리, 단기기억, 작동기억, 어휘, 문장 따라 말하기, 듣기이해,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등의 예측변인 검사와 읽기이해 종속변인 검사를 실시한 후, 학년별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을 탐색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이해질문 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할 때, 4학년을 제외한 모든 학년에서 듣기이해가, 1, 2학년에서 문장 따라 말하기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근거 읽기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할 때, 어휘가 초등학교 2, 5, 6학년에서 읽기이해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는 읽기이해 검사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듣기이해와 어휘가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357-380. Background & Objectives: Reading comprehension is the ultimate goal of reading; therefore,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omparatively, a large number of studies examining the predictive factors for word recognition have been published. However, a limited number of studies examining the predictive factors for reading comprehension are available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s for reading comprehension outcom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each grade level. Methods: In the present study, the predictive factor test including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letter naming, letter knowledge, letter-sound knowledge, short-term memory, working memory, vocabulary, sentence repetition, listening comprehension, word recognition, reading fluency and the reading comprehension dependent variable test were administered to a total of 511 first- through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predictive factors for reading comprehension outcomes for students in each grade level. Results: Listening comprehension was an important predictive factor for all grades except for the fourth grade, and sentence repetition was an important predictive factor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children when the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 test was a dependent variable. Second, vocabulary was the important predictive factor for the second, fifth, and sixth graders when the curriculum-based reading test was a dependent variable. Discussion & Conclusion: To summariz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vocabulary were th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for reading comprehension, although the results showed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 summary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further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357-38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