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멘토링경험이 스포츠자신감과 스포츠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윤경(Kim, Yun-Kyeong),황향희(Hwang, Hyang-Hee) 한국체육과학회 2013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No.6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effects of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mentoring experience on sports confidence and sports commitment. emphasize necessaries for mentor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and psychological cultivation. Through this research,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obtained. To achieve the purposes, this research targeted on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registered to Korean Taekwondo Association in 2013 as parent population and selected total 400 players wit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fter the survey, 30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Through this research,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obtained. First, mentoring experience made positive effects between sports confidence variables. Second, mentoring experience made positive effects between sports commitment variables. Third,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sports confidence made positive effects between sports commitment variables.

      • KCI등재

        첨원(簷園) 정인보(鄭寅普)의 주체적 실심론(實心論)

        김윤경 ( Kim Yun-kyeong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8 No.-

        簷園 鄭寅普는 서구문화와 학문에 대한 무비판적 추종이 성행하던 시기에 그 누구보다도 주체적인 시각으로 국학을 연구했던 학자이다. 그는 난곡 이건방과 사승관계를 통해서 강화양명학의 주체적 사유, 즉 實心論을 이어받았고 虛假를 판별하는 實心이야말로 양명학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鄭寅普가 말하는 實心은 당시의 국가적 위기를 구원할 시대 정신을 넘어서 보편적인 철학 이념으로서 사람이라면 누구나 추구해야할 것이었다. 이런 점은 양명학의 간결하고 실천 중심적인 실용성을 시대정신으로 표방하는 당대의 다른 관점과 구별되는 것이다. 鄭寅普는 實心을 자기 자신을 속일 수 없는 ‘본밑 마음’이라고 하였으며 또한 다른 존재와 감응이라는 측면에서는 ‘얼’이라고 하였다. 그가 말하는 實心論의 핵심은 주체성 확립을 통해 한결같이 진실되고 조금의 거짓과 속임도 없는(一眞無假) 삶을 사는 것이다. 또 이런 삶의 과정은 개인에 국한되지 않고 만물과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며, 이때의 주체성도 우리로 느끼는 동계 혈족, 민중의 차원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인의 실심이 같은 혈족과 민중에게 애틋함으로 발현되고 이러한 感通을 통해 ‘민족의 얼’이라는 확장된 주체가 형성된다는 것이다. 그는 ‘민족의 얼’에 바탕을 두지 않는 학문연구는 모두 무의미하다고 보았다. 鄭寅普는 주체적 실심이 자기 학문의 宗旨이자 양명학의 핵심이라고 하면서도 스스로를 ‘양명학자’로 여기는 것을 경계하였다. 그는 주체 정신을 중시한 나머지, 주체성을 중시하는 학파라 할지라도 그 학파에 귀속되는 것 자체가 가져올 수 있는 주체성 훼손 문제도 간과할 수 없었던 것이다. Damwon Jeong In-bo is a scholar who was engaged in Korean studies from a more independent perspective than any others in a period in which pursuit of Western culture and academism was invogue without criticism. He inherited the subjective thought of Ganghwa Yang-ming studies, i.e., Sil-Sim-Ron ‘theory of substantial mind’ via his student-teacher relation with Nan-gok Lee Geon'bang, and claimed that the substantial mind that could distinguish void and falsity was the true core of Yang-ming studies. Sil-Sim ‘substantial mind,’ as is referred to by Jeong, was a universal philosophical idea beyond the contemporary Zeitgeist for saving the nation from a crisis, and any human being was supposed to pursue it. This is a different point that made his Sil-Sim Hon distinct from other contemporary viewpoints that advocated the compact and praaice-oriented utility of Yang-ming studies. Jeong In-bo defined Sil-Sim as Bon-Mit Maeum ‘mind in the base’ with which we could not deceive ourselves, and also as Eol ‘spirit’ on the side of the sympathy with other existences. The core of Sil-Sim-Ron as he claimed is to live a consistently truthful life without any falsity and deception at all via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lso, the process of such a life is carried out in relation with everything rather than limited to individuals, and the identity here can be extended to the dimensions of the cognate blood kinship and people that are felt as us. In other words, individuals' Sil-Sim is expressed as affection for the cognate kinsmen and people, and the extended subject, the ‘National Eol is formed via such an emotional comprehension. He believed that every academic research was meaningless if it was not based on the ‘National Eol. While claiming that the subjective Sil-Sim was the foundation of his scholarship and the core of Yang-ming studies , Jeong was alarmed not to consider himself as a ‘scholar of Yang-ming studies' He was so engaged in the importance of the subjective mind that he could not help overseeing the problem of compromising his identity due to his affiliation with a school even if the school put weight on identity.

      • KCI등재

        근대전환기 한국 유교의 성찰과 전망 - 우리철학 총서 집필내용을 중심으로 -

        김윤경 ( Kim Yun-kyeong ),홍정근 ( Hong Jung-geun ),이종란 ( Lee Jong-lan ),김현우 ( Kim Hyon-w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6

        본 논고는 조선대학교 우리철학연구소의 총서사업인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의 유교분야 중간 연구 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유교분야 연구는 ‘리(理)의 철학’, ‘심(心)의 철학’, ‘기(氣)의 철학’, ‘실(實)의 철학’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이론적 계승과 변용, 실천적 대응을 고찰하였다. 리(理)의 철학은 전통 성리학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했던 후기 호락논변(湖洛論辨)의 전개와 변용을 심도있게 검토하였다. 호락논변은 인간과 동물의 성(性)에 대한 이견에서 출발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양자의 종합을 지향하며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새로운 학설로 이어졌다. 심(心)의 철학은 조선의 대표적인 양명학자인 하곡학파의 후기 사상과 실천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후기 하곡학파의 사상은 개인수양을 넘어 사회비판론을 포함한 일진무가(一眞無假)의 실학(實學)으로 확장되어 1930년대 조선학(朝鮮學)운동을 주도하였다. 기(氣)의 철학에서는 양명학과 노장학을 매개로 서학을 수용하여 현실에 접목시킨 홍대용, 이규경, 최한기 등의 기 철학을 고찰하였다. 이들은 서양의 신(神)관념을 비판하고 전통적인 음양오행론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주체적이고 독창적인 기 철학을 수립했다. 실(實)의 철학에서는 현재 통용되는 ‘실학(實學)’ 개념의 형성과정을 고찰하고, 그 보다 상위 개념으로써 실의 철학을 분석하였다. ‘실학’이란 말은 『중용장구(中庸章句)ㆍ서(序)』에서 처음 언급되었고, 현재까지 4가지의 범주로 발전해 왔다. 본 논고에서는 그 중 근대시기 형성된 ‘실학’ 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이후 형성된 ‘실학’ 개념 속에 있는 맹목적 서구 수용관을 비판하고, 동시에 국가와 민족을 중시하는 새로운 실의 철학의 등장도 함께 고찰하였다. 본 논고는 근대전환기 전통 유교철학의 논리적 심화와 현실대응을 통섭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당대 유교지식인들의 철학적 고민과 대응은 현재 우리들의 삶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과거 전통의 몰락과 극복, 그리고 재구성의 문제는 현재까지도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우리 철학을 세워나가는데 중요한 선례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This thesis is a summary of the mid-results of the interim study, "Woori Philosophy, How do we study it?" of the Confucianism field of Woori Philosophy Institute, Chosun University. In the field of Confucianism, we studied the theoretical assumption, the change, and the practical question of each, by subdividing into ① the philosophy of Li(理), ② the philosophy of Sin(心), ③ the philosophy of Gi(氣), and ④ the philosophy of Sil(實). The philosophy of Li studied deeply about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late Ho-Rak theory(湖洛論辨)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in previous studies. The theory was originally born out of difference in perspectives on human and animal, but in the late period, it became a new theory that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wo, focusing on the synthesis of the two schools. We will continue to explore the modern values contained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Ho-Rak theory. The philosophy of Sim examined the later thought and practice of the Hagok school(霞谷學派) of the Yangming school(陽明學) of Joseon. The late Hogok school expanded the realist school(實學) included social criticism, and led the movement of Chosun Studies(朝鮮學) in the 1930s. In addition to the Hagok school, we also search for and sort out the modern Yangming scholars who have not been known. The philosophy of Gi studied philosophy such as Hong Dae-yong(洪大容), Lee Gyu-Gyeong(李圭景), and Choi Han-gi(崔漢綺), which received and accepted the West School(西學) which was valued as a heretic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 They denied the idea of worship in the West and the theory of traditional pentagram, and instead established a fundamental and philosophy of Gi. In this study, we will proceed with a deeper examination of the philosophy of Gi and its contemporary application. In the philosophy of Sil, we first clarifi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Silhak(實學) and the original Silhak(實學). Silhak have come out in Moderation(中庸) and do not simply mean science technology. In this study, we criticized the current "practice" or “reality” concept known only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plained the development of philosophy of Sil, which criticizing blind Western acceptance in modern times and giving priority to the nation and the people. we will examine the changes in the concept of Silhak and the view of the nation after the 1920s.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each field are different, but it is the same as that which emphasized Korea's subjective awakening and fulfillment in the modern period through the inheritance and change of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the philosophical works to deal with the actual change is very effective in modern times.

      • KCI등재

        정인보(鄭寅普)와 장병린(章炳麟)의 주체론 비교 - ‘저는 저로서 함’과 ‘의자불의타(依自不依他)’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윤경 ( Kim Yun-kye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2

        본 논고는 한국 근대 양명학과 조선학 운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정인보와 중국의 국학대사로 일컬어지는 장병린의 주체론을 비교분석하여 상호연관성을 검토하고 근대전통학문의 역할을 재조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정인보와 장병린의 주체론은 각각 ‘저는 저로서 함’과 ‘자기에게 의지하지 남에게 의지하지 않는다(依自不依他)’라는 명제로 집약되며, 이는 모두 자기는 자기답게 진정한 주체를 확립하고 주체다운 삶을 실현하자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두 명제의 취지가 동일하고 정인보가 장병린의 논설을 인용했다는 점에서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지만, 이런점을 가지고 정인보가 장병린 주체사상에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는 없다. ‘依自不依他’는 임시적인 幻我를 초월하여 無我를 증득함으로써 주체를 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혁명을 주도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비해 ‘저는 저로서’는 주체가 본심을 환기하고 불안이라는 도덕적 긴장 속에서 속일 수 없는 본심을 회복해나감으로써 주체를 확립하며, 민중의 감통을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 장병린은 진리를 체득하고 속세로 향한다는(回眞向俗) 기치 아래, 사회와 이념에 대한 절대적 망상을 깨뜨리고 그 실체 없음을 자각하면서 전통과 근대의 억압기제에 대항할 것을 주장한 반면, 정인보는 진리 체득과 속세지향(回眞向俗)도 자아의 주체성 없이는 무의미하고 목표가 없는 것이라 보고, 민중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느끼는 본심의 감화를 통해 민중의 복리라는 진정한 자립을 이루는 것이 급선무라고 보았다. 장병린과 정인보의 주체론이 전개되는 방식은 ‘無’와 ‘實’로 각각 다르며 양자가 지향한 주체는 각각‘초월적인 자아’와 ‘실존적인 자아’로 대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양자는 상호 소통가능하지만, 사상적 영향관계는 성립하지 않는다. 우리철학의 관점에서 논하자면, 정인보는 동아시아적 비교연구 이외에도 그의 스승인 이건방을 비롯한 강화 양명학의 계승성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ubject theories of Jeong In-Bo who holds a crucial position in the modern movement of Yang-ming studies and Study of Joseon in Korea, and Chang Ping-Lin who is called the master of Chinese national study respectively, and thus present a new approach to the role of traditional studies in modern era times. Jeong In-Bo and Chang Ping-Lin``s subject theories are summarized as ``I, as I and ``Reliance on Self, not Others`` respectively, both of which signify desires to establish true self and lead an independent life as an author of one``s own life. Although there exists 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ropositions as they have the same intent and Jeong In-Bo quoted Chang Ping-Lin``s column in his writing, it does not necessarily prove that Jeong was influenced by Jang``s subject theory. Jang``s ``Reliance on Self, Not Others`` means to establish a self by transcending one``s temporary and changing self and thus arriving to the state of self-effacement, and based on which state to lead a social revolution. Compared to this, Jeong``s "I as I" means that as a self, one should come back to and restore one``s own heart, which cannot be deceived, in moral tensions of anxiousness, thus to establish one``s true self and further, to realize the communion of the people. While Chang Ping-Lin maintained that under the position of obtaining the truth and heading for material world, one should break the absolute illusion on the society and ideology, realize its illusiveness, and resist against repression mechanism of both traditional and modern era, Jeong In-Bo saw that if without one``s subjecthood, obtaining the truth and the orientation to material world are meaningless and of no purpose, and stated that through influencing one``s heart which identifies the pains of people and of one``s own, one should achieve true independence of people``s well-being as pressing needs. Their approaches to develop the theories are different as ``Moo(無)`` by Chang Ping-Lin versus ``Sil(實)`` by Jeong In-Bo. The natures of subject strived for by each are different too as Jang``s ``transcendent self`` versus Jeong``s ``existential self``. In conclusion,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are possible; nevertheless, ideological relationships are not. We would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es on Jeong In-Bo be done not only in the East Asian comparative study, but also in an effort to evaluate his succession of both his teacher, Lee Gun-Bang and of the Ganghwa School of ‘Yang-ming studies’, from Korean philosophical perspective.

      • KCI등재

        정제두의 心卽理說에 관한 연구

        김윤경(Kim, Yun-kyeong) 한국양명학회 2012 陽明學 Vol.0 No.31

        “本心이곧天理(心卽理)”라는 육구연의 통찰은 이후陽明學의기본명제가 되었지만, 그 주안점이 인간의 보편적인 도덕심에 관한 대원칙을 정립하는데 있었지 현실상의 도덕판단과 행위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정제두는 天理를 “窮究해야 한다”고 본 육구연의 本心과理개념을“설명하기 어렵다”고 논평했다. 이에반해, 구체적인 是非가 일어나는곳에서 온당하게 판단하고 행위 할줄 아는 良知가 곧 理라고 규정한 왕수인의 논리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왕수인의 心卽理說은 本心인 良知가 곧 天理라는 의미 이외도 本心이 곧 도덕적 실천조리를 창출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이다. “마음이 사물에 있으면 理가된다”는 말은 이점을 잘 설명해 준다. 그러나 왕수인은 현실을 살아가는 개개의 인간이 불완전한 본심으로 불완전한 실천 조리를 창출해내는 과정 속에 놓여있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心卽理說을 통해 설명하지는 않았다. 정제두는 이러한 왕수인의 논설을 심화시켜서 현실에서 온전하지 못한 판단을 내리기도하는 개체들에 관한 설명을 포함하는 心卽理說을전개했다. 정제두는 무엇보다도 현실을 살아가는 인간의 실존적인 도덕 판단과 행위에 주목하고 이를 生理로 설명하였다. 그것은 本心이 天理라는 의미와 本心이 도덕적 실천조리를 창출한다는 의미 이외에도 현존재인 인간의 心이 도덕적 실천조리를 창출하는 실존적인 구조를 갖는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정제두 心卽理說의 기반은 한 마음의 뿌리이며 구체적인 현실 속에서 쉼없이 작용하는 生理에 있었고 이점은 그가 인간의 실존적인 행위에 주목함으로써 기존의 心卽理說을 한층 더 발전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ough Yuk Gu-yeon’s insight that “the mind is identical to the Principle” has been a basic thesis in Yang Myeong Studies, its main concern is with the establishment of a great principle with respect to the universal human mind of morality, but not with a concrete explication of the practical moral judgment and action processes. From this perspective, Jeong Je-du has made such a remark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Yuk’s ideas of the natural mind and the Principle, which claims that we should explore the Principle of Nature once and for all and. On the other hand, Wang Su-in’s logic has been positively accepted that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is the Principle, as it were, with which one can desirably judge and behave where some specific rights and wrongs occur. Wang’s theory of the identification of mind with the Principle has the meaning not only that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the natural mind, is the principle of nature, but also that the natural mind creates the principle of action. The remark that the mind becomes the Principle when it consists in things well makes this point. However, even though Wang has been fully aware of the fact that individuals living the reality lie in the process in which they create incomplete principles of action from their incomplete minds, he has not explain his awareness via the theory of the identification of mind with the Principle. By deepening such a logical dissertation of Wang’s, Jeong Je-du has developed the theory of the identification of mind with the Principle, which includes an account for those individuals that often make incomplete judgments in the reality. Paying attention, first of all, to the existential moral judgments and actions made by human beings who live reality, he explains this with the creative principle of nature. In addition to the meaning that the natural mind is the Principle of Nature and that the natural mind creates the moral principle of action, it emphasizes that the mind of the human as a spontaneous existence has an existential structure in which the moral principle of action is created. The foundation of Jeong Je-du’s theory of the identification of mind with the Principle lies in the creative principle of nature that is the root of a mind and incessantly works in specific reality, and this point has been further developed from the existing theory of the identification of mind with the Principle by him with attention to the human’s existential action.

      • KCI등재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전개와 변용

        김윤경(Kim, Yun-kyeo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13 道敎文化硏究 Vol.39 No.-

        조선후기 民間道敎의 특징들은 신종교에서 어떻게 수용되는가. 이를 위해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특징을 네 가지 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관제신앙의 확대이다. 關帝信仰(관우신앙)은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 전파되면서 빠르게 민간에 유포되었다. 둘째는 民間道敎結社의 영향을 받은 ‘묘련사(선음즐교)’와 ‘무상단’의 등장이다. 妙蓮社와 無相壇은 교단 형태를 갖춘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도교라고 볼 수 있다. 셋째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특징은 ‘선음즐교’에서 보여주는 ‘降筆’과 ‘感應’의 중시이다. 조선 후기 민간도교는 중국 민간도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부주수행을 통해 신과의 합일 상태를 추구하였다. 또한 엑시터시(Ecstasy) 상태에서 강필한 경전을 교단의 중심 교리로 삼았다. 이러한 ‘주문’과 ‘감응’이라는 수행방식은 민간에 쉽게 전파될 수 있는 종교적 특징을 가진다. 넷째 민간으로까지 확장된 도교 경전의 광범위한 출판이다. 이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동학과 증산교 안의 조선후기 민간도교적 요소를 관제신앙의 확대, 符呪의 중시, 降靈과 接靈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증산교는 관제신앙의 계승, 부주의 중시, 감응의 중시 등에서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특징이 드러났다. 동학도 조선 시대 도교의 최고신인 상제(천주, 하날님)의 중시, 부주의 중시, 降靈과 接靈의 중시 등의 요소가 주목된다. 이를 통해 볼 때, 조선후기부터 면면히 전개되어 온 민간도교의 흐름이 각 신종교의 사상적 혹은 제의적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how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olk Tao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became accepted to Donghak and Jeunsangyo. To this end, the features of popular Tao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examined at four points. First, one of them is the expansion of Gaundi belief. Gaundi belief was propagated in the Chosun Dynasty since the Imjin War and it was circulated to people quickly. Second, "Myoryeonsa(Seoneumjeulgyo)" and "Musangdan" affected by Folk Taoism society appeared. Myoryeonsa and Musangdan can be seen as Korea"s first folk Taoism equipped with religious orders. Third, the features of the folk Tao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is to emphasize on "Gangpil" and "Psychomancy" shown in "Seoneumjeulgyo". The popular Tao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was affected by the folk Taoism in China, and sought for the united state with God through Buju asceticism. In addition, it made Gangpil scriptures in the Ecstasy state as a key doctrine in religious orders. Asceticism methods of these "Invocation" and "Psychomancy" have religious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easily spread to people. Fourth,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k Tao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is to publish Taoism scriptures in a wide range extended to people. The folk Taoist factors in the late Chosun Dynasty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expansion of Gaundi belief, the emphasis of Buju, Gangryeong and Jeipryeong focusing on these features. Jeungsangyo among them revealed characteristics of the folk Taoism in the late Chosun Dynasty in the succession of Gaundi belief, the emphasis on Buju and psychomancy. Donghak pays attention on factors such as the emphasis on Sangjae(the catholic church, God), Buju, Gangryeong and Jeipryeong. Looking at this, it can be found that the flow of the folk Taoism developed ceaselessly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had a great effect on each new religion"s ideological or ritual configuration.

      • KCI등재

        한국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3~4학년군 지구와 우주영역을 중심으로 -

        김윤경 ( Kim Yun Kyung ),김종영 ( Kim Jong Young ),신명경 ( Shin Myeong Kyeong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6 초등과학교육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ience curriculum and the differences with the other country. For this purpose, the USA was selected as the target country for comparison. The comparison focused on goals and contents in science curriculum document. The goals for science education in both countries were similar. But the goal setting level was different. Also, four objectives were suggested in Korean curriculum and nine objectives in the USA to achieve the general objective. Korean curriculum was composed of such grades system as 3rd & 4th grades, 5th & 6th grades and content area as ‘materials and energy’, ‘life and the earth`` in content system. And the USA composed in the such grade system as K, Grade 1, 2, 3, 4 and 5. Also the elements to be learned is suggested in the strand. And in the area of the earth and space in the Korean Curriculum, there are elements emphasized in the content area, cognitive area, context category and practical activities learning objective category. But the USA covered most of those elements evenly. Korean curriculum focused on learning of certain elements in certain grades, but the USA curriculum is to learn several elements evenly in every grade. It will be future topics of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rriculum with different emphasis of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knowledge and learning through further study.

      • KCI등재

        최명길의 『사문록(思問錄)』에 나타난 사서해석 경향과 사상적 특징 (2) - 「대학기의(大學記疑)」, 「대학관견(大學管見)」을 중심으로 -

        김윤경 ( Yun Kyeong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5 No.-

        본 논고는 문중 필사본으로만 전해지다 근래에 공개된 최명길(崔鳴吉1586-1647)의 『사문록(思問錄)』 가운데 「대학기의(大學記疑)」, 「대학관견(大學管見)」을 중심으로 그의 경학설 및 사상적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최명길은 『고본대학』을 저본으로 삼아 기존 개정본의 편차 체제와 격물치지전(格物致知傳), 본말전(本末傳) 에 대한 해석을 비판하고 『고본대학』의 본 체제와 내용을 지행병진(知行竝進)공부론에 입각하여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그는 이정(二程)과 주희(朱熹)가 격물치지전(格物致知傳)에 유의한 것에 공감하면서도 주희가 ‘격물보망장(格物補亡章)’을 새로 제시한 것은 경전의 본 의미를 왜곡한 것으로 비판하였다. 또 이언적(李彦迪)이 『대학』 경문 일부를 뽑아 새롭게 격물치지전(格物致知傳)에 배속시킨 것과 왕수인(王守仁)이 격(格)을 정(正)으로 해석하고 팔조목을 하나의 공부로 이해한 것도 비판했다. 최명길은 형이상학적 이치의 궁구를 탈각시키고 도덕 주체의 능동성을 강조하는 격물론을 제시했지만 실천조리가 마음에서 창출된다는 왕수인의 견해에는 동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주희 격물론의 사변성을 비판하면서도외적인 실천윤리의 습득을 격물 공부에 포함시켰다. 최명길은 주자학이나 양명학 어느쪽에도 경도되지 않고 『대학』을 재해석하여 도덕 주체의 능동성과 실천의 객관성을 담보하는 주체적인 공부론을 구축하였다. This thesis examined the ideological feature and his study of Chinese classics focusing on Daehakgieui(大學記疑) , Daehakgwangyeon(大學管見) in 『Samunrok(思問錄)』 of Choi Myeong Gil(崔鳴吉1586-1647) disclosed lately after carried as a manuscript of the family. Choi Myeong Gil criticized interpretation of Geokmulchijijeon(格物致知傳), Bonmaljeon(本末傳) as well as deviation system of existing revisions based on 『Gobondaehak』 and tried to reinterpret the contents and main system of 『Gobondaehak』 based on theory of study(工夫論) of Jihengbyeonjin(知行竝進). He criticized that Geokmulbomangjang(格物補亡章) of 『Daehakjangju』 distorted this meaning of Geokmulchiji(格物致知), while attention of Er-Cheng(二程) and Zhu Xi(朱熹) on Geokmulchijijeon(格物致知傳) is acceptable in that it emphasized importance of knowledge(知) out of knowledge and conduct(知行). He suggested that 『Daehak』 is the book for a beginner to enter into virtue basically, and since Geokmulchiji in it indicates the starting of study, it doesn``t make sense to understand brightly and find enlightenment (豁然貫通) through careful examination of reason and logic of all things. In addition, he also criticized arrangement of part of scripture (經文) of 『Daehak』 selected by Lee Yeon Jeok(李彦迪) into Geokmulchijijeon(格物致知傳), interpretation of position(格) by Wang Su In(王守仁) into rightfultness(正) and understanding of 8 articles(八條目) as one discipline of study. Choi Myeong Gil reinterpreted 『Daehak』 without inclining to doctrine of Zhu Jia or doctrine of Wang Yangming, and constructed independent theory of study, emphasizing aggressiveness of moral entity.

      • KCI등재

        근대기 현실인식 및 개혁에 관한 불교와 하곡학의 교섭 - 박한영, 이건방, 정인보를 중심으로 -

        김윤경 ( Kim Yun-kye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0 No.54

        근대기 전통 지식인들은 서구 정신문화에 대응하여, 전통 사상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문명화라는 보편 질서를 확립하는 것을 시대적 의무로 삼았다. 이들은 조선의 사상과 문화 속에서 일본이 규정한 `종속성`, `의존성`을 부정할 수 있는 고유의 사상을 발굴하고 동시에 그 안에서 근대적 문명을 이끌어갈 보편 정신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이런 시도는 서구 학문뿐만 아니라, 유교, 불교, 고대 사상 등 다양한 사상의 섭취와 전통 철학 내 교섭으로 나타났다. 이런 양상을 잘 살펴볼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가 불교 승려인 박한영과 하곡학파인 이건방, 정인보의 사상적 교섭이다. 박한영과 이건방, 정인보는 근대의 신학문을 접하면서도 각각 불교와 하곡학이라는 전통 사상에 충실하였고 상호 학문적 배타성없이 공감과 교섭을 실현하였다. 박한영과 이건방, 정인보의 사상적 교섭은 1. 현실인식, 2. 민중인식, 3. 종교인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의 현실인식은 공통적으로 虛學·虛名·假行·僞行·無實에 대한 비판과 眞知·實行의 회복이라는 대안으로 연결된다. 또 민중 인식은 眞知 實行의 필수 조건이며 `福利`증진을 결과로 하였다. 이때 민중의 복리는 각각 진리 성취라는 측면의 정신적인 福利에서 물질적인 福利로 나아가는 것이며, 현실적으로 우리의 역사와 사적탐구를 통한 주체성의 회복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종교 인식은 교섭을 통한 공감형성과는 다른 결과로 박한영과 정인보의 이견이 드러나는 부분이었다. 정인보는 依自와 利他에 기반한 救世와 護國이 조선 불교의 근본 정신이라고 하였지만, 박한영은 이 견해가 당시 민족주의와 군민주의를 지나치게 인식한 결과라고 비판했다. 새로운 사상적 지표와 현실적 대안을 세우기 위해 어떠한 학문적 당파성 없이 교류와 토론을 거듭하던 이들의 사상교섭은 갈등과 분열을 반복하는 현재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In response to the Western mental culture, traditional intellectuals in the modern period aimed to establish a universal order of civilization while maintaining the identity of traditional thoughts. They sought to draw unique thoughts that can deny the “dependence” and reliance” set by Japan within the ideology and culture of Chosun, as well as a universal mentality that could lead modern civilization in it at the same time. This attempt was shown not only through Western studies, but also through the acquisition of various thoughts and traditional philosophy interaction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other ancient thoughts. The main examples of these aspects are the ideological interactions among Park Han-young, the representative Buddhist monk of the period, as well as Lee Geon-bang and Jeong In-bo, who were scholars of the Wang Yangming School. While exploring new modern academics, Park Han-young, Lee Geon-bang, and Jeong In-bo were devoted to the traditional thoughts of Buddhism and Hagok Studies, and carried out empathy and interactions without mutual academic exclusion. The ideological interactions among Park Han-young, Lee Geon-bang, and Jeong In-bo can be seen in (1) awareness of the reality, (2) awareness of the people, and (3) religious awareness. Their awareness of the reality is connected to criticisms of the Study of Emptiness, Names of Emptiness, Deceitful Acts, Illegal Acts, and Vanity, as well as the alternatives of the recovery of True Knowledge and Practice. Also, the awareness of the people is a required condition to practice True Knowledge and aims to result in the improvement of `well-being`. Here, the people`s well-being moves from the mental well-being of truth and accomplishment toward physical well-being, and was suggested as the recovery of realistic independence through our history and ideological exploration. However, religious awareness showed contradicting opinions between Park Han-young and Jeong In-bo with different results from the formation of empathy through interactions. Park Han-young criticized the opinion of Jeong In-bo, who saw salvation and patriotism based on self-dependence and altruism, which were the fundamental mentality of Chosun Buddhism, as the result of being overly conscious of nationalism and people-centralism. The ideological interactions of these scholars, who repeatedly had exchanges and discussions among themselves without being academically partisan to develop a new ideological index and realistic alternative, have great implication on current society, which has continuous conflicts and divisions.

      • KCI등재

        국내 한국 양명학 연구 경향에 대한 반성적 고찰

        김윤경(Kim, Yun-kyeong) 한국양명학회 2013 陽明學 Vol.0 No.35

        최근까지 한국 양명학 연구는 한국 양명학의 존재양태와 그 사상사적 역할에 대한 공통된 시각 아래서 진행되어왔다. 그것은 1)양명학 전래 이후 전 시기를 통틀어 양명학적 사유를 적극 개진하지는 못했을지라도 기본 정신은 양명학이었던 학자가 많았다는 것과 2) 사상적 배척에도 불구하고 한국 양명학의 명맥이 꾸준히 유지되어 실학, 개화사상 등 근대적 사유의 저변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이런 기조에서 성립된 연구 성과들은 한국 양명학을 사상사의 수면위에 올려놓고 한국유학사를 더욱 풍부하게 해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었지만, 한국 양명학 연구사에 대한 본질적인 성찰과 검증없이 동일하게 유지되어온 연구관점에 기반하고, 한국 사상사 안에서 양명학적 사유와 계통을 밝히는 부분에만 편중되는 연구 경향을 만들어냈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본 논고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논점 별로 재정리하는 방법을 통해 이와 같은 문제를 진단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기획된 것이다. 연구사에 대한 성찰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가장 대표적인 현상은 선대 학자가 양명학자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연구 경향이 한국 양명학 연구의 주를 이루는데도 불구하고 양명학자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분명한 검토가 없었다는 점이다. 본 논자가 주장하는 바는 기존의 연구 관점에 대한 메타적인 성찰과 함께 한국 사상안에서 한국 “양명학파”를 새롭게 조망하는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것은 왕양명으로부터 형성된 양명학이 한국에서 수용·이해되는 과정을 고찰하는 것을 넘어서, 양명학을 수용한 학자군의 한국 사상적 기반과 철학적 문제의식 및 해결방안을 기준으로 사상 운용 양상을 검토하고 그것이 당대 다른 사유와 어떻게 소통되는가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Until recently, the study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was carried out from a common perspective of the existential mode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and its rol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perspective suggested 1) that there were many scholars who took the Yang-ming Studies as their foundational idea throughout the period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Yang-ming Studies though they did not positively presented Yang-Ming philosophical thoughts, and 2) that the Korean Yang-ming Studies formed the ground for early modern thoughts including Silhak, thoughts of enlightenment etc. as the vein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had been continuously maintained despite its ideological exclusion. Though the achievements of the work established on this basis put the Korean Yang-ming Studies on the surface and provided some foundations for more richly interpreting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they are problematic in that they are based on the research perspective that has been maintained identical without essential reflection and verification, and they have given rise to the trend in which research leans too much on the explication of the thoughts and lineage of the Yang-ming Studies. This thesis was designed to examine such problems in a method in which the achievements of the existing studies are rearranged based on each issue, and come up with a new alternative. One of the representative phenomena occurring due to lack of reflection on research history is that there have been no clear reviews of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one is a Yang-Ming philosopher or not despite the fact that the research tendency in which researchers try to determine whether foregoing scholars were Yang-Ming philosophers has constituted the main stream of the study of the Korean Yang-ming Studies. What the current author claims is that a shift to the perspective from which we take a novel look at Korean “Yang-Ming schools” within Korean philosophies is necessary as well as meta-reflection on the existing research perspectives. Beyond the examination of the course in which the Yang-ming Studies, which had been formed by Wang Yang Ming, was accommodated and understood in Korea, it is to review the aspects of addressing ideas on the basis of the Korean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the group of scholars who accommodated the Yang-ming Studies and their philosophical awareness and solutions, and to generally examine how they communicated with other contemporary thou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