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문유해(同文類解)』의 만주어(滿洲語)한글 표기 체계에 대하여

        김유범 ( Yu Pum Kim ),김미미 ( Mi Mi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본고는 조선시대 간행된 한조만(漢朝滿) 어휘집인 『同文類解』(1748)에 나타난 한글 표기 및 구별 기호에 대해 문헌 전체의 용례를 검토하여 그 특징을 개관하고 구별 기호의 성격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만주어 한글 전사의 구체적인 모습은 청학서(淸學書) 가운데 하나인 『同文類解』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 여기에 사용된 한글의 조합 방식이 매우 독특하다. 또한 『同文類解』의 전사에는 문자적 요소인 한글뿐만 아니라 이와 구분되는 몇 가지 구별 기호들이 사용되었는데, 각기호들은 그 모양과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먼저 『同文類解』의 만주어 한글 표기의 체계를 각각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만주어의 한글 표기를 전산화하기 위해 구별 기호(°, ┚)가 포함된 한글 표기에 대한 적절한 입력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이어서 구별 기호를중심으로 그 종류 및 기능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는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 만주어의 한글 표기에 사용된 구별 기호에 대해 『同文類解』의 전체 용례를 정리하고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transcription system of Manchurian using Hangeul in Dong-Mun-Yu-Hae(同文類解), especially the diacritics presenting the various phonetic properties of Manchurian. It is presumed that the diacritics have diverse functions according to their forms and positions. Nevertheless, so far there has been no clear explanation about it.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fact that Hangeul was used to transcribe Manchurian in the Joseon Dynasty since 18th century. This Hangeul transcription of Manchurian could offer the different and specific information about Manchurian and help us to understand the phonological aspect of Manchurian. In this study, we look into the whole text of Dong-Mun-Yu-Hae(同文類解) and classify the functions of diacritics used in this text. In addition, we propose the way of computerizing the diacritics with simple signs consisting of circle and line. Although we could not make clear the functions of diacritics completely, this kind of study will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study of Manchurian.

      • KCI등재

        만주어 사전 구축을 위한 『동문유해(同文類解)』의 활용 가능성 모색

        김유범 ( Yu Pum Kim ),김미미 ( Mi Mi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2 No.-

        본고는 한(漢)-조(朝)-만(滿) 어휘집인 『同文類解』의 체제와 그 특징을 살핌으로써 이를 새로운 만주어 사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同文類解』는 상당한 수의 만주어 핵심 어휘를 중심으로 그와 형태적·의미적으로 연관된 관련어들에 대한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특히 자료에 직접적으로 드러나 있는 어휘 의미나 문법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이차적으로 파악되는 단어들 간의 파생 관계나 연어 정보들은 만주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同文類解』는 만주어 사전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同文類解』에 담겨 있는 만주어 어휘에 대한 정보들이 앞으로 새롭게 만들어질 만주어 사전에 풍부하고 가치 있는 요소를 제공해 줄 것이라 기대하며 그 사전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possibilities of using Dong-Mun-Yu-Hae(同文類解), a wordbook of Chinese-Korean-Manchu, in order to make new Manchu dictionary by considering the system and features of this book. Dong-Mun-Yu-Hae(同文類解) has many information about connected words, which are related to headwords either morphologically or semantically. Especially th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grammar or meaning shown directly in the book, the derivational relationship among words, and the patterns of collocation in certain words are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Manchu vocabulary more systematically. Considering the situation, Dong-Mun-Yu-Hae(同文類解) has not been actively used in making Manchu dictionary so far, we are expecting that the various contents in this book enable newly made future Manchu dictionary to have plentiful and valuable elements in showing Manchu vocabula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국어생활사 교육의 방법과 교재

        김유범 ( Yu Pum Kim ) 한국문법교육학회 2009 문법 교육 Vol.10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way how to teach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in schoo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for the organ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of it. Above all I would like to say that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life should be a part of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I suggest the two kinds of teaching and leaning method: one is the way to make use of linguistic elements in Korean and the other is the way to tell the story of somebody showing their affection towards Korean language. I also point out the three regards necessary to organize teaching materials: the problems of 1) the harmony with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2) the selection of data showing Korean`s vivid Korean language life, 3) the way of showing the selected data and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언어 변화 이론과 국어 문법사 연구

        김유범 ( Yu Pum Kim ) 국어학회 2004 국어학 Vol.0 No.43

        본고는 일반언어학의 언어변화 이론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던 국어 문법사 연구들을 찾아 개관하고, 언어변화 이론의 하나인 `유추`(analogy)`의 이론적 배경, 특히 유추의 일반 원리에 대해 소개한 후 이를 국어 문법사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언어변화 이론을 적용했던 국어 문법사 연구로는 문법화에 대한 연구, 시상체계 변화에 관한 유형론적 연구, 변화에 대한 유추 이론 기반 연구, 통사 변화에 대한 연구 등이 있다. 한편, 유추의 일반 원리로는 Kurylowicz(1947)와 Man´czak(1958)에서 제시된 법칙과 경향들이 대표적인데, 국어 문법사에도 이들 원리들이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앞으로 국어 문법사 연구는 개별적인 변화 현상들에 주목하는 것은 물론, 그러한 변화들이 보여주는 양상과 지향하고 있는 방향성에 대해서도 일반언어학적 관점에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훈민정음의 문자론적 연구 성과에 대한 고찰*

        김유범(Kim Yu-Pum)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3 No.-

        본고는 훈민정음에 대한 그동안의 문자론적 차원의 연구 내용들 을 되돌아보고 그 성과를 정리해 봄으로써 문자 훈민정음에 대한 남은 연 구 과제 및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먼저 1장에서는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기 위한 준비 단계로서 문자의 역사에서 훈민 정음이 지닌 위상에 대해 정리해 본다. 2장에서는 훈민정음 이전의 고유 문자에 대한 논의를 포함해 새로운 문자 훈민정음이 어디에 그 기원을 두 고 있는지를 논의했던 다양한 연구들의 내용을 살펴본다. 3장에서는 훈 민정음의 제자 원리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되 특히 상형, 가획, 이체와 관련해 그동안 어떠한 해석들이 있었는지 알아본다. 4장에서는 문자의 유형적 관점에서 훈민정음을 이른바 자질 문자로 간주하고자 했던 논의 와 관련해 찬반양론의 입장에 선 연구들을 비교・검토해 본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들을 정리하고 연구사 검토를 통해 알게 된 훈민정음에 대한 문자론적 연구의 남은 과제와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 함으로써 논의를 마무리한다. In this paper, I try to find out the remaining research tasks and new directions of Hunminjeongeum by reconsidering the contents of the literal studies of Hunminjeongum in the meantime. In chapter 1, I summarize the status of Hunminjeongeum in the history of writing as a preparatory stage to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ast. In chapter 2, I review the contents of various studies that discussed the origins of the new writing Hunminjeongeum, including discussions on unique writings before Hunminjeongeum. In chapter 3, I examine the study of the principle of making new writing Hunminjeongeum. In chapter 4, I compare and examine the pros and cons of the previous studies with regard to the argument that Hunminjeongeum could be regarded as a so-called featural writing in terms of types of writing. Finally, chapter 5 concludes the discussion by summarizing the discussions so far and presenting the remaining tasks and new research direction of the literal study of Hunminjeongeum which we learned through this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