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미국 하원의장과 규칙위원회에 대한 통시적 고찰

        김웅규(Kim Woong Kyu)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22 No.2

        하원의장의 권한변화의 역사는 역사적환경과 인물을 중심으로 분류해 볼 때 “의회의 시대”, “정당중심시대”, “위원회중심시대”, “민주시대”로 포괄적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의회시대는 미국건립이후 그로우(Galusha Grow)하원의장까지 남북전쟁이전까지의 시기를 말하며 하원을 지배하는 개인이나 정당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은 시기이다. 정당중심시대는 남북전쟁이후 대략 50년간의 시기이며 콜팩스(Schuyler Colfax)의장으로부터 캐논(Joseph G. Cannon)의장까지의 시기이다. 이 기간은 미국의 양당제도가 확립되고 상대적으로 미약한 대통령에 대비한 강력한 하원의장이 등장하여 의회를 지배하게 되는 시기이다. 위원회중심시대는 캐논(Joseph G. Cannon)의장의 독주에 반발하여 시작되었는 데 1920년대에서 1960년 대까지를 지칭한다. 하원의장의 독주를 견제하며 다선의원(Seniority)이 위원회를 통해 의회를 지배하였고 절대강자가 없이 타협의 시대였다. 마지막으로 민주시대는 1970년대 이후 오늘날까지를 지칭하는 데 다선 의원우선의 절대원칙이 깨지고 하원의장의 권한이 새로이 상대적으로 강화된 시기이다. 깅그리치의장이 등장하여 제2의 캐논시대를 부활시킨 시기를 포함한다. 하원의장의 권한강화의 원천인 규칙위원회는 하원의 통일된 의사진행 절차규칙과 상설규칙을 제정하기 위하여 만들어졌지만 현재의 주요임무는 상설규칙 외의 입법에 관한 의사당토론을 진행하기 위한 특별규정을 제정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건국이후 2세기에 걸친 이러한 규칙위원회의 변천은 증가하는 의회의 정치성과 당면과제, 변화되고 있는 내부구성원의 관계들, 규율 있고 신속한 규범으로 의회의 절차를 조율하고자 하는 지도부를 지원하는 보다 완벽한 체계에 대한 요구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In the United States, Speaker of Representatives is the one of powerful leaders. Between 1880 and 1910, the Rules Committee emerged as the Speaker’s committee and the legislative scheduling agent for the House. Its first chairman, in 1880, Speaker Samuel J. Randall (D-PA), used his authority to bolster the influence of the speakership, establishing that all future rules changes should be referred to the Rules Committee and that its reports could be brought to the floor any time. The power of the speakership and the Rules Committee continued to grow under Speaker Joseph G. Cannon, who held the position from 1903 to 1910. Speaker Cannon was a strong believer in party discipline and did not hesitate to use his power in appointing committee members and chairmen and in removing those who did not follow him. Speaker's powerful leadership was rebuilt during Gingrich's term. Gingrich, managed to unite a divisive Republican majority in order to pass favored legislation as Cannon did. As an arm of the leadership, regardless of which party controls the House, the Rules Committee is at the center of both political and legislative battles, performing uncertain balancing acts between majority will and minority rights, leadership needs and membership demands, and a wide range of public policy options.

      • KCI등재

        미국 OLC(Office of Legal Counsel)의 법령의 유권해석

        김웅규(Kim Woong-kyu)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09 世界憲法硏究 Vol.15 No.2

        행정부의 유권해석이란 행정기관이 법령을 집행하기 위하여 법령의 명확한 해석을 구하거나 다른 행정기관과의 관할과 권한의 충돌이 발생할 때 문제의 해결이 필요한 경우 행정부내의 통일적인 법질서를 위하여 전문적인 법적 의견을 제시하는 업무이다. 삼권분립의 원리하에서 법령의 최종적 해석은 사법부가 담당하지만 분쟁이 발생하기전 행정의 집행단계에서 정확하고 통일적인 법령해석은, 행정의 법적합성이라는 법치주의의 헌법원리를 구현하고, 명확한 헌법적·법률적 근거와 허용범위 내에서 효율적인 정책수립과 집행을 도모하며 비생산적인 소송을 피함으로써 신속하고도 공정한 행정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이러한 유권해석의 업무를 법무부와 법제처가 담당하며 미국에서는 OLC(Office of Legal Counsel)가 담당하고 있다. OLC는 연방헌법과 법률, 그리고 행정명령과 규칙의 근거하에 법무부소속으로 설치되어 미국대통령과 법무부장관에 대한 법률적 조언을 제공하고 있으며 정부 내 행정기관의 다양한 법령해석의 분쟁에 대한 준사법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OLC는 법령해석에 대한 자문역할을 담당하며 집행력은 없고 소송에 대한 책임은 지지 않는다. 결국 OLC의 법적 의견은 두 가지의 목적을 위하여 제시된다. 첫 번째 대통령에 대한 법률상의 조언이고 두 번째 행정부전체에 대하여 구속력있는 선결례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OLC는 법적 조언이 정부기관이 의도하는 정책의 수행을 제한할지라도 관련법령에 대하여 정확하고 진실된 해석을 전달한다는 것을 전제로, 정부기관의 행정행위에 대하여 법적 조언을 제공할 때, 연방정부의 기관들의 헌법상의 권한과 그한계 등을 포함하는 모든 법리적 대상을 반영하여야 하고 그 해석의 기준으로서 연방법원의 판결뿐만 아니라 OLC의 선례와 정부기관의 권한 그리고 현대통령의 견해들을 모두 검토해야 하며, OLC의 법적 조언이 수준높은 검토이며 최상의 법 적 견해라는 점을 보증하기 위하여 내부조직과 관례를 지속적으로 관리유지해야 한다는 내부적 원칙하에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미국 OLC의 기능과 역할의 분석은 한국의 법제처가 수행해야할 법령 해석의 범위와 효력, 그리고 한계를 논의하고 개선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Statutory interpretation provided by MOLEG(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in Korea is to clarify the meaning and contents of the rather general and abstract statutes for the application or enforcement of the statutes on specific cases. The clear and objective statutory interpretation of the executive action is to advance the creditability of administration and avoid the time-consuming judicial proceedings. Statutory interpretation in the government is performed by OLC(Office of Legal Counsel) in the United States. OLC drafts legal opinions of the Attorney General and also provides its own written opinions and oral advice in response to requests from the President, the various agencies of the Executive Branch, and offices within the Department. Such requests usually deal with legal issues of particular complexity and importance or about disagreement between two agencies. OLC also is responsible for providing legal advice to the Executive Branch on all constitutional questions and reviewing pending legislation for constitutionality. When the views of OLC are sought on the question of the legality of a proposed executive branch action, those views are considered as conclusive and binding with in the executive branch. But the President and the Attorney General is able to reject OLC's opinions. All executive orders and proclamations proposed to be issued by the President are reviewed by OLC for form and legality, as are various other matters that require the President's formal approval. In addition to serving as, in effect, outside counsel for the other agencies of the Executive Branch, the Office of Legal Counsel also functions as general counsel for the Department itself. It reviews all proposed orders of the Attorney General and all regulations requiring the Attorney General's approval. It also performs a variety of special assignments referred by the Attorney General or the Deputy Attorney General.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OLC acts more as a judge than as an advocate who proffers any reasonable argument in support of his client's policy objectives. It is meaningful that President Washington informed the Nation's first Attorney General, Edmund Randolph, that he wanted “to find a skilled, neutral expounder of the law rather than a political advis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tutory interpretation agency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ould be helpful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national legislation and keep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executive action.

      • KCI등재

        미국연방대법원의 동성결혼 합헌판결에 대한 헌법적 고찰

        김웅규(Kim Woong Kyu)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27 No.1

        This Article is about the constitutional analysis of the supreme court cases about unconstitutionality of laws that limit civil marriage to couples in the United States. The movement to get civil marriage rights and benefits for same-sex couples in the United States began in the 1970s. In the case of Baker v. Nelson(1971), the Minnesota Supreme Court ruled that denying marriage licenses to same-sex couples did not violate the U.S. Constitution.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dismissed the appeal for want of a substantial federal question. The issue did not become popular in U.S. politics until the 1993 Hawaii Supreme Court decision in Baehr v. Lewin which said that state's prohibition is unconstitutional. The Defense of Marriage Act (DOMA) was enacted in 1996. DOMA's Section 2 says that no state need recognize the legal validity of a same-sex relationship even if recognized as marriage by another state. DOMA's Section 3 defined marriage for the purposes of federal law as a union of one man and one woman. DOMA has been challenged in the federal courts. During the 21st century, while several countries like Sweden, South Africa, Nethland etc, legalized marriage for same-sex couples, some states in the United States also passed bans against same-sex marriage, either legislatively or by referendum. On May 17, 2004, Massachusetts became the first U.S. state to legalize same-sex marriage following the Supreme Judicial Court's decision in Goodridge v. Department of Public Health. In 2012, Maine, Maryland, and Washington became the first states to legalize same-sex marriage through popular vote. This Article shall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Parts ; Analysis of the (1) Hollingsworth v. Perry (2) United States v. Windsor (3) Obergefell v. Hodges and (4) Conclusion. Hollingsworth v. Perry challenged state bans on same-sex marriage. Perry v. Schwarzenegger in the U.S. District Court for the Northern District of California ruled that banning same-sex marriage violates equal protection under the law. This decision overturned the ballot initiative Proposition 8, which had banned same-sex marriage. the Supreme Court dismissed it on the ground that the defendants lacked standing to defend the state law on appeal and affirmed the district court’s ruling. In United States v. Windsor, The Supreme Court said that DOMA which barred federal recognition of same-sex marriages performed in states that permitted them is unconstitutional as a deprivation of the equal liberty of persons that is protected by the Fifth Amendment. Finally, In the case of Obergefell v. Hodges, The Supreme Court held that The right to marry is a fundamental right inherent in the liberty of the person, and under the Due Process and Equal Protection Clauses of the Fourteenth Amendment couples of the same-sex may not be deprived of that right and that liberty, overruling Baker v. Nelson, 409 U.S. 810, 93 S.Ct. 37, 34 L.Ed.2d 65, and abrogating Citizens for Equal Protection v. Bruning, 455 F.3d 859, Adams v. Howerton, 673 F.2d 1036, and other cases, and States must recognize lawful same-sex marriages performed in other States. Since Obergefell v. Hodges, married same-sex couples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have equal access to all the federal benefits that married opposite-sex couples also have.

      • KCI등재
      • KCI등재

        위헌심사기준으로서의 명확성과 광범성무효의 원칙

        김웅규(Kim Woong-kyu, 金雄圭) 한국공법학회 2007 공법연구 Vol.35 No.3

        명확성과 광범성무효의 원칙은 그 예측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분명한 고지의 의무가 입법자에게 있고 또한 법집행기관의 자의적이고 차별적인 권한행사를 방지하기 위한 것임은 미국과 우리 헌법재판소의 판례나 결정들을 통하여 확인되고 있다. 우선 명확성의 원칙이 배제해야 할 다의성과 모호성중 다의적 해석가능성이 존재하는 법률은 위헌결정을 용이하게 내릴 수 있다고 판단된다. 둘째, 건전한 상식과 통상적인 법감정을 가진 사람의 인식은 사전적 의미가 일상적 의미를 띠었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셋째, 개별법규의 성격에 따라 부담적?침해적 법률은 수익적 법률보다 엄격한 심사기준을 거쳐야 하며 형사관련법률은 일반 민사법률보다 명확성의 원칙이 더욱 요구된다. 추상적 법개념을 불가피하게 사용하는 경우 입법자는 일의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정의규정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또한 “이 법” “이 법의 규정” “관계법령” “정관에 위반하는 행위” 등의 총칭개념을 사용하는 대신에 구체적인 조항을 명시하여 입안해야 한다. 넷째, 입법목적이나 제정배경, 타 법규와의 연관성 고려는 법관의 보충적 해석가능여부문제와 다르지 않다. 법관은 명확성의 기준에 있어서 자칫 일반국민이 아닌 자신의 이해도를 적용하지 않도록 주의를 다해야 한다. 보충적 해석은 말 그대로 보충적인 명확성판단기준에 지나지 않는다. 다섯째, 수범대상자의 영역과 관련하여 항상 일반인의 건전한 상식과 통상적인 법감정에 부합할 필요는 없으며 규율영역내의 수범대상자에 따라 명확성의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여섯째, 헌법상 보호되는 기본권이 관련 될 경우 명확성원칙은 강화된다. 이 경우에는 이익형량이라는 논증과정이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즉 법률에 의한 기본권제한의 효과가 중할수록 명확성의 원칙에 대한 엄격한 요구가 있게 된다. 일곱째, 포괄적 위임금지의 원칙영역에서의 명확성요구는 예측가능성, 본질적 부분의 방침제시, 침해적 법규여부, 의회입법절차의 필요성(이익의 충돌가능성여부)이 그 기준으로 제시될 수 있다. 전제되어야 할 것은 법관이 아닌 “일반국민의 이해가능성”을 기준으로 “법률 그자체”의 문언상으로 판단할 때 표현이 명확해야 한다. 이 경우 입법기술상의 이유로의 도피는 가급적 피해야 한다. The vagueness doctrine and the overbreadth doctrine are very important particularly in dealing with free speech issues. The vagueness doctrine comes from the procedural due process requirement of adequate notice that a statute or ordinance should contain sufficiently definite warning as to the proscribed conduct. The doctrine also requires that a statute or ordinance will be void on its face for vagueness if persons of common intelligence must necessarily guess at its meaning and differ as to its application. The overbreadth doctrine means that a government purpose to control or prevent conducts constitutionally subject to regulation may not be achieved by means which sweep unnecessarily broadly and thereby invade the area of protected freedoms. In Korea, there is not clear distinction between those doctrines. It seems that the overbreadth doctrine is considered in the realm of the vagueness doctrine. We can find some concrete standards with which Korean Constitutional Court has judged relating to those doctrines. The vagueness doctrine strictly applies to criminal laws rather than economic laws or laws which bestow benefits. the void for vagueness doctrine does not typically require mathematical precision on the part of legislators. Laws that regulate the economy are scrutinized less closely than laws that regulate individual behavior. Like the United States, a law that regulate free speech must have burden to justify special judicial strictness. Supposing that the law is vague, it might have an chilling effect and prevent persons from engaging in protected activities related to free speech. Courts must interpret the law which may infringes on the constitutional rights of persons with sight of persons of common senses, not with his own discretion.

      • KCI등재

        미국에서의 예술의 자유의 헌법적 보호

        김웅규(Kim, Woong-Kyu)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4 江原法學 Vol.41 No.-

        예술은 표현의 자유의 대표적인 영역이며 발전된 국가형태의 구성원리인 문화국가원리를 구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법규범의 영역에서 보호받을 수 있는 개념과 그 내용 그리고 보호범위의 정립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도 헌법 제22조에서 학문과 예술의 자유를 규정하여 헌법 제21조의 언론출판의 자유의 특별법적 가치를 법이론적으로 인정하고 있지만 실제 가치의 상대적 우위가 현실적으로는 구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미국에서 순수예술이 수정헌법 제1조하에 어느 정도의 헌법적 보호를 받는 가 하는 문제는 표현의 자유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그 독자적 논의가 시작된 것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연방대법원의 판결은 예술도 그 다양한 형태를 떠나 수정헌법 제1조의 보호를 받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연방대법원은 예술적 표현이 헌법상 보호를 받는 이유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다음 두 가지의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예술은 향유자들의 내면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에 구두 혹은 활자화된 언론의 기능과 유사점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두번째 이유로서, 표현의 의미를 타인이 이해하는 지 여부와 관계없이 예술가의 순수한 자기표현행위를 들고 있다. 연방대법원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예술적 표현은 수정헌법 제1조의 보호를 받는다고 판단한 입장은 지금까지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지만, 예술적 표현이 정치적 사상같은 순수언론이 보호해온 영역에 관련된 경우 외에는 보호의 정도가 명확하지 않거나 전통적 언론보다 낮은 수준의 보호를 받는다고 다루고 있어 여전히 논의의 대상이 된다. 연방대법원의 명확한 입장이 정립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대부분의 연방항소법원들은 전통적 시각예술(그림, 조각, 스케치 등)은 일반적으로 보호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항소법원들은 자신들의 견해를 독자적으로 형성하여왔고 같은 항소법원내에서 조차도 동일하지 않은 의견들을 표명하고 있다. 본 논문은 우선 미국연방대법원의 판결을 중심으로 하여 예술의 의미와 그 보호의 이유 그리고 보호의 수준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아직 연방대법원의 통일된 입장이 밝혀지지 않고 있는 현시점에서 연방항소법원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진 시각예술작품과 관련된 사건들을 분석하여 미국에서의 예술의 의미와 그 보호영역을 고찰한다. Art 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something qualifies as art have been the subject of heated debate in both the law and the humanities for a long time. U.S. Supreme Court Justice Oliver Wendell Holmes Jr. warned that judging the value of art is a “dangerous undertaking for persons trained only in the law.” Nowadays it is definitely clear that The First Amendment protects artistic expression . But what makes a thing artistic expression has not solved yet in the United States. Indeed, the Supreme Court has never precisely defined art. Though the Supreme Court has given no explicit answer to the question, its precedent cases provide some points with explaining why it deserves First Amendment protection. the Supreme Court has suggested two rationales for artistic expression’s constitutional protection. First, it has said that, because art influences the thinking of those who view or hear it, it resembles in function the spoken or written word. Second, the Supreme Court has noted that art should be protected by the First Amendment because artist’s self-expression has its own value regardless of whether such expression is intelligible to others. In addition, consistent with these rationales, the Supreme Court has insisted that artistic expression merits protection not merely as symbolic speech, but as pure speech. Still, some appellate courts require a surer analy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artistic expression than what the Court has provided and so have developed their own tests. Most appellate courts have concluded that the traditional visual arts (paintings, drawings, sculptures, pictures, and the like) are generally protected. There are some tests for discerning artistic expression made by appellate courts. First, for art to rise to the level of protected speech on First Amendment, it must constitute self-expression, one characteristic of which may be originality. Second, for a piece of artistically expressive merchandise or the activity of making or selling it to fall within First Amendment coverage, the Second Circuit requires that it pass a “dominant expressive purpose” test. With the various kinds of mediums and the changing standards of what is “artistic expression,” courts are likely to find themselves struggling with emerging ques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미국 교육격차해소법(NCLB)의 법적 고찰

        김웅규(Kim Woong Kyu)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논총 Vol.23 No.1

        교육에 있어서의 격차의 해소는 쉽게 해결될 수 없는 국가적 문제이다.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여건과 국민적 인식에 따라 교육격차의 의미가 달라지며 모든 국민 특히 취학아동의 평등한 결과성취의 추구는 자칫 공허한 국가목적으로 전락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면 교육기본법상의 교육의 기회균등(제4조), 교육재정(제7조), 의무교육, 사회교육 등 조항과 도서벽지교육진흥법,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평생교육법, 각종 교육진흥법 등이 사회적 소외계층이나 불우한 가정의 학생들을 위하여 다양한 지원계획을 세우며 상호 일정한 관계를 맺고 법체계를 이루고 있지만 교육격차해소에는 큰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다양한 사회속의 구체적 교육양극화 해소 및 교육안전망 구축이라는 차원하에 사회의 소외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정책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미국의 교육현황의 핵심인 교육격차해소법(No Child Left Behind Act)을 검토함으로써 국내의 교육격차해소정책방향에 대하여 헌법적 의미와 자율성과 공공성에 기초한 구체적인 제도의 보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여 정책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oblem of the educational gap is the substantial issue which every government in the world should solve with people's agreement. On January 8, 2002, President George W. Bush signed the No Child Left Behind Act(NCLB) into law. NCLB reauthorized and amended federal educational programs unde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of 1965 (ESEA), the main source of federal legislation and funding for public schools. NCLB brought accountability measures and increased budgets to states and local educational agencies, leading to an unprecedented expansion of federal influence over education policy. The United States has traditionally considered education a state and local issue. NCLB's language appears to protect states' control over education by preventing the federal government from imposing an unfunded mandate. However, state officials from both political parties have nonetheless expressed federalism concerns over NCLB requirements. Many conservatives believe that NCLB is a “federal intrusion” into public schools, whereas many liberals believe that NCLB focuses too greatly on standardized tests that states must report to ED. Furthermore, many states claim that NCLB's usurpation of local control over education policy produces rigid federal guidelines that do not fit local needs and are not economically feasible to implement. States have raised these federalism concerns since the moment NCLB was introduced, leading some to believe that federal partisan politics stifled debate and led both houses of Congress to pass NCLB over local objection. NCLB needs more deliberation to revise for coping with diverse voices from local schools and student's parents.

      • KCI등재

        공적 사안(matter of public concern)의 규범적 의미

        김웅규 ( Woong Kyu Kim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2

        In Snyder v. Phelps, the Supreme Court suggested the standards of matter of public concern which is a important factor to protect the speech under the First Amendment. In the first place, the Supreme Court in Snyder explained a set of three factors courts are required to consider when deciding if speech involves a matter of public concern, that is to say: (1) content of the speech; (2) form of the speech; and (3) context of the speech. The standard to decide what a matter of public concern is contains two tests. The one is Community Concern Test that the speech which is“fairly considered as relating to any matter of political, social, or other concern to the community” constitutes a matter of public concern. The other is News Interest Test that the speech which centers on a subject of legitimate news interest and a subject of general interest and of value and concern to the public is also considered a matter of public concern. But the Supreme Court failed to articulate the differences between Community Concern Test and News Interest Test because this leaves several unresolved questions that now must be resolved in the future. Nevertheless, these tests can be good guideline to determine what the public concern means and need to be made more detailed. In the cases in U.S, there are three levels of matter of public concern: (i) matter of public concern; (ii) substantial matter of public concern; and (iii) inherent matter of public concern. these In Korea, there have not been debates about public concern due to short history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The discussion on a matter of public concern in U.S may be helpful for us to protect the freedom of expression.

      • KCI등재

        매장문화재와 유존지역의 정의(定義)에 대한 법리적 검토

        김웅규 ( Kim Woong-kyu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외법논집 Vol.45 No.1

        대한민국헌법 제9조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에 대한 노력의무를 국가에 부여하고 있고 문화국가원리는 오늘날 헌법상 기본원리로 작동하고 있기에 국토에 산재한 문화재에 대한 보호의무는 국가의 헌법상 의무이며 국민은 문화재에 대한 탐구와 향유에 대한 헌법상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해석된다. 매장문화재유존지역이라 함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매장문화재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되는 지역으로서, 원형이 훼손되지 아니하도록 보호되어야 하며, 누구든지 매장문화재보호및조사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르지 아니하고는 매장문화재 유존지역을 조사·발굴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매장문화재는 토지와 건물 등의 재산에 내장되어 있어, 발굴과 보호에 있어서 관련된 개인의 재산권과 필연적으로 충돌할 우려를 가지고 있으므로 문화국가원리와 개인의 재산권보장이라는 목적을 동시에 보장해야 하는 입법적 과제를 도출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문화재는 공유재이고 문화재 보호의 1차적 의무대상자는 국가이기에, 관련법률에는 비용의 국가부담 그리고 예외적인 개인책임이 그 원리로 작동되어야 하며 개인의 재산권과의 충돌시 명확성의 원칙, 적법절차원칙, 포괄적 위임금지원칙, 법률유보원칙과 과잉금지원칙에 입각하여 법령의 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매장문화재유존지역을 규정함에 있어서는 ‘매장문화재’가 우선적으로 정의되어야 하고 ‘유존지역’도 명확하고 가능하면 자세하게 정의되어야 한다. 본 글은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과 그 시행령 그리고 시행규칙을 분석하면서 ‘매장문화재’와 ‘유존지역’을 중심으로 헌법상 제원칙의 적합성을 살펴보고 타당한 법적 정의조항을 도출하여 입법상의 개정에 대한 의견을 도출하고자 한다. The Constitutional Law protects the cultural heritage and national culture by the article 9 “The State shall strive to sustain and develop the cultural heritage and to enhance national culture”. In the protec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the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like the void for vagueness and due process, should be applied in any cases. There are some legal problems which should be reacted in the act on protection and inspec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in the view of the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as mentioned above. The article 2 of the act on protection and inspec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says that The term “buried cultural heritage” means tangible cultural heritage buried or distributed underground or underwater and tangible cultural heritage contained in the structures, etc. and natural caves and fossils formed and deposited on the ground surface, underground or underwater (including seas, lakes and rivers), etc. and other objects deemed to have outstanding geological values under Presidential Decree. The article 4 proclaims that “the area of buried cultural heritage” means An area in which buried cultural heritage is recognized to exist, a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The article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protection and inspec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says the examples of the area of buried cultural heritage. The problem is that the definitions of ‘buried cultural heritage’ and ‘area of buried cultural heritage’ are not unquestionable. Some articles are reviewed and revised by the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