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철학 : 김창협의 지각론과 퇴율절충론의 관계에 대한 일고찰 -지각(知覺)과 지(智)의 분리에 따른 도덕심리학적 견해-

        김우형 ( Woo Hyung K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한국 철학논집 Vol.0 No.40

        이 논문은 農巖 金昌協(1651~1708)의 철학에 대해 기존연구에서 퇴율절충론으로서 평가해오던 것을 근래의 그의 지각론에 관한 연구성과와 관련시켜 재조명해보려는 시도에서 기획된 것이다. 김창협은 송시열의 주자주의의 수립이라고 하는 문제의식을 계승하여 이황과 이이의 학설을 종합하는 과제를 부여받았다. 그 해결의 단초는 마음의 지각(心知)과 “지의 작용”으로서의 지각(智知)을 정합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김창협은 心論에 있어 기본적으로 이이와 송시열을 계승하지만, 지각을 마음의 실체와 작용 전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확장시켰다. 지각은 내적 본성에 의해 작동되지만 지각의 원리는 알 수 없기 때문에 허령한 기가 스스로 지각 작용을 하는 것이라고 말해야 한다. 따라서 지각의 원리는 부정되며, 본성의 원리는 대상으로서 자각해야 하는 도덕적 원리로 간주된다. 즉, 지는 지각의 원리가 아니라 대상으로서 옳고 그름에 대한 도덕적 원리이다. “지의 작용”으로서의 지각은 부정되며, 이로써 지각과 지, 인식과 도덕은 분열된다. 인식과 단절된 도덕은 감정과 같은 복잡한 심리적 구조와 작용에 의해 설명되어야 할 문제이다. 김창협의 퇴율절충론은 理乘을 이황의 理發처럼 선한 본성에 내재한 도덕적 원리의 자각으로 확대 해석한 데서 비롯된다. 그는 선한 본성과 사단을 이론적으로 긍정함으로써 이이와 송시열의 결과주의와 외재주의로부터 이탈한다. 이로써 김창협의 사단칠정 인심도심에 대한 견해는 대체로 내부의 심리적 요인을 중시하는 도덕심리학적 경향을 띤다. 즉, 심기의 청탁과 도덕원리의 결합 비율로써 인심과 도심, 선과 악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적 심리상태는 우연적 요소들의 조합이기 때문에 파악하기가 어렵다. 김창협의 이와 같은 절충적 견해는 이황과 이이와 다른 제3의 새로운 입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오늘날 도덕심리학적 관점에서도 흥미로운 통찰을 준다고 평가할 만하다. This article is planned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Changhyup`s (金昌協, 1651~1708) theory of Jigak (知覺, psychological function) and his compromise on Yi Hwang (李滉) and Yi I`s (李珥) uncompatible ethical thoughts. Kim`s task was to establish the Zhuziism as ideology in Joseon Dynasty on the basis of the synthesis between Yi Hwang and Yi I`s doctrines. Although Kim succeeded to Yi I and Song Siyeol (宋時烈) in the theory of heart-mind, he extended the concept of jigak as denoting the psychological entity and function of heart-mind. While he disapproved of the principles of psychological function, he interpreted the principles of nature as moral principles that human beings should realize as the object. Ji (智) is not the principle of psychological function but the moral principle of right and wrong. Therefore he separated the psychological function from the ji. This separation implied the division of cognition and morals in psychological function. Kim`s compromise on Yi Hwang and Yi I was derived from his theory of psychological function as such. His moral psychology, which attached importance to psychological factors and mechanism, deviated from Yi I and Song Siyeol`s externalism and consequentialism. According to Kim`s thought, the ratio of combination between the clarity of psychological energy and moral principle of nature determines whether emotion is good or not. Kim`s moral psychology can be entitled as the third position different from Yi Hwang and Yi I, which is able to give interesting insight to moral psychology today.

      • KCI등재

        주자학과 양명학, 그리고 ‘국학’의 형성 ― 주체성과 실심(實心)의 계보학 ―

        김우형 ( Kim Woo-hy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고는 정인보의 ‘국학’ 사상에 나타나는 주체성과 실심(實心, 참된 마음) 정신의 역사적 계보를 추적하고 그 특징을 조명하였다. 근세 동아시아 사상사에서 주체성과 실심이 주요 화두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중국 송대(宋代) 신유학(新儒學)에서 비롯된다. 정이(程頤)는 주체의식을 강조한 최초의 사상가이며, 주희(朱熹)와 왕양명(王陽明)은 정이의 주체성의 원리에 입각한 사상을 계승하되 방법론에서 차이를 보일 뿐이다. 조선시대 정제두(鄭齊斗)와 강화학파는 신유학의 주체성과 실심의 정신을 발휘한 하나의 사례이다. 정인보(鄭寅普)는 학맥에 있어 강화학파에 속하지만, 양명학이 실심의 자각과 실천에 있어 더 효과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에 방법론적으로 활용했을 뿐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주체성의 원리가 정인보로 하여금 주희 도덕이론(인심도심론)의 골격을 거의 그대로 따르도록 이끌었다는 점이다. 이기적인 욕구(자사심)를 옳고 마땅한 것을 자각한 마음(실심)으로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은, 인심(감각욕구)과 도심(도덕심)의 갈등 상황에서 도심을 선택하여 인심이 도심의 명령을 받도록 제어하라는 주희의 견해와 일치한다. 이 같은 윤리학은 행위의 내적 동기나 의무감을 중시하는 입장으로서, 사실상 주희와 왕양명에 있어서도 근본적 차이는 없는 것이다. 적어도 이점에서 근현대 한국학을 유교전통과의 단절이 아닌 연속의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traces the historical genealogy of the subjectivity and the silsim (實心, true mind) that appear in Jeong In-Bo's "gukhak" (國學, the national learning) thought and illuminates its characteristics. In the modern East Asian history of thought, the beginning of the emergence of subjectivity and the silsim as the main philosophical topic comes from the Neo-Confucianism of Song Dynasty in China. Cheng Yi is the first thinker to emphasize subjectivity and consciousness. Zhu Xi and Wang Yang-ming inherit the Neo-Confucian thought based on Cheng Yi's principle of subjectivity, but only show difference in methodology. In the Chosun Dynasty, Jeong Je-Doo and his School were one example of the Neo-Confucian spirit of subjectivity and the silsim. Although Jeong In-Bo (鄭寅普) belongs to Jeong Je-Doo's school of Ganghwa in the school curriculum, he has only used it methodologically since he believed that Yangming's learning is more effective in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the silsim. Especially noteworthy is that the principle of subjectivity led Jeong In-Bo to follow the frame of Zhu Xi's moral theory. Jeong's claim that selfish desire (jasasim 自私心) should be controlled by a conscious mind (silsim) being aware of the right and 'ought to do' corresponds to Zhu Xi's view that the moral mind (dosim 道心) should be selected in the conflict situation between sensual desire (insim 人心) and moral consciousness so that the insim should be supervised by the dosim. Such ethics is a position to emphasize the inner motive and the sense of duty of conduct, and there is no fundamental difference in Zhu Xi and Wang Yang-ming. At least on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look at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not discontinuity from Confucian tradition.

      • KCI등재

        산업용 로봇 손목의 동력 전달계에 대한 동특성 해석

        김우형(Kim, Woo-Hyung),정진태(Chung, Jin-Tai)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18 No.9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wrist power transmission of an industrial robot are studied. The wrist power transmission has complex structure characteristics, because it is composed with several shafts and gear system. We used an analytical method to investig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An analytical model is a rigid model which is composed with masses and springs. Both bearing and gear contact model represent equivalent stiffness springs which are determined by the experi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ynamic tendency of the robot wrist power transmission, we simulate the analytical model. There is a dynamic analysis tool which is called the RecurDyn. To verify the analytic results, we experiment a signal analysis which is an overall noise level of the robot. By the parametric study of the element of the robot, we study an improvement method of dynam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주희의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에 나타난 만년 사상 연구 - 연단술의 재해석과 새로운 영생관의 모색 -

        김우형 ( Kim Woo-hy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3 No.-

        이 논문은 『주역참동계고이(周易參同契考異)』를 주희의 철학에서 고립된 영역으로 간 주하는 대신, 주희의 삶의 후반기에 있어 그의 사유, 특히 그의 철학의 핵심 개념 인 리(理)에 관한 사유와 관련하여 고찰했다. 『참동계』는 우주론이나 선천역학(先天易學)과 관련이 있지만, 『참동계』의 저자인 위백양(魏伯陽)은 『주역』의 해석이 아니라, 연단술의 기초를 확립하기 위해 음양 개념과 선천역학의 괘상 형성 원리를 빌렸을 뿐이다. 그러므로 우주론과 선천역학과의 관계는 간접적인 것이다. 주희에 따르면, 연단술이 근거하고 있는 『참동계』는 과학과 자연학의 공통 기반으로서 리에 기초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그는 리의 기초 위에서 자연학으로서의 외단술과 내단술을 정립하려고 했다. 주희에 따르면, 외단술은 도가의 일원론에서 일자(一者)와 같은 종류의 물질로 만들어진 단약을 찾는 방법이다. 주희는 단약이 영원한 존재와 동류로 구성되어야 함을 인정하지만, 기본적으로 외단술과 일원론을 이기이원론의 관점에서 비판한다. 또한 주희는 이기이원론에 기초하여 내단술을 재해석한다. 당시 내단을 수행함으로써 불사의 존재로 인정되던 선인(仙人)은 사실 불사의 존재가 아니라고 한다. 주희는 수명의 한계 내에서 내단의 호흡술을 통해 기의 발산을 조금 지연시킬 가능성은 인정하지만, 내단은 외단과 마찬가지로 기의 양생(養生)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양심(養心)은 마음속 리에 기초한 불사관의 새로운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 말하자면, 기의 양생과 달리 리와 관련된 자기수양은 일종의 불사와 영생에 관련된다. This article does not regard Zhouyi chantongqi kaoyi 周易參同契考異as an isolated area in Zhu Xi’s philosophy. Instead, I have investigated it in relation to his thought in the latter years of Zhu Xi’s life, especially the thought concerning the key concept of his philosophy, li (理, principle). Zhouyi chantongqi is related with the cosmology and a priori Yi-logy (xiantian yixue 先天易學). However, Wei Boyang(魏伯陽), the author of Zhouyi chantongqi borrows the concept of yin-yang(陰陽) and the principle of guaxiang(卦象) from a priori Yi-logy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s of external alchemy, not for the interpretation of Zhouyi. Therefore, the relationship with cosmology and a priori Yi-logy had only the second-hand link. According to Zhu Xi, the text, from which external and internal alchemy are extracted, is based on li as the common basis of science and natural philosophy. In this context, he tries to establish the external and internal alchemy as natural philosophy on the basis of li. According to Zhu Xi, external alchemy is the method to search for the elixir that is made of the same kind of material with the One (yizhe 一者) in the monism of Taoism. Although Zhu Xi admits that the elixir consists of the same with the everlasting thing, he basically criticizes external alchemy and the Taoist monism from the perspective of li-qi (理氣) dualism. Meanwhile, Zhu Xi reinterprets internal alchemy on the basis of li-qi dualism. The xianren(仙人), Zhu says, who have performed the training of internal alchemy and acknowledged as immortals in those days, are not immortal. Although Zhu Xi approves the possibility to delay the dispersion of bodily qi-energy through the respiration of internal alchemy within the limits of life spam, he insists that internal alchemy is also within the limit of cultivating qi-energy (yangsheng 養生) like external alchemy. However, cultivating mind (yangxin 養心) makes possible the new prospect of immortality based on li. That is to say, the self-cultivation connected with li is able to guarantee a sort of the immortality and eternal life, whereas the cultivating qi-energy cannot do that in the end.

      • KCI등재

        정약용의 악론(樂論)에 대한 철학적 고찰

        김우형(Kim, Woo-hyung) 한국동양철학회 2013 동양철학 Vol.0 No.40

        이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악론을 주로 음악철학 혹은 음악미학적 관점에서 조명한 글이다. 정약용의 문예관은 송대 문도론의 세 입장 가운데 문학과 예술의 자율성을 부정하는 정이의 ‘작문해도론’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음악에 대한 그의 철학적 견해도 강한 도덕주의와 더불어 음악을 도덕수양과 사회적 교화의 수단으로 간주하는 도구주의적 경향을 나타낸다. 그에 있어 ‘미’는 ‘선’과 다른 영역이 아니며, 반드시 도덕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에 따라 규정되어야만 하는 영역이다. 그러나 정약용은 선험적인 도덕성(morality)이 마음에 내재해 있다고 보지 않기 때문에, 그의 도덕주의는 실질적으로 정이와 차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고악의 복원을 위한 시도로서 그의 악률론에 이르면, 그의 음악사상은 음악에 독립성과 자율성을 부여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왜냐하면 고악의 복원을 목표로 하는 그의 악률론은 당시 아악에 대한 비판과 대안의 모색이라는 성격을 띠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속악(향악)으로 하여금 아악의 권위와 굴레를 벗어나서 독자적으로 발전하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주희의 관점과 노선을 따랐기 때문에 야기된 것이기 때문에, 결국 정약용은 주희의 악론의 연장선상에서 파악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lucidate Tasan 茶山 Cheong Yagyong 丁若鏞 (1762~1836)'s thought of music from the philosophical or aesthetic point of view. Cheong's view of literature and the arts belongs to Cheng I 程頤 's position that denies the autonomy of literature and the arts. His philosophical view of music also shows strong moralism and instrumentalism that regards music as a measure for moral cultivation and social enlightenment. For Cheong, “beauty” is not different from “good” and has to be regulated by moral and rational judgement. However, since he doesn't think that a priori morality is inherent in mind, his moralism has contained some differences with Cheng I. Moreover, in the case of Cheong's music theory of pitches and melodies as a venture for the restoration of ancient music, his thought played a role of catalyst in promoting the autonomy of music. This is because his music theory had the implication of a critique and alternative of court music (Aak, 雅樂), which led to autonomous development of folk music (Hyangak, 鄕樂). This effect was ultimately brought about by his following Zhu Xi 朱熹 whose perspective admitted folk music to some extent because of the im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ancient music. In conclusion, Cheong's philosophy of music needs to be grasped in the extension of Zhu Xi and Cai Yuanding 蔡元定 's thought of music.

      • KCI등재

        『천명도설(天命圖說)』에서 우주론과 도덕론의 문제 -「태극도설(太極圖說)」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우형 ( Woo-hyung Kim ) 퇴계학연구원 2016 退溪學報 Vol.139 No.-

        이 논문의 목적은 『천명도설』의 우주론과 도덕론의 문제를 「태극도설」과 비교하여 검토하려는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두 도설을 세부적인 도상적 차이나 우주론과 심성론의 구분으로써 대조시키는 것을 지양하고, 우주론적 관점의 차이와 그로 인해 야기되는 도덕론적 입장의 분화까지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천명도설』은 「태극도설」처럼 우주론에 속하지만, 그 근저에는 「태극도설」과 다른 관점이 잠복해 있었다. 즉, 「태극도설」은 우주 조화의 근본원리를 인간의 입장을 벗어나서 설명하고자 했다면, 『천명도설』은 개별자에게 주어진 天命을 나의 의식과 知覺 속에서 職分과 道理로서 자각해야 한다는 입장이 반영되어 있다. 이는 근본적으로 "태극"과 "천명" 개념으로 인해 나뉘게 되는 경계이다. 사단칠정논변에서 나타나는 퇴계와 고봉의 도덕론적 입장 차이는 이 같은 우주론적 입장 차이와 얽혀있다. 기대승은 처음부터 『천명도설』에 입각하되 선악의 기준을 지각의 결과가 외적 규범에 합치되는지 여부로써 설명했다. 반면, 퇴계는 우주론적 도덕론의 입장으로부터 사칠논변을 거치면서 내적 당위의식을 선악의 기준으로 삼는 "천명"의 입장으로 전환하게 된다. 지각상에서 자각되는 "理發"의 느낌은 개별자에게 부여된 천명이 직분과 도리로서 현현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호발설의 최종적인 귀착지는 『천명도설』이 속해 있는 우주론이기보다는, 마음과 지각을 중심으로 하는 도덕철학이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onsider the problematics of cosmology and ethics shown in Cheonmyungdoseol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the Heavenly Mandate) by comparing with "Taijitushuo"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the Supreme Ultimate). Cheonmyungdoseol is originally the work heading for the objective scientific cosmology like "Taijitushuo". However, though Cheonmyungdoseol shares the cosmological frame of "Taijitushuo" like the li-qi theory, objectivism, and anthropic principle, the perspective in the basis is distinct from "Taijitushuo". That is to say, "Taijitushuo" stands for the eternalism in cosmology, while Cheonmyungdoseol possesses the presentism that regards the past and the future are comp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point of view. In particular, Cheonmyungdoseol reflects the idea that one should realize tianming (the Heavenly Mandate, cheonmyung in Korean) endowed to an individual in his own consciousness and cognitive function. The difference of perspective is brought about by the concept of tianming whose implication and boundary are different from taiji (the Supreme Ultimate). The taiji refers to a cosmological principle as ultimate reality from the objective point of view, while tianming indicates one``s job and moral principles which one has to see in his mind. Therefore, tianming is related with the consciousness of "ought", because it would not be able to be realized without self-cultivation. In this regard, Cheonmyungdoseol cannot but adopt the subjectivism in the end. These two perspectives in cosmology are closely interrelated to the different ethical viewpoints that appear in the Four-Seven Debates between Yi Hwang and Ki Dae-seung. While Ki Dae-seung adheres to the objectivism which sees that the criterion to determine moral good and evil lies on whether one``s cognition can accord with the social norms, Yi Hwang gradually declines to the subjectivism which regards the consciousness of "ought" as the ultimate criterion of morality. In other words, Ki Dae-seung``s ethical perspective is to supplement the presentism and phenomenalism of Cheonmyungdoseol with objectivism, while Yi Hwang``s position represents the completion of subjective ethics based on Cheonmyungdoseol. According to Yi Hwang, the consciousness of "ought" can be regarded as the manifestation of tianming as the awareness of one``s job and moral principles. After all, parting from the cosmology where Cheonmyungdoseol originated, Yi Hwang``s theory of mutual manifestation ironically stands in line with the moral theory centering on the subjective mind and cogni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우계 성혼의 퇴율절충론의 철학적 함의 -리기일발설(理氣一發說)의 존재론적 해석

        김우형 ( Woo Hyung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1 No.-

        이 논문은 성혼의 리기일발설(理氣一發說)에 초점을 맞춰 그의 퇴율절충론이 지니는 철학적 함의를 해명하고자 한다. 성혼은 사단칠정논변에 대해 처음부터 기대승의 입장에 동조한 것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이황의 입장에 선 것도 아니었다. 그가 이황의 호발설을 변호한 것은 단지 표면적인 것일 뿐, 실제로 호발설을 지지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사단과칠정, 인심과 도심을 리와 기로 나누어 말하는 것은 단지 명목상의 차원에서 가능할 뿐이지, 실제로는 마음의 일반적 작용태로서의 칠정에 사단이 포함되며 양자는 지각상에서 구별된다고 보지 않았다. 성혼의 리기일발설은 리와 기가 일체로 결합된 마음의 발현에서 도덕적인 원리의 비중이 높은 것은 ‘주리(主理)’로, 과불급을 일으키는 기질(氣質)의비중이 높은 것은 ‘주기(主氣)’로 각각 명목 차원에서만 지목할 수 있다는 것을 함축한다. 도덕적 시비선악의 판별은 지각과는 다른 반성적 헤아림의 능력에 의해 가능하며, 그것은 실천적 수양에 의해서만 길러질 수 있다고 본 듯하다. 성혼의 이와 같은 절충론적 입장은 이황과 이이의 지각론적 두 입장과는 다른 제3의 입장이라 할 수 있으며, 지각론보다는 존재론적 성격을 띤다. In this article, I will elucidate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 of Seong Hon (成渾, 1535~1598, 牛溪)``s compromising thought between Toegye (退溪) Yi Hwang (李滉) and Yulgok (栗谷) Yi I (李珥)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his theory of "the unified manifestation of li and chi" (理氣一發). Concerning the Four-seven debate, Seong Hon did not align himself with Ki Daeseung (奇大升) nor agreeing with Yi Hwang from the beginning. Although he felt Ki``s logic was more clear than Yi``s, Seong thought that Yi``s "mutual manifestation theory" (互發說) had the reasonable basis if considering Zhu Xi (朱 熹)``s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However, Seong``s advocating Yi Hwang as such was superficial since he actually did not agree on the "mutual manifestation theory". Seong thought that it is possible only in the nominal dimension to separate Four Beginnings (Moral Mind) and Seven Emotions (Human Mind) in terms of li and chi. In reality, Four Beginnings belong to Seven Emotions as the general functions of mind where both are not able to be distinguished. Seong established his position with the theory of "the unified manifestation of li and chi" which impli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perspectives of juli (主理, regarding mainly as moral principle) and juki (主氣, regarding mainly as temperament) on the functions of mind as the unified substance is possible only in the nominal dimension. In Seong’s thought, moral good and evil could be discriminated by practical deliberation which did not appertain to cognition. He seemsto think that such a deliberation is able to be acquired by practical self-cultivation. Seong Hon``s compromising thought, characteristics of which are ontological rather than epistemological, can be regarded as the third position different from the two epistemological standpoints in the mainstream of Korean Neo-Confucianism.

      • KCI등재

        지성적인 덕에 관한 퓨전-철학적 고찰

        김우형(Woo Hyung Kim) 철학연구회 2013 哲學硏究 Vol.0 No.101

        In this paper, I have intended to elucidate the implication of intellectual virtue focusing on the relations with moral virtues and the concept of integrative knowledge. For this aim, I tried to examine the related thoughts of Aristotle, Mencius, Kant, and Zhu Xi using fusion-philosophical method. Also I critically reviewed the two prominent theories of knowledge in contemporary virtue epistemology, especially Zagzebski``s, on the basis of the implication of intellectual virtue gained from historical study, and I tried to propose an alternative. While intellectual virtue is included in character traits, it is distinct from them in that it has the a priori principle or criterion which makes dispositions moral. Comprehensively speaking, intellectual virtue as a whole is unified with moral virtues. On the other hand, speaking in the particular context of epistemology and ethics, intellectual virtue is differentiated from moral virtues. Intellectual virtue is the moral disposition which deduces necessity from accidental phenomena on the ground of such an a priori principle. Knowledge can be defined as the act of intellectual virtue in accordance with an a priori principle. This conception of knowledge has the characteristic to include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and virtue epistemology as an inquiry into intellectual virtue ha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one normative study integrated with ethics. When we want to gain the insights from the philosophical traditions of East and West, especially from Zhu Xi and Kant, virtue epistemology would be able to produce desirable and abundant results.

      • KCI등재

        연구논문 : 하서(河西)성리학의 철학사적 고찰 -한국유학사에서 지각론(知覺論)의 태동과 하서의 역할-

        김우형 ( Woo Hyung Kim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0 儒學硏究 Vol.23 No.-

        하서 김인후는 서경덕의 기일원론에 입각한 직관주의적 공부론, 이항의 이기(理氣)를 하나로 보는 일물(一物)설, 나흠순의 인심도심체용설, 그리고 ‘존재론적 이원론’에 영향 받은 이황의 『천명도설』의 사단칠정설을 비판한다. 특히, 그는 사단과 칠정이 모두 성(性)의 원리와 경험적 기가 함께 발현하고 결합함으로써 정(情)이 되는, 하나의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며, 선악은 감정적 행위의 외적 규범에의 조화[和]와 부조화[過不及]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견해들은 기존의 존 재론적 학설들과는 분명히 다른, 지각론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김인후의 입장이 기대승에게 이어지고, 기대승은 사단칠정논변을 통해 이황으로 하여금 선험적 리를 중시하는 새로운 지각론을 구성하도록 자극했다고 본다. 김인후는 조선성리학 이론의 형성기에 있어서 이황과 이이에 의해 수립되는 지각론의 상반된 두 입장이 태동하는 데 있어 촉매제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Ha-seo (河西) Kim In-hoo (金麟厚: 1510~1560) criticized Seo Ky.ng-d.k`s intuitionism; Yi Hang`s theory of oneness of li (理) and chi (氣); Luo Qinshun`s theory of moral mind and human mind. He also criticized Yi Hwang`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influenced by ontological dualism. In contrast to Yi Hwang, he thought that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took form by the one course in which nature (性) became real feeling (情) through the co-issuance and unity of li and chi. He also thought that the determining factor of good and evil was whether or not the consequence of emotional activity was in harmony with the environment and object. His view showed 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that differed from the ontological doctrines of those days. After Kim In-hoo`s view was transmitted to Ki Dae-seung, Ki was able to stimulate Yi Hwang to fomulate the new epistemological theory that emphasizes a prioricharacter of li. In this paper, I`d like to argue that Kim In-hoo played a role of catalyst in the era of theoretical formation of Korean Neo-Confucianism where the two opposed positions took shape as the epistemological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