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35°표준갈고리 작업성 향상을 위한 철근보강클립 (RCC장치) 개발과정 및 현장적용 성과분석

        김용주,김은영,송화준,박경언,Kim, Yongjoo,Kim, Eunyoung,Song, Hwajun,Park, Kyoungye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6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내 교차된 양단 135° 표준갈고리 작업성을 향상시키기기 위하여 한쪽 90° 갈고리에 결속 보강함으로서 135° 표준갈고리와 대등한 성능을 발휘하는 원터치 방식의 철근보강클립(RCC장치)을 제안하였으며, 다양한 성능실험과 해석, 시공성 평가 및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개발 완료하였다. 2020년 6월부터 적용된 총 13개 현장을 분석한 결과, 개발할 당시의 예상한 것과 같이 구조감리나 공사감독관의 지적에 대해 불가항력적인 조치사항으로 적용하는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현장성과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자발적인 철근보강클립의 사용을 위해 원도급자가 우선 구매 후 협력엽체와 계약한 다음 제공하는 방식 등의 여러방식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철근보강클립을 적극적인 활용함으로써 현장에서 품질과 공정관리 측면에서 기여도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135 Degree standard hook workability crossed in the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 is improved and it reinforces in one side 90° hook binding. As a result, we proposed a One-touch Rebar Reinforcing Clip(RCC Device) that demonstrates the same performance as the 135° standard hook. It was developed through the evaluation of construction and economic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13 sites applied from June 2020, As expected, most of the cases were applied to the structural supervision or the point of the construction supervisor as an irresistible measure. therefore, Through field performance analysis, Various methods such as the method that the original contractor first purchases and then provides after contract with the partner company were proposed for the use of efficient and voluntary reinforcing clip.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contribution in the field will be very high in terms of quality and process management through active utilization.

      •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비대칭 정보의 완화를 통한 연구시설장비정책의 효율적 개선 방안

        김용주(Yongjoo Kim),김동우(Dongwoo Kim),이훈현(Whon-hyun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 연구는 양적 투입위주의 추격형 연구계발체계에서 질적 성과중심의 선도형 연구개발체계로의 새로운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국가연구시설장비의 효율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의 연구시설장비 정책의 변화과정과 현황을 설명하고, 이에 따른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정보 비대칭성과 연관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시설장비의 전주기 관리 체계를 연구시설장비의 구축 前後를 기준으로 사전(ex-ante)과 사후(ex-post)로 구분하여 분석했을 때, 역선택(adverse selection)과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외 주요 국가들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어떤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는가에 대해 해외 사례들을 조사하여 우리나라와 문제 해결방식의 비교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국가연구시설장비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현재의 국가연구개발예산구조의 변화와 정보 비대칭을 완화하는 정책들을 중심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the efficient improvement plan of national R&D facility which is needed to change from the quantitative input based pursuit type to qualitative oriented R&D system. First, we explain the changing process and status of Korea"s R&D equipment policy, and analyze the fundamental problems related to information asymmetry. When we have distinguished and analyzed ex-ante and ex-post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the research facility, we know that the adverse selection and moral hazard problems can be occurred. In addition, we examined the cases of overseas countries in which these problems are solved, and presented the comparison of problem solving methods with our country. Finally,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we have proposed the improvement plans to change the current R&D budget structure and to mitigate information asymmetry.

      • KCI등재

        일반대학교 군사학과 운영 현황과 발전을 위한 함의 -비협약대학교를 중심으로-

        김용주 ( Kim Yongjoo ),김국현 ( Kim Gukhyoun ) 한일군사문화학회 2021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2 No.-

        2004년 일반대학교에 군사학과가 처음 개설된 이후, 기존의 사관학교, ROTC, 학사장교로 육군 장교의 수급을 담당하던 것에서, 군사학과가 새로이 한 축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그 설치목적을 상당부분 달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신생학문인 군사학의 학문적 위상 정립에 대한 연구와 논란 속에서도 다수의 일반대학교에서 군사학과를 개설하여 운영 중인바, 이는 군사학이 이미 교육제도권 내에 속하여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문으로서의 군사학의 자리매김과 군사학과의 설치를 연혁 위주로 살펴보고, 일반대학교의 군사학과 운영 현황을 검토한 후, 비협약대학교 군사학과 발전을 위한 함의 순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야 분류표”에는 군사학이 “사회과학”으로 분류되어 있고 군사학이 공식적 학문으로 인정되어 학위를 수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학의 고유성ㆍ정체성에 대한 논란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따라서 군사학의 개념, 대상 및 연구범위에 대한 심도있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일반대학교의 군사학과 설치 유형은, 육군본부와 일반대학교 간 협약을 통하여 군사학과에 합격하면 졸업 시 임관이 보장되는 유형, 역시 육군본부와 일반대학교 간 협약을 통하여 군 장학생 선발 간 가점을 받고 합격 시 장교로 임관하는 유형, 이와는 달리 육군본부와 협약을 맺지 않은 일반대학교 군사학과 학생이 군 장학생 선발시험을 거쳐 합격 시 장교로 임관하는 유형이 있다. 이 중 비협약대학교일수록 신입생 충원 및 장교 임관에 있어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원정책으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일반대학교 군사학과 교과과정 편성을 보면, 최초 육군사관학교 교과과정을 모범(模範)으로 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교과 과목으로 편성되어 있는바, 군사학의 다(多)학문성, 종합 학문성, 융ㆍ복합성을 고려하더라도 너무 많은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제 육군의 핵심가치를 구현하는 유능한 장교 양성에 적합한 교과과정으로 재편성되어야 한다. 또한 전공교수 편성도 어느 한 전공에 편중되기 보다는 군사학 분야의 다양한 전공과목을 담당할 수 있는 교수가 포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째 군사학과 학생들에게 다양한 병영ㆍ병과 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되어야 하고, 다양한 비교과 과목을 통해 군사 전문성뿐만 아니라 장교로서 인성 함양을 위한 정책지원, 그리고 애정 어린 관심을 갖고 교육과 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유능한 장교, 군사전문가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는 군사학과 운영의 성패(成敗)는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것임을 명심하고, 일반대학교의 강점과 경쟁 우위요소를 발굴하여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군이 요구하는 장교상에 부합된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도약하여야 한다.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litary department at a general university in 2004, the military department has achieved much of its purpose in establishing itself as a new pillar, from being in charge of the supply and demand of army officers as military academies, ROTCs, and bachelor’s officers.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many general universities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military departments despite the research and controversy over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status of military science, a fledgling academic, which is already under the educational system.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science as an academic and the establishment of military departments, reviewed the military and operational status of general universities,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on-agreement universities. This results in the following studies. First, controversy over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military science is still ongoing, although military science is classified as “social science”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nd military science is officially recognized as a study. Therefore, in-depth and continuous research into the concepts, subjects, and scope of military science is needed. Second, the type of military department installation of a general university is guaranteed if it passes the military department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the army headquarters and the general university. Among them, non-agreement universities are having relatively difficulties in recruiting new students and commissioning officers, but they will be able to overcome difficulties with various and active support policies. Third, the military curriculum of a general university consists of too many subjects, even considering the multidisciplinary, general academic, convergence, and convergence of military science, which is the same or similar curriculum. It must now be reorganised into a curriculum suitable for training competent officers that embodies the core values of the Army. In addition, rather than focusing on one major, efforts should be made to have professors who can take charge of various majors in the field of military science. Fourth, military student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various barracks and soldiers, and various comparative subjects should provide policy support for their character development as officers as well as military expertise, and education and guidance with loving interest. Keep in mind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military operations aimed at fostering competent officers and military experts is directly related to national security, and shall be established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trains officers required by the military by discovering strengths and competitive advant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