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예림(Kim, Yerim),정혜원(Chung, Hye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2002년이후 약 20년간의 대학생의 진로와 관련된 논문의 연구 동향을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정보원(KCI)에서 2002년 ~ 2019년 10월 1일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1,712건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제목은 초기 시점, 중기 시점, 후기 시점의 세 시점으로 구분하였고, 분석에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 중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핵심단어를 추출하고 빈도수를 분석한 후, 중심성을 구하여 키워드 간 관계를 탐색하였다. 첫째,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이 지난 20년간 꾸준히 연구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도수 10회 이상의 단어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뒤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초기 시점에는 ‘진로결정수준’, 중기와 후기 시점에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중심성은 초기 시점에서는 ‘진로정체감’이 가장 높았으나, 중기 시점에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후기 시점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매개중심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2 and December 1, 2019,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s. To achieve this, 1,712 studies obtained from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websit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analysis. The selected studies’ tit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periods: an early period, a middle period, and a late period, respectively. For an analysis, After determining salient keywords and analyzing their frequencies in the titles using text mining methods, this study found centralitie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eyword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regarding the text mining analysi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factors studied repeatedly during the twenty-year period under examination. Next, the text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focusing on degree, closeness, and betweenness centrality for keywords having a frequency greater than ten. In degree and closeness centrality, it was found that ‘career decision-making level’ had the highest factor in the early period, and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the most highest factor. Regarding betweenness centrality, ‘career identity’ had the highest factor in the early perio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highest in the middle period,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the keywords with the highest value in the late period, then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ed for a follow-up study.

      • KCI등재

        포스트콜로니얼의 어떤 복잡한 월경적 연애에 관하여

        김예림(Yerim Ki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1

        이 논문은 전후 일본의 집합기억의 역학을 분석하고 이 장에서 구식민지였던 조선-남한이 어떠한 위치에 놓여 있었는지를 고찰한다. 문제적인 것은, 전후 일본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행위가 결코 식민지를 기억하는 행위는 아니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후 일본의 기억-기록의 장에서 드러나는 불균형과 구식민지를 향한 현실적, 상징적 처리 방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945년 이래 일본에서는 전쟁(패전)을 둘러싼 다양한 기억-기록물과 재현물이 지속적으로 재/생산, 재/구성되어 왔다. 반면 구식민지 조선에 대한 기억은 소거되었다. 그러나 당시 패전한 일본과 해방된 조선-남한이 서로에 대해 맺고 있던 관계를 보여주는 몇몇 자료들이 존재한다. 해방된 조선-남한에 대해서 일본은 연장된 식민주의나 공포와 같은, 모순적이고 양가적인 태도를 취했다. 1945년 이후, 기존의 제국/식민지라는 계서제적 권력관계에서 벗어난 조선은 일본에 대해, 동등한 위상을 갖는 불투명한 ‘이웃’이 되었다. 이제는 ‘이웃’이 되어버린 타자로서의 조선은 일본의 자기의식을 계속 자극하는 존재가 된다. ‘인양서사’는 이와 같은 전후 일본의 복잡한 자기 구축의 맥락과 과정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이 글에서는 조선-남한과 일본의 경계를 넘나드는 ‘월경적 연애’의 상상이 갖는 의미론적 위상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기까지 한일 양국에서 나온 월경적 연애의 서사들 즉 후지와라 데이의 『灰色の丘』, 이범선의 『검은해협』, 히노 게이조의 중단편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이와 더불어 『親和』의 담론을 분석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dynamics of the collective memories of postwar Japan and the position of the old colony Korea at terms of postcolonial Japanese memories-field. It is problematic that the memories of the war don’t mean the memories of the colonies which Empire Japan had occupied. Therefore, it’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unevenness of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the way of treatment of past colonies like Korea in postwar Japan. Since 1945, various kinds of memories or representations concerning (defeated) war had been continuously (re)produced and (re)constructed, while those of old colony Korea have been erased in postwar Japan. But there are some materials which describe realistic and symbolic relations between Japan and Korea. Toward liberated Korea, postwar Japan has contradictory attitudes such as extended colonialism and fear for the others. Liberated Korea which got out of empire/colony hierarchy became equal but obscure ‘neighbor’, that is to say the other who stimulates self-consciousness of defeated Japan. The narratives of Japanese refugees(hikiagesha) show the context and process of complicated self-construction in postwar Japan. Especially, this paper probes the location and meaning of imagination regarding ‘transnational love’ between postwar Japan and Korea, focusing on the novels and essays written in 1950s~1970s. For this work, I analyze Hujiwara Tei(藤原てい)’s 『灰色の丘』, Lee Beomseon’s Geomeun Haehyeop(Black Strait), Hino Keizo’s novels and articles of monthly magazine 『親和』.

      • KCI등재

        교육과정의 실천에 대한 탐구

        김예림(Yea-Lim Kim)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7 미술과 교육 Vol.18 No.3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교육과정의 변형과 생산 가능성과 실천적 측면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교사에 의해 해석된 교육과정이 교육과정 자료를 거쳐 수업에서 학생에게 일어나는 배움의 과정을 타 교과와 차별화된 미술교육의 측면에서 자세히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들뢰즈와 과타리의 철학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과정을 다양체로 바라보는 사유 방식으로 교육과정자체의 변형과 생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은 개발자의 의도에만 한정되어 실행되기보다는 교사, 학생, 사회 등의 현실과 연결되는 양상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므로 실천적 성격을 지닌다. 교사는 잠재의식에서 다양한 부분기억을 현재 의식으로 끌어오면서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교육과정 자료를 선정한다. 교사가 교육과정을 규정하는 행위는 교육과정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확장하는 것이다. 미술교육에서 교육과정 자료, 즉 작품은 정감이 내재된 감각적 힘이 있는 것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이점은 타 교과의 교육과정 자료와는 다른 부분이다. 그리고 수업에서 작품이 학생과 만났을 때, 학생은 감각의 에너지로 예술적 배움과 성장을 이루게 된다. 결과적으로 미술교육의 역동적인 전 과정은 다른 교과와의 차별성이 있다는 점과 교육과정 가능성과 실천성을 심화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curriculum potential for transformation and production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process in detail from the curriculum as interpreted by the teacher to the learning that occurs in the classroom through the curriculum materials. The process of art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subjects. For this, I will focus on the philosophy of Deleuze and Guattari. The curriculum as a qualitative multiplicity makes the transformation and production of the curriculum itself potential. Since the curriculum has a practical nature, it changes the meaning according to the aspect connected with the reality of the teachers, students, and society rather than being executed only through the intention of the developer. The teacher interprets the curriculum and selects the curriculum materials by drawing various memories in the unconscious to the current consciousness. Defining the curriculum is not to reduce the curriculum potential, but to expand it. In art education, the curriculum materials must be selected as the works that have the power of sensation, affect. This is different from the curriculum materials of other subjects. When the students encounter the work in the instruction, they learn artistically and grow with the energy of the sensation. As a result, the whole dynamic process of art educat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subjects, and it becomes meaningful because it deepens the practicality and potentiality of the curriculum.

      • 셀프 조향 AI 디퓨저

        영서 ( Yeong-seo Kim ),규현 ( Gyu-hyun Kim ),예림 ( Ye-rim Cheong ),고나영 ( Na-yeong Go ),이경용 ( Kyung-y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코로나 19사태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이 지속되면서 사람들의 생활 형태가 변화된 양상을 띈다. 특히 모임 활동 및 단체 활동의 제한으로 개인 시간이 이전에 비해 증대되었다. 홀로 자택에 머무르는 시간의 증가로 인해 사회적 단절감과 고립감이 심화되며 “코로나 블루”로 일컫어지는 신종 정신질환이 많은 사람들에게 생겨나 사회적 문제로 이슈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고안된 새로운 디퓨저 개발과정 및 기존 디퓨저에서 볼 수 없었던 IoT기술과 조향기술과의 접목을 통한 차별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 KCI등재

        정체(政體), 인민 그리고 베트남(전쟁)이라는 사건

        김예림 ( Kim Ye Rim ) 역사문제연구소 2014 역사문제연구 Vol.18 No.2

        This paper explores the perception of Vietnam and the Vietnam War in 1960s Korea, fo-cusing on the problems of political systems and governmentality. In the early 1960s, Korea and Vietnam were both undergoing political crises, with the delayed transfer of power to the civil government in South Korea, and the political uprising against the dicta-torship and continuous coups d`etat in Vietnam. The two nations shared a common his-torical and socio-political background as the new states of Asia, considered `backward na-tions` or third-world countries. Japanese intellectuals notice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This paper examines the respective perspectives of South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who reflected on broken democracy, the reality of the governed, and people`s struggle to build a nation-state. The Vietnam War was an important event which allowed South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interests in Asian political con-ditions to converg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point of view of South Korean in-tellectuals toward Vietnamese and the Vietnam War differed from that of the Japanese. In Korea, it was har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he Vietnamese resistance to America or the Vietcong`s struggle, while Japanese intellectuals imparted historical mean-ing to their movement. This paper analyzes the convergence and differences in the opin-ions of Korean and Japanese intellectuals, as represented by writers Choi In Hoon and Oda Makoto, and Vietnam correspondents Hino Keizo, Son Joo Hwan, and Shim Sang Joo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자전거 전조등의 적절한 설치 각도 제시

        김예림(Kim, Yerim),주재승(Joo, Jaeseung),정도준(Jung, Dojoon) 한국방재학회 202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2 No.1

        본 연구는 자전거 전조등의 설치 각도에 따른 눈부심 장애의 정도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가시거리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마주 오는 자전거 운전자의 눈부심이 적은 최적의 전조등 각도를 제시하고 있다. 피험자는 자전거에 탄 채로 전조등이 설치된 자전거가 다가오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하였고 마주 오는 운전자는 전조등과 지면의 각도를 0°에서 30°까지 하향 방향으로 변경하며 반복하여 주행하였다. 안구추적기로 피험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피험자의 시선이 전조등을 주시하는 시간을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눈부심 장애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change in the degree of glare disturbance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angle of bicycle headlights. In particular, we aimed to determine the optimal headlight angle that resulted in the least glare from the bicycle driver while securing a visible distance that ensured driver safety. The test subject was riding a bicycle and was requested to look at a bicycle equipped with a headlight facing the approaching direction. Additionally, the angle between the headlight and the ground was changed from 0° to 30° in the downward direction, as the subject was requested to drive repeatedly. The subject s gaze was tracked using an eye tracker to measure the time spent gazing at the headlight. The results were then utilized to evaluate the degree of glare disorder.

      • KCI등재

        해방기 한치진의 빈곤론과 경제 민주주의론

        김예림(Kim Ye Rim)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2

        한치진은 사회학 전공자들이 활동하기 시작한 1930년대, 개량주의 사회학의 흐름을 형성한 대표적인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조선이 총체적인 격변에 노출되어 있던 해방기에 그는 동시대의 첨예한 문제에 적극적인 지적개입을 수행하는데, 경제 민주주의론이 그 양상을 잘 보여준다. 한치진의 경제 민주주의론은 경제적 관계의 재질서화를 통해 자본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고 공동체를 재구축하려는 이론적 시도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는 1920년대 말부터 “빈궁”문제에 주목해온 바, 해방기의 경제 민주주의론은 식민지 시기에 전개한 빈곤론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경제 민주주의를 논하는 과정에서 그는 맑시즘에 대해 참조/부정의 긴장관계를 유지하면서 빈곤과 경제적 비민주성의 해결을 역설한다. 빈곤론, 노동론, 경제 민주주의론을 거치면서 한치진은 공공성의 확립과 제도화를 통해 ‘사회적인 것’을 구축할 것을 주장했다. 사회보장 원리와 사회민주주의에 입각한 한치진의 경제 민주주의론은 해방기 우파 지식인의 인식의 문법 및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다는 점에서 이념사적으로나 학술사적으로 주목할 만한다. Han Chi-Jin is a representative sociologist who developed the stream of reformist sociology in the 1930s in Korea. He actively unfolded participative arguments on socio-political issu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age of overall upheaval of Korean society. Theory on economic democracy shows his interest in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His theory was an intellectual attempt to reorganize economic relationship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of capitalism and reconstruct the the political community. His theory on economic democracy correlates with his long-studied understanding of poverty since the late 1920s. He especially emphasized the resolution of poverty, the consequences of unequal distribution, and concentration of wealth, extensively referring to and rebutting Marxism. Han Chi-Jin insisted that society should be constructed and protected by pursui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ublic. His theory on economic democracy based on the idea of social welfare and the social democracy model is worth significant attention in both fields of ideological and academic history, as it shows logical reasoning and limitations to the thoughts of a right-wing intellectual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