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문화생산 공간과 실천에 관한 연구

        김예란(Yera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1

        이 연구는 1990년대 이후 전개된 한국의 문화화를 창의성에 대한 구조와 실천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문화판은 후기자본주의 체제에서 지구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문화화의 한국적 지역화의 과정이자 산물이다. 문화판의 맥락적 요소로서 창의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신자유주의적 문화경제의 흐름과 함께 한국사회가 경험한 문화정치학적 변화의 과정을 검토하고, 문화판의 행위적 요소로서, 창의성을 중심으로 하는 청소년문화의 이행기적 성격과, 문화적 구별구조의 유지 및 변화의 양상을 제시한다. 문화판은 창의성을 촉진, 관리하기 위한 산업적, 정치적 체제를 함축하는 공간적 재현이며, 동시에 주체가 그러한 구조적 관계와 사회적 권력작용을 주관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촉진하고 규율하는 재현적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문화정책의 확장과 문화산업의 급성장은 젊은 세대에게 노동과 소비를 아우르는 생활세계로서 문화의 장을 열어주었지만, 선택과 원리가 보다 치열해지고 암묵적이고 정교한 구별체계가 유지, 강화되는 것이 문화판의 현실임을 확인한다. 이런 점에서 문화판은 문화적 실천 욕구를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불균등한 사회적 관계와 이질적인 아비투스가 충돌하고 각축하는 갈등의 장이기도 하다. 현재 문화생산인들의 상황은 실패와 소외의 경험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지만, 그들의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것도 이러한 과정적 가치가 지니는 잠재적 가능성이 열려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looks into a Cultural Site, in which a subject of youth subculture has transferred into the social field of economy activities since the 1990s. It is observed that contemporary discourses of creativity and actions of creative industries have spread within the global expansion of a neo-liberalist approach to culture. Furthermore, a local specificity of Korea's culturalisation is that active facilitation of creative industries at the level of cultural policies was in order to serve a civic demand on both culturalisation of politics and politicization of culture. The presence of Cultural Site as seen today is a consequence of negotiation between diverse social, historical, political relations and forces. Althoug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ies and cultural industries have opened up a living world of culture for the young people, in the sense of culture as the environment and object of work and consumption, it is also true that the logic of choice and competition has become further strenuous. And tacit and micro orders of difference have sustained and, perhaps, reinforced. The Cultural Site is a site not only of one's cultural exploration but also of different kinds of habitus clashing and rivaling. Creativity is objectified as an individual resource and technology which is considered to be promoted and regulated in social and industrial orders. A trajectory in which young people as cultural consumers become cultural producers engages a process in which they experience regulations and learn to survive and respond them and eventually achieve technology and condition for their own cultural desires. Instead of taking a binary opposition of subjection or resistance, it is suggested that unstable working condition, order of gender and sexuality, routineness of isolation, and reorganization of living time and space consist of the young people’s social and cultural capitals. While those cultural and social capitals are not free from failure and isolation, we can expect a future perspective, by relying on these procedural values.

      • KCI등재

        소셜웹 대중문화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2 No.2

        이 연구는 이러한 신자유주의 원리가 유명인을 중심으로 하는 소셜웹 문화의 일종으로서 대중적으로 발현되는 문화 양상을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핵심 질문은 이 현상이 과연 여성적 문화의 건강한 발전인지, 혹은 신자유주의에 의한 여성적 문화의 포획은 아닌지를 판단하고, 전자에 의한 후자의 극복을 지향하는 시각을 여는 것이다. 이 작업을 위해 유명인을 중심으로 한 트위터 담론을 질적 분석했다. 미디어 환경이 부여하는 ‘스마트함’, 신자유주의적 이데올로기로서의 경쟁주의 및 개인주의, 긍정주의와 순응주의, 그리고 포스트페미니즘 라이프스타일 문화산업이 제공하는 환상과 욕망 질서가 결합하여 오늘날 소셜웹의 대중문화의 심성구조를 이루고 있다. 여기에는 자기통치의 자율적 주체라는 신자유주의적 포스트페미니즘의 환상이 자리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신자유주의적 자기 통치성이 지배적인 사회적 상황과 다른 한편으로는 이용자 능동성과 적극성이 강조되는 소셜웹 미디어 환경이라는 환경적 요인들이 서로 접합하며 신자유주의적 포스트페미니즘의 효과가 보다 직접적이고 강대하도록 이끈다. 그리고 그 효과의 강대함만큼이나 비판과 대안적 전망의 필요성 역시 절실하게 요구된다. This study criticizes the neoliberal dominance in social web popular culture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 key question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social web popular culture-is it the repercussion or recapturing of feminism in relation to the social context of the prevalence of popular cultural practices of neoliberalism and how to challenge against neoliberal ideology with the critical positioning of feminism? In dealing with these questions, four celebrities’ twitter discourses are analysed. The emphasis of smartness in digital mediascape, neoliberal imperative to be competitive, autonomous, positive and affirmative, and desire and fantasy brought by postfeminist lifestyle industries are embedded in the present popular culture. The critical account of neoliberal postfeminism suggests the necessity of an critical feminism which brings about alternative values to the current neoliberal demand for the active subject and consumer freedom of choice as the standard of ideal women.

      • KCI등재

        인간-기계-동물의 다양체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3 No.1

        이 연구는 육체적 동영상 특히 과식 먹방의 사례 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네트워크에서 진행되는 주체화의 문제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인간-기계-동물의 다양체 형성 논리를 세 개 차원에서 분석한다. 경제적 차원에서 디지털 네트워크에서 확산되는 먹방은 감각, 정동, 인지를 동원하는 노동 및 소비 행위다. 이는 일반대중이 콘텐츠 생산자로 활동하는 이용자 능동성의 양상으로 읽힐 수 있지만, 동시에 많이 먹기라는 생물학적인 소비 행위가 디지털 노동으로 환원되는 디지털 자본주의의 포획 원리로 해석할 수도 있다. 한편 사회적 차원에서 볼 때, 이러한 종속적이고 착취적인 노동 질서에서 생성된 먹방의 영토가 한국 사회의 정서적 분위기를 생성, 작동, 유통시키는 정동 네트워크로 기능한다. 특히 신자유주의 체제에서 팽배한 생존주의와 불안이 표출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러한 삶의 부조리한 조건을 조롱하고 비판하는 저항적 쾌락으로 적극화되는 양상을 읽을 수 있었다. 이러한 노동 행위와 정동의 체험은 고유한 문화적 언어로 표현되는데, 이러한 문화적 차원에서 두드러지는 표현양식은 동물화에서 찾아졌다. 생물학적인 먹기에 몰두하는 동물화와 데이터베이스적인 동물화가 순응적인 애완동물화의 경로라면, 냉소적인 놀이와 도발적인 탈주를 시도하는 동물화는 불온한 동물화의 경로로 구분되므로, 먹방의 주체들은 이러한 동물화의 양면성을 지닌 모호하고 이질적인 존재다. 이렇게 경제-사회-문화의 각 차원 및 차원 간 발견되는 양면성과 모호성에 근거하여 복합적이고 변이적으로 형성되는 주체를 ‘인간-기계-동물의 다양체’로 해석한다. 인간-기계-동물의 다양체의 특성은 이러한 양면성, 이질성, 복잡성, 변이성에 있다. The current study analyses a way in which human-animalisation and human -machinisation are constitutive of the process of subject-formation in the post-capitalist and digital networked society. At the conjunction, I suggest the term human-machine-animal multiplicity. In the political economic dimension, Mukbang is reduced to digital labour, through which human sensibility, affect and cognition are motivated and exploited. In a social dimension, the territory of Mukban is converted to networked affect, in which social psychology is generated and circulated. Survivalism and anxiety, which have been pervasive in neoliberal Korean society are actively adopted in Mukbang as the object of parody and critique in the performance of the irony of shame. The becoming-animal is salient in a cultural dimension of Mukbang. It is suggested that how the strategy of animanlisation will be realised as a form of ethical project will affec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ubcultural spirit on the internet.

      • KCI등재

        우리 시대, 행복의 윤리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90 No.-

        미투운동의 발생을 맥락적 배경으로 삼고 있는 본 연구는 행복의 윤리를 고찰하고 행복의 정동 관점에서 하나의 정치윤리적 가치를 도출한다. 정동의 관점에서 정초된 행복의 윤리 안에서 행복이란 단순한 별개 감정 단위가 아니라 다기한 감정들의 복합체이다. 또한 행복은 주체로 하여금 고정되거나 정지하지 않고 지향하여 움직이도록 하는 운동력이다. 이 과정에서 행복을 향해 움직이는 주체의 단속적인 생성과 변화가 계속된다. 그리고 행복은 기존에 대한 비판성과 이행적 도전성을 함축한다. 행복은 취약한 위치에서 가능한 비판적 해석과 대안적 실천성을 추구한다. 이처럼 행복의 윤리는 고통을 받아들이는 수동성, 나아가 주어진 상황을 긍정하면서도 그에 지치지 않고 또 하나의 도약을 시도하는 용기, 이러한 받아들임과 행함의 반복을 거듭하는 충실하고 격렬한 운동성에 있다. 행복의 윤리가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현실적 사안으로서 그 자체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함축한 채 전개되고 있는 디지털 페미니즘 운동을 조망한다. 이를 통해 젠더와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포함하여 지금 우리 사회에 광범하게 점철된 비참을 인식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기 때문에, 더욱 절실히 상상되고 실천되어야 할 가치로서 행복의 윤리가 강조된다. The current study proposes the ethics of happiness and from the perspective examines the presence of digital feminism. My conceptualisation of the ethics of happiness is as follows: happiness is not an individual unit of emotion but dynamic, diverse and complex assemblage of affects. Happiness is a kind of power operating in the way of leading the subject to persistently move according to her decision to go along towards a certain happiness, instead of being fixed or stopped in one position. This is a continuing process of the subject getting through reᐨgenerations and changes. Furthermore, happiness contains a critical subversiveness, thereby enables one to pursue and realise alternative values to the dominant one from her position of vulnerability. The ethics of happiness lies in passivity to affirm pains, courage to attempt another jump, and continuous and strenuous practices of repeating such affirmation and pass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thics of happiness, women who join in #MeToo are seen to have changed themselves from the ones who are bodily offended to the ones who speak their words. Her performative actions transvalue her own body and word. Digital feminism, including #MeToo, with both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its own, suggests the criticality of the ethical value of happiness as that which should be more desperately imagined and acted, in spite of and because of the present precarious and unhappy reality.

      • KCI등재

        플랫폼 생산자와 일상성 : 일상 브이로거의 삶과 노동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1 No.-

        이 연구는 일상 브이로거 현상에서 포착된 새로운 미디어 생산자를 ‘플랫폼 생산자’로 개념화하면서, 그 시작과 성장, 노동 과정, 작품의 미학적 특성, 사회적 관계와 함의, 경제적 조건과 대응 전략, 직업적 정체성을 탐색한다. 문화가 보통의 것이라면, 보통이 생성되고 실행되는 시공간적 과정으로서 일상은 동시대의 문화 형성에 근본적인 토양이 된다. 나아가 일상에는 주체의 고유한 감각과 감수성, 관계를 맺기나 관계를 바꾸기, 낯익게 하기의 친밀성만큼이나 낯설게 하기의 도전성이 내재한다. 일상 브이로거들이 참여한 심층 인터뷰를 분석하여 도출된 플랫폼 생산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아 주관적인 가치와 개인적인 노동 방식이 두드러진다. 또한 기존의 상업적 미디어 생산자와는 달리 그러한 질서를 거부하거나 적정한 수준과 성격의 광고 범위로 교섭하는 등의 선택성과 자율성이 두드러졌다. 또한 플랫폼 생산자는 브이로그의 경계를 넘어서 다양한 문화산업 영역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는 기반이면서 각개의 상이한 문화산업 영역을 연결하는 매개자로서 인지되고 있다. 이처럼 일상을 어떻게 경험하고 표현하는지는 새로운 탈정체화가 진행되고 대안적인 정치적 주체화가 추진될 수 있는 정치ᐨ미학적인 가능성을 지닌다. 더욱이 신자유주의적 문화 체제에서 위기에 빠진 일상에 대한 체감된 인식은, 젊은 세대들로 하여금 ‘보통’을 회복하려는 ‘특별’한 실험을 일상에 대해 시도하도록 이끈다.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concept of platform producer and analyses its development, working process, aesthetics, social relations and functions, economic condition and activity, and professional identification. If culture is ordinary, everyday life as a temporal and spacial process in which the ordinary is practiced is constitutive of fundamental soil for the contemporary cultural formation. Everdayness implies the subject’s unique senses and sensibilities, actions of making and changing relations, and familiarising and defamiliarising.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14 daily vloggers’ depth interviews, the characteristics of platform producers are as follows: The subjective values and working style, rejection or moderate selection of advertisements, and mediated function towards other cultural labours in the future. How to experience and express everyday life is a critical moment of de-identification and political subjectification. Further, the critical approach to everyday life which is in crisis in the neoliberal era signifies the young people’s aspiratory attempt to make the ordinary the experimental extraordina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