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태도와 취업전략이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Yeong-He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학생에게 한 학기 동안의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태도와 취업전략이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조사연구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간호대학의 졸업학년 총 165명이었으며 2016년 6월 23일부터 24일까지 조사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 만족도는 3.99(±.48)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태도의 전체 평균평점은 3.77(±.49)점, 취업전략은 3.28(±.49)점이었다. 간호전문직태도는 대학생활만족도가 매우 만족 군(p=.004), 취업의 준비 정도가 준비된 군(p=.002), 취업의 영향요인은 자기 자신 군(p=.005)에서, 취업전략은 입학동기가 고연봉 군(p=.018), 4년간의 평균 학점 수준이 높은 군(A학점)(p<.001), 취업의 준비 정도가 준비된 군(p<.001), 취업정보 경로는 선배 군(p=.048)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간호전문직태도와 취업전략(r=.472, p<.001)은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간호전문직태도(β=.462, p<.001)가 핵심기본간호술 교육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이러한 설명력은 29%였다(F=17.79, p<.001). 결론적으로,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태도와 취업전략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전문직태도를 확립하고 취업 전략을 강화할 수 있는 실습교육프로그램과 제도적인 접근 전략의 개발과 반복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and employment strategy on graduate nursing students core fundamental nursing education program, after applied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one semester. There were 165 subjects who were surveyed from June 23 to 24, 2016. The mean score of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education program satisfaction was 3.99(±0.48). The mean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was 3.77(±0.49) and that of employment strategy was 3.28(±0.49). The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related tocampus life satisfaction n(p=0.004), employment preparation(p=0.002), factors affecting employment(p=0.005), and employment strategy related with motivation for entering(p=0.018), average credits(p<0.001), employment preparation(p<0.001), information route of employment(p=0.048)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and employment strategy(r=0.472, p<0.001).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β=0.462, p<0.001) wasfound to be an influential variable in core fundamental nursing education programs.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29% of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education program(F=17.79, p<0.001). In conclusion, nursing students" 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was related to employment strategy. To increase the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education program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to establish anursing professional attitude and strengthen employment strateg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영희(Yeong-He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전공 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수들 간의 상관성 및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조사연구였다. 대상자는 일개 간호대학의 1학년 총 345명을 2015년 11월 30일부터 12월 4일까지 조사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의 전체 평균평점은 2.91(±0.52)점,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2.79(±0.60)점, 전공 만족도는 3.55(±0.47)점이었다. 대학생활 적응은 남학생 군(p=.004), 입학동기가 높은 연봉 군(p=.027), 교우 관계에 매우 만족 군(p<.001), 성적은 평점이 4.1이상 군(p=.005)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남학생 군(p=.040), 입학동기가 해외진출 군(p=.047), 향후 진로가 보건교사 군(p=.015), 교우 관계에 매우 만족 군(p=.014), 성적이 4.1이상 군(p<.001)에서, 전공만족도는 입학 동기가 높은 연봉 군(p=.004), 교우 관계에 매우 만족 군(p<.001), 성적이 4.1이상 군(p=.002)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적 자기효능감(p<.001), 전공 만족도(p<.001)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전공 만족도(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전공 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큰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설명력은 23.1%였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만족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제도적인 접근전략의 개발과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ing factors among college life adapt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freshman nursing students. There were 345 345 nursing freshman between November 30 and December 4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ean score of the college life adapt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was 2.91(±0.52), 2.79(±0.60), and 3.55(±0.47). The college life adaptation related with male group (p=.004), entering motivation (p=.027), friendship satisfaction (p<.001), first semester grade (p=.005), and academic self-efficacy related with male group (p=.040), entering motivation (p=.047), desired work (p=.015), friendship satisfaction (p=.014), first semester grade(p<.001), and department satisfaction related with entering motivation (p=.004), friendship satisfaction (p<.001), and first semester grade (p=.002) all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college life adaptation, academic self-efficacy (r=.223, p<.001), and department satisfaction (r=.342, p<.001). A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r=.218, p<.001). Department satisfaction was largely influenced by the college life adaptation.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23.1% of college life adapt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college life adaptation of freshman nursing students was correlated with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Moreover, to increase the college adaptation of nursing freshma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 KCI등재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김영희(Yeong-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연구는 취업캠프와 실무자 실전면접 활용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 실시 전 · 후에 파악하고자 하는 단일군 전후설계의 원시실험연구였다. 대상자는 간호과 3학년 졸업반 247명이었다. 연구결과로, 진로성숙도는 평균 2.59점에서 2.57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평균 3.44점에서 3.65점으로 증가하였으며(t=8.67, p<.001), 취업스트레스는 평균 2.94점에서 2.83점으로 감소하였다(t=-3.46, p<.001). 진로능력강화프로그램 전후에 따른 특성별에서, 진로성숙도는 취업률이 높아서 지원한 학생(F=3.15, p=.025), 현재 취업준비도가 높은 학생(F=2.69, p=.032)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현재 취업준비도가 높은 학생(F=1.22, p=.031)에서, 취업스트레스는 현재 취업준비도가 낮은 학생(F=2.52, p=.03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was pre-experimental research design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pre-and post-program on nursing student’s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The subjects were 247 junior-year students in nursing school. Mean value for career maturity was from 2.59 to 2.57,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rom score 3.44 to 3.65 in average(t=8.67, p<.001), and employment stress from score 2.94 to 2.83 in average(t=-3.46, p<.001). Career matur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igh employment rate(F=3.15, p=.025), high career preparation(F=2.69, p=.032).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ment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igh career preparation(F=1.22, p=.031) and low career preparation(F=2.52, p=.0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