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춘천지방 소나무림에서 임내우 및 토양수내 이온동태

        유정환,김영걸,이충화,변재경,최경,오정수,Yoo, Jeong-Hwan,Kim, Young-Kul,Lee, Choong-Hwa,Byun, Jae-Kyoung,Choi, Kyung,Oh, Jeong-Soo 한국생태학회 2000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3 No.5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지방의 소나무임분을 대상으로 임내우와 토양수의 이온동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8년 4월부터 10월까지 수행되었다. 임외우, 수관통과우, 수간류의 평균 pH는 수간류가 4.8로 가장 낮았으며 토양수 pH는 심토층으로 내려갈수록 높았다. 전기전도도는 수간류가 55.9 μS/cm로 가장 높았고, 토양수에서는 심토층으로 내려갈수록 낮아졌다. 양이온은 임외우·임내우에서 K/sup +/, Ca/sup 2+/, 토양수는 Ca/sup 2+/, 음이온은 임외우·임내우는 SO₄/sup 2-/, 토양수 NO₃/sup -/가 가장 높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ons dynamics in rainfall, throughfall, stemflow and soil solution of Pinus densiflora stands at Chunchon, Kangwon-Do. Ion concentration of stemflow was greater than that of rainfall and throughfall. The EC values of rainfall, throughfall and stemflow were 15.3 μS/cm, 23.9 μS/cm and 55.9 μS/cm, respectively. Average pH of soil solution was 4.8, 5.4, 5.5 and 5.8 at 10, 20, 30 and 50 cm depth, respectively. The cations were higher in K/sup +/ and Ca/sup 2+/ for rainfall, throughfall and stemflow, and in Ca/sup 2+/ for soil solution. The anions were higher in SO₄/sup 2-/ for rainfall, throughfall and stemflow, and in NO₃/sup -/ for soil solution.

      • KCI등재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산성화(酸性化) 민감도(敏感度)에 대(對)한 실험적(實驗的) 평가(評價)(II) - 추출성(抽出性) 황산(黃酸)이온(SO<sub>4</sub><sup>2-</sup>) 함량(含量)과 황산(黃酸)이온 흡착능(吸着能)의 활용(活用) -

        이승우,김영걸,이충화,변재경,Lee, Sung Woo,Kim, Young Kul,Lee, Choong Hwa,Byun, Jae Kyoung 한국산림과학회 200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0 No.4

        산퇴적물에 대한 산림토양의 산성화 민감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4개 지역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토양내 추출성 황산이온 함량과 황산이온 흡착능을 정량하였다. 유기물층의 수용성 황산이온 함량은 강화와 홍천에 비해 울산과 남산에서 현저히 높아 황산화물의 지역적 유입특성을 반영하였다. 그러나 광물질 토양내 추출성 황산이온 함량은 황산화물의 유입량과 토양 흡착능의 상호작용으로 울산, 강화, 남산 및 홍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기오염 우려지역인 남산, 강화 및 울산의 황산이온 특정흡착률(총 추출성에 때한 불용성의 비율)은 각각 16.6%, 56.8% 및 37.4%로써 산퇴적물에 대한 토양산성화의 상대적 민감도는 남산에서 가장 높았다. 황산이온 흡착등온식($RE=mX_i-b$)의 추가유입량($X_i$)과 흡착량(RE)간의 정의 상관성은 광물질 토양에서만 유의적으로(p<0.05) 나타났다. 흡착등온식의 회귀계수(m)로 나타낸 토심 30cm까지의 황산이온 흡착능은 남산, 강화, 울산 및 홍천에서 각각 0.16, 0.24, 0.25 및 $0.32mmol_c\;kg^{-1}$으로 이에 근거한 지역별 토양산성화 민감도는 남산에서 가장 높았다. 황산이온 영점흡착량(null-point adsorption)은 남산, 강화, 울산 및 홍천에서 각각 3.81, 2.17, 4.96 및 $0.65mmol_c\;kg^{-1}$으로 홍천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현실적인 황산이온 퇴적량을 훨씬 초과하는 추정치이었다. The extractable sulfate content and sulfate adsorption capacity in soils of four Pinus densiflora stands were measured to assess the soil acidification sensitivity to acid deposition. The soluble sulfate content in organic horizon which reflects the previous deposition of sulfur oxides was much higher for Namsan and Ulsan than Kanghwa and Hongcheon. In mineral soils, however, the extractable sulfate content was the greatest for Ulsan followed by Kanghwa, Namsan and Hongcheon due to the interactive effect of previous deposition and soil adsorption of sulfate. Adsorption rates of specifically adsorbed sulfate(proportion of insoluble sulfate to total extractable sulfate) for Namsan, Kanghwa and Ulsan affected by acid deposition were 16.6%, 56.8% and 37.4%, respectively, so that the soil in Namsan had the highest acidification sensitivity to acid deposition. For sulfate adsorption isotherm($RE=mX_i-b$),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dded sulfate($X_i$) and adsorbed sulfate(RE) were found only in mineral soil(p<0.05) over all regions. The regression coefficient(m) that means soil sulfate adsorption capacity by 0-30cm depth was 0.16, 0.24, 0.25 and 0.32 in $mmol_c\;kg^{-1}$ for Namsan, Kanghwa, Ulsan and Hongcheon,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oil acidification sensitivity is the highest for Namsan. The added sulfate($X_i$) that could make the adsorbed sulfate(RE) null was 3.81, 2.17, 4.96 and 0.65 in $mmol_c\;kg^{-1}$ for Namsan, Kanghwa, Ulsan and Hongcheon, respectively and the values of former three regions considerably exceeded the realistic sulfate deposition.

      • KCI등재
      • KCI등재

        산성화(酸性化)된 산림토양(山林土壤)에 석회(石灰), 황산고토(黃酸苦土) 및 복합비료(複合肥料) 시비(施肥)가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유정환,변재경,김춘식,이충화,김영걸,이원규,Yoo, Jeong-Hwan,Byun, Jae-Kyoung,Kim, Choonsig,Lee, Choong Hwa,Kim, Young-Kul,Lee, Won-Kyu 한국산림과학회 199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7 No.3

        산성화원 산림토양에 Ca, Ca+Mg, Ca+Mg+C.F. 등의 시비가 토양의 화학적 성질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도시지역인 남산과 수락산, 산림지역인 광릉의 참나무류 임분과 리기다소나무 임분을 대상으로 1991년 11월부터 1995년 4월까지 매년 시비한 후 시비 5년차인 1995년 11월에 토양의 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시비는 산림토양의 화학적 성질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토양 pH는 비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상승하였으나 지역이나 임분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다. 유기물, 전질소함량 등은 비료 종류간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칼슘, 마그네슘, 염기총량은 시비 후 증가하였다. 치환성 양이온 함량은 리기다소나무 임분이 참나무류 임분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이고 있으며, 또한 도시지역이 산림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나 도시지역 산림에서 이들 양분의 용탈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CaO, $CaO+MgSO_4$, and $CaO+MgSO_4$+compound fertilizers(NPK) on soil chemical properties of acidified forest soils were studied in Quercus spp. and Pinus rigida stands in Mt. Namsan and Mt. Surak in urban areas, and Kwangnung in a mountain area.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in November 1995 after every year fertilization from November 1991 through April 1995. The fertilizations affected soil chemical properties. Soil pH increased after fertilizations compared with control. However, the effect was different between the stand types and the areas.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content were not changed, while exchangable cations such as calcium and magnesium increased after fertilizations. However, these ration concentrations after fertilizer treatments were lower in P. rigida than in Quercus spp. stands. These rations also showed increased leaching characteristics more in the urban area than in the mountain area.

      • KCI등재

        산성화된 산림토양에 석회 , 황산약토 및 복합비료 시비가 토양의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유정환,변재경,김춘식,이충화,김영걸,이원규 ( Jeong Hwan Yoo,Jae Kyoung Byun,Choon Sig Kim,Choong Hwa Lee,Young Kul Kim,Won Kyu Lee ) 한국산림과학회 199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7 No.3

        The effects of CaO, CaO+MgSO₄, and CaO+MgSO₄+compound fertilizers(NPK) on soil chemical properties of acidified forest soils were studied in Quercus spp. and Panes rigida stands in Mt. Namsan and Mt. Surak in urban areas, and Kwangnung in a mountain area. The soil samples were collected in November 1995 after every year fertilization from November 1991 through April 1995. The fertilizations affected soil chemical properties. Soil pH increased after fertilizations compared with control. However, the effect was different between the stand types and the areas. Organic matter and total nitrogen content were not changed, while exchangable rations such as calcium and magnesium increased after fertilizations. However, these ration concentrations after fertilizer treatments were lower in P. rigida than in Quercus spp. stands. These rations also showed increased leaching characteristics more in the urban area than in the mountain area.

      • KCI등재

        백두대간 마루금 지역의 시계열적 토지피복 변화 및 경관구조 분석

        오정학 ( Jeong Hak Oh ),김영걸 ( Young Kul Kim ),권진오 ( Jin O Kw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국토의 생태축이라고 할 수 있는 백두대간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주변환경과의 조화로운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GIS 및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시계열적 토지피복 및 경관구조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받은 토지 피복도를 활용하여 생성한 change detection matrix를 통해 시계열적 토지피복변화를 살펴본 결과,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은 약 3.61㎢로 농경지(2㎢)와 산림지역(1.36㎢)에서 더 많은 개발행위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지역이 다른 용도로 변화된 지역은 약 85.7㎢로 농경지(72.2㎢)와 초지지역(10.1㎢)으로 전용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관지수에 의한 경관구조를 분석한 결과, 산림지역의 경관구조가 구조적으로도 불안정한 상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향후 고해상도 위성영상 등을 이용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의 환경조건에 부합하는 생태적 관리를 병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mporary changes of landcover patterns and landscape structur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and methods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in Baekdu Daegan region using GIS and landscape ind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based on the patter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s using the change detection matrix between 1975 and 2000, addition on 3.6㎢ became urbanized areas. Otherwise, 85.7㎢ of forest area shift into agriculture(72.2㎢) and grass area(10.1㎢) for the vegetables in highland condition and stock farm. According to the landscape structure analysis using landscape indices, forest areas were unstable forest structures because of fragmentation. Thus, to improve forest ecosystem, significant amount of forest through a new forest management policy considering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are needed. And, the connectivity of forests in local regions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 KCI등재

        광환경 변화에 대한 네 참나무 수종의 광합성 반응

        김선희 ( Sun Hee Kim ),성주한 ( Ju Han Saung ),김영걸 ( Young Kul Kim ),김판기 ( Pan Gi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8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0 No.4

        피음처리에 의한 네 참나무 수종(신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의 광합성 반응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차광막으로 전천광을 35%, 55%. 75% 차광 처리한 조건과 전광조건에서 엽생장과 엽록소함량을 측정하고 광-반응 곡선과 A-Ci 곡선을 통하여 광합성계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굴참나무와 상수리 나무는 엽생장, 엽록소함량, 순양자수율을 증가시키고 엽록소 a/b와 탄소고정효율을 감소시켜 빛의 흡수량과 광합성에 대한 이용효율을 높이는 적응 반응을 나타냈다. 신갈나무는 굴참나무와 상수리나무와 같은 경향의 적응반응을 보였지만 광합성 광화학계 활성의 저하로 낮은 광합성 능력을 나타냈다. 졸참나무는 가장 낮은 내음성 적응반응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otosynthetic responses of four Oak species (Quercus mongolica, Q. serrata, Q. acutissima and Q. variabilis) by shading treatment. We investigated light response curve, photosynthesis (A)-intercellular CO2 concentration (Ci) curve, leaf growth and chlorophyll content at the level of 35, 55 and 75% shading treatments and under the full sunlight. In our results,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showed increased leaf growth, chlorophyll content and net apparent quantum yield but reduced chlorophyll a/b and carboxylation efficiency under the low light intensity. Therefore, light absorption and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were improved under the low light intensity. Q. mongolica showed the similar responses that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showed, but net apparent quantum yield was reduced. The effects of shading treatment on Q. serrata were lower than those of other three species.

      • KCI등재

        광릉 숲 나비군집의 종풍부도 산정

        권태성,변봉규,이봉우,이치영,손정달,강승호,김성수,김영걸,Kwon, Tae-Sung,Byun, Bong-Kyu,Lee, Bong-Woo,Lee, Chi-Young,Shon, Jeong-Dal,Kang, Seung-Ho,Kim, Sung-Soo,Kim, Young-K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4

        광릉 숲과 국립수목원내 전시원을 중심으로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1년간 총 291회 조사한 나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나비군집의 종풍부도(종수)를 추정하였다. 선조사법으로 조사한 결과 112종 13,333개체의 나비가 관찰되었다. 종수누적곡선의 작성과 종수추정은 Estimates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종수누적곡선은 291회 조사에서도 증가하여 미발견종이 남아 있음을 나타낸 반면, 7개 방법(ACE, ICE, Chao1, Chao2, Jack1, Jack2, Bootstrap)에 의한 종수추정곡선은 조사회수가 240-250회에 도달했을 때 안정된 값에 수렴하였다. 7개 방법에 의해 산정된 광릉의 나비종수는 120종부터 141종 사이였으며, 평균값은 128종이었다. 이에 반해 1958년 이래 보고된 과거조사자료를 취합하여 작성한 종목록은 148종이었는데, 최근의 나비상 변화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나비 종수의 타당한 값을 검토하였다. 수목원내 전시원의 종풍부도가 자연림과 인공림 보다 높았고 자연림과 인공림 사이에서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목원내 전시원에는 상대적으로 숲에 비해 초지가 많고 서식처가 더 다양한 것이 나비군집의 종풍부도가 높아진 원인으로 판단하였다. Species richness (number of species) of the butterfly community in the Gwangneung forest, Korea, was estimated using data of the long-term butterfly monitoring, which had been carried out 291 times i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or forest area of Gwangneung from 1998 to 2008. Abundance of each butterfly species was monitored using the line-transact method. In the present study, 13,333 butterflies belonging to 112 species were observed. Species accumulation curve and species richness was obtained using a software, EstimateS. The species accumulation curve shows an increase tendency even at 291 survey times, imply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f a few unfound species. However, values of species richness estimated by the seven estimators were stabilized around 240-250 survey times. Species richness estimated by the estimators ranged from 120 species to 141 species with 128 species in average. However, the figure estimated by the previous studies since 1958 was 148 species. We estimated the reasonable scale of species richness on the base of recent analysis on the change of butterfly species. Species richness of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was higher than that of natural forest and of plantation. However, species richness of butterfly was not different between natural forest and plantation. It is likely that increase of grasslands and habitat diversity in arboretum led to the increase of species richness of butterfly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