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서울시 유통 다랑어류, 새치류 및 심해성 어류의 총수은 및 메틸수은 축적에 대한 고찰

        진아(Jin-Ah Kim),육동현(Dong-Hyun Yuk),박영애(Young-Ae Park),최희진(Hee-Jin Choi),김연천(Youn-Cheon Kim),무상(Moo-Sang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3

        In this study, we monitored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concentrations in tuna, billfish, and deep-sea fish distributed in Seoul city. With the acquired data, we carried out statistical analysis and an exposure assessment for intake. The mean concentrations (mg/kg) of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were 0.32±0.31/0.20±0.20 for tuna, 0.43±0.48/0.20 ±0.17 for patagonian toothfish, 0.99±0.72/0.51±0.40 for billfish and 1.20±0.70/0.95±0.51 for sharks, respectively. We found that sharks, billfish, patagonian toothfish, and tuna were more contaminated with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in sequence, and that 66% of the total mercury concentration consisted of methylmercury, on average. Although the estimated weekly intakes of methylmercury from commercial deep-sea fish were lower than the weekly intakes recommend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we identified that the total mercury and methylmercury concentrations in tuna, billfish, and deep-sea fish continued to increase with the passage of time. Therefore, we confirmed the necessity of continuous monitoring and comprehensive analysis for general safety.

      • KCI등재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실태조사 및 영양교육에 따른 효과 평가

        성단(Sung-Dan Kim),윤은선(Eun-Sun Yun),장민수(Min-Su Chang),박영애(Young-Ae Park),정선옥(Sun-ok Jung),동규(Dong-Gyu Kim),김연천(Youn-cheon Kim),채영주(Young-Zoo Chae),민영(Min-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6

        서울시내에 유통 중인 음료 140건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로 음료의 유형별 카페인 함량을 파악하였으며, 서울시내 강남ㆍ북에 위치한 3개 학교 9학급 267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음료의 선호도 및 섭취량을 설문조사하여 어린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의 위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기 위하여 “카페인 섭취를 줄이자”라는 제목으로 여름방학 전에 강의, 프레젠테이션 및 동영상을 활용한 영양교육을 실시하였다. 영양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여름방학 후에 음료의 선호도와 섭취횟수를 다시 설문조사하여 교육 전ㆍ후의 실생활에서 카페인에 대한 인식과 섭취량의 변화를 토대로 결과를 비교하였다. 교육대상의 연령은 6~7세(2학년)가 88명(33.0%), 8~9세(4학년)가 95명(35.6%) 및 10~11세(6학년)가 84명(31.4%)이었으며, 아동의 성별은 남아 142명(53.2%), 여야 125명(46.8%)으로 연령별 및 성별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어린이들의 음료에 대한 선호도는 탄산음료(27%) 및 과실ㆍ채소음료(27%)>이온음료(26%)>초콜릿음료(7%)>유제품(6%)>비타민 및 기능성음료(3%)>녹차음료(2%)>홍차음료(1%)>커피(1%)의 순서였다. 유통 중인 음료의 유형별 카페인 함량은 커피(33.8±2.4~49.1±5.6 ㎎/100 mL)>커피우유(10.6±3.3 ㎎/100 mL)>콜라(6.0±2.4 ㎎/100 mL)>녹차, 홍차, 및 우롱차함유 액상차(2.3±1.9~4.1±0.6 ㎎/100 mL)>초콜릿우유 및 음료(1.6±0.7~1.7 ㎎/100 mL)>홍차함유 고형추출차(1.3±1.7 ㎎/100 mL) 순서로 높았다. 유통음료의 카페인 함량과 어린이들의 음료 섭취빈도를 설문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전체 어린이들의 음료를 통한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5.9±11.2 ㎎/person/day이었다. 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이 8~9세는 0.0~22.0 ㎎/person/day(평균 4.2±5.6 ㎎/person/day) 그리고 10~11세는 0.0~80.5 ㎎/person/day(평균 7.9±13.1 ㎎/person/day)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섭취량이 늘어났으며, 성별에 따른 섭취량은 남자가 0.0~80.5 ㎎/person/day(평균 6.9±12.8 ㎎/person/day), 여자가 0.0~67.5 ㎎/person/day(평균 4.8±9.0 ㎎/person/day)로 남자 어린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이 여자 어린이들에 비해 높았다. 또한 어린이들이 카페인을 섭취하게 되는 음료의 유형은 커피 57%(평균 3.4 ㎎/person/day)>커피우유 20%(평균 1.2 ㎎/person/day)>탄산음료 15%(평균 0.9㎎ ㎎/person/day)>초콜릿우유 6%(평균 0.4 ㎎/person/day)>비타민 및 기능성음료 2%(평균 0.1 ㎎/person/day)의 비율이었다. 교육전ㆍ후 카페인함유음료의 선호도 및 섭취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음료의 선호도 변화는 카페인함유음료 모두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선호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탄산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의 선호도 평균값이 각각 교육 전 3.25, 2.50 및 3.30에서 교육 후 3.07(t=2.084), 2.29(t=2.174) 및 3.04(t=3.002)로 감소하였다. 즉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탄산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 음료의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p<0.05, p<0.01)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자 하는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났다. 연령별 교육 후의 선호도변화는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던 청량음료, 커피,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의 경우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소폭이 낮아졌다. 교육전ㆍ후 카페인함유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변화는 커피를 제외한 카페인함유음료 모두 교육 후에 카페인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특히 탄산음료, 초콜릿함유음료, 비타민 및 기능성음료를 통한 카페인 섭취량 평균값이 각각 교육 전 0.88 ㎎/person/day, 0.36 ㎎/person/day 및 0.13 ㎎/person/day에서 교육 후 0.65 ㎎/person/day(t=2.736), 0.27 ㎎/person/day(t=2.217) 및 0.08 ㎎/person/day(t=3.171)로 카페인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1, p<0.05, p<0.01) 영양교육 후의 카페인 섭취에 대한 식습관이 개선되는 영양교육의 효과가 나타났다. 연령별 교육 후의 카페인 섭취량 변화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던 초콜릿함유음료, 비타민 및 기능성 음료의 경우 6~7세의 어린이들만 교육 전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p<0.05, p<0.001), 선호도와 같이 영양교육에 대한 효과가 연령이 높아질수록 낮았다. 성별 변화는 남자아이들의 카페인 섭취량이 영양교육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고(p<0.001, p<0.05, p<0.001), 여자아이들의 경우에는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영양교육으로 일부음료에서 카페인 선호도 및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어린이들이 카페인 섭취를 줄이려는 의식 및 행동변화를 보임으로써 식습관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식습관의 변화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교육기간의 확대, 교육방법의 변화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aily caffeine intakes in beverag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caffeine contents of 140 commercial beverages were analys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ctor (HPLC-UV) and information about their consumption were obtained by surveying 267 children. Researchers gave nutrition education to the children, who were 6 to 11 years old and attended 9 classes of 3 elementary schools, by lecture, Powerpoint file and moving picture. Their preference and intake amount on beverages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order on caffeine contents was coffee (33.8±2.4~49.1±5.6 ㎎/100 mL)> coffee milk (10.6±3.3 ㎎/100 mL)>cola (6.0±2.4 ㎎/100 mL)>greenㆍblackㆍoolong tea drink (6.0±2.4 ㎎/100 mL)>chocolate milk and chocolate drink (1.6±0.7~1.7 ㎎/100 mL)>black ice tea mix (1.3±1.7 ㎎/100 mL). The order on children's preference was carbonated drink and fruit and vegetable drink (27%)>sports drink (26%)>processed cocoa mix (7%)>milk (6%)>vitamin & functional drink (3%)>green tea drink (2%)>black tea drink and coffee (1%). The average daily caffeine intakes except tea drink was 5.9±11.2 ㎎/person/day (0.17±0.32 ㎎/㎏ bw/day), ranged from 0.0~80.5 ㎎/person/day for children. The sources of caffeine were coffee 57% (3.4 ㎎/person/day), coffee milk 20% (1.2 ㎎/person/day), carbonated drink 15% (0.9 ㎎/person/ day), chocolate milk and chocolate drink 6% (0.4 ㎎/person/day), and vitamin & functional drink 2% (0.1 ㎎/ person/day).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 preference of carbonated drink, coffee, vitamin drinks & functional drink wa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 p<0.05, p<0.01) and the intakes of carbonated drink, chocolate milk & chocolate drink, and vitamin & functional drink were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p<0.01, p<0.05, p<0.01). This study has shown that nutrition education influences the preference and the intake behavior of caffeinated beverages.

      • SCOPUSKCI등재

        시판 이유식류 제품의 무기질 함량에 관한 연구

        양혜란(Hye-Ran Yang),을상(Eul-Sang Kim),김연천(Youn-Cheon Kim),한선희(Sun-Hee H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3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시판 이유식제품을 분말 이유식제품, 국내산 영?유아용 쥬스제품, 수입쥬스류 및 페이스트형태제품, 두유를 기초로 한 제품의 4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각 제품마다의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철, 구리, 아연함량을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인함량은 가시광선-자외선 분광 광도법으로 분석하였으며 표시량이 표기된 제품에 대해서 표시량에 대한 분석값과의 차이를 조사하였고, 무기질 흡수와 관련하여 분석값의 칼슘/인의 비율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말이유식제품에서는 표시량에 대한 분석값의 차이(%)가 칼슘 98.6%, 인 121.8%, 마그네슘146.1%, 나트륨 87.43%, 칼륨 104.3%, 철 104.8%, 구리 120.2%, 아연 109.8%로 마그네슘이 가장 높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분석값의 칼슘/인 비율은 1.41(1.07~1.99)로 나타났다. 칼슘과 철을 강화하고 있는 국내산 베이비쥬스 제품에서는 이 두가지 무기질의 표시량에 대한 분석값의 차이(%)는 각각 131.8%, 110.2%였고, 칼슘/인 비율은 2.36(1.64~3.71)이었다. 수입쥬스류 및 페이스트제품의 경우에는 국내산 베이비쥬스 제품에 비해 인 함량을 제외한 각 무기질의 함량이 낮았으며 칼슘/인 비율은 0.38(0.14~0.59)이었다. 두유를 기초로 한 제품에서는 표시량에 대한 분석값의 차이(%)가 칼슘 110.2%, 인 126.6%, 마그네슘 179.5%, 나트륨 83.7%, 칼륨 87.8%, 철 219.8%, 구리 107.8%, 아연 100.5%였고 칼슘/인 비율은 1.17(1.04~1.39)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볼 때 표시량의 20%를 초과하는 분석값을 보인 것으로는, 두유를 기초로 한 제품의 철 분석값이 표시량의 219.8%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고 다음으로는 두유를 기초로 한 제품의 마그네슘이 179.5%, 분말이유식의 마그네슘이 146.1%, 국내산 베이비쥬스제품의 칼슘이 131.8%, 두유를 기초로 한 제품의 인이 126.6%, 분말이유식제품의 인이 121.8%, 구리가 120.2%를 나타냈다. 이렇게 표시량을 많이 초과하는 것은 품질관리뿐만 아니라 영양소의 과잉섭취면에서도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따라서 시판 이유식제품에 관한 표시기준설정이 필요하고 표시량이 실제분석값과 크게 차이 나지 않도록 제품생산과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neral contents of commercial baby foods.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 powdered formula, baby juice product (domestic), juice and paste products (imported) and soymilk-based formula. We analyzed Ca, P, Mg, Na, K, Fe, Cu, Zn contents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fter dry-ashing. The difference of analyzed value versus labeled value and Ca/P ratio of analyzed value were calculated. The difference (%) of analyzed value on the labeled value was Ca: 98.6, P: 121.8, Mg: 146.1, Na: 87.4, K: 104.3, Fe: 104.8, Cu: 120.2, Zn: 109.8 in powdered formula, Mg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 among the elements. The Ca/P ratio of powdered formula was 1.41 (1.07~1.99). Baby juice products (domestic) were fortified Ca, Fe and the difference (%) of analyzed value on labeled value of Ca and Fe contents was 131.8, 110.2, respectively. The Ca/P ratio of these was 2.36 (1.64~3.71). Differently the domestic products, imported juice and paste products were not fortified Ca, Fe and its Ca/P ratio was 0.38 (0.14~0.59). The difference (%) of analyzed value on the labeled value was Ca: 110.2, Mg: 179.5, Na: 83.7, K: 87.8, Cu: 107.8, Fe: 219.8, Zn: 100.5, P: 126.6 in soymilk-based formula, Fe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 among the elements. The Ca/P ratio of soymilk-based formula was 1.17 (1.04~0.39).

      • SCOPUSKCI등재

        어류 중 Fluoroquinolone계 항균제의 분석 및 잔류량 조사

        박영애(Young-Ae Park),육동현(Dong-Hyun Yuk),수언(Su-Un Kim),진아(Jin-Ah Kim),박애숙(Ae-Sook Park),김연천(Youn-Cheon Kim),무상(Moo-Sang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2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4 No.3

        어류 및 갑각류 중에 잔류하는 fluoroquinolone계 항균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HPLC-FLD와 LC-MS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HPLC-FL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30-0.0083, 0.0090-0.0252 ㎎/㎏이었고, LC-MS는 각각 0.0019-0.0040, 0.0059-0.0122 ㎎/㎏으로 나타났다. ofloxacin, norfloxacin, pefloxacin, ciprofloxacin and enrofloxacin의 회수율은 76.4-104.6% 범위로 분석되었다. 총 268건에 대하여 fluoroquinolone계 항균제의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7.5%의 검출율을 나타내었고, 동자개 1건에서 enrofloxacin과 ciprofloxacin의 합이 허용기준치인 0.1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Ofloxacin, norfloxacin과 pefloxacin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ciprofloxacin과 enrofloxacin은 각각 3.4%와 6.7%의 검출율을 보였다. 어종별 검출율은 장어(2.6%), 미꾸라지(2.2%), 동자개(1.5%), 붕어(0.7%), 가물치(0.4%) 순서로 나타났다. The residual contents of fluoroquinolones in fish and shrimp were analyzed by using HPLC-FLD and LC-MS. The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for fluoroquinolones by HPLC-FLD were 0.0030-0.0083 and 0.0090-0.0252 ㎎/㎏, respectively. Those by LC-MS were 0.0019-0.0040 and 0.0059-0.0122 ㎎/㎏, respectively. Recoveries regarding ofloxacin, norfloxacin, pefloxacin, ciprofloxacin and enrofloxacin ranged from 76.4-104.6%. The detection rate of fluoroquinolones was 7.5% from a total of 268 samples. In only one Korean bullhead sample, the sum of ciprofloxacin and enrofloxacin contents was detected at a higher level than its maximum residue limits (MRL) of 0.1 ㎎/㎏. Ofloxacin, norfloxacin and pefloxacin were not detected in any samples and detection rates of ciprofloxacin and enrofloxacin were 3.4% and 6.7%, respectively. In detection rate by species eel (2.6%), loach (2.2%), Korean bullhead (1.5%), carp (0.7%) and snakehead (0.4%) were in order.

      • 서울市 一圓의 土壤汚染度 調査

        金洪濟,金蓮千,李靜子,朴相賢,朴聖培 한국환경독성학회 1989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4 No.1

        This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llution of heavy metals and pH in soil, collected from the 156 sampling sites in 1987. 1. In the average contents of Cd, the highest value was 0.40 mg/kg in the Outskirt of Seoul area, the lowest value was 0.11 mg/kg in the Greenbelt area, and 0.21--0.39 mg/ kg in the other areas. 2. In the average contents of Cu, the highest value was 32.50 mg/kg in the Motorway area, the lowest value was 2.96 mg/kg in the Greenbelt area, and 9.53--24.41 mg/kg in the other areas. 3. In the average contents of As, the highest value was 1.32 mg/kg in the Reclamated waste area, the lowest value was 0.31 mg/kg in the Greenbelt area, and 0.93--1.32 mg/ kg in the other areas. 4. In the average contents of Zn, the highest value was 27.33 mg/kg in the Center of city area, the lowest value was 9.97 mg/kg in the Greenbelt area, and 12.47--25.23 mg/ kg in the other areas. 5. In the average contents of Pb, the highest value was 125.25 mg/kg in the Motorway area, the lowest value was 12.99 mg/kg in the Farming area, and 17.01--77.71 mg/kg in the other areas. 6. In the average contents of pH, the highest value was pH 7.08 in the Motorway area, the lowest value was pH 4.14 in the Greenbelt area, and pH 5.67-7.04 in the other areas. 7. The order of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was Pb>Zn>Cu>As>Cd. There was significanthy correlation between Cd-Zn, Pb-Zn, Cu-Cd, Pb-Cu and Pb·Cd (p<0. 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