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Breast Conservation Therapy Versus Mastectomy - Preliminary Results of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Rate in Early Breast Cancer

        김연실(Yeon-Sil Kim),윤세철(Sei-Chul Yoon),정수미(Su-Mi Chung),유미령(Mi-Ryeong Ryu),정상설(Sang-Sul Jung),최일봉(Ihl-Bohng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2

        목 적: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유방보존수술+방사선치료) 혹은 유방전절제술로 치료했던 환자의 초 기 치료성적과 실패양상을 비교하고자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강남성모병원에서 AJCC병기 I, II로 치료를 받았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88명은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85명은 유방보존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50 Gy 전 유방조사 후 원발부위에 10∼15 Gy 추가 조사하였다. 유방보존치료 환자의 34.1%, 유방전절제 환자의 45.5%에서 항암화학요법이 병용되었다. 양 치료군의 5년생존율과 5년무병생존율, 실패양상을 비교하였으며 치료실패와 연관된 위험인자를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앙 추적기간은 63개월이었다. 결 과: 양 치료군 간에 5년생존율, 5년무병생존율의 유의한 차이(p>0.05)는 없었으며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의 치료실패양상에도 차이가 없었다. 추적기간 중, 유방전절제군에서 11명(12.5%) 유방보존치료군에서 10명 (11.8%) 재발하였다. 초기 실패양상은 국소재발이 각각 6명, 5명이었고 원격전이가 각각 5명, 4명으로 차이가 없었다. 국소재발 단독의 경우 양 치료군에서 구제치료 후 대부분의 환자가 무병생존 (5/6 유방전절제술, 3/5 유방보존치료)하였다. 그러나 원격전이 환자의 경우 양 치료군 모두에서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의 구제치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가 진행 혹은 사망하였으며 유방보존치료군의 1명의 환자만이 원격전이 후 구제치료에 성공하여 무병생존하였다. 양 치료군 간에 반대편유방암 발생률 및 다른 장기의 2차 원발암 발생률의 차이는 없었고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도 차이가 없었다. Log-rank 단변량분석에서 치료 실패와 관련된유의한 위험인자는 양 군 모두에서 N 병기, 액와 림프절 전이 숫자였으며 유방보존치료군에서는 수술절연침범유무가, 유방전절제군에서는 high nuclear grade가 치료실패와 관련된 위험인자였다(p<0.05). 결 론: 초기 분석결과 AJCC 병기 I, II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와 유방전절제술은 생존율뿐 아니라 치료 실패양상에도 차이가 없었으며 향후 이와 같은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장기간의 추적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early preliminary results of breast conservation therapy (BCT) with mastectomy in early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171 women with AJCC stage I and II breast cancer who had been treated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from March 1989 to August 1996. Eighty-eight patients underwent mastectomy and 85 patients did conservative surgery with breast irradiation. In the BCT group, all patients received whole breast irradiation to a total dose of 45∼50 Gy/5∼6 wks, followed by a boost to the original tumor site at least 60 Gy.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29 (34.1%) patients in BCT and 40 (45.5%) in mastectomy, with various sequencing of surgery and/or radiation. We compared survival rate, patterns of failure in each treatment group and the prognostic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reatment failure.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63 months (19∼111 months). Log rank test was used to estimate the prognostic factors for treatment failure. Results: Overall survival, disease free survival, locoregion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During the follow-up period, 11 patients (12.5%) in the mastectomy group and 10 patients (11.8%) in the BCT group were failed. Six local recurrences occurred after mastectomy and 5 after BCT. Five patients failed at distant site in mastectomy and 4 in BCT. Of the local recurrence cases, five of 6 mastectomy patients and 3 of 5 BCT patients were alive with no evidence of disease after salvage surgery and/or chemoirradiation.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 influence on survival was distant metastasis. Unfortunately, control of distant metastasisis was not frequently achieved. Even with salvage systemic therapy or radiotherapy, most of distant metastasis patients died or had uncontrolled disease in both treatment groups: only one of 4 BCT patients and none of mastectomy patients were alive without disease. There was no appare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rate of contralateral breast cancer and non-breast 2nd primary tumor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Univariate Log-rank test identified the N stage and the involved axillary LN number as distinct prognostic factors that were highly predictive of treatment failure in both treatment groups. Additionally, marginal status in BCT and histologic nuclear grade in the mastectomy group were risk factors for treatment failure (p<0.05). Conclusion: Although further careful follow-up is necessary to confirm the trends evident in this series, it would appear that patterns of failure and survival rate following conservative surgery and radiotherapy in early breast cancer are similar to those following mastectomy. The great majority of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had an exellent salvage rate in both treatment groups. Therefore, these preliminary short term results support BCT as an equally effective management for early breast cancer as an alternative to mastectomy.

      • SCOPUSKCI등재

        The Role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Intracranial Glioma : Retrospective Analysis of 96 Cases

        김연실(Yeon Sil Kim),강기문(Ki Mun Kang),최병옥(Byung Ock Choi),윤세철(Sei Chul Yoon),신경섭(Kyung Sub Shinn),강준기(Jun Gi K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1 No.2

        1983년 3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가톨릭의과대학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뇌교종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방사선치료 성적 및 생존률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들의 후향적 분석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환자의 연령분포는 3세에서 69세였으며(중앙값 42세), 남녀비는 60:36이었고, 임상주증상은 두통 및 (67%) 운동신경 마비 (54%)였다. 조직학적 진단방법 및 수술은 생검 21명 (22%), 부분절제 21명 (22%), 아전절제 29명 (30%), 전절제 14명 (15%)이였고, 뇌간을 침습한 환자 12명중 11명은 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았다. 조직학적 분류는 성상세포종이 64명 (75%)으로 가장 많았고, 회돌기교세포종이 17명 (20%), 혼합형이 4명(5%)였다. 조직학적 등급에 따른 구분은 49명이 grade I, II 종양(58%)이였으며, 30명이 grade III, IV종양(42%)이였다. 전체 96명 중 64명 (67%)이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행하였고, 32명(33%)이 방사선단독 요법으로 치료하였으며, 25명(26%)의 환자에서 화학요법을 병행하였다. 전체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53개월이었고, 2년 및 5년 생존률이 각각 69%, 49%이였다. 조직학적 등급에 의한 생존률은 grade I 종양의 5년 생존률이 70%였고, grade II, III, IV 종양이 각각 58%, 28%, 15%였다. 연령, 조직학적 등급 및 분류, Karnofsky performance status(KPS), 침습부위, 수술적 제거여부 및 제거정도, 방사선치료선량, 방사선조사야, 화학요법 병행 여부에 따라 생존률을 분석한 결과 연령 (p=0.0121), KPS(p=0.0002), 조직학적 등급(P=0.0001), 수술적 제거 (p=0.0240)가 유의한 예후인자로 분석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천막하병소가 천막상부 병소에 비해, 부분조사가 전뇌조사에 비해 높은 생존률을 보이는 매개변수로 분석되었다. Between March 1983 and December 1989, ninety-six patients with intracranial glioma were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We retrospectively reviewed each case to evaluate variable factors influencing the treatment results and to develop an optimal therapy Policy. Median follow-up is 57 months (range: 31~133 months). Of the 96 patients, 60 (63%) were males and 36 (37%) were females. Ages ranged from 3 to 69 years (median 42 years).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toms were headeche (67%) followed by cerebral motor and sensory discrepancy (54%), nausea and vomiting (34%), seizure (19%), mental change (10%) and memory and calculation impairment (8%). Eighty five (88.5%) patients all, except 11 (11.5%) brain stem lesions, were biopsy proven intracranial glioma. The distribution by histologic type was 64 astrocytomas (75%), 4 mixed oligoastrocytomas (5%), and 17 oligodendrogliomas (20%). Fourty nine patients (58% were grade I, II histology and 36 (42%) patients were grade III, IV histology. Of the 96 patients, 64 (67%) recieved postoperative RT and 32 (33%) were treated with primary radiotherapy. Gross total resection was peformed in 14 (16%) patients, subtotal resection En 29 (34%), partial resection in 21 (25%), and biopsy only in 21 (25%). Median survival time was 53 months (range 2~ 133 months), and 2- and, 5-year survival rate were 69%, 49% respectively. 5-year survival rate by histologic grade was grade I, 70%, grade II, 58%, grade III, 28%, and grade IV, 15%. Multivariated analysis demonstrate that age at diagnosis (p=0.0121), Karnofsky performance Status (KPS) (p=0.0002), histologic grade (p=0.0001),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p=0.0278), surgical extent (p =0.024), cerebellar location of tumor (p=0.0095)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on survival.

      • KCI등재

        인간 유방암 세포 이식마우스에서 EGFR/HER2 복합 Tyrosine Kinase 억제제인 GW572016에 의한 방사선증진효과

        김연실(Yeon Sil Kim),노광원(Kwang Won Roh),채수민(Soo Min Chae),문성권(Seong Kwon Mun),윤세철(Sei Chul Yoon),장홍석(Hong Seok Jang),정수미(Su Mi Chu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5 No.4

        목 적: EGFR, HER2 과발현 인간 유방암 세포를 이용한 종양이식 마우스에서 EGFR/HER2 복합 Tyrosine Kinase 억 제제인 GW572016이 방사선반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종양조직의 EGFR/HER2 수용체 억제효과 및 EGFR down stream signal pathway 단백인 ERK 1/2, PI3K/Akt 억제효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SUM 102와 SUM 149 EGFR 과발현 세포와 SUM 185, SUM 225 HER2 과발현 세포를 우측 옆구리 피하에 접종하여 종양이식마우스를 만들었다. 이식마우스는 2군으로 나누어 한 군은 GW572016에 의한 EGFR/HER2 수용체 억제와 down stream signal 단백의 활성변화를 Immunoprecipitation과 Western blot의 방법을 사용하여 관찰하였고 다른 한군은 GW572016에 의한 방사선감수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1) 대조군, 2) GW572016 단독군, 3) 방사선단독군, 4) GW572016+방사선병용투여군으로 나누어 종양성장을 비교 관찰하였다. 결 과: GW572016에 의해서 SUM 149, SUM 185 이식종양에서 EGFR 및 HER2 수용체의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특히 SUM 185, HER2 과발현 이식종양에서는 ERK 1/2 down stream 단백의 활성도 억제되었다. SUM 225 HER2 과발현 이식종양에서는 이전의 in vitro실험에서와 달리 GW572016에 의해 HER2수용체의 활성변화가 없었으나 ERK 1/2, Akt의 활성은 모두 억제되었다. GW572016에 의해 SUM 149과 SUM 185에서 종양성장억제효과가 관찰되었고 특히 SUM 149에서는 GW572016과 방사선치료병용군에서 종양성장억제효과가 좀더 뚜렷하여 방사선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 론: GW572016은 EGFR 혹은 HER2 과발현 유방암세포에서 EGFR/HER2 수용체 억제와 down stream signal 단백의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SUM 149에서는 방사선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EGFR을 표적으로 하는 억제제치료에서 EGFR 수용체억제뿐 아니라 down stream 단백의 활성억제 여부가 방사선 감수성 및 저항성의 극복과 관련이 있으리라는 근거를 설명할 수 있으며 향후 좀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dual EGFR/HER2 tyrosine kinase inhibitor, GW572016, on EGFR/HER2 receptor phosphorylation, inhibition of downstream signaling and radiosensitization in either an EGFR or HER2 overexpressing human breast cancer xenograft. Materials and Methods: We established SCID mice xenografts from 4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that overexpressed EGFR or HER 2 (SUM 102, SUM 149, SUM 185, SUM 225). Two series of xenografts were established. One series was established for determining inhibition of the EGFR/HER2 receptor and downstreamsignaling activities by GW572016. The other series was established for determining the radiosensitization effect of GW572016. Inhibition of the receptor and downstream signaling proteins were measured by the use of immunoprecipitation and Western blotting. For determining the in vivo radiosensitization effect of GW572016, we compared tumor growth delay curves in the following four treatment arms: a) control; b) GW572016 alone; c) radiotherapy (RT) alone; d) GW572016 and RT. Results: GW572016 inhibited EGFR, HER2 receptor phosphorylation in SUM 149 and SUM 185 xenografts. In addition, the p44/42 MAPK (ERK 1/2)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was inactivated by GW572016 in the SUM 185 xenograft. In the SUM 225 xenograft, we could not observe inhibition of HER2 receptor phosphorylation by GW572016; both p44/42 MAPK (Erk1/2) and Akt downstream signal protein phosphorylation were inhibited by GW572016. GW572016 inhibited growth of the tumor xenograft of SUM 149 and SUM 185. The combination of GW572016 and RT enhanced growth inhibition greater than that with GW572016 alone or with RT alone in the SUM 149 xenograft. GW572016 appears to act as an in vivo radiosensitizer. Conclusion: GW572016 inhibited EGFR/HER2 receptor phosphorylation and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proteins. GW572016 modestly inhibited the growth of tumor in the SUM 185 xenograft and showed radiosensitization in the SUM 149 xenograft. Our results suggest that a better predictor of radiation response would be inhibition of a crucial signaling pathway than inhibition of a receptor.

      • KCI등재

        초등 KSL 교재 『표준 한국어』의 문화 내용 분석

        김연실(Kim, Yeon-sil) 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0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을 위한 KSL 교재 『표준 한국어』의 문화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적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를 분석하여 문화 교육측면에서 교재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찾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교재 내용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04개의 문화 교육 요소를 찾을 수 있었다. 이것을 다시 문화 유형별 문화 내용 제시 방법별, 문화 배경별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문화 유형별로는 행동문화 내용이 전체 문화 교육 내용의 절반에 가깝게 나타난 것에 반해 물질문화, 정신문화 내용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문화 내용 제시 방법별로는 영역 통합적 교육 활동이 전체의 60%에 달하였으며, 문화 배경에 따라 분류한 결과로는 타문화 소개나 보편 문화, 비교 문화 내용보다는 한국문화에 대한 것이 훨씬 더 많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보다 다양한 유형의 문화를 소개하고, 한국 외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내용도 다루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문화 교육 내용 역시 숙달도별로 차등을 두어야함을 강조하면서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는 정신문화와 비교 문화 내용에 대한 비중을 높여 나가야 함을 제안하였다. In this research, the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in <Standard Korean>, a KSL textbook for learners of multi-cultural background, were analyzed. This study primarily aims at analyzing <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inding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present textbook for KSL cultural education. As the analysis result into the whole contents of the textbook, 104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were found. They were also categorized according to culture types, methods to suggest cultural contents, and cultural backgrounds. As a result, it’s been proved that as for each culture type, the contents about behavior culture consisted of almost the half of the whole cultural education while material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didn’t match up to it. Regarding each method to suggest cultural contents, domain-integrating educational activities came to about 60% of all. Moreover,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ased on cultural backgrounds, it’s been verified that Korean culture was being covered a lot more than the introduction to other cultures, universal culture or comparative culture. Through which, it’s been suggested that for future textbook contents of KSL cultural education, education of culture types and cultural backgrounds should be diversified. In addition, the need for differentiation among proficiency levels regarding the cultural education contents has been emphasized, and it’s been proposed that for learners of an intermediate or higher level, the rate of the contents about spiritual culture and comparative culture needs to increase.

      • KCI등재

        헤어 미용사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국가자격제도의 타당성 연구

        김연실(Kim, Yeon Sil),안종숙(An, Jong Su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헤어 미용 분야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에 따라 우리나라의 국가기술자격제도에 변화가 생겨났다. 현재 헤어 미용 분야는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새롭게 도입되어서 기존의 자격제도와 혼용되어 실시되고 있다. 이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이 도입된 헤어 미용분야의 과정평가형 자격제도에 대한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헤어 미용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대한 동의 정도, 과정평가형 교육훈련과정의 현장 활용도가 직무능력에 대한 기대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문 문항의 구성은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5문항, 국가직문능력표준에 대한 긍정적 요소(동의 정도) 5문항, 과정평가형 교육훈련과정의 현장 활용도 10문항, 직무향상에 대한 기대 정도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사는 서울, 경기, 충청남도 소재의 미용실에서 근무하는 헤어 미용사를 대상으로 총 200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193부 중 무응답 4부를 제외한 189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 분석에는 수집된 데이터의 빈도 분석과 설문 문항의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한 신뢰도 분석, 변수 간의 선형적 연관성을 분석하는 상관분석과 독립 변수가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각 변수간의 상관 계수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를 얻었으며, 동의 정도와 활용도의 두 독립 변수가 직무 능력 향상의 기대 정도인 종속변수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헤어 미용 분야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도입과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긍정적 효과를 주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NCS의 도입과 자격제도의 변화는 시대적 흐름에 타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n Korea is chang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the hair beauty area. The process evaluation system newly introduced is executed mixed with the existing qualification system. Therefore, the survey and analysis are carried out among the hairstylists to find the validity about the process evaluation type’s qualification system in the hair beauty area where NCS is introduce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NCS, the field usefulness of the process evaluation type’s education & training and the expectation on how NCS does influence the job skills. The questionnaire is made of 5 questions about the demographical character of the survey group, 5 questions about the positive degree of agreement with NCS and 10 questions about the field usefulness of the process evaluation type’s education & training. For the survey, 200 exemplars were distributed among the hairstylists working at hair salons in Seoul, Gyungki and Chungnam, and 193 were returned, but 189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excepting 4 with no response. It has been implemented the frequency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reliability analysis for the reliability measurement,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linear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the multi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analysis shows the significant results with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agreement degree and the field usefulness influence the dependent variable such as the expectation on the job skills improvemen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introduction of NCS and the process evaluation type’s qualification system bring the positive effects. Thus, the NCS introduction and the change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re considered as timely appropriate.

      • KCI등재

        미술영재 중학생의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연구

        김연실(Yeon-sil Kim)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에서는 미술영재 중학생인 준이가 경험한 정서적 어려움의 원인과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준이의 정서적 어려움에는 내부와 외부에 의한 문제가 혼재되어 있었다. 내부에 의한 문제에는 ‘잘 하는 것’과 ‘하기 싫은 마음’의 대립, 확신의 부재, 학업성적,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음이 있었고, 외부에 의한 문제에는 엄마가 시키는 미술, 평가하는 부모들, 가정형편, 놀리는 친구들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반발심, 화, 두려움, 부끄러움과 같은 정서적 어려움이 발생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준이 내부과 외부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개인의 문제에서는 본인의 정서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무엇을 하고 싶은지 찾아 나가는 과정이 핵심이 되어야 한다. 또한, 준이를 둘러싼 환경 중 가정에서는 준이와 부모님의 진지한 대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학교 및 기관에서는 청소년 시기에 맞는 정서적 상담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재능을 가진 아이 중 한 명으로 영재를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의 전환 역시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ope for a method of finding the cause and meaning of emotional difficulties, in order to overcome difficulties that individual gifted students in the arts have experienc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Jun"s emotional difficulties were caused by a mixture of problems with himself and others. Self-imposed problems included confrontations between ‘Doing well’ and ‘Unwilling mind’, absence of certainty, academic record, and failure in action. Problems caused by others included arts forced by mother, evaluating parents, family"s situation, and teasing friends. Circumstances like these led to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defiance, anger, fear, and shame. To help overcome said obstacles, efforts must be made by the individual, and his or her environment should be evaluated. In this situation, Jun should personally, take the necessary steps to figure out what he wants to do, and the schools and institutions should provide emotional counseling tailored to the youth. Additionally, it would help if Jun and his parents had serious conversations about his needs, and a shift in the social gaze of seeing gifted children as one of the children with talents is also necessary.

      • KCI등재후보

        Comparison of Virtual Wedge versus Physical Wedge Affecting on Dose Distribution of Treated Breast and Adjacent Normal Tissue for Tangential Breast Irradiation

        김연실(Yeon-Sil Kim),,김성환(Sung-Whan Kim),,윤세철(Sei-Chul Yoon),,이정석(Jung-Seok Lee),,손석현(Seok-Hyun Son),,최일봉(Ihl-Bong Choi)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3

        목 적: 유방의 방사선조사 시 결손조직을 보상하고 방사선 균질선량 분포를 얻기 위해 통상적으로 physical wedge를 사용하여 왔다. Physical wedge 사용 시 주변의 폐, 심장, 반대편 유방, 피부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의 증가에 따른 급성, 만성 부작용의 증가가 문제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를 비교하여 동측 유방, 반대편 유방, 폐, 심장, 주변연부조직에 미치는 선량분포의 개선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Solid water phantom을 이용하여 Dmax와 10 cm 깊이에서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 사용시 조사야 주변선량을 비교하였다. Humanoid Phantom (Anderson Rando Phantom)을 사용하여 Lt. breast의 tangential irradiation 시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 사용에 따른 동측 유방선량과 피부선량, 반대편 유방 선량과 반대편 유방의 피부선량, 주변 연부조직선량, 동측 폐선량 및 심장에 조사되는 선량을 TLD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Helax 5.0 RTP system을 이용한 computer planning으로 선량분포 및 관심부의 DVH를 비교하였다. 이때 virtual wedge와 physical wedge의 사용에 따른 총조사 시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7명의 유방암 환자에서 virtual wedge, physical wedge 사용에 따른 동측 유방 피부선량, 반대편 유방 피부선량, 조사야에서 1.5 cm 떨어진 주변 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Virtual wedge는 15o, 30o, 45o, 60o 모두에서 physical wedge에 비해 주변선량이 감소하였으며 방사선조사 시간을 53∼55% 감소시켜 유용한 결과를 나타냈다. 15o, 30o wedge를 사용한 Humanoid Phantom의 TLD 측정에서도 virtual wedge에서 반대편 유방선량은 1.35%, 2.55% 감소하였고, 반대편 유방 피부선량은 0.87%, 1.9% 감소하였다. 또한 동측 폐선량은 2.7%, 6.0%, 심장선량은 0.96%, 2.5% 감소하였다. 또한 조사야 경계부위의 선량은 1.8%, 2.33% 감소하였으며 동측 유방의 피부선량은 2.4%, 4.58% 증가하였다. Helax 5.0 RTP system을 이용한 DVH analysis에서 동측 유방내 선량균질정도는 physical wedge와 virtual wedge에서 차이 없이 유사하였다. 결 론: 유방암치료에서 virtual wedge는 통상 사용하는 physical wedge에 비하여 주변 연부조직선량, 반대편 유방선량, 동측 폐선량 및 심장선량을 감소시켜 급, 만성 방사선 부작용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또한 방사선조사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선형가속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Purpose: The ideal breast irradiation method should provide an optimal dose distribution in the treated breast volume and a minimum scatter dose to the nearby normal tissue. Physical wedges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dose distribution in the treated breast, but unfortunately introduce an increased scatter dose outside the treatment field, particularly to the contralateral breast. The typical physical wedge (PW) was compared with the virtual wedge (VW)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dose distribution affecting on the treated breast and the contralateral breast, lung, heart and surrounding peripheral soft tissue. Method and Materials: The data collected consisted of a measurement taken with solid water, a Humanoid Alderson Rando phantom and patients. The radiation doses at the ipsilateral breast and skin, contralateral breast and skin, surrounding peripheral soft tissue, and ipsilateral lung and heart were compared using the physical wedge and virtual wedge and the radiation dose distribution and DVH of the treated breast were compared. The beam-on time of each treatment technique was also compared. Furthermore, the doses at treated breast skin, contralateral breast skin and skin 1.5 cm away from the field margin were also measured using TLD in 7 patients of tangential breast irradiation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phantom measurements. Results: The virtual wedge showed a decreased peripheral dose than those of a typical physical wedge at 15o, 30o, 45o, and 60o. According to the TLD measurements with 15o and 30o virtual wedge, the irradiation dose decreased by 1.35% and 2.55% in the contralateral breast and by 0.87% and 1.9% in the skin of the contralateral breast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irradiation dose decreased by 2.7% and 6.0% in the ipsilateral lung and by 0.96% and 2.5% in the heart. The VW fields had lower peripheral doses than those of the PW fields by 1.8% and 2.33%. However the skin dose increased by 2.4% and 4.58% in the ipsilateral breast. VW fields, in general, use less monitor units than PW fields and shortened beam-on time about half of PW. The DVH analysis showed that each delivery technique results in comparable dose distribution in treated breast. Conclusions: A modest dose reduction to the surrounding normal tissue and uniform target homogeneity were observed using the VW technique compare to the PW beam in tangential breast irradiation The VW field is dosimetrically superior to the PW beam and can be an efficient method for minimizing acute, late radiation morbidity and reduce the linear accelerator loading by decreasing the radiation delivery time.

      • KCI등재

        Natural Resource Abundance and Economic Growth Revisited

        Chong-Sup Kim(김종섭),Yeon-Sil Kim(김연실)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2008 라틴아메리카연구 Vol.21 No.1

        본 논문은 자원부국들의 천연자원 수출이 각기 다른 경제적 영향을 보이는 이유에 대해 연구하였다. 가령 라틴아메리카의 경우 다른 자원부국들과는 달리 저조한 경제성장을 보였다. 이에 대해 선행연구에서는 천연자원의 풍요가 오히려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논증한 바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1인당 국민소득이 어느 수준 이상일 경우 천연자원 수출과 경제성장 간의 역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보이고 있다. 분석에 따르면, 1인당 국민소득이 낮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우 풍부한 천연자원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1인당 국민소득이 높은 선진국의 경우 이러한 음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같이 천연자원 수출이 자원부국들 간 서로 다른 영향을 보인 이유는, 정부의 효율성, 법치, 부패통제 등 ‘제도의 질’이 낮은 라틴아메리카의 경우 천연자원 수출로 얻은 자원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인적·물적 자원을 축적하지 못했으며,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 저조한 경제성장을 이루게 되었다는 데 있다.

      • SCOPUSKCI등재

        The Results of Curative Radiation Therapy for 49 Patients of the Uterine Cervical Carcinomas

        유미령(Mi Ryeong Ryu),김연실(Yeon sil Kim),최병옥(Byung Ock Choi),윤세철(Sei Chul Yoon),신경섭(Kyung Sub Shinn),남궁성은(Sung Eun Namkoong),김승조(Seung Jo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2

        1983년 9월부터 1986년 10월 까지 37개월 동안에 강남성모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5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가 완치목적으로 골반부위에 외부방사선치료 및 자궁강내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외부방사선치료는 4500 cGy/5주에서 5940 cGy/6.5주를 골반부위에 먼저 시행하였고 강내방사선치료를 이어서 시행하였으며, A 점에 도달한 초 치료 선량은 6500 cGy에서 11344 cGy로 평균 6764 cGy 였다. 50명의 환자중 1명이 추적조사에서 제외되었으며, 나머지 4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3개월에서 93개월 까지 추적조사하였는데, 중간 추적조사 기간은 32개월 이었다. FIGO 분류에 따라 병기별로 보면, 1기가 6명 (12.2%), 2a기가 6명 (12.2%), 2b기가 25명 (51%), 3기가 7명 (14%), 그리고 4기가 5 (10.2%)명 이었다. 환자의 나이는 33세에서 76세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중앙 연령, 60세), 병리 조직학적 분류로는 편평상피암이 46명(94%), 선암이 2명(4%), 그리고 편평상피선암이 1명 (2%) 이었다. 전반적인 반응율은 84%였고, 5년 생존율은 49%였다. (병기별 5년 생존율은 1b기가 75%, 2a기가 83%, 2b기가 42.5%, 3기가 25%, 4기가 40%였다.) 합병증은 11명 (22.4%)에서 발생하였고, 직장내 합병증이 가장 흔한 합볍증이었으며, 나머지는 사소한 일과성의 자연치유되는 질환들이었다. 생존율과 여러 인자들 (나이, 방사선 치료선량, 헤모글로빈치, 골반임파절 전이상태, 전신상태, 그리고 국소 재발 유무) 광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한 바, 나이와 국소재발유무를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왔으며, 50세 미만의 생존율이 50세이상의 생존율보다 더 나빴고(p<0.05), 국소재발 존재시 생존율이 더 나빴다(ㅔ<0.05). Fifty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received curative radiotherapy by external irradiation of the whole pelvis and intracavitary radiation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from September, 1983 to October, 1986. External beam whole pelvic irradiation was done first up to 4500-5940 cGy in 5 weeks to 6.5 weeks, followed by and intracavitary radiation. Total dose of radiation to point A varied from 6500 cGy 11344 cGy (average 6764 cGy). Of the 50 patients, one patient was lost to follow up and follow up period of the remaining 49 patients ranged from 3 months to 93 months (median 32 months). According to FIGO classification, 6 (12.2%) were in stage Ib, 5 (12.2%) in stage IIa, 25 (51%) in stage IIb, 7 (14%) in stage III, and t (10.2%) in stage IV,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33 to 76 years (median 60 years). Pathologically, fourty six (94%) patients had squamous cell carcinoma, 2 (4%) had adenocarcinoma, and 1 (2%) had adenosquamous cell carcimona. Overall response rate was 84%. 5-year survival rate was 49% for entire group (75% for stage Ib, 83% for Stage IIa, 42.5% for stage IIb, 25% for stage III, 40% for stage IV).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1 (22.4%) patients, who revealed rectal complications with most common frequency. Others were self limiting trifle ones such as wet desquamation, fatigue, mild leukopenia, etc. The correlation of the survival rate with various factors (age, dose, Hb level, pelvic lymph node status, performance status, local recurrence) was evaluated bu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xcept the age and local recurrence in this series: survival of patients less than 50 years of age was worse than that of the older, and the presence of local recurrence had worse prognosis (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