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병기 「제주(濟州)ㅅ길에」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

        김아연 ( Kim A Yu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용봉인문논총 Vol.- No.52

        시조작가이자 문화민족주의자인 이병기(李秉岐, 1891~1968)는 박한영(朴漢永, 1870~1948), 권덕규(權悳奎, 1890~1950)와 더불어 1924년 7월 31일부터 8월 12일까지 제주에 다녀왔다. 이병기는 이때의 체험을 재현한 시조 「濟州ㅅ길에」를 지어 1924년 8월 25일자 『동아일보(東亞日報)』에 발표했다. 「濟州ㅅ길에」를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濟州ㅅ길에」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를 고구하는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병기 일행의 제주 기행은 1920년대 문화운동의 일환이며, 목적지는 민족의 성지 중 하나인 한라산이다. 「濟州ㅅ길에」는 이병기의 제주 기행 체험을 투영한 『가람日記』 삽입시조를 초고로 하여 9개 부제 아래 20수로 완정되어 있으므로, 그 갈래를 내용상 기행시조, 형식상 연작시조로 분류할 수 있다. 「濟州ㅅ길에」의 내용은 이병기의 제주 기행 체험을 시간순으로 재현하고, 이병기가 체득한 영산강 유역-제주의 인문지리 정보를 소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濟州ㅅ길에」는 이병기가 현재의 관점에서 관찰한 조선의 자연 공간, 역사적 공간, 신성 공간 및 조선인의 일상 공간을 담고 있다. 이 공간들은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며, 영산강 유역-제주를 중심으로 지리적 상상력에 의해 재구성된, 새로운 조선의 국토의 표상을 독자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이병기는 자신과 독자들이 새로운 조선의 국토의 표상을 통해 조선인으로서 자아를 재발견하고, 조선인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을 것이다. Yi Byeung-gi(李秉岐) traveled to Jeju Island with Park Han-yeung(朴漢永) and Gwon Deok-gyu(權悳奎) from 31 July to 12 August 1924. He composed 「On the Road to Jeju」 on the experiences for part of the travel and published in 『Donga Ilbo(東亞日報)』 on 25 August 192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ir travel was as a cultural movement during the 1920s. The travel destination was Mt. Halla, sacred mountain on Jeju Island. Comparing 「On the Road to Jeju Island」 with insertion Sijo works in 『Garam's Diary(가람日記)』, this paper has been estimated that a first draft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is insertion Sijo works. 「On the Road to Jeju Island」 consisted of 20 Sijo works below 9 subtitles. Accordingly, the genre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is Travel Sijo and Series Sijo. The contents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have represented experiences of his travel and Human Geographic Information of Yeungsan River-Jeju Island district.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are analyzed natural space, historic space, sacred space in Korea and Korean living space. The meaning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are represented image geographies of Yeungsan River-Jeju Island district. The image geographies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let Korean share and discover national identity.

      • KCI등재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살펴본 『모하당슐회(述懷)』의 자기서사 양상과 자기치유적 성격

        김아연(Kim, A-yu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0

        『모하당슐회(述懷)』는 임진왜란 개전 초기에 투항한 항왜 사야가 김충선(金忠善, 1571~1642)이 70세에 자신의 삶을 반추하기 위해 지은 자전적 서사가사이다. 이 글은 모하당슐회 를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해 『모하당슐회』의 자기서사 양상과 자기치유적 성격을 분석하였다.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모하당슐회』의 자기서사는 제1단 ‘상처1 들추어내기’, 제2단 ‘상처1 덮기’, 제3단 ‘상처2 들추어내기’, 제4단 ‘대안 모색하기’, 제5단 ‘상처1 다시 들추어내기와 치유하기’ 등 전체 5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처1은 서술자 ‘김충선’이 모하의 뜻에 전일하기 위해 고국 및 고국 가족과의 이별한 데서 기인한 심리적 상처이고, 상처2는 서술자 ‘김충선’이 병자호란에 의한 소중하의 상실에서 기인한 심리적 상처이다. 이처럼 『모하당슐회』 는 5단 구성을 통해 서술자 ‘김충선’이 내면화된 상처, 고뇌, 치유 과정을 통합적으로 재현하는 자기치유의 서사이다. 둘째,『모하당슐회』의 자기치유적 성격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모하당슐회』는 스스로를 위로하고 모하의 뜻을 강화시켜 서술자 ‘김충선’의 상처1, 2를 치유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모하당슐회』는 서술자 ‘김충선’으로 하여금 가훈을 모색하고 후손과 더불어 가훈을 실천하면서 여생을 보낼 것을 계획하게 함으로써 상처2를 극복하는 대안을 마련하게 한다. Kim, Chung-seon(金忠善), a Japanese Surrendered General Sayaka (沙也加及沙也可) composed Mohadangsulhoe(慕夏堂述懷) in Late Chosun Dynasty Period. Mohadangsulhoe is self-narrative Gasa(歌辭)- Gasa is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Poetry Genre. This paper has found that aspect and nature of self-healing narrative in Mohadangsulhoe.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ly, this paper has analyzed that Mohadangsulhoe is composed of 5 paragraphs; Disclosing a Scar 1(paragraph 1), Covering up a Scar 1(paragraph 2), Disclosing a Scar 2(paragraph 3), Finding an alternative(paragraph 4), and Reopening a Scar 1 and Healing(paragraph 5). A Scar 1 is caused by farewelling to his family and the native land for Moha(慕夏). Moha means admiration for Sinocentrism(中夏), and is an aim of Kim, Chung-seon’s life. A Scar 2 is from Minor Sinocentrism(小中夏) ruin. Thus, this paper has concluded that Mohadangsulhoe is self-narrative for self-healing, and represents Kim, Chung-seon’s scars, anguish and the healing process. Secondly, this paper has explored nature of self-healing Narrative in Mohadangsulhoe. Mohadangsulhoe is self-narrative for healing scars and emphasizing Moha. Meanwhile, Mohadangsulhoe suggests family motto as an alternative, Kim, Chung-seon tried to practice family motto with descendant and found his new look as a country aristocrat in Wurokdong(友鹿洞).

      • KCI등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입원환자의 간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아연 ( Ay-eon Kim ),묘연 ( Myo-youn Kim ),오단비 ( Dan-bi Oh ),정상이 ( Sang-yi Jung ),이미준 ( Mi-joon Lee ) 한국병원경영학회 2020 병원경영학회지 Vol.2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patient satisfaction for the nursing service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in Tertiary hospital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survey to investigate the nursing satisfaction and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74 patients among 83 patient who were admitted to the nursing care integration service ward of an tertiary hospital for 10 days from May 9, 2018 to May 19, 2018.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21 program. Results: The average with nurs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rriage type and KPCS level. It was found that physical factor and educational factor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nursing satisfaction. As physical care increase by one unit, patient satisfaction increase by 0.226(95% CI; 0.061-0.390) and also satisfaction increase by 0.443(95% CI; 0.070-0.816) as education care increase by one unit. Conclusions: As a result of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atients with more careful nursing service in phys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대한매일신보> 철도가사와 철도의 표상 -식민지 근대의 표상으로서 철도에 대한 매혹과 부정의 관점에서-

        김아연 ( A Yun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5

        한국 철도문학의 계보학적 측면에서 접근한 본고는, 개화기에 철도를 논평하는 시평가사(이하 철도가사)가 철도문학의 한 유형임을 밝혔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철도의 이중성, 곧 철도의 매혹과 부정의 표상을 재현한 <대한매일신보>(이하 <신보>) 철도가사를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먼저, <신보> 철도가사가 근대 문물인 철도의 매혹적 표상을 통해 대중집단의 근대적 경험, 개화·자강·개혁을 위한 각성의 소리와 추진력, 개화·자강·개혁이 실현될 유토피아를 제시하였음을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철도가 20세기 초 한국인을 근대화된 이상 세계로 인도하는 선각자를 상징임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인의 애환을 담보로 건설된 철도가 일제, 약탈자, 폭력, 공포 및 일제가 건설한 디스토피아 등 철도의 부정적표상을 상징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철도의 이러한 부정적 표상을 통해식민지 근대에 철도가 한국인과 일본인을 태우고 디스토피아로 폭주하는 일제를 상징하고 있음을 결론 내렸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신보> 철도가사의 작자인 <신보> 집필진이 철도의 이중적 표상을 활용하여 당대의 현실을 대중 독자에게 이해시키고, 대중 독자와 미래를 모색하며, 일제의 침략 야욕을 폭로하는 공적 효과를 획득하고자 하였음을 짐작했다. 이로써 본고는 철도가사가 개화기에 정치적 지평을 개척, 확장시키고, <신보> 집필진과 대중 독자가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구축하는 데 일조하였음을 알았다. Having approached the genre of “Railroad Literature”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genealogy, this paper has found that the comments on current topics in the form of Gasa are one form of railroad literature. Based on that, this paper has examined Railroad Gasa dealt with at The Korea Daily News (Daehan Maeil Sinbo; founded in 1904), which reported the two faces of railroads and featured both the attraction and the negative aspects of railroads. First, this paper has figured out that Railroad Gasa, as the product of modern civilization, represented the voices of the people calling for awakening of modernist experiences, enlightenment, self-cultivation, and reform on one hand, and idealized the establishment of the Utopia where enlightenment, self-cultivation, and reform are realized on the other. Those Gasa said that, by making use of their fascinating features, railroads symbolize a trail-blazer that could lead the Korean people to the Utopia in the early 20th century. Next, the Gasa also suggested that railroads - having been built at the sacrifice of the joys and sorrows of the Korean people - symbolize a negative representation including Japanese colonialism, plunderers, violation, fear, and the Dystopia built by the Japanese aggressors. Based on the debates, this paper has concluded that the editorial writers of The Korea Daily News attempted to produce the public effect of making the general readers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period, seeking for the future with the public readers, and finally, disclosing the aggression of the Japanese colonialists by making use of the two faces of railroads. This paper, therefore, has found that Railroad Gasa helped cultivate and expand the political realm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that the writers of The Korea Daily News played a role of establishing a course through which they could communicate with the general readers.

      • KCI등재

        대구시 대중교통서비스의 접근성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 분석

        김아연 ( Ah Yeon Kim ),전병운 ( Byong Woon Ju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대중교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의 차이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2005년을 기준으로 한 인구 및 주택 센서스 자료와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커버리지 방법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서비스권을 설정하고, 맨 휘트니 U 검정을 사용하여 서비스권 내·외부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비교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시 외곽에 위치한 동구, 수성구, 달서구, 북구는 다른 구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반면에 중구, 서구, 남구는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시 전체에서 남성 및 여성비율과 미성년자비율에 대해서는 환경적 불형평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령자비율과 기초생활수급자비율에 대해서는 환경적불형평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환경적 불형평성의 가장 주된 원인은 저소득계층이 접근성이 좋은 대로변 주거지역의 비싼 임대료나 지가를 지불할 수 없으므로 대중교통시설에서 멀리 떨어진 노후화된 불량주거지역에 거주하고 이들 중에는 고령자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의 설치 관련 법률이나 규정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대중교통서비스 시설의 분포에 대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분포특성을 고려하여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을 설치하고 버스 및 지하철의 노선을 선정하는 것과 같은 대중교통정책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equity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the city of Daegu. The 2005 census data as well as bus stop and subway station datasets were integrated for building the GIS databas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reas were then identified by a coverage method. Mann Whitney U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ly compar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ver different levels of access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Both Dong-gu, Suseong-gu, Dalseo-gu, and Buk-gu located outside of the city had worse accessibility than others while Jung-gu, Seo-gu, and Nam-gu had better accessibility than others. There appeared no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in terms of the percentages of men, women, and teenagers over the city of Daegu whereas there existed some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in terms of the percentages of people above the age of 65 and people below poverty line. This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would be caused by some factors. Firstly, the lower income class has tended to reside in the declined or blighted areas far away from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ince this class can not afford to pay expensive rents and land prices around the main roads with higher accessibility. Many old people belonging to the lower income class also reside in the declined or blighted areas. Secondly, there has been no law to locate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considering resid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has been not managed systematically by the city government. This research would shed insight on buil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to locate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and to select the routes of buses and subways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sid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발달지연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신 ( Ji-shin Kim ),김아연 ( A-yeon Kim ),현진 ( Hyun-jin Kim ),민그래 ( G-rea Min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6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 5명이며, 사회성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2개 집단으로 나누어 총 20회기와 32회기로 소집단 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를 통해 나타난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집단은 지적 장애 또는 자폐성 장애가 있는 아동들 2명이다. 치료 초기에는 병행 놀이처럼 진행되었으며, 회기가 진행되면서 아동들은 상대 아동의 소리와 움직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후 상대 아동의 놀이 및 언어 표현 모방, 자신의 놀이로의 초대, 상대 아동의 관심을 유도하는 행동 증가 등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2집단은 언어ㆍ인지ㆍ사회성 면에서 발달 지연을 나타내고 있는 3명의 아동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함께 놀이하고 싶은 욕구는 있으나 관심 범위가 제한적이고 놀이방법이 미숙하였다. 치료 초기에는 상대 아동과 갈등 상황을 많이 겪게 되었는데, 회기가 진행되면서 아동들은 맥락에 맞는 언어 사용 및 자신의 요구와 감정에 대한 표현이 증가하였고, 또래 간 갈등상황이 감소되는 변화를 보였다.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의 진행을 통하여 치료자가 자연스러운 놀이상황에서 놀이를 주도하지 않고 아동의 주도성을 격려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아동들로 하여금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적응행동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들의 특성을 고려해 비구조화된 소집단 놀이치료를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한 기초 연구라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on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ubjects were five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level of social development and play therapy was administered to each group for 20 and 32 sessions respectively. For Group 1 of tw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essions were conducted like parallel play at the early stage and the children started to become interested in sound and movement of their partners over time. After the session, they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imitation of their partners’ play and language expressions, invitation to their play, and increase in behaviors to attract their partners’ attention. Group 2 consisted of three children who had developmental delay in language,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ey had desire to play together, but the range of their interest was limited and they were inexperienced in how to play with others. At the early stage of the therapy, they had lots of conflicts with play partners. As the sessions went, however, their use of proper language and expression of their needs and emotions increased while conflicts between play partners decreased. These findings imply that encouragement of the children’s initiative by the therapist in the natural play setting improved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and adaptation to social context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basic study that conducted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explored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재미작가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 나타난 국화의 심상 - <신한민보>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

        김아연 ( Kim A-y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4

        재미작가이자 독립운동가인 홍언(洪焉, 1880∼1951)은 1917년부터 1947년까지 295수에 달하는 시조를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의 기관지인<신한민보>에 발표하였다. 그 가운데 국화를 소재로 하는 시조는 1940년에 2수, 1941년 5수, 1942년에 1수, 1943년에 1수, 1945년에 4수, 1946년에 10수 등 총 23수가 있다.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는 `절개와 인고`, `가을 정취와 풍요로움`, `사멸과 재탄생`을 표상하고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가 상징하는 `절개와 인고`는 절개를 지키되, 속세를 떠나지 않고 현실에 참여하는 지사의 모습을 추구하고 있다. 둘째,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가 표상하는 `가을 정취와 풍요로움`은 홍언 시대 이전의 국화 소재 시조에 나타난 국화의 계절적 표상을 계승하고 있다. 셋째,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는 홍언시대 이전의 국화 소재 시조와 달리 `사멸`을 상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재탄생`을 은유함으로써, 그 심상을 외연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홍언은 국화의 표상을 통해 자신의 서정성을 강조하고자 시조 양식을 선택하였다. 둘째, 재미작가인 홍언은 국내 시조문단과 교류가 없는 상태에서 독자적으로 국화 소재 시조를 발표함으로써, 국화 소재 시조의 창작적 전통을 계승하고 국화의 심상을 발전시켰다. 셋째, 홍언이 국화소재 시조를 창작하는 행위는 그가 비록 이민자이지만 한국인의 정체성을 간직하고 한국의 독립을 위해 일제에 저항하는 지사적 삶을 지향하는 태도에서 시도된 것으로 추정된다. When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ong Eurn (1880∼1951) was a first-generation ethnic Korean in the United States. He worked as a Korean-American writer at The New Korea (Sinhanminbo; founded in 1909), and wrote sijo, gasa, Chinese-letter poems, novels, plays, and literary reviews for The New Korea. This paper has examined Hong Eurn`s sijo based on chrysanthemum dealt with at The New Korea, which reported the chrysanthemum im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this paper has figured out that the chrysanthemum traditionally symbolized “constancy and endurance.” He emphasized that people keep their constancy when they were resisting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engaging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is, constancy and endurance had been incorporated in his experiences with which he fought against Japan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econdly, this paper has explored “an autumn flavor and the richness” which is represented by the chrysanthemum. An autumn flower, the chrysanthemum has heightened excitement of season. And the chrysanthemum has co-existed with liquor, the moon, and friends. So “an autumn flavor and the richness” has followed the tradition of Korean sijo. Thirdly, this paper has proved “the death of the chrysanthemum” is converted into “the rebirth of the chrysanthemum.” This paper, thus, has found that “the rebirth” of the chrysanthemum is shown only in Hong Eurn`s sijo. This paper, therefore, has drawn several conclusions from the discussions described above. Firstly, Hong Eurn chose the form of sijo to express his lyricism through the image of chrysanthemums. Secondly, he developed a unique form of chrysanthemum image, he deviated himself from the conventional Korean literary circles. Finally, he wrote sijo based on chrysanthemums in order to preserve his Korean identity and pursue his life of a patriot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ts.

      • KCI등재

        『제국신문』에 수록된 철도 소재 시가 연구

        김아연 ( Kim A-yu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0

        『제국신문』에는 철도 소재 시가 7편이 게재되어 있다. 1903년에 발표된 2편, 1906년에 게시된 5편이 그것이다. 이 글은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의 내용을 발표 시기별로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먼저, 1903년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러일 전쟁(1904 1905) 이전에 열강들이 대한제국 철도부설권을 경쟁적으로 침탈하려던 정황을 형상화하고, 경의철도부설권을 수호 하려는 대한제국 정부와 민간의 의지를 담고 있다. 다음으로, 1906년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한일의정서(1904), 을사늑약(1905) 이후 일본이 대한제국의 철도부설권을 독점 했고, 철도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을 철저하게 배제했으며, 역세권의 이점에 주목하여 용산에 일본인 거주지를 구축한 상황을 재현한 한편, 기적 소리를 청각적 심상으로 활용하여 독자에게 계몽의식의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이 글은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조명했다. 첫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맞춰 시가가 변모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둘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신문 매체를 통해 대한제국의 철도부설권 및 국가의 자주성 되찾기 여론을 형성하는 새로운 글쓰기 방식이다. 셋째, 한국 철도문학의 계보학적 측면에서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대한매일신보』 철도 소재 시평가사에 선행하며 1907년부터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전에 발표된 『대한매일신보』 철도 소재 시평가사와 상호보완 관계를 맺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한 결과, 이 글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러일 전쟁 발발 전후 대한제국의 정세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이에 따라 외세의 철도부설권 침탈이 국제적·정치적·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였음을 말해 준다. 둘째, 『제국신문』철도 소재 시가는 전통 시가의 형식 위에 철도 담론을 공적 영역으로 이끌어냈고 이 계보를 『대한매일신보』철도 소재 시평가사가 계승함으로써, 근대에 전통 시가의 형식이 철도 담론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유효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ment poetry on current topics of railway in Jekuk Sinmun(founded in 1898). The two of them were composed in 1903, and the five were published in 1906. The contents of poetri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ormer represented events in Korea railway history which the powers competed over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before the Russo-Japanese War. Secondary, the latter were a realistic depiction of events happened after signing the Japan-Korea Treaty of 1904 and 1905. At that time, Japanese Imperialism monopolized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Meanwhile, 1 poetry of them needed the awakening enlightened consciousness to readers. Based on that,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ignificances of Jekuk Sinmun`s railway poetries. These poetries have shown the changing aspects along with the flow of time, are a new writing to regain railway concession and national independence of Korean Empire through the newspaper, and complement Daehan Maeil Sinbo`s railway gasa composed in 1907, 1908, 1909 and 1910 on genre of Railway Literature in Korea. This paper, therefore, has drawn conclusions from the discussion described above. These poetries have shown a few things: Affairs of Korea Empire was changed at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powers competed over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was a internationally, politically and socially sensitive issue. In addition, the form of poetry was a medium through which to transfer discussion of railway the modern.

      • Track 2 : 컴퓨터교과교육; 정보의 역사를 활용한 전인교육을 위한 정보 교재의 개발

        김아연 ( A Yoeun Kim ),송태옥 ( Tae Ok So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정보 교과에서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수업을 하고자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고자한다. 교육용 소재는 정보의 역사 가운데 있었던 역사적 사실을 활용하였으며, 이 사실을 바탕으로 전인적 목표를 구성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교재를 설계하였다. 기존의 교수학습 과정안이 지닌 문제점을 개선한 ’단계형 과정안‘의 양식을 개발하고, 이 양식에 맞게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