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워터 렌더링에 대한 연구

        김승미(Seung Mi Kim),손유익(Yu Ik Son),임충재(Chung Jae Im),이준재(Joon Jae Lee)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9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No.1

        워터 렌더링은 게임, 애니메이션과 같이 현실 세계에 가까운 환경을 나타내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오래전부터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다의 물결을 여러 정현파의 중첩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원리를 기반으로 스펙트럼 모델을 사용한다. 또한 높이 필드를 여러 개의 정현파로 분해하는데 푸리에 변환이 사용되고 스펙트럼으로부터 공간 영역을 다시 구성하는데 역 푸리에 변환이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현실과 같은 워터 표면 렌더링에 대해 연구한다.

      • KCI등재

        취학전 말더듬아동 교사의 인식과 반응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김승미(Seung-Mi Kim),이은주(Eun-Ju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2

        배경 및 목적: 말더듬 아동의 치료에서 교사는 부모와 더불어 아동의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취학 전 말더듬 아동에 대한 인식과 반응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취학 전 말더듬 아동의 담임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 접근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말더듬 아동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은 ‘무엇인가 해야겠다’를 중심현상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은 ‘말더듬의 인식’, ‘말더듬에 대한 아동의 태도 인식’이었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으로 ‘또래의 인식 및 태도’, ‘부모의 적극적 태도’가 작용하였다. 중심현상에 대처하는 말더듬 아동에 대한 교사들의 작용/상호작용으로는 ‘의도적으로 관찰’, ‘도움방법의 탐색’, ‘부모 및 또래와 정보 공유’, ‘말더듬에 대처’이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으로 ‘말더듬에 대한 교육의 부족’, ‘말더듬 성인에 대한 경험’, ‘다른 장애를 우선함’, ‘교실 환경의 제약’이 작용하였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의 결과는 ‘한계에 부딪침’, ‘말더듬의 장애 인식 여부’, 아동의 미래에 대한 낙관과 걱정’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말더듬 아동의 교사들은 말더듬 아동에 대해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말더듬 아동에게 ‘무엇인가 해야겠다’라는 의지를 가지고 대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사들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말더듬 아동의 치료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bjectives: A teacher can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a child who stutters along with his or her parents. Thus, in this research, teachers’ perceptions and response processes towards a stuttering preschool children will be analyzed and the causes of these particular perceptions and responses will be clarified. Methods: In-depth interviews with 6 homeroom teacher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have been performed, and then analyz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Results: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towards children who stutter was found to be in the sense of ‘need to do something’. The causal conditions of this phenomenon were the teachers’ ‘perception on stuttering’, and ‘identifying children’s attitudes towards stutter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eers’, ‘active attitudes of parents’ functioned as contextual conditions influencing the phenomenon. The examples of a teacher’s action/interaction with a stuttering child to handle such a phenomenon were ‘observing the child intentionally’, ‘seeking ways to help’, ‘sharing the information with parents and peers’, and, ‘handling the stuttering behaviors’. The intervening conditions influencing these actions were ‘lack of education on stuttering’, ‘an experience on a stuttering adult’, ‘priority to other disabilities’, and ‘limitation of classroom environment’. The action/interaction consequences towards the phenomenon were found to be ‘encountering the limit’, ‘whether to perceive stuttering as disability or not’, and ‘optimism or concern about the future of the children who stutter’.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eachers’ responses and their roles in therapy for children who stutter.

      • KCI등재

        진로적응성에 대한 연구동향

        김승미(Kim, Seung Mi),손은령(Son, Eun Young),이순희(Lee, Soo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는 진로적응성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른 후속 연구 과제를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 동안 국내 주요 상담⋅진로⋅교육 관련 학술지에 진로적응성을 주제어로 게재된 105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주제, 연도, 대상, 연구방법, 분석방법, 관련변인, 측정도구별로 선정논문을 분류하였다. 결과 진로적응성 관련 연구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해마다 평균 21편으로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가장 많이 선정 된 연구 대상은 대학생이었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에 비해 양적연구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 측면으로는 회귀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구주제별로는 진로 및 적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진로적응성을 연구하기 위한 측정검사 도구 활용 빈도는 진로적응능력 척도(CAAS), 진로미래검사(CFI)와 장계영(2009)의 진로적응성 검사 척도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로는 진로와 관련된 변인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하위 요인 중에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 외에, 성격 및 정서와 애착 및 부모, 사회적지지 등과 관련하여 연구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진로상담과 교육 현장에 주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omestic career adaptation. and the purpose is to propose subsequent research topics according to the results. Methods To that end, 105 papers were selected for the five years from 2016 to 2020, with career adaptability as the main control in major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consultation and career education. The subject, year, research object, research method, and analytical method for data analysis categorized the selected articles based on relevant origins and measurement tools. Results Career adaptation-related research was conducted on average 21 flights each year from 2016 to 2020, with the most selected research subjects being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it was found that quantitative resear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qualitative research.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were the most frequent aspects of the method of analyzing the results. And it became clear that the research themes had the most career paths and aptitudes. The frequency of use of measurement test tools for studying career adaptability was in the order of Career Adaptation Ability Scale (CAAS), Career, Future Examination (CFI) and Jangyeyoung (2009) Career Adaptation Test Scale. As a research theme, it was clarified that the research on the career factor was the most conduc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course decision of the sub-factor was the highes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esearch was conducted in relation to personality, emotion, attachment, parents,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s Utilizing this research as basic material, we proposed career counseling and major suggestions for educational sites.

      • KCI등재

        집단 역동적 심상 치료가 여자 간호사의 직무와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승미 ( Seung Mi Kim ),심봉희 ( Bong Hee Sim ),안황란 ( Hwang Ran Ah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2 정신간호학회지 Vol.21 No.3

        Purpos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group dynamic imagery therapy o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of female nurses.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tested through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Seventy-seven female nurses from G University Hospital in J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38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Once a week for 8 continuous weeks,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90-minute group dynamic imagery therapies. Results: 1) The level of job str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2) The level of Psychosocial stress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group dynamic imagery therapy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against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of female nurses.

      • KCI등재

        세계화시대 국가주도적 자본주의의 변화 2016년 프랑스 노동법 개정을 중심으로

        김승미(Kim Seung m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에서 2016년 노동법 개정이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세계화 시대 국가주의의 변화 양상을 탐구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프랑스 정치경제모델을 설명하는 선행 연구들이 세계화 이후 국내외 역할의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행동하는 최근 프랑스 국가의 독특성을 포착하는 데 약점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국가주의의 지속 및 신자유주의로의 수렴이라는 이분법적 시각에 천착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2016년 프랑스 노동정책 결정 과정에서 행위자들의 행위 양상은 전통적 국가주의와는 상이하였다. 정책을 형성할 때부터 국가 뿐 아니라 산업과 노동의 참여가 활발히 발생하였으며, 산업과 노동의 의견이 수정안에 적극 반영되었다. 또한 국가, 산업, 노동 간 유의미한 집단협상이 수차례 발생하였다는 점에서 일각에서는 이러한 독특성이 프랑스 국가주의 모델의 해체를 방증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본 사례에서의 정책결정 메커니즘은 고전적 국가주의와 핵심적 특징을 공유하며 코포라티즘 및 다원주의적 정책결정과 상이한 독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프랑스의 2016년 노동법 개정이 신자유주의자들의 주장처럼 프랑스 정치경제 모델의 신자유주의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화 과정에서 계획주의적 국가의 새로운 국가 역량이 강화된 덕분에 가능하였다고 주장한다. 국제협상을 통한 정책결정이 증대됨에 따라 계획주의적 국가는 국제적 이슈를 지렛대 삼아 국내 이해당사자들에의 영향력을 확장한다. 그리고 강력한 국가는 일방적 입법의 여지를 암시함으로써 국내 행위자들을 위협하여 그들과의 상호의존성 및 협력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국가는 국제질서의 국내 도입을 통해 행위자들의 이해와 선호를 조정하는 프레임워크로서 고전적 국가계획을 대체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ed statism in globalization and how this led to the French labor law reform in 2016. The article shows that previous studies on the French political economy do not capture the uniqueness of the French state, which serves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roles. Notably, the analyzed studies reveal dichotomous views about whether the French economy will stay statist or converge toward neoliberalism. This article holds that the French labor law reform cannot be considered evidence of the French economy moving toward a neoliberalizing model. Instead, the labor market policy was introduced because the French dirigiste state newly developed its domestic roles by adapting to rapidly moving capital and the effects that cascade from this situation. A growing tendency to open domestic politics and the economy was not only pressures to rearrange state roles, but it was also an unexpected chance to strengthen state capabilities. More domestic policies have been made through multilateral negotiation like EU in the French case, and this trend gives the dirigiste state domestic political leverage because the state represents domestic interests on an international negotiating table. Moreover, a strong state can increase interdependence and cooperation with domestic actors by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unilateral policy. Lastly, the state can substitute classic economic planning measures with policy framing, which includes the adjustment of the interest structure and the preference order of private actors. The strategy to take lead in policy framing allows a dirigiste state to actualize its will on the process of instituting an international order into a domestic institutional system.

      • KCI등재

        초등학생의 생활 글에 나타난 장소 경험

        김승미 ( Kim Seung-mi ),남상준 ( Nam Sang-j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의 생활 글에 기술되어 있는 장소 경험의 유형과 그 특성을 파악해보고, 그것이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를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인 광주광역시 서구 C 초등학교의 5학년 한 학급의 20명 어린이들이 2017년 4월부터 8월까지 5개월 동안 쓴 생활 글을 수집하고, 수집된 어린이의 생활 글에서 장소 경험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장소 경험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어린이의 장소 경험에 대한 상황과 맥락을 더 자세히 알기 위해 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들이 하는 장소 경험 중 직접 경험에 의한 장소 경험의 수에 비해 간접 경험에 의한 장소 경험의 수가 현저히 적었다. 둘째, 어린이들이 장소 경험을 할 때에는 여러 감각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단일 감각으로는 미각에 의한 장소 경험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셋째, 어린이들이 하는 장소 경험 중 가족과 함께 하는 장소 경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지만 친구들과 하는 장소 경험 역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넷째, 어린이들은 마을 내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며 살아가고 있고, 드물지만 일부 어린이들은 세계 범위의 장소 경험도 하고 있었다. 다섯째, 어린이의 장소 경험에 어린이의 학업 성취도를 비롯한 장소 인식 정도와 성격, 현재 가지고 있는 고민, 걱정 등도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었다. 여섯째, 어린이의 체험 및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했으나 부모의 현실적인 상황으로 인해 다양한 기관에서 이 역할을 일부 대신하고 있었다. 일곱째, 도시에 사는 어린이들은 놀이터, 공원과 같은 단순한 시설 외에 플레이방, 낚시카페처럼 새로운 놀이 장소와 카페, 잡화점, 대형마트 등 어른들의 생활 편의 시설이나 문화 시설 등을 이용하고 있었다. 여덟째, 인터넷 속의 가상공간도 어린이들의 장소 경험 대상이 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of places described in children’s writings in everyday life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to the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I collected the writings in everyday life of 20 5th graders (subjects of this study) of a class in C Elementary School in Seo-gu, Gwangju, written for five months from April to August 2017 and analyzed the details 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places in life. In this way, I identified the children’s place experience types. To grasp the situations and context of the children’s experience of places judged as requiring additional research,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argeting th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below : First, the experience of places by indirect experience was far smaller than the experience of places by direct experience. Second, when children experience places, they used various senses in many cases, and they gave a greater meaning to the experience of places by taste in terms of a single sense. Third, although there were the most experiences of places visited together with family, those experiences with friends took up quite a portion as well. Fourth, the children have lived diversely experiencing within their villages, and some children had experiences of foreign places, despite low ratio. Fifth, th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cognitive development level including place perception level, and character, worries, and concerns contributed to their experience of places to some degree. Sixth, although th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children’s experience increased, various institutions partially played this role instead of their parents, due to parents’ realistic situations. Seventh, children living in cities used new play places including play rooms and fishing cafes, and also adults’ convenience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such as cafes, general stores, and large discount stores. Eighth, the virtual world on the Internet became the subject of the children’s experience of places.

      • KCI등재후보

        생체 모방형 배연 프로펠러 블레이드 패턴 구조 탐색

        김승미(Kim, Seung-Mi),김송현(Kim, Song-Hyeon),박재용(Park, Jae-Yong)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9 과학영재교육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 배연장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블레이드의 표면에 생체 모방을 적용한 프로펠러를 제작하고 그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펠러 블레이드 패턴에 적용 가능한 생명체의 표면 구조를 선정하였고,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블레이드에 생체 모방 패턴을 적용한 프로펠러를 제작하였다. 또한, 유체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실험장치를 제작한 후, 초고속 카메라와 운동 분석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생체 모방 패턴을 적용한 프로펠러의 배연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블레이드의 표면에 생체 모방을 적용한 프로펠러는 기존 배연장치에서 사용되는 민무늬의 프로펠러에 비해 연기를 더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혹등고래의 돌기 패턴과 장수거북의 등줄기 패턴을 적용한 프로펠러의 경우 배연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생체 모방을 적용한 프로펠러의 효과와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ropeller applying biomimetics on the blade surface and to explore its effec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xisting smoke eliminating equipment.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surface structures of living organisms applicable to the propeller blade pattern and made propellers with the biomimetic pattern on the blades using a 3D printer. In addition, we have developed experimental devices to confirm fluid flow, and then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peller applying biomimetic patterns by using an ultrahigh-speed camera and a motion analysis program.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eller using biomimicry on the surface of blades can discharge the smoke more effectively than the patternless propeller used in the existing smoke eliminating equipment.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smoke control effect of propellers using humpback whale’s pattern and leatherback turtle’s pattern could be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of propellers using biomimicry.

      • KCI등재

        논문 : 정기관객제도를 통한 공연 시즌제 활성화 방안 -국립극장 사례를 중심으로-

        김승미 ( Seung Mi Kim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3 연극교육연구 Vol.22 No.-

        There are increasing debates on the season-based system of performing arts among public theaters these days, because of high public expectations on the roles of public theatres amid the changing surroundings of performing arts industry. Korea`s representative theatres, such as Seoul Art Center, Seongnam Art Center, Myeongdong Theater, have started to show interest in the ``Gongyeon Seasonje (season program system)`` after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dopted its full-scale seasonal system last year. The key to making a successful Gongyeon Seasonje(season program system) is selling packages of season tickets as many as possible through efficient marketing of high-quality programs. Establishment of ``repertory system`` and ``subscription system`` should be started first. The repertory system is necessary to producing high-quality programs, while the subscription system helps boost ticket sales. The two systems should work in tandem to create synergy effect. Domestic public theatres make focused efforts on developing better contents. Some theaters partly introduced the Gongyeon Seasonje since early 2000s.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dopted the system in 2012. But the theaters paid less attention to how to attract audiences and sell tickets. This study looks at measures to activate the ``Gongyeon Seasonje (season program system)`` by promoting the ``subscription system``. It focused on the Gongyeon Seasonje (season program system) case of National Theater of Korea intensively to find out the originality and shortcomings of the system. The study also provides various cases of advanced countries. The attempts by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re yet to be assessed, since the 2012-2013 season program is still running. There will be better chances to make an overall assessment and find areas to improve. The Gongyeon Seasonje (season program system) has not been able to take root in Korea despite many proved merits of system. The recent initiation of National Theater of Korea has a long way to get to the orbits, though it is considered an important step forward. It is fortunate that the surroundings of our performing arts market are becoming fairly mature as to embrace the Gongyeon Seasonje (season program system). It will be hard to expect immediate changes, like more than half of a theater`s seats to be filled like those in Broadway and WestEnd theaters, but hopes are high that Korea will have its own Gongyeon Seasonje (season program system) and supportive subscription system adjusted for the country`s unique performing arts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