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불응성 암성 통증에 대한 Ketamine 효과

        김세형 ( Se Hyung Kim ),박성규 ( Seong Kyu Park ),김현정 ( Hyun Jung Kim ),김찬규 ( Chan Kyu Kim ),이남수 ( Nam Su Lee ),원종호 ( Jong Ho Won ),박희숙 ( Hee Sook Park ),김용익 ( Yong Ik Kim ),이정석 ( Jeong Seok Lee ),윤미화 ( Mi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3

        목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불응성 암성 통증이 척수의 substantia gelatinosa 부위에 있는 NMDA 수용체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NMDA 길항제의 역할을 하는 ketamine은 마취용량 이하 수준에서 이런 불응성 암성 통증에 산발적으로 사용하여 진통효과를 보았다는 연구보고가 있었다. 보존적인 치료 측면에서 ketamine은 주로 피하주사를 통한 투여방법이 사용되며, 마약성 진통제와 한 두개 이상의 보조진통제들과 함께 보조요법으로 사용된다. 현재까지 ketamine과 연관되어 진행된 연구 대부분이 신경병증성 통증을 대상으로 증례보고 형태이거나 소규모의 연구이었다. 따라서 불응성 암성 통증 환자에 있어 ketamine의 효과가 일관되게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며, ketamine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나 환자의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순천향대학교부천병원에서 불응성 암성 통증으로 치료를 받았던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3일 동안 ketamine을 초기 용량 100 mg/일로부터 단계적으로 점차 증량하였으며, 통증이 지속되고 중대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은 한 300 mg/일까지 증량하였다. 진통효과는 숫자통증등급을 사용하여 매 6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진통효과가 있다고 판정하는 기준은 ketamine 투여 전·후에 통증 score가 50% 이상 감소하는 경우로 하였다. 또한, 마약성 진통제 요구량의 감소 정도와 약제투여에 따른 부작용도 평가하였다. 결과: Ketamine 사용 중에 치료가 중단된 예는 없었으며, ketamine 투여 후 진통효과는 50% 이상 감소한 경우가 20명(34.5%), 50% 미만의 효과가 있었던 경우가 24명(41.4%), 효과가 없었던 경우가 11명(19%), 오히려 통증이 악화된 경우가 3명(5.2%)이었다. Ketamine 투여 후 진통제의 요구량이 감소한 경우는 24명이었다. 또한, ketamine 투여에 따른 주요 부작용은 구역, 구토, 혼동, 졸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였으나, 일시적이거나 증상치료 후 곧 호전되는 정도로 경·중증도의 부작용이었다. 결론: 말기 암 환자에 있어 ketamine의 사용은 삶의 질 저하에 가장 큰 요인인 암성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마약성 진통제의 요구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보조요법으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There has been growing evidence of the importance of the N-methyl-D- aspartate (NMDA) receptor in intractable pain. There is good evidence from experimental animal models and clinical trials that ketamine as a NMDA receptor antagonist relieves neuropathic pain. We evaluated whether ketamine in low doses as an adjuvant to opioid treatment improves analgesia with tolerable adverse effects. Methods: 58 patients with intractable cancer pain received ketamine for 3 days. Each pain type was classified as a somatic, visceral, or neuropathic pain. We assessed pain at 6 hourly intervals with vital signs using a numeric rating scale. Data on opioid doses, ketamine dose, and adverse effects were recorded daily on an assessment chart. To be designated as a responder, a patient had to show a 50% or greater reduction in the mean pain scale. Results: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34.5%.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type of pain mechanism showed that 47% (15/32) patients with neuropathic and 25% (5/20) patients with somatic pain responded. In 24 cases (41.4%), the requirement for an opioid dose was reduced after infusion of ketamine. The most common adverse effects were nausea and vomiting. Eleven patients complained of drowsiness or transient hallucination. However, most adverse effects were mild to moderate and were easily relieved by treatment.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fusion of ketamine in low doses may have an effect on intractable cancer pain and in reducing opioid requirements, especially neuropathic pain with acceptable toxicities. Therefore, ketamine may be useful as an adjuvant to opioid treatment in cancer patients who are receiving palliative care. (Korean J Med 72:298-305, 2007)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급성 식도 정맥류 출혈시 내시경적 결찰술과 Octreotide 및 Terlipressin 병용요법의 치료효과와 부작용 비교

        김세형 ( Se Hyung Kim ),함정호 ( Jung Ho Ham ),박진우 ( Jin Woo Park ),이석호 ( Suck Ho Lee ),김홍주 ( Hong Joo Kim ),김현준 ( Hyun Jun Kim ),정일권 ( Il Kwun Chung ),김홍수 ( Hong Soo Kim ),박상흠 ( Sang Heum Park ),김선주 ( Sun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8 No.2

        목적 : 급성 식도정맥류 출혈을 동반한 간경변증 환자에서 내시경적 결찰요법과 대표적인 혈관 작용성 약물인 octreotide 및 terlipressin을 병용 치료하였을 때 각각의 치료효과와 부작용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순천향의과대학 천안병원에 내원한 식도정맥류 출혈환자 73명을 대상으로 내시경적 결찰술과 함께 무작위로 octreotide 병용치료군과 terlipressin 병용치료군으로 분류하여 초기 Background :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cute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is a life-threatening event with high mortality and subsequent recurrent bleeding despite of endoscopic therapy. So the effect of vasoactive agents used in combination with

      • KCI등재
      • 간이식 환자에서의 췌관내유두상점액종양

        김관일(Kwan -Il Kim),서경석(Kyung-Suk Suh),김주현(Joohyun Kim),신우영(Woo Young Shin),이남준(Nam-Joon Yi),장진영(Jin-Young Jang),김선회(Sun-Whe Kim),김세형(Se Hyung Kim),이건욱(Kuhn Uk Lee) 한국간담췌외과학회 2008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Vol.12 No.2

        Purpose: The incidence and risk of malignancy are elevated in solid organ transplant recipients compared to persons in the general population. Epidemiological data reveal that the length of exposure to immunosuppressive therapy and the intensity of therapy are clearly related to the post-transplant risk of maligna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urse of incidental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neoplasms (IPMN) of the pancrea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7 patients with IPMNs of the pancreas who underwent liver transplantation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6.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29.6 ± 22.8 months.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55.2 ± 7.2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4:3. All patients had branch duct type IPMNs. The lesions were located principally in the head (64.7%) and body (52.9%) of the pancreas. The mean tumor size was 13.0 ± 6.2 mm. There were no newly developed symptoms associated with these lesions, and none of the lesions enlarg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No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of their lesions. Conclusion: The course of each of the incidental small IPMNs of the pancreas was uneventful for more than 2 year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Therefore, patients with incidental small IPMNs of the pancreas are not immediate candidates for surgical pancreas resection. However, a longterm follow-up study with a larger sample size will be required to establish treatment guidelines in immunosuppressed patients.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일개 병원 암 환자에서 중심정맥관 합병증에 관한 후향적 조사

        김은정,김현정,김한조,김경하,김세형,이상철,배상병,김찬규,이남수,이규택,박성규,원종호,박희숙,홍대식,Kim, Eun-Jung,Kim, Hyun-Jung,Kim, Han-Jo,Kim, Kyoung-Ha,Kim, Se-Hyung,Lee, Sang-Cheol,Bae, Sang-Byung,Kim, Chan-Kyu,Lee, Nam-Su,Lee, Kyu-Taek,Pa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3 No.1

        목적: 암환자에게 있어 중심 정맥관 삽입은 항암치료나 수혈, 비경구 영양공급 목적으로 흔히 시행된다. 중심정맥관 삽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합병증으로는 감염, 혈전, 물리적 합병증이 있는데, 이 연구는 합병증의 빈도와 관련 인자들을 규명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6년 8월까지 중심 정맥관을 삽입한 고형암과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경과기록 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감염, 혈전, 물리적 합병증 각각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감염과 혈전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과 그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차 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삽입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는 log-rank test를 이용한 Kaplan-Meier 방법과 다변량 분석에는 Cox regression analysis 를 사용하였다. 결과: 310명의 암환자들에게 310개의 중심 정맥관 삽입이 시술되었고, 남자 157명, 여자 153명이었고, 혈액암 환자가 132명, 고형암 환자 178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2세였다(range: 15~82). 60예(19%)의 환자에서 합병증이 나타났으며, 혈전을 가진 환자에서 감염이 더 빈번하게 일어났고(P=0.003), 암이나 삽입관의 종류, 수혈 및 비경구 영양 시행 여부와 합병증 발생과는 큰 연관성이 없었다. 삽입관의 평균수명은 99일(range: 2~1,330)이었는데 삽입관의 수명은 터널식 삽입관(P=0.000)을 가진 경우에, 그리고 중심정맥관을 통해 수혈을 하지 않은 경우(P=0.030) 더 연장되었다. 결론: 중심 정맥관 삽입의 주요 합병증은 혈전과 감염이었다. 터널식 정맥관은 장기적인 사용에 효과적인 방법이며, 특히 중심정맥관을 통해 수혈을 받지 않는 경우에 그러하다. 중심 정맥관 장기 사용을 위해 혈전과 감염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여겨진다. Purpose: A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CVC) is frequently used for delivering anti-cancer chemotherapeutic agents, blood products, parenteral nutrition, and other intravenous therapy in patients with cancer. Major complications of CVC use are thrombosis, infection, and mechanical complic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requency of CVC complications and related factors. Methods: The records of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a CVC at our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1 to October 2006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Chi square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related factor for thrombosis or infection, and Kaplan-Meier analysis for univariate analysis, or Cox-regression analysis for multivariate analysis was used for catheter life span. Results: Three hundred and ten CVCs (235 nontunneled, 75 tunneled) were inserted in 310 patients (157 males, 153 females). Among them, 104 had hematologic cancers and 206 had solid cancer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2 years (range, 19~82 years). CVC complications occurred in 60 cases (19%). CVC-related thrombosis occurred frequently in patients with infection (P=0.003), whereas diagnosis, catheter type, transfusion, and TPN history did not affect infection or thrombosis. The mean duration of the catheter was 102 days (range, 2~1,330 days), and the duration was prolonged in patients with tunneled catheters (P=0.000), or without transfusion through CVC (P=0.030). Conclusion: The major complications for long-term use of a CVC were infectionand thrombosis. Tunneled catheter was effective tool for long term use, especially in cases without transfusion through CVC. The studies o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thrombosis and infection are, therefore, warranted by using CVC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 KCI등재후보

        혈액종양 ; 비편평세포,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erlotinib, gefitinib 및 pemetrexed의 효과

        윤라영 ( La Young Yoon ),양미연 ( Mi Yean Yang ),윤진아 ( Jin A Yun ),김현정 ( Hyun Jung Kim ),김한조 ( Han Jo Kim ),김경하 ( Kyung Ha Kim ),김세형 ( Se Hyung Kim ),이상철 ( Sang Cheol Lee ),김찬규 ( Chan Kyu Kim ),이남수 ( Nam Su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9 No.4

        목적: 본 연구는 비소세포폐암의 2차 이상의 항암 화학 요법에서 EGFR TKIs와 pemetrexed의 임상적인 특징에 따른 치료 성적을 비교함으로써 구제치료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2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부천 순천향대학교 병원 혈액종양내과에서 비소세포폐암을 진단받은 환자들 중 편평상피암을 제외한 선암과 대세포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gefitinib이나 erlotinib 및 pemetrexed로 치료받은 환자를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6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그 중 erlotinib군이 18명, gefitinib군은 18명, pemetrexed군은 25명이었으며 중앙관찰기간은 37개월(7-97개월)이었다. 세 군간에 반응율과 무진행 생존기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으며 EGFR TKIs 를 투여받은 환자들 중에서는 여성에서 보다 좋은 반응율은 보였고, erlotinib 을 투여받은 환자들 중 피부발진이 있었던 환자들과 Pemetrexed를 투여 받은 환자들 중 선암으로 진단된 경우에서 무진행 생존기간이 의미있게 길었다. 결론: EGFR TKIs 와 Pemetrexed 는 모두 비편평세포암, 비소세포암 환자에서 2차 이상의 치료로 사용하였을 때 비교적 효과적이었으며 부작용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EGKR TKIs 및 pemetrexed군 치료 효과 및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임상적 예후인자에 대한 보다 많은 대규모 전향적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Aims: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benefits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s (EGFR TKIs) with pemetrexed to identify the clinical parameters that correlated with response.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examined patients who were 1) treated with EGFR TKI or pemetrexed, 2) diagnosed with advanced non-squamous non-small-cell lung cancer, and 3) previously treated with platinum-based chemotherapy in Soonchunhyang Bucheon Hospital. Results: Sixty-one patients (18 erlotinib, 18 gefitinib, 25 pemetrexed) were investigated from February 2002 to August 2009.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7 months (7~97 months). Overall, their median age was 63 years, 41 patients were non-smokers, 57 patients had adenocarcinoma, and 55 patients were at stage IV. Twenty-one patients received the study drugs as second-line chemotherapy, and others as third-line or mo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response rate (erlotinib 33.3% vs. gefitinib 38.9% vs. pemetrexed 20.0%) and progression-free survival (erlotinib 1.9 months vs. gefitinib 3.0 months vs. pemetrexed 2.9 months) were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Female gender was related to a good response to EGFR TKIs (p=0.047). Skin rash in the erlotinib group (p=0.037) and adenocarcinoma in the pemetrexed group (p=0.02) were related to improved progression-free survival. Few side effects were reported. Conclusions: Both EGFR TKIs and pemetrexed therapy for non-squamous non-small-cell lung cancer were efficient and tolerable after the failure of first-line platinum-based chemotherapy.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the predictive role of the suggested clinical parameters in this study. (Korean J Med 79:394-403, 201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