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주 일산동 불상(佛像) 주악상(奏樂像)의 음악사적 조명

        김성혜 ( Seong Hye Kim ) 민족음악학회 2014 음악과 민족 Vol.48 No.-

        This is to introduce muaksang, carved on the 8 sides of jungdaeseok of Seokjobirojanabuljwasang in Ilsandong, Weonju, which has not been well known so far, and to examine its features. Two Buddhist statues are erected on both the east and the west. Muaksang is found on the jungdaeseok of the east Buddha statue. The close examination found bipa, chum, yogo, yobal, hweangjeok, go, and gain carved on the jungdaesuk. Hweangjeok and gain couldn``t be figured out only with the study on the iconography, so it had to be inferred from other contexts. In addition, there are two opinions on the production year of the statues, one in the 9th century of the Unified Silla era and the other in the early Goryeo period. Judging from their style, I agree with the former. I``ve seen various types of muaksang carved on Buddhist relics, such as on budos, stone pagodas, Buddhist bells, and sarira containers but never on any pedestals of Buddha. The significance of Ilsandong Buddha in historical research on music lies in the fact that it has been so far the only Buddha statue that has muaksang. In spite of its historical distinction, it has been left unattended for a long time.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more care is required to maintain and preserve this important cultural asset.

      • KCI등재

        백제금동대향로 단관악기의 성격 고찰

        김성혜(Kim Seong hye) 국립국악원 2009 국악원논문집 Vol.20 No.-

        백제금동대향로가 발굴된 지 16년 만에 처음으로 향로에 조각된 5악기 를 집중 조명하는 학술대회가 국립국악원에서 개최되었다. 본고는 관악기 2종 가운데 단관악기의성격을 규명하고자 마련한 글이다. 향로에 조각된 단관악기 연주자를 관찰하여 악기 구조를 파악하였고, 2005년에 김복곤이 재현한 악기도 함께 검토하였다. 그리고 당시 사람들이 이 악기를 무엇이라고 불렀는지 악기 명칭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아울러 백제와 인접한 고구려와 중국의 고고학 자료에 나타난 단관악기를 상호 비교하여 그 친연 관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악기를 재현하여 그 소리를 직접 들어서 악기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백제금동대향로 속 단관악기의 구조는 오늘날의 퉁소보다는 굵고 긴 구조이다. 악기의 명칭은 백제대향로의 제작시기와 근접한 시기의 기록 그리고 국내 사료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그리고 『일본후기』와 『일본삼대실록』을 바탕으로 고찰한 결과, 적(笛)이 가장 적합하며 가로 부는 적과 세로 부는 적의 구분을 위해서 적(종적) 으로 표기하는 것이 적합하다. 백제의 관악기 적(종적) 을 인접한 고구려의 적(종적) 과 관계를 고찰한 결과 고구려 적의 사용이 시기적으로 약 2세기 앞서기 때문에 고구려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적의 재료인 대나무의 생장조건이 고구려와 차이가 있고, 유물에 표현된 관악기의 관이 굵기 때문에 관이 가는 고구려와 차이점으로 보았다. 중국의 적(종적) 과 비교해 본 결과, 악기편성에 있어서 친연성이 높았고 악기 구조면에 있어서는 고구려처럼 가늘고 긴 데 반해, 백제는 관이 굵은 점이 달랐다. 또한 적(종적) 관련 유물이 중국 남조보다 북조 지역에 많은 분포를 보였기 때문에 남조보다 북조와 친연 관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즉 백제의 적(종적) 은 고구려 및 중국북조의 적(종적) 문화와 그 친연성이 확인되지만,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관이 굵은 점은 백제 적(종적) 의 특징이다. 악기 구조를 바탕으로 적(종적) 을 재현하여 그 소리를 내본 결과, 백제금동대향로 속에 있는 백제의 관악기 적(종적) 은 중·저음의 성격을 지닌 것으로 추정되고, 이러한 악기로 연주된 음악은 고요하고 중후한 맛을 자아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성격의 악기는 느린 템포의 곡을 연주하기에 적당하다. 특히 향로에 조각된 악기이므로 백제사비시대 원찰에서 선왕을 추모하는 의례음악을 연주하기에 적합한 악기로 보았다. For the first time in 16 years since its discovery, the National Center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eld a seminar that highlighted the five instruments on the incense burner.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dangwan instrument of the two kinds of wind instruments on the incense burner. The structure of the instrument was examined through the posture of the performer carved on the incense burner and through its restored version by Kim Bokgon in 2005 and so was the original name of the instrument. The similar instruments found in the Goguryeo and Chinese documents were compar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were analyzed. Finally, it was attempted to characterize the instrument through the sound from the restored on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dangwan instrument shown in baekjegeumdongdaehyangno is thicker and longer than current tungso. Concerning its original name, the historical materials published in the years close to that of the production of the incense burner were referred to, such as Samguksagi, Samgugyusa, Ilbonhugi and Ilbonsamdaesillok. It was concluded that jeok is the most appropriate. To be more specific, it can be called jeok and jongjeok to make distinction between round-shaped and u-shaped mouthpiece. Through the examination on correlation between Baekje s and Goguryeo s jeok(jongjeok), it turned out that Goguryeo s precedes Baekje s by 2 century. Therefore, Baekje s must have been derived from Goguryeo. However, owing to th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bamboo, the material for the instrument, Baekje s is thicker than Goguryeo s. When Chinese jeok(jongjeok) is compared with Baekje s, it s more compatible with other instruments and thinner than Baekje s. Since the relics related to jeok(jongjeok) have been found more in Bukjo(Northern Dynasties) than in Namjo(Southern Dynasties), it s assumed that it was more popular in Bukjo. In short, Baekje s jeok(jongjeok) were influenced by Goguryeo and Bukjo, but it s thicker than theirs due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 for bamboo. Judging from the sound by the restored jeok(jongjeok), Baekje s is assumed to be characterized by middle and low-pitched sound, which may have been appropriate for quiet and ceremonial music. Especially, since it s engraved on the burning incense, it must have been used for the ceremonial music at the sanctuary for the preceding kings in the Sabi era of Baekje.

      • KCI등재
      • KCI등재

        『현금동문유기』 중 琴譜(금보)의 문헌적 연구

        김성혜 ( Kim Seong-hye ) 한국음악사학회 2021 한국음악사학보 Vol.67 No.-

        『현금동문유기』는 이덕윤이 여러 저작에서 필요한 내용을 뽑아 엮은 선집(選集) 형식의 악서(樂書)다. 이 책에는 조선 전기의 저작물도 포함되어 있으며 어떤 자료는 현재 유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특히 음악사 연구에 노른자라 할 수 있는 악보 몇 종이 이 책에 담겨 있기 때문에 『현금동문유기』의 음악 사료적 가치는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이 글은 『현금동문유기』에 수록된 악보 중에 유실 악보를 복원하기에 앞서 이 자료의 문헌적 신빙성 문제를 판단하고자 시도한 글이다. 즉 이 글은 『현금동문유기』에 인용된 악보 중에 현전하는 『안상 금보』와 『양금신보』를 중점적으로 원전 내용과 『현금동문유기』에 인용된 내용을 상호 비교하여 『현금동문유기』의 사료적 신빙성 문제를 연구한 것이다. 먼저 『안상 금보』에서 인용한 부분을 이론적인 내용과 악보 부분을 나눠서 검토한 결과 이덕윤은 『안상 금보』에 수록된 음악 이론적인 내용 중 68%의 분량을 『현금동문유기』에 인용했으며, 내용을 비교한 결과 거의 그대로 인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악보의 경우 『안상 금보』에 있는 9곡 중에서 1곡만 수록했는데, 바로 <평조 만대엽>이다. 악보를 수록한 방법은 『안상 금보』의 악보를 그대로 수록한 것이 아니라 거문고 합자보와 박보만 인용했다. 서로 선율음을 비교한 결과 한두 음을 제외하고는 모두 일치하였기 때문에 악보 역시 거의 그대로 인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덕윤은 『안상 금보』의 내용을 매우 충실하게 인용한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이덕윤이 『양금신보』에서 인용한 내용을 검토한 결과 인용한 것은 조현법에 관한 내용 한 건뿐이었고, 악보는 수록하지 않았다. 내용을 서로 비교한 결과 이덕윤이 제목을 뚜렷하게 한 것이 다르며 내용은 100% 일치하였다. 그러므로 이 역시 이덕윤은 『양금신보』의 내용을 충실하게 인용한 것으로 인정된다. 결과적으로 이덕윤이 『현금동문유기』를 편찬할 때 인용한 『안상 금보』와 『양금신보』의 내용을 원전의 해당 내용과 비교한 결과 내용이 거의 일치하였다. 그러므로 이덕윤이 편찬한 『현금동문유기』는 문헌적으로 신빙성 있는 사료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가 향후 『현금동문유기』에 수록된 유실된 악보를 복원하는 데 일조가 되길 기대한다. Hyeongeumdongmunyugi is a music book that Yi Deokyun compiled from various sources. It includes a few writings of the early Joseon era, some of which are now completely lost. It is considered of great value for music history record because it has a few scores that are regarded as the key to the study of music history.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redibility of Hyeongeumdongmunyugi as a documentary record before those lost scores found in the book are to be restored. The study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two cited scores, Ansang Geumbo and Yanggeumsinbo, in Hyeongeumdongmunyugi and their originals that still exist. The part cited from Ansang Geumbo was examined first, which had to be separated in two sections, music theory and score. It turned out that Yi Deokyun cited 68% of the music theory recorded in Ansang Geumbo for his book. Judging from the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he cited them almost verbatim. In case of score, he took one out of 9 scores of Ansang Geumbo, which is pyeongjo mandaeyeop. He didn’t copy the entire score but cited only hapjabo and bakbo for geomungo. Each note of both scores was compared and, except for a couple of notes, everything else was the same.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Yi Deokyun faithfully followed Ansang Geumbo when he cited it in his book. The next is what Yi Deokyun cited from Yanggeumsinbo. There was only a case where he cited Yanggeumsinbo, which wasn’t score but an account about johyeonbeop. When the cited and the original were compared, they were identical except for the title that Yi Deokyun made distinct. So, here again, it showed that Yi Deokyun followed the original faithfully. In conclusion, when Yi Deokyun cited Ansang Geumbo and Yanggeumsinbo in his book, he rarely made any change in the originals. For the reason, Hyeongeumdongmunyugi can be taken as a credible source for restor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storation of the lost sco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생소병주(笙簫竝奏)형 연주의 연원(淵源)에 대한 연구(硏究)

        김성혜 ( Seong Hye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3 한국음악사학보 Vol.51 No.-

        이 글은 우리의 전통 관악기 가운데 현존하는 하나뿐인 화음 악기 ‘생황(笙簧)’과 단소(短簫)의 2중주인 ‘생소병주(笙簫竝奏)’의 연주가 언제부터 비롯된 것일까 하는 의문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문헌기록을 검토하였고, 다음으로 통일신라시대 음악고고학 자료를 탐색하였다. 문헌에 나타나는 생황은 삼국시대 때부터 존재하였으나, 지금까지 생황에 대한 연구는 주로 조선 후기와 일제강점기 생황의 악보와 연주법 그리고 민간의 생황 문화에 집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고대의 생황에 관한 연구와 오늘날 연주되고 있는 생소병주가 언제부터 비롯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연구가 시도되지 않았다. 신라의 경우 문헌상으로 지증왕(500~514) 대의 인물인 천상욱개자(天上郁皆子)가 지은 ‘우인(芋引)’은 우(芋)라는 관악기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악곡이며, 7세기에 이미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이 모두 사용하고 있었던 악기였다. 서로 같은 계통의 관악기였으나 명칭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고구려는 ‘생(笙)’, 백제는 ‘우(芋)’라는 악기명을 사용하였다. 신라의 경우는 통일 이전에는 ‘우(芋)’라는 명칭을, 통일 이후에는 ‘생(笙)’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이는 음악적으로 신라는 통일 이전에는 백제 음악 문화와 밀접했는데, 통일 이후에는 고구려 음악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통일신라시대에는 이미 생소병주가 있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고고학 자료 13점 있는데, 그중에서 근거가 확실한 10점은 7~9세기에 창건된 황룡사지(皇龍寺址),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 고선사지(高仙寺址), 창림사지(昌林寺址) 등에서 발견된 신라 기와(瓦)이다. 각각 다른 장소에서 출토된 이들 기와의 문양들이 거의 동일한 생소병주 형태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봤을 때 통일신라시대 즉, 7~9세기에 이미 생소병주가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존 생소병주의 연원은 통일신라시대인 7~9세기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백제의 소(簫)와 인접국 소(簫)의 친연성 연구

        김성혜 ( Seong Hye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09 한국음악사학보 Vol.43 No.-

        이 글은 백제 사비시대 6세기 후반~7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백제금동대향로에 다섯 악기 가운데 다관악기인 `소(簫)`가 있는데, 백제의 관악기 `소`와 인접국 소와의 구조를 비교하여 그 친연성을 밝히고자 마련하였다. 먼저 백제의 소를 파악한 다음 인접한 고구려의 소를 검토해 보았고, 다음으로 서역으로부터 새로운 문물을 수용하는 중국의 소를 고고학 자료에 의거하여 비교해 보았는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백제의 소는 구조면에서 볼 때 긴관에서 점차로 짧아지는 형태이므로 이를 삼각형 구조로 보았다. 또한 재현한 악기의 소리를 들어보면 관이 굵고 길어서 평음과 저음을 내므로 고요하고 느린 곡의 연주가 용이하다. 고구려의 소는 구조면에서 볼 때, 손잡이 부분만 관이 길고 나머지 관은 전반적으로 짧은 구조이므로 이를 `ㄱ형 구조`로 보았다. 고구려의 소는 관이 대체로 짧기 때문에 구성음이 높아서 고음을 내며, 역취가 자연스럽기 때문에 가볍고 경쾌한 음악 연주가 용이하다. 이렇듯 백제와 고구려의 소를 비교해 보면, 지리적으로 인접하지만 소의 구조나 성격 면에 있어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중국의 소는 전국시대부터 수·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구조의 소가 등장하였고, 시대가 변하면서 소의 구조도 변화가 일어났다. 전국시대 출현한 삼각형 구조의 소는 진·한시대와 남북조시대를 거쳐 수나라 때까지 전승되었다. 특히 수대에 이르면 관수가 증폭되고, 취구가 타원형을 이루는 특징을 보였다. 백제의 소와 비교해 보면, 남북조시기의 소와 구조면에서 비슷하기 때문에 수나라보다 남북조시기와 친연 관계가 높다. 삼각형 구조와 다른 `ㄱ형 구조`의 소가 새로이 등장하는데 한나라 때이다. `ㄱ형 구조`뿐 아니라 악기의 방향을 돌려서 역기역형 즉 `┌형 구조`도 동시에 사용되었는데 주로 한나라 고취악대에 편성되었다. 이 구조의 소는 남조에 전승되었고, 6세기 후반~7세기 전반의 고구려 고분벽화에도 출현하기 때문에 상호 친연성을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백제의 소와는 거리가 있다. 한편, 북조의 경우는 한 대에 출현한 `ㄱ형 구조`보다 이보다 관이 약간 긴 `ㄱ형의 변형구조`가 주로 등장하였다. 북조 유물에 나타난 삼각형 구조와 `ㄱ형의 변형구조`가 백제의 소 구조와 유사한 형태이다. 그러나 수·당대에 이르면 소의 또 다른 형태로서 사각형 구조가 새로이 등장하지만, 벡제의 소와는 무관하였다. 결론적으로 백제의 소와 고구려의 소 및 중국 전국시대부터 수·당대까지의 소를 상호 비교해 본 결과 지리적으로 인접한 고구려보다 북조의 석굴에 등장하는 소의 구조와 가장 밀접하였다. Among the five instruments on Paekche kumdong taehyangno 百濟金銅大香爐, which is assumed to have been made in between late 6th and early 7th century, there is a wind instrument called `so`簫. This study intends to find the similarities between Paekche`s so and that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comparison of their structure. First, Paekche`s so is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at of Koguryo, an adjacent country and then with that of China based upon the archaeological specimens. In terms of its structure, Paekche`s so is triangular-shaped with long pipes on one end growing shortened to the other. Judging from the sound through a restored one, it is good for low and middle-pitched sound, owing to its thick and long pipes. Therefore, it seems appropriate for slow and quiet music. On the other hand, Koguryo`s so is `ㄱ`-shaped with its long handle and relatively short remaining part. Thanks to its short length of the pipes, it`s easy to be blown hard (yogch`wi, 力吹) to produce high-pitched sound. So it is good for light and rhythmical music. Despite their geographical proximity, it turned out that the sos from both the countries do not share much in common. In China, a variety of the so`s with different structures had been made throughout the era of Chon`guk, Sui, and Tang dynasties. As time passed, its structure changed. The triangular shape, which had first appeared in Chon`guk era, had persisted throughout the era of Jin, Han, Nambukcho, and Su. Especially in Sui, the number of pipes increased and the mouthpiece was oval-shaped. The so of Nambukcho seems closer to that of Paekche than that of Sui, in terms of its structure. There was the `ㄱ`-shaped so in Han. Besides, they used `┌`-shaped one, too. It was used in koch`wi aktae 鼓吹樂隊. It was handed down to Namcho and also appeared in the ancient tomb mural of Koguryo. However, it`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Paekche. On the other hand, in Pukcho, they also had the `ㄱ`-shaped so, the pipes of which are a little longer than those in Han. The triangular and altered `ㄱ` shape in Pukcho appear similar to that of Paekche. In Sui and Dang, the rectangular-shaped so appeared, but it doesn`t have anything to do with Paekche`s. Through the comparison, it turned out that Paekche`s so has a lot more in common with the ones shown in stone caves of Pukcho than that of Koguryo, its very neighboring country.

      • KCI등재후보

        생존분석을 통한 지식산업센터 보유기간 특성 분석

        김성혜(Seong-Hye Kim),최기헌(Gi-Hyun Choi),조주현(Joo-Hyun Cho)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8 부동산 도시연구 Vol.10 No.2

        다른 부동산처럼 지식산업센터 역시 보유기간에 따라 양도세가 달라진다. 또한 취득세 감면, 재산세 감면, 공적 자금 대출에 있어서도 의무적 보유기간이 주어지는 만큼 지식산업센터 관련 정책에 있어서 보유기간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의 실거래신고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울 소재 지식산업센터의 보유기간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크게 2 종류의 생존분석으로 분석하였다. 하나는 카플란-메이어 분석법에 의한 개별특성 분석으로 실거래신고 유형(분양권검인/일반매매), 세제, 거래금액, 산업단지 안팎별 매수자유형(개인/법인)에 따른 보유기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는 건물현황, 경제변수 등 다른 변수들까지 동시에 투입시켜 보유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다변량 분석법인 Cox 비례회귀모형 분석법을 통하였다. 분석결과, 단변량 분석에서는 분양권으로 구입한 경우, 세금혜택이 많을수록, 거래금액이 클수록, 산단 안에서는 개인이, 산단밖에서는 법인이 더 오래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분석을 통해서는 생산지수, 공실률, KORIBOR금리와 같은 거시적 경제 변수들의 영향력이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생산지수가 높을수록 매도확률이 낮아지고 공실률이나 KORIBOR금리가 높으면 매도확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단 안 입지일 때 산단 밖보다 오래 보유하였으며 입지요건이 좋을수록(전면도로 폭이 넓고, 주차1대당 연면적이 작고, 지하철역까지의 거리가 가깝고, 경과연수가 낮은 경우) 오래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산업센터의 건전한 투자행태를 유도하려면 실수요자의 세제 혜택을 늘리되, 의무보유기간은 늘리는 것이 효과적으로 보인다. Like that of other types of real estate, capital income tax of Knowledge Industrial Center(KIC) depends on the holding period. The holding period is especially important for KIC because its eligibility to receive other tax benefits depends on the mandatory holding period. This paper analyzes holding period of KIC from ten years of real transactions data in Seoul. Two types of Surviva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rst is a univariate analysi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using Kaplan-Meier Method. The second is a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in the case of purchasing as a pre-sale right, bigger tax benefits and transaction amount lead to longer holding period. In multivariate analysis, macroeconomic variables were found to be very influential in determining the holding period. Lower production index and higher vacancy and KORIBOR interest rate lead to higher probability of sales. Moreover, good location conditions also increased the holding period. Effective methods of inducing healthy invest behaviors for KIC are increasing the tax benefits for actual users and lengthening the mendatory holding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