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중 폭발음의 에너지 스펙트럼

        김성부,Kim, Sung-Boo 한국음향학회 1990 韓國音響學會誌 Vol.9 No.3

        A New theoretical energy spectrum model for underwater explosive sound is introduced in order to calculate the precise spectral energy levels. This model is obtained by Fourier analysis of Gaussian formula which accurately represents the pressure wave generated from Underwater explosions. In case that explosive energy is very low. The spectrum levels which are obtained from the new theoretical model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spectrum levels, while the Weston model using impulse formula cannot interpret the experimental results. 수중폭발음의 Energy spectrum 분석에 보다 정밀한 이론적 뒷받침을 하기 위하여 폭발음의 파형에 Gaussian formula를 도입하였으며 이 파형에 따른 Energy spectrum 모델을 새로이 유도하였다. Impulse formula를 이용한 Weston 모델이 낮은 폭발 에너지나 음원의 작동수심이 깊을 경우 이론적 모델로서 한계성을 갖는데 비해 이 모델은 이러한 조건에서도 실험결과와 잘 일치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천해에서의 음파전달에 관한 모형실험

        김성부,김상한,Kim, Sung-Boo,Kim, Sang-Han 한국음향학회 1996 韓國音響學會誌 Vol.15 No.2

        40~100cm 수심에 평탄한 모래층으로 구성된 천해를 1/1,000 모형으로 축소시킨 무향 수조를 제작하여 Pekeris 모델에 의한 normal mode 관측 실험을 수행하였다. Continuous mode의 공진이 임계각 가까이에서 일어나지 않도록 수심과 진동수를 조절하였으며, 이 때의 실험자료들은 음원으로부터 거리가 대략 수심의 10배 이상일 때 discrete modes의 합으로만 구성된 이론식과 잘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ressure field for the Pekeris model which is consisted of a surface layer of fresh water overlying a thick (essentially semi-infinite) bottom layer of coarse sand i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 a anechoic tank scaled down 1/1,000. The water depth and frequency have been controlled so that the continuous mode integrand has not a resonance close to cut-off,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relatively well agree with the theory which is represented as the sum of the discrete modes over a range about 10 times the water depth.

      • KCI등재

        수중음원으로써의 전기방전시스템- I. 낮은 전기에너지로부터의 음압펄스 -

        김성부,김상한,Kim, Sung-Boo,Kim, Sang-Han 한국음향학회 1996 韓國音響學會誌 Vol.15 No.4

        0.4~1.6kJ의 비교적 낮은 전기에너지를 갖는 수중 전기방전 시스템으로부터 발생하는 음파의 파형을 깊이별, 거리별로 관측하였다. 파형의 특성은 이미 보고된 에너지와 수심 의존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나, 다른 두가지 특징적인 현상들이 관측되었다. 첫째는 내파에 의한 1차 bubble 펄스들의 피크 음압이 초기 충격파의 것보다 높게 관측되었는데, 이것은 10kJ 이상의 고에너지 방전시스템에서만 뚜렷하게 나타나던 현상이다. 둘째는 음향에너지 변환효율이 통상 5kJ에서 0.02, 1kJ에서 0.01로 저에너지대에서 그효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보고되었으나 1kJ의 부근에서는 0.01로 그 효율이 다시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ressure pulses generated from the underwater electric spark system ranged from 0.4 to 1.6kJ are measured with the variation of source depth and range. The characteristics of pressure pulses obtained through this experiment continue to show the same electric energy and depth dependence previously reported, but two particular phenomena are observed. First, it is observed that the peak pressure of the 1st bubble pulse induced from implos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initial shock wave, which is particularily apparent to high electric energy more than 10kJ previous studies. Second,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nergy ratio (potential energy of bubble/intrinsic energy of source) has some tendency to "droop" on the low electric energy as 0.02 for 5kJ and 0.01 for 1kJ but the results of the present experiment show that it continues to have the ratio of 0.01 near 1kJ again.

      • KCI등재
      • KCI등재

        초기불교에서 까야(kaya)의 은유적 의미

        김성부 ( Kim Sung-bo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이 글의 목적은 초기불교에서 `까야`(kaya)가 신체나 모임을 의미하며, 이중에서 신체로서의 까야에 대한 용례가 각각 다른 외연을 갖는다는 것을 드러내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외연의 차이는 곰브리치(R. F. Gombrich)의 `은유`(metaphor)의 관점에서 해명될 수 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까야에 대한 분석은 초기불교를 보다 더 잘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시모토 테츠오(Hashimoto Tetsuo, 橋本哲夫)는 그의 연구에서 까야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그에 따르면 초기불교 게송(gatha)에서 까야는 1)사람 2)사람들 3)물질적 신체 4)피로와 고통을 느끼는 생리적 신체 5)쉽게 파괴되고ㆍ합성되는 물질적 육체 6)육체 7)몸통과 사지 8)감각기관으로서의 신체 등의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까야가 다른 개념과 합성된 복합어의 용례에서 까야는 신체나 모임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하지만 하시모토의 연구에는 보완되어야 할 2가지가 있다고 보인다. 첫째, 까야의 연구가 게송에 국한된다는 점이다. 둘째, 하시모토는 까야에 관한 상이한 의미의 차이를 설명하지 않고 까야의 다양한 의미를 신체라는 범주로 구획하고 있다는 점이다. 필자는 본문에서 이 2가지를 논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필자는 니까야와 주석서의 산문에서 까야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그 결과 까야는 하시모토가 분류한 신체와 모임이라는 의미로 구획되었다. 하시모토와 필자의 연구를 정리하면, 모임으로서의 까야의 의미는 까야가 다른 개념과 합성될 때에만 나타난다. 모임으로서의 까야 용례에서 각각의 외연은 동일하다. 그리고 신체로서의 까야의 용례를 분석해 보았다. 하지만 모임이라는 까야의 용례와는 달리 신체라는 용례의 외연은 차이가 난다. 필자는 이러한 외연의 차이를 곰브리치의 은유에 대한 관점에서 해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곰브리치는 어떤 개념의 의미를 경전의 맥락(context)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초기불교에서 범천(梵天, brahman)은 기존의 브라만교(brahmanism, 婆羅門敎)의 범천의 의미와는 다르다. 또한 초기불교에서도 범천은 경전의 맥락에 따라 그 의미를 다르게 함축한다. 여기서 경전의 맥락은 `은유`ㆍ`우화적 비유`(allegory)ㆍ`풍자`(satire)로 결정된다. 곰브리치의 은유에 관한 입장에서 까야의 용례에서 나타나는 외연의 차이는 각각의 경전의 맥락에서 까야가 다르게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입장에서 신체로서의 까야에 대한 용례의 외연을 나름대로 분석해 보았다. 예를 들면 까야는 물질적 신체인 「육체」로 은유된다. 여기서 까야는 `물질적인 것`, `단일한 객체`라는 의미를 함축한다. 그리고 까야는 「사람」이다. 여기서 까야는 `물질적인 것`, `정신적인 것`, `단일한 객체`, `인식과 행동의 주체` 등의 `독립적인 개인`의로서의 의미를 함축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신체로서의 까야는 각각의 경전에서 다른 외연을 갖으며, 그 의미는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까야는 경전에서 「육체」, 「사람」 등으로 은유되어 다른 의미를 갖는다고 보인다. 이러한 분석은 경전에서 나타나는 까야의 외연의 차이를 해명해 준다. 이러한 분석은 경전에서 실질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개념들의 용례를 설명해 준다는 점에서 경전을 보다 더 잘 이해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탐구 방식은 초기불교를 이해하기 위한 유용한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meanings of kaya which are body (身) and group in the Early Buddhism and that the cases of kaya as body(身) have each different types of extension. It means that this analysis of kaya will help us better understand of the Nikaya. Hashimoto has explored the meaning of kaya in his research through the context of Buddhist Sutras. According to him, it has various connotations about the meaning of kaya in gatha of the Early Buddhism; person, people, material body, physiological body, easily composed and destroyed material body, body, torso and limb, and sensory organs of body etc. Moreover, it has the connotative meanings called as body(身) and group in cases of compounding of different conception. The meaning of kaya as group only appears out of compounding of different conception. Although it is identical with each of extensions in above cases, ones for kaya as body(身) have different extensions each. I think it is because the differences of extension have been understood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Sutras each. Likewise, Gombrich maintains that the meaning of some concepts must be clearly understood of the context of Sutras, who is generally known to researcher of such study. According to him, brahman in the Early Buddhism is different with the meaning of brahmanism. This is because it has different connotative meanings in the context of Sutras and they are decided by as metaphor, allegory, and satire meanings. I will show from this point of view that it is analyzed the extension about the cases of kaya as body(身). For instance, kaya is regarded as `kaya is physical constituent`, `a single subject`. It also means the `person` where it seems to have the meanings of connotation as follows; `physical constituent`, `mental constituent`, `a single subject`, `subject of cognition and action`. As a result, kaya as body(身) have different extensions in Sutras each, which seems to have a different meanings. It means that this analysis is to better understand meanings of kaya, with revealing each other`s differences. The view of this paper will be one of methods that opens up a more appropriate inquiry to understand the Early Buddhism.

      • KCI등재

        일반논문 : 연기설의 촉(觸)과 듀이의 경험: 닫힌 이분법을 넘어 열린 세계로

        김성부 ( Sung Boo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1

        이 글은 근본불교(根本佛敎) 연기설(緣起說)의 ‘촉’(觸)과 듀이(J. Dewey)의 경험 개념을 매개로 우리 경험의 구조를 이해하려는 이론적 시도이다. 즉 이 글은 이를 통해 근원적으로는 주관과 객관이라는 이분법적 세계관을 해체하면서, 열린 세계에서의 삶의 가능성을 지향하는 것이 연기설의 촉과 듀이의 경험 개념이라는 점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근본불교와 듀이 양자는 촉과 ‘유기체’의 경험 개념을 통해 모두 경험의 ‘연속성’(continuity)과 ‘교호작용’(transaction), 즉 ‘창발’ (emergence)의 특징을 밝히고, 다원적 세계를 지지한다. 본문은 먼저 우리 삶의 구조를 해명한다는 측면에서 근본불교의 촉에 대한 몇 가지 주장을 전제하고 논의한다. 첫째 ‘사식설’(四食說)의 관점에서 촉은 우리의 삶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둘째 십이입처설(十二入處說)의 구조에서 이해한 촉은 주관과 객관이라는 이분법의 세계가 분기하는 현상에 대한 불교적 해명이다. 셋째 십이연기(十二緣起)에서 바라본 촉은 삶을 통해서 형성된 ‘개념체계’(槪念體系)와 ‘형태체계’(形態體系)의 접촉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촉에 의한 식의 증장과 그 결과로서 이분법적 세계관이 성립한다고 말하는 근본불교의 입장과 유기체와 세계와의 상호 작용 과정에서 주관과 객관을 구분한다고 말하는 듀이의 입장 사이에 일종의 유사성이 확인된다. 즉 근본불교는 촉을 통해 경험의 구조를 해명하고, 그리고 듀이는 경험의 창발개념으로 경험의 구조를 해명한다. 양자는 동시에 주관과 객관의 이분법을 극복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그 철학적 지향의 공통점이 확인된다. This study is a theoretical approach to clarify the structure of experience by phassa(觸) of paticcasamuppada(緣起) in fundamental Buddhism and the concept of ‘experience’ in Dewey.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their possibility that is served on view of the unclosed world, which dissolve a dichotomy between subject and object. Revealing the property of ‘continuity’ and ‘transaction’ in experience, Buddhism and Dewey that have a conception of ‘emergence’ support a pluralist world from phassa and organism. There are three premises that are about phassa to show in terms of structure of life; firstly, it is a conception to explain our life from cattaro ahara(四食說); secondly, it is a Buddhist clarification about phenomenon of dichotomous way of world in ayatana(十二入處說); thirdly, it is a contact with a system of conception and form(槪念體系, 形態體系) consisted of life in twelve-paticcasamuppada(十二緣起). In this sense, I argue a comparability to overcome the dichotomous thinking between a position of fundamental Buddhism and Dewey, because the former is established a structure of experience caused by phassa, the latter is clarified it as continuity and transaction resulted from emergence. Therefore, on the comparability between two ideas, the remaining task is to account how ideological base of unclosed world is performed in pluralistic modern society, which will suggest a useful way on the philosophical problem.

      • KCI등재

        무향수조를 위한 흡음재질에 관한 연구

        김성부 ( Sung Boo Kim ),이종규 ( Jong Kyu Lee ) 한국어업기술학회 2012 수산해양기술연구 Vol.48 No.2

        A new absorption material, cellulose sponge soaked in cement, was made for anechoic water tank and its acoust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pulse methods.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 (dB/cm) of the material was obtained in the frequency range of 40~120kHz from the echo reduction ER (dB) and insertion loss IL (dB) data. The result was averagely 1.8dB/cm higher than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 (dB/cm) of cork-filled rubber which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absorption materials. The wedge (1.2~5.0cm long) type absorption tiles were made with this new material. The echo reduction ER (dB) of the absorption tile with 5.0cm wedge measured in water tank was higher than 20dB in the experimental frequency ran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십이연기에서 식과 명색의 상호관계: 사식설(四食說)을 중심으로

        김성부 ( Sung Boo Ki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이 글의 목적은 십이연기(十二緣起)에서 식(識)과 명색(名色)의 상호관계를 식의 증장(增長)으로 해석해 보는 것이다. 『잡아함 374경』에서 식의 증장은 4가지로 설명된다. 여기서 십이연기의 명색은 개념체계(槪念體系)와 형태체계(形態體系)이다. 그리고 식은 그 명색을 분별하고, 기억하고 증장시킨다. 4가지 식의 증장은 주체로서의 주관인 자아, 객체로서의 객관의 대상, 이 세상을 초월하여 상정된 열반(涅槃)의 세계가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가진 명색에서 비롯한 관념이라고 해명한다. 이 같은 해석에서 열반은 고통에서 벗어난 것을 의미한다. 즉 이것은 생로병사(生老病死)의 고통은 유무의 실재에 대한 신념에서 비롯되고, 이러한 신념은 중도(中道)의 입장에서 반야(般若)의 지혜(智慧)로 전환하면 그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반의 성취는 현실에서 고통을 야기하는 명색에서 행복과 만족감을 일으키는 명색으로 질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해석은 십이연기를 종교적 믿음의 측면으로 이해했던 삼세양중인과설(三世兩中因果說)과 초월적 형이상학이라는 혐의를 받는 무시간적연기설(無時間的緣起說)과는 다르다. 본 연구는 이 해석을 통해 십이연기가 초월적 형이상학을 상정한 이론이 아니라 우리의 경험을 해명해 한다는 것을 드러내보고자 한다. This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mutual relation between vinnana(識) and namarupa(名色) in paticcasamuppada(緣起) as a increasing(增長) of vinnana. And the increasing is to account for 4 ways in the fundamental scriptures. The namarupa of paticcasamuppada is a system of conception and form(槪念體系, 形態 體系) and the role of vinnana distinguishes nama from rupa, which helps them to grow up. The increasing of four-vinnana is to account for the idea that we have already been namarupa. The idea isn``t an essence of object and real nibbana(涅槃) that is counted as the self in subject. Therefore, nibbana is to reveal a bringing qualitative change that means namarupa, not arising on agony but a feeling of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reality. In this sense, this interpretation is neither ``the theory of double causality on three periods``(三世兩重因 果說) nor ``correlation and codependence``(相關相依說). Because ``the theory of double causality on three periods`` has been interpreted in religious beliefs and ``correlation and codependence`` has been suspected of transcendental metaphysics. Instead, this urges that this explains to lead us into philosophical meaning off the religious conviction and to make our experience clarify escaping from metaphysical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