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동해지역의 풍경예술과 토포스 -풍경예술을 통해 본 "동해"와 "시베리아"의 장소성-

        김석희 ( Seokhe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2

        본고는 주로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한·중·일과 러시아를 포함하는 환동해 지역의 풍경예술과 그 토포스(topos)에 대한 고찰이다. ‘풍경(landscape)’에 대한 대부분의 정의에서, 보는 주체는 경관 밖에 위치한다. 따라서 풍경예술 역시‘풍경’을 묘사하거나 설명할 뿐, 그 주체를 풍경에 포함시킬 수는 없다. 하지만, 풍경을 담은 작품, 즉 풍경예술은 그 주체가 그 순간 바라본 풍경을, 바라보았던 그 방식을 통해 보여준다. 그래서 ‘풍경’은 언제나 존재론적이면서 동시에 인식론적이다. 그러나 어떤 풍경을 그리거나 묘사하는 주체는 ‘그 곳’을 실감했기 때문에 그에게 그 풍경은 하나의 기억과 의미를 가지는 ‘장소(place)’가 된다. ‘장소’가 ‘공간’과 다른 것은 그것이 존재에게 하나의 의미를 가진다는 점에 있다. 인문지리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최근에는 공간에도 의미 없는 공간과 의미 있는 공간을 구분하는 개념이 생겼기 때문에 ‘의미 있는 공간’이 장소를 대체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공간(space)은 의미 없는 영역을 의미하며 ‘장소(place)``와 구분된다. 장소에는 인간의 애착심이 연결되어있다. 만약 한 시대, 또는 한 지역의 공감대 속에서 어떤 풍경이 반복적으로 그려진다면, 그것은 바로 그 시대, 그 지역의 전형성을 담은 의미 있는 장소 - ‘토포스(topos)’가 되는 것이다. 근본적으로 그림의 출발은 ‘어떻게’가 아니라 ‘무엇을’그리고자 하는가에 있다. 그리고 그 ‘무엇’을 ‘어떻게’ 그리느냐 하는 것도 반드시 원근법과 같은 기술적인 측면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원하는 그‘무엇’을 표현하기 위해 소재를 어떻게 배치하고 정형화하는지가 보다 더 근본적인 문제이다. 동·서양화의 물리적 차이점에서 벗어나, 토포스의 구성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대략 17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중국을 제외한 환동해 지역 풍경예술은 전반적으로 ‘재현=모방’에서 ‘표현’으로 이행하는 현상을 보인다. 즉, 이미 정해져 있는 문화중심국의 이상향이나 유토피아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위치와 풍토감각을 표현하게 된 것이다. 이것은 재료나 기법이 아니라 토포스라는 관점을 통해서만 볼 수 있는 현상이다. 한·중·일과 러시아는 인근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재료와 기법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이질적인 회화세계를 보여준다. 하지만, 17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환동해 지역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풍경’--‘동해’와‘시베리아’는 각각 지리적으로 개별적인 ‘장소’(topos, place)이면서도 유사한 장소성(placeness)을 보인다. 한국과 일본의 초기 산수화는 중국화의 ‘도원경’을 이상향으로서 수용·정착시킨 것이었으며, 러시아의 초기 풍경화는 이탈리아의 따뜻한 자연과 풍요로운 선진문화에 대한 동경과 맞물려 주로 이상향으로서의 ‘나폴리’를 그려낸 것이었다. 하지만, 한국화 일본은 각각 정선과 하세가와 도호쿠에 의해, ‘동해’라는 대상을 발견함으로써 회화적 자립을 이루었으며, 러시아의 경우는 춥고 거칠지만 역동적인 힘을 가진땅 ‘시베리아’를 발견함으로써 회화적 자립을 이루어냈다. 이것은 모두 17세기에서 19세기라는 회화사 전반을 염두에 둔다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이루어졌다. 우주를 향해 끝없이 펼쳐진 "horizon"(수평선/지평선), 높은 곳에서 아래쪽을 내려 보는 시선, 세속적인간의 흔적이 느껴지는 건축물, 또는 모래사장의 근경 배치, 이 요소들이 만나는 순간이 주는 숙연함-- 이것은 환동해지역에서 하나의 ‘토포스’로 나타났다. 정선, 하세가와 도하쿠(長谷川等白), 수리코프(Surikov) 등의 작품에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름다운 도원경-나폴리 풍경에서 벗어난, 거친 아름다움과 현장감, 그 장소성에 있다. 한·중·일 회화사에서 오랫동안 그 대상이 되지 않았던 변방으로서의 ‘동해’와 러시아의 회화사에서 제외되었던 유형지 ‘시베리아’가 하나의 아름다움으로 표현되기 시작한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중심지를 향한 동경을 벗어나 ‘여기에-없고, 저기에-있다’는 왜곡된 자기인식을 ‘여기에-있다’로 되돌리는 과정이었기 때문이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landscape(scenic) art” of the East Sea Rim region, which covers Korea, China, Japan and even Russia, during the 17th∼19th centuries, as well as the issue of “topos.” Korea, China, Japan and Russia are all positioned extremely close to each other, but show very different types of art in terms of material and methods. But at the same time, there is a certain similarity that is shared by all the arts of these countries, in terms of painting art and the ‘topos’ described in it. From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19th century, a new landscape began to be portrayed in the East Sea Rim region, and that landscape included the East Sea and Siberia. They are indeed individual places, but tended to come with a new meaning when they were rediscovered by the art. In most of the attempted definitions of ‘landscape,’ the viewer is on the ‘outside’ of the scene. As a result, landscape art only describes or explains the ‘scene’ itself, and the viewer is not included in the scenic landscape itself in any way. But in an “artistic portrayal of the landscape” is different, as it virtually shows us the scene ‘watched through the eye of the viewer’ at the very moment of the viewing, and therefore lets us know how the scene was perceived by the viewer. In that regard, this specific kind of ‘landscape’ shows us the existential and epistemological nature of the viewed scene. And at the same time, to the viewer, who ‘experienced’ the place him or herself, the landscape or the scene becomes a ‘place’ with a specific meaning, carried by a specific piece of memory. This kind of ‘place’ is different from any other ordinary place or space, as it harbors a certain meaning to the one who experienced it. And if a certain landscape or scene was portrayed and described over and over again in a specific age or a specific region, we could say that such landscape was the ‘topos’ of that time period, or of that region. The ‘topos’ in the East Sea Rim region includes many aspects, such as the never ending ‘horizon,’ a perspective viewing from above(a bird``s eye view), structures with secular touches of humans, short range scenes of a sandy beach, and the overall grandeur coming from the composition of all these individual image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hat we can find from the achievements of Jeong Seon, Hasegawa Tohaku and Suricov is the raw beauty and sense of reality, the feeling we can get from an actual ‘place,’ that are most definitely out of the Asian paradise or the city of Napoli. The East Sea was not a place that was frequently portrayed in the artistic efforts of the artists of Korea, China and Japan. In case of Russia, Siberia did not get the attention it deserved. But these places began to be portrayed with beauty and dignity. Escaping the obvious and old attention that was only paid to the center, the people finally realized that ‘not-here-but-there’ sense of self perception should be replaced by a new ‘right-here-it-is’ kind of notion.

      • KCI등재

        환동해지역의 개항장의 ‘혼마치(本町)’와 ‘모토마치(元町)’: 그 기원과 공간적 의미

        김석희 ( Seokhee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연구목적] 본고에서는 혼마치(本町), 그리고 중심지를 나타내는 유사 지명 ‘모토마치(元町)’ 비교를 통하여 환동해지역의 근대도시의 기원과 공간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과 내용] 본고는 일본과 한국의 개항장을 중심으로 혼마치라는 지명이 가지는 보편성이나 국제적 의미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혼마치를 민족차별 및 성차별의 공간 문제로 이해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국제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연구결과] 신문물의 상징이었던 조선 내 혼마치에 대한 이미지가 일본인과 조선인을 가르는 공간으로 굳어졌던 데도 납득할만한 이유는 있지만, 인적 이동 측면에서 볼 때 혼마치는 실질적으로 단절보다는 중심성의 공간이었다. 또한 혼마치는 행정·문화·경제 등 모든 분야의 일번지로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하나의 정형화된 제국 내 도시 패턴이기도 했다. 개항장의 혼마치와 모토마치의 형성 및 교체는 동서양의 조우와 국제적 역학관계를 포함하고 있다. [제언] 향후 이분법적인 이해를 넘어 혼마치/모토마치라는 정형화된 도시 패턴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Research Purpose]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origin and spatiality of modern cities in the East Sea Rim Area through Motomachi and Honmachi which were similar names used for central districts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search Method and Content] This paper considers the universality or international meaning of the name “Honmachi” by focusing on the open port areas in Japan and Korea. It considers Honmachi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breaking away from the view of trying to understand Honmachi through spatial issues related to ethnic/gender discrimination. [Research Results] During the Joseon era, the image of Honmachi used to be a symbol of new culture, and then became known as a district that separated Japanese people from Koreans. However, Honmachi was actually a space of centrality, as opposed to an area that actually separated people in terms of social interaction. Honmachi also displayed a stereotypical pattern of a city in an empire, as it was composed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society when it came to administration, culture, and the economy. The formation and replacement of Honmachi and Motomachi in open port areas serviced East-West encounters and had a subsequent effect on international affairs. [Proposal] In the future, more diverse discussions need to take place on the stereotypical patterns of city areas once referred to as Honmachi and Motomachi, and beyond the divisive nature of separating different ethnicities.

      • KCI등재

        일본 개항 전후의 시마즈 가문과 슈세이칸 사업

        김석희 ( Seokhee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고의 목적은 슈세이칸 사업의 역사를 통해 일본의 개항이 변방에서 시작되었다는 점, 완전한 단절상태에서 전면적인 개항으로 전환된 것이 아니라 부분적 개항 상태에서 전면적인 개항으로 전환된 것임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현재의 가고시마(鹿児島) 지역, 사쓰마번(薩摩蕃)의 시마즈가(島津家)와 슈세이칸(集成舘) 사업을 중심으로, 일본의 개항이 국가-지역-개인이라는 중층성과 상호관계성을 토대로 준비되었다는 점, 그리고 과거와의 연결성 안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찰하는 방법으로 전개한다. 막부가 쇄국정책을 강화하고 있던 시기에도 변방 사쓰마번에서는 대대로 서구와의 교역에 눈을 돌렸다. ‘개항’ 이전부터 사쓰마번은 슈세이칸 사업(集成舘事業)을 시작하였다. 슈세이칸 사업은 제철, 조선업을 중심으로 하는 일본 최초의 근대적 산업단지였다. 사쓰마 번주 시마즈 나리아키라(島津成彬)는 난학자들과 기술자들을 등용하였다. 사쓰에이 전쟁으로 초토화된 후에 재건된 슈세이칸은 현대 일본 산업의 기틀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개항은 실질적으로 변방에서 시작되었을 뿐 아니라, 부분적 개항 상태에서 전면적인 개항으로 전환된 것이었다. 개항을 전면적인 쇄국에서 전면적인 개항으로 인식하는 것은 서구 중심적 인식론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rough the history of the Shuseikan Project that the opening of Japanese ports to foreign trade started with a peripheral area and that the partial opening led to the overall opening, not that the overall opening of all ports was conducted at once in a country attempting to stay isolated.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opening of Japanese ports had been prepared based on a multi-layered approach of nation-region-individual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centering around the Shimazu Family and the Shuseikan Project in Satsuma-han (part of modern-day Kagoshima prefecture); and that it was conducted in connection of the area’s past history. Even during the period when the shogunate government was reinforcing its national isolation policy, in Satsuma-han, which was a peripheral area, people had already been turning to trade with the West for generations. Before the opening of their ports, Satsuma-han started the Shuseikan Project, which was Japan’s first modern industrial complex focusing on the ironmaking and shipbuilding industries. Shimazu Nariakira, the lord of Satsuma-han, employed scholars in Dutch studies and engineers. After being devastated by the Bombardment of Kagoshima, Shuseikan was rebuilt to become the foundation of modern Japanese industry. As a result, the opening of Japanese ports basically started with a peripheral area. In addition, there was transition from a partial opening to an overall opening. It is Western-centered epistemology to recognize the opening of these ports as a change from total isolation of the country to its full-scale opening.

      • 스크래치 2.0과 아두이노 사이의 시리얼 통신을 위한 프록시 구조의 통신모듈 개발

        송충건 ( Chunggeon Song ),김동정 ( Dongjeong Kim ),김석희 ( Seokhee Kim ),유헌창 ( Heonchang Yu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2

        최근 전 세계에 소프트웨어 열풍이 불면서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STEAM 교육에서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활용하는 수요가 늘고 있다. 이러한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쉽고 단순한 블록언어를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하여 스크래치 2.0 환경에서 아두이노를 제어하는 기능을 도입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피교육자의 관점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여 시리얼 포트에 대한 이해를 방해하는 용어들이 남아있으며, 연결 리스트를 검색하고 동기화 하는 작업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여 교육현장 적용에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 2.0과 아두이노 사이의 신뢰성 있는 시리얼 통신을 위한 프록시 구조의 통신모듈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STEAM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에 기여하고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 교육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컴퓨터교육 : 보안교육 ; NXT 기반의 염도센서 보정 알고리즘 연구

        박병훈 ( Byunghoon Park ),장연진 ( Yeonjin Jang ),오영빈 ( Youngbin Oh ),서지민 ( Jimin Seo ),장명호 ( Myungho Jang ),김희주 ( Heeju Kim ),김석희 ( Seokhee Kim ),김동정 ( Dongjung Kim ),정대용 ( Daeyong Jung ),임종범 ( Jongbeom Li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7 No.1

        ``나트륨의 과다섭취가 성인병의 요인이 된다``는 최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염분 섭취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면서 저염도 식품 등 염도 측정이 필요한 분야에서 염도 측정의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염도 측정과 관련된 분야의 연구 결과를 활용해서 NXT 기반의 염도센서를 제작하고, 제작한 염도센서에서 산출된 결과 값을 이용하여 저염도 측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염도 측정의 부정확함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NXT 기반의 염도센서에서 나오는 저항값을 토대로 정확한 염도값을 구하기 위한 보정 알고리즘을 연구하였고 이를 프로그래밍하여 구현하였다. 실험을 통해 저염도 구간에서의 염도측정의 정밀함을 개선하는 결과를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