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주밀감에서 유엽과와 직과의 생장과 당산 특성

        김샛별(Sat-Byul Kim),오은의(Eun Ui Oh),박재현(Jae Hyun Park),윤수현(Su-Hyun Yun),오현우(Hyun Woo Oh),강종훈(Jong Hoon Kang),고상욱(Sang Wook Koh),오현정(Hyun Jeong Oh),송관정(Kwan Jeong Song) 한국원예학회 2012 원예과학기술지 Vol.30 No.6

        본 연구는 온주밀감에서 유엽과와 직과의 착과 형태에 따른 과실의 생장과 당산 특성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과실의 종경, 횡경, 과형지수(횡경/종경), 과중 및 크기 분포를 포함하는 수확기 과실의 생장에 있어서 유엽과와 직과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만개 후 100일부터 수확기까지 과실 발육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과즙의 총가용성고형물의 농도는 증가하고 산도는 감소하여 당산비는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유기산은 감소하였다. 이들 경향은 각각 자당의 증가와 구연산의 감소와 관계되었다. 그러나 착과 형태가 과즙의 총가용성고형물, 산도, 당산비, 유리당 및 유기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유엽과와 직과에 가장 인접한 잎에서의 광합성율과 SPAD 값에 의한 엽록소 지수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온주밀감에서 유엽과와 직과의 착과 형태에 따른 과실의 생장과 당산 특성에 차이가 없음을 나타내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uit bearing type with leafy (LY) and leafless (LS) fruits on fruit growth, sugar, and acid characteristics in satsuma mandarin. Fruit growth including fruit length, diameter, shape index (diameter/length), weight, and size distribu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LY and LS fruits at ripening time. Total soluble solids (TSS) concentration of the fruit juice increased and acidity decreased continuously and then TSS:acidity ratio increased with fruit development from 100 days after anthesis to ripening time. Soluble sugar was continuously increased, whereas organic acid decreased. Theses tendencies were related to the increase of sucrose and decline of citric acid,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fruit bearing type on TSS, acidity, and TSS:acidity ratio, and soluble sugar and organic acid composition in fruit juice. Also, photosynthetic rate and chlorophyll index with SPAD value were not different between leaves adjacent to LY and LS frui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fruit growth and sugar and acid characteristics were not affected by fruit bearing type with leafy and leafless fruits in satsuma mandarin.

      • KCI등재
      • KCI등재

        만다린 잡종에서 자연발생 배수체의 발생 빈도와 생장 특성

        송관정(Kwan Jeong Song),김샛별(Sat Byul Kim),박재현(Jae Hyun Park),오은의(Eun Ui Oh),이경욱(Kyunguk Lee),동욱(Dong Wook Kim),강종훈(Jong-Hoon Kang),정순(Jeong-Soon Kim),오정환(Jeong Hwan Oh),Fred G. Gmitter 한국원예학회 2011 원예과학기술지 Vol.29 No.6

        자연발생 배수체를 이용한 다양한 육종 소재를 개발함에 있어 그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종자의배형성이 다른 일부 만다린 잡종에 대해 종자 형성 정도, 자연발생 배수체의 발생빈도, 배수체의 생장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배성의 "Amakusa", "Haruka", "Hayaka" 및 "Seminole" 4품종과 단배성의 "Benibae"와 "Harehime" 2품종에 대해 방임수분된 과실로부터 종자를 채취하였다. 과실당 종자수는 10.0개이었고, 이 중 소형의 발육종자 형성 빈도는 25.1%이었다. 이들 소형 종자의 기내발아 식물체에 대해 배수체 분석기 및 염색체 분석으로 배수성을 분석하고 배수체를 선발하였다. "Harehime" 3배체 1개, "Amakusa" 4배체 1개, 그리고 "Benibae" 4배체 1개가 각각 획득되었다. 이들 4배체와 3배체의 잎의 형태, 두께, 엽병 길이 및 절간장을 2배체와 비교하였는데,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기공의 크기와 분포에 있어서는 분명한 차이를 나타내어 3 또는 4배수체 식물에서 기공의 크기가 커지고 분포 밀도는 감소하였다.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는 SPAD 값과 광합성 정도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로 감귤 만다린 잡종에서 방임수분으로도 자연발생 배수체 생산이 가능하며, 다배성보다는 단배성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iciency in producing spontaneous polyploids in some mandarin hybrids with different seed embryony. Seed formation by open pollination, frequency of spontaneous polyploids, and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in four mandarin hybrids with polyembryony such as "Amakusa", "Haruka", "Hayaka", and "Seminole" and two with monoembryony such as "Benibae" and "Harehime". The mean number of the developed seeds per fruit was 10.0 and frequency of small seeds was 25.1%. Polyploids were selected from plants germinated in vitro by a flow cytometry and confirmed by chromosome analysis. One triploid was produced from "Harehime", one tetraploid, "Amakusa", and one tetrapoid, "Benibae".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leaf shape, thickness, petiole length, and internode length between diploids and polyploids such as tri- or tetraploid. However, polyploids had larger stomata and lower density of stomata in abaxial epidermis than diploids. SPAS indicating chlorophyll con tent and photosynthetic rate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ploidy lev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spontaneous polyploids might be produced by open pollination in some mandarin hybrids and monoembryony had higher frequency in polyploid occurrence than polyembryony.

      • KCI등재후보

        제주지역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품종 및 차기에 따른 신초 부위별 무기성분 특성변화

        송인관(In Kwan Song),오은의(Eun Ui Oh),김샛별(Sat Byul Kim),윤정희(Jeong Hee Yoon),박재권(Jae Kwon Park),강성근(Sung geun Kang),송관정(Kwan Jeong Song) 한국차학회 2011 한국차학회지 Vol.17 No.3

        제주지역 환경조건에서의 품종 및 차기별 신초부위에 따른 무기성분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생종 사에미도리, 중생종 야부기다 및 만생종 후.의 3개 품종에 대해 1번차, 2번차 및 3번차 시기에 심, 상위 1엽, 2엽, 3엽, 4엽, 5엽 및 줄기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신초의 다량원소 함량은 T-N>K>Mg>Ca>Na 순이었고, 미량원소 함량은 Mn>Fe>Zn>Cu 순이었다. 품종간 차이는 T-N와 Mn에서 1번차기에 뚜렷하게 나타났고, 다른 차기와 성분 함량에 있어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엽 일수록 함량이 뚜렷하게 낮아지는 성분은 T-N과 Zn이었으며, Ca는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나머지 성분은 엽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는 편이었다. 차기에 따라서는 Fe, Mn 및 Na가 뚜렷한 함량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 품종, 차기 및 엽위에 따른 무기성분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어, 찻잎 수확시기 및 품질 결정시 이들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inorganic components in different shoot parts at different tea cultivars and plucking seasons in Jeju, Korea. The new growing shoots were plucked from ‘Saemidori’, early-maturing, ‘Yabukita’, mid-maturing, and ‘Hushun’, late-maturing at each plucking season and separated into seven parts with a bud, 1st leaf, 2nd leaf, 3rd leaf, 4th leaf, 5th leaf, and stem for analyzing inorganic elements. T-N content was the highest in macro elements, followed with K, Mg, Ca, and Na and Mn content was the highest in micro elements, followed with Fe, Zn, and Cu in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and distinct differences in T-N and Mn contents just at the first plucking season in different cultivars, while little in the other elements at the other plucking seasons. T-N and Zn contents definitely decreased, while Ca content increased at lower parts. The others were hardly changed at different shoot parts. The content of Fe, Mn and Na was definitely differed at different plucking seas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ome inorganic element contents were affected by different cultivars, plucking seasons, and shoot parts and some inorganic elements might be major factors determining plucking time and tea quality.

      • KCI등재

        동질 사배체 탱자에서 염색체 배가와 수체 표현형의 변이

        오은의(Eun Ui Oh),채치원(Chi-Won Chae),김샛별(Sat-Byul Kim),Jian Liang Lu,윤수현(Su-Hyun Yun),고상욱(Sang-Wook Koh),송관정(Kwan Jeong Song)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3

        이배체 탱자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생한 동질 사배체 탱자의 수체 형질 관련 표현형 및 유전체 메틸화 변이 정도를 분석하여 후성 유전의 하나인 유전체 메틸화가 동질 사배체의 표현형 변이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배체 탱자에서 유래된 14주의 사배체 탱자로부터 염색체를 분석하여 이수성이 없는 2n = 4X = 36 식물체로 확인하였다. CMA 핵형 분석 결과 염색체가 배가된 동질 사배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질 사배체에서 수고, 수폭, 원가지 수, 원가지 길이, 분지 각도, 마디 길이, 잎의 특성 등 동질 사배체 수체 표현형에 있어서 상당한 변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질 사배체 광합성률에는 큰 차이는 없었지만, SPAD 값에 의한 엽록소 지수에 있어서도 표현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도 기공 밀도와 공변 세포 길이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변이가 관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lobal cytosine DNA 메틸화를 분석한 결과 개체 간 메틸화 정도에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동질 사배체 탱자 14주의 절반이 이배체 탱자의 메틸화와 비교하였을 때 2배 이상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동질 사배체에서 나타나는 수체형질 변이가 gene redundency를 줄이기 위한 global cytosine DNA 메틸화와 관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epigenetic DNA methylation causes tree phenotypic variation in autotetraploids through evaluating the phenotypic variation and DNA methylation in autotetraploids occurred spontaneously from diploid trifoliate orange. Chromosome analysis confirmed that fourteen trifoliate orange trees of selected by flow cytometry were tetraploids (2n = 4X = 36) without any aneuploids. Chromomycin A3 staining determined that these trees were all autotetraploid with doubled chromosome set. Tree phenotypes, such as tree height and width, branching number, length, and angle, internode length, and leaf characteristics, varied in the autotetraploids. Chlorophyll indices were diverse in the autotetraploids, but photosynthetic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ddition, a wide range of variation was observed in stomatal density and guard cell length. Analysis of global cytosine DNA methylation showed that there was a variation of the methylation level in autotetraploids. More than half of 14 autotetraploids had at least 2 times higher methylation level than diploid trifoliate orange. The results indicate that tree phenotypic variation in autotetraploids might be related to global DNA methylation for reducing gene redunda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