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언어 및 학업수준에 따른 중등 영어교사의 교수언어분석 사례연구

        김상경(Kim, Sangkyung),임걸(Lim, Keol)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3 영어어문교육 Vol.19 No.2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classroom language pattern of one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 by focusing on two variables: the instruction languages of Korean and English and the learners'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Conducting unobtrusive observations in four classes using video recording and transcripts, 2,035 utterances were collected. Quantitatively the participant teacher adapted her classroom talk to the variables: ‘clarify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used in English instruction versus ‘explaining’ in Korean instruction. ‘Repeating student answers' was frequently found only in English instruction. As for the combination of the two variables, ‘checking questions ' was sparingly used in Korean instruction for advanced students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contextualizing’ and ‘ explaining’ needed to be used more often in English instruction, at least as much as in her Korean instruction to provide sufficient examples of language usage. Her questioning strategies were rather limited to closed-questions and her responses to student answers required improvement to effectively engage students in expanding their thinking process. The study concluded developing English teachers' abilities to teach English in English is indispensable Providing teachers with professional training to utilize their classroom talk more efficiently is crucial.

      • 연구논문 : "-겠-"과 "-(으)ㄹ 것이-"의 용법 비교 연구

        김상경 ( Sangkyung Kim ),장은경 ( Eunkyung Jang ) 시학과 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29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gess-’ and ‘-(eu)l geusi-’ are differently used in terms of usage and meaning in a real discourse context. Firstly, in terms of register, while ‘-gess-’ is used differently in a formal and an informal context respectively, ‘-(eu)l geusi-’ doesn``t show any difference in register. Meanwhile, this study discovered a new usage of ‘-gess-‘ and ‘-(eu)l geusi-’ which has not been investigated from previous studies so far. That is, ‘-gess-’ is used to express ‘exaggeration’, and ‘-(eu)l geusi-’ is used to show ‘predetermination’. This difference was found through an careful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common usage, ‘assumption’ and ‘intention’ which ‘-gess’ and ‘-(eu)l geusi’ both have. Firstly, when ‘-gess-’ and ‘-(eu)l geusi-’ are used to express for ‘assumption’, ‘-gess-’ shows the speaker``s subjective assumption and is based on the situation at moment of speaking. On the other hand, ‘-(eu)l geusi-’ is used on the objective basis and when refers to the information that the speakers already has known. Secondly, when they are used to show ‘intention’, ‘-gess-’ is used to express the speaker``s strong will as well as the listener``s intention, whereas ‘-(eu)l geusi-’ is an expression of the speaker``s intention which is already decided excluding the listener``s intention.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teaching grammar items with familiar usage and meaning like ‘-gess-’ and ‘-(eu)l geusi-’, the circumstantial evidence where the grammar is used and spoken be taught together.

      • 다양한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멀티캐스트 서비스 구조

        김상경(Sangkyung Kim),안순신(Sunshin An)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28 No.1

        멀티캐스트 응용을 다루는 기존의 많은 네트워킹 솔루션들은 특정한 트랜스포트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인터넷, ATM과 같은 하부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따라 서로 다른 접근 방법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멀티캐스트 서비스 구조 (MSA: Multicast Service Architecture)를 제안한다. MSA는 기존의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이 연결제어를 위하여 그대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최소한의 변경으로 기존 트랜스포트 네트워크 상에서 운용될 수 있다. MSA는 트랜스포트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응용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망 중심의 통신관리체계를 규정한다. MSA는 여러 가지 개념들을 도입하여 유연하고 확장성 있는 통신관리를 지원하는데 특히 호 / 연결제어 기능을 단말로부터 분리하여 정의함으로써 원격 제어와 제어의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관리자와 가상 디바이스 개념을 도입하여 응용 개발자가 트랜스 포트 네트워크나 물리적 디바이스의 상세한 특성을 모르더라도 응용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MSA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서비스 컴포넌트들은 미들웨어 상에서 동작한다. 우리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MSA를 분석하였다. Many of the existing networking solutions handling multicast applications are dependent on specific transport technologies, and therefore require different approaches according to underlying transport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and ATM.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ulticast service architecture (MSA) that can be overlaid above different legacy transport networks. This enables the existing network protocols to be used for connection control, minimizes the modification to a legacy transport network and enhances the practicality of MSA. MSA accommodates a variety of multimedia multicast applications, independently of transport networks and specifies network-centered communication management. Our architecture supports flexible and extensible communication management using several concepts. One novel concept is the separation of call/connection control from a terminal, which allows remote control and control mobility, so that a user can use a multimedia multicast service in a more various way. In addition, terminal manager and virtual device concepts are introduced that hide the details of multimedia devices or transport networks from an application designer. MSA consists of several service components that effectively interact with one another on a middleware platform. To evaluate our architecture, we analyzed the architecture using a simulation.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교육 선진화를 위한 “S” 대학사례연구

        김상경(Kim, Sang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6

        대학 교양영어 관계자들은 글로벌 역량을 지도할 수 있는 영어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커리큘럼 개선, 학생 만족도 향상, 교수학습 역량 강화, 영어분반시험 등을 개발하는 데 최선을 다해왔다. 하지만 많은 학생이 대학 교양영어수업을 통해 본인의 학습요구도를 충족하지 못하고 사교육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교육적 갈등을 해소하고 차별화된 교양영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S” 대학이 진행한 영어 교양교육 선진화 TF의 운영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교양영어 프로그램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8개월 이상 내·외국인 교원이 “교양영어과목 개선 위원회”, “영어회화능력 진단평가 위원회”, “영어회화 고급반 교육과정 개발 위원회”를 운영하면서 심화된 영어교과목, 분반수업운영안, 영어구술평가시험, 영어회화 고급 반 커리큘럼을 개발․완성하였다. 본 TF는 교양영어 이수학점을 2학점 축소한 학교의 방침을 융통성있게 수용하여 대화소통능력중심으로 네 가지 언어지식을 습득할수 있는 영어교과목을 개발하고, 그 커리큘럼을 실행할 수 있는 분반시험실시, 외국 인 교원역량강화를 이뤄냈다. 이런 성공적인 결과는 내·외국인 교원간의 대화소통, 교원과 행정부서의 공조체제, 학교의 비전과 교양교육의 선진화를 이루려는 의지를 공유한 것이 원동력이 되었다. General Education English Programs (GEEPs) in Korean universities have faced ever-lasting challenges to improve their curriculum. Korean college students are reported to perceive English skills as a principal key to their future career development or success in life. They do not, however, believe the GEEPs fully support their needs in learning English. Therefore, they look for help to improve English skills outside their universities. GEEPs have endeavored to improve student satisfaction levels on courses, pedagogically and administratively, but the results are still not agreeable. “S” University launched the GEEP Improvement Task Force team with three sub-committees: The General English Curriculum Development; The English Placement Test Development, and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Advanced English courses. For eight months, these committees developed new curricula by combing the courses in freshmen and sophomore English programs, the in-house English placement test, and new advanced-level courses. All outputs enabled “S” university to run the GEEP based on student proficiency level; to create a developmental freshman English program that provides students with a strong foundation before they take the regular English courses; and to fine tune the advanced level, which hones existing English proficiency of high level students. Faculty members also upgraded their expertise through developing the curriculum, collaborating with each other and outside experts, and constructing new scientific testing. This study discusses expected outcomes from running the GEEP Improvement Task Force project as well as the challenges overcome during the process in a college community.

      • KCI등재

        수업시연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업언어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김상경(Kim, SangKyung),김은영(Kim,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수업시연에 나타난 수업언어를 분석하여 그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 예비교사의 수업언어 전략과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S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개설된 ‘수업설계와 마이크로티칭’의 수강생 20명을 대상으로 수업시연을 실시하고 녹화한 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수업시 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2502개의 수업언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의 수업언어 유형을 ‘발화 발문 응답’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발화’가 수업언어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수업언어 유형을 살펴보면 ‘발화’에서는 ‘설명하기’가 ‘발문’에서는 ‘지식확인’이 ‘응답’에서는 ‘반복하기’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예비교사의 수업언어에 나타난 특성은 다양한 학문적 접근방식을 사용하는 수업 언어 사용과 권위주의적 수업언어 응답처리 능력 결핍 부정적인 정의적 전략 사용 등이다. 그 밖에 예비교사의 부적절한 경어사용 자신감 결여 등이 수업언어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수업언어 전략 및 교육적 고찰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classroom language patterns used by pre-service teachers in a graduate education program at a women’s university. Teacher-talk has been valued as the most viable teaching and instructional tool. Current curriculum in teacher education however has not been properly grounded in research addressing how effectively teachers can utilize different classroom language strategies to deliver lessons control student participation and impro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Categorizing teachers’ classroom language as either an ‘utterance’ ‘question’ or ‘response’ this study distinguishes between questions and statements. Analysis of 15-minute microteaching conducted by 20 pre-service teachers reveals that 65% of 2502 data are utterances; 26% questions; and the remaining 9% responses.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content of each teacher-talk indicates that the participants made statements simply to explain content and order students to follow their instruction; questions were intended to confirm previously taught facts and knowledge; and the ratio of questions to responses is 3-to-1 which indicates that these teacher candidates did not professionally handle the majority of students’ responses. This study encourages specific enhancements to the current curriculum of pre-service teacher programs so that student-teachers can learn theory while gaining sufficient practice using teacher classroom language and thereby be able to skillfully choose various strategies for achieving planned objectives: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sharing learning skills asking open-ended questions to broaden students’ perspectives on discussion topics and extending students’ responses into classroom dialogue or further investigation.

      • KCI등재

        교양영어 분반 평가에 관한 학생과 교수의 의견 분석:S대 사례연구

        김상경(Kim, Sangkyung)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5 영어교과교육 Vol.14 No.3

        This study investigates student and professor opinions about the university's English placement speaking test and the accuracy of the course placements resulting from the combination of that test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r English (CSAT). Utilizing a mix of quantitative and content analysis, the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s of 2,098 freshmen and 20 professors at S University. First, both groups (83% and 95%)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peaking test and agreed that its content was accurate. Nonetheless, 30% of both groups believed that CSAT can exclusively function for course placement: students deemed CSAT more objective and inclusive while professors preferred CSAT because of the burdensome logistics involved in conducting the speaking test. Other results include the following: 75% of students and 50% of professors thought course placement was accurate; 32% of students desired more objective content and grading methods on the speaking test; and 85% of professors wanted more efficient test administration and proper compensation.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the open-ended questions on the survey revealed possible avenues of improvement of the placement and the exclusive use of CSAT. The study discusses the necessity of the speaking component in English placement tests. It also emphasizes the value of student and professor input towards improving both the tests and General English education at S University.

      • Typed Object Bus를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분산플랫폼

        김상경(Sangkyung Kim),선경섭(Kyungsup Sun),안순신(Sunshin An) 한국정보과학회 2000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27 No.4

        본 논문에서는 Typed Object Bus (TOB) 플랫폼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분산플랫폼을 제안한다. 기존의 분산플랫폼들은 분산 객체간 인터페이스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단일의 통신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비제한적인 통신을 제공하였으나 TOB 플랫폼은 상호작용 관계에 중점을 두고 응용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통신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플랫폼 제어 통신을 제공한다. TOB는 연산동작특성과 TOB를 통해 전달 가능한 데이타 타입, 그리고 객체통신에 제약을 가하는 다수의 속성들에 의해 표현된다. 응용객체는 TOB 플랫폼이 제어하는 Typed Object Bus들을 통해서만 다른 객체와 통신이 가능하다. TOB 플랫폼은 TOB Type Definition Language (TDL) 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상호작용을 규정함으로써 유연하고 다양하게 연산 및 스트림 특성을 갖는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aradigm for distributed platform design, the Typed Object Bus (TOB) platform. While traditional distributed platforms have focused on interface relationships between distributed objects and provided unrestricted communication using a uniform communication mechanism, the TOB platform is centered on the interaction relationship and provides platform-controlled communications using diverse communication mechanisms that conform to application characteristics. Typed object buses represent the communication behaviors they support, the data types to be delivered through them and various properties that constrain the communications. Application objects can communicate with other objects only via typed object buses the TOB platform controls. The TOB platform provides various and flexible communications by specifying a variety of styles of interactions with the TOB Type Definition Language (TDL) that we have developed. TOB TDL has been designed to accommodate both operation and stream characteristics of an application.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지향성 안테나를 이용한 SRDMAC 프로토콜

        김혜정 ( Haejung Kim ),김상경 ( Sangkyung Kim ),김창화 ( Changhwa Kim ),박찬정 ( Chanjung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1

        기존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센서 노드는 하나의 전방향성 안테나와 하나의 무선 채널을 공유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과다한 채널 경쟁과 센서 노드간의 데이터 충돌로 데이터 재전송이 자주 발생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가 많고,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의 데이터 전송시 RTS(Request To Send)와 CTS(Clear To Send) 패킷을 사용하여 전파 전송 범위 전체에 대해 채널 예약을 하므로 공간의 활용도가 낮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방향성 안테나의 문제점 및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기 위한 SRDMAC(Spatial Reuse Directional MAC)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센서 노드 간의 데이터 전송시 충돌을 방지하여 데이터 재전송에 소모되는 에너지와 목적지 노드가 위치한 영역 일부분에만 데이터를 전송함으로 에너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목적지 노드가 위치한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의 이웃 노드와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므로 공간 재사용율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다.

      • 해양 센서 네트워크 아키텍쳐 중심의 질의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 병합 기법

        김혜정(Haejung Kim),지경복(Kyoungbok Ji),김창화(Changhwa Kim),김상경(Sangkyung Kim),박찬정(Chanjun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D

        최근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센서 노드의 저전력을 위해서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횟수나 전송량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효율적이면서 신뢰성을 가지는 질의에 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센서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의 전송량을 줄일 수 있는 SDMTree(Sensing Data Management Tree)를 제안한다. 제안된 SDMTree는 질의 최적화를 위해 질의 처리기 구성 요소로 도입 가능하다. 해양 센서 네트워크에서 in-network 각 4레벨에서 하위 노드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병합,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속성별로 구분하여 중복된 데이터를 제거하여 트리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질의에 대한 응답에 해당하는 데이터 검색시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트리 구성 또한 중복 데이터 및 중복 영역을 배제하여 구성되므로, 상위노드가 하위 노드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와 상위 노드에서 하위 노드로 질의를 전송시 질의에 해당하는 특정 영역에만 질의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저장 및 통신에 소모되는 불필요한 에너지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

      • 지향성 안테나 기반 Directed Diffusion

        김금란 ( Geum-lan Kim ),김상경 ( Sangkyung Kim ),김창화 ( Changhwa Kim ),박찬정 ( Chanjung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1

        무선 센서 네트워크 라우팅 프로토콜에서의 경로탐색에서 중복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에 의한 비용이 증가되고, 많은 노드들이 동시에 통신을 시도하기 때문에 많은 충돌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Directed Diffusion 라우팅 방법에 지향성 안테나를 도입하여 채널 이용율을 높여 통신에서의 충돌을 줄이고 네트워크 구성 및 유지 시 사용될 flooding의 범위와 노드간의 통신시 불필요한 방향으로의 통신을 최소화하여 중복되는 브로드캐스트 메시지 수를 줄일 수 있는 라우팅 방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