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중·근세 어업에서 본 「漁場請負制」와 울릉도 어업

        김보한(Kim, Bo-han)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30

        일본 어업은 무로마치시대부터 어장관리 형태를 갖추기 시작하여, 에도시대를 거치는 동안 각 지역에서 다양하게 발달하였다. 근세 어업의 특징은 전국 각지에서 어장의 경계를 둘러싸고 일어나는 빈번한 다툼과 남획방지를 위한 어업법의 탄생이었다. 이를테면 『律令要略』의 「山野海川入會」처럼 어장의 경계규정과, 연근해어업에 대한 어로규정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근세 어업에서는 자유롭게 어로가 가능한 근해(오키아이, 沖合)어업으로 시선을 돌리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어장이 울릉도 어장이었다. 일본 伯耆藩의 재지영주나 어민들에게 울릉도어장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지만 어족자원이 풍부한 근해어장이었다. 일본 내에서 경쟁자 없이 배타적 독점 가능성이 확실하고, 경제적 가치가 매우 높은 어장이었다. 일련의 진행과정 속에서 17세기 초 호키에서 오야(大谷)씨와 무라카와(村川)씨가 울릉도 도해면허를 막부로부터 받아낸다. 이들의 의도는 각 번의 어업 경계에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어로가 가능한 울릉도 어장을 선점하여 어업상의 이득을 독점하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막부가 발급한 울릉도 도해면허는 오야씨와 무라카와씨에게 울릉도 영유권을 부여한 것이 아니었다. 즉 호키로부터 비교적 원거리 근해어장에 속하는 울릉도 도해면허는 육지에서 영토의 영유권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어업허가(=?漁場請負權?)의 성격을 갖는 일종의 어업규정이었다. 한편 독도 어장은 울릉도의 그것과 비교해서 매우 열악한 어업환경을 가진 섬이었다. 따라서 당시에 호키의 어부들에게는 울릉도 어장만이 관심의 대상이었으므로 독도 어장은 장기간 방치되어 있었다. 왜냐하면 독도 어장은 울릉도 어장과 비교해서 경제적 가치가 낮고 배타 독점적 점유와 이용의 필요성이 낮은 어장이었기 때문이다. 울릉도와 독도는 막번체제에서 어떠한 권력도 어업의 배타적 독점권과 영유권을 주장할 수 없는 타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그 어장의 이용을 허가하는 「어장청부권」이 미칠 수 없는 권외의 섬이었다. This paper discussed the divergence of Japanese fishery and the control of its fishing place from the 14th century to the 17th century. The Japanese fishery formed the control of fishing place in the Muromatsi period and developed the various fishery in several districts during the Edo period. The issue of license for crossing Ulungdo by Edo-bakuhu not implied that Oya and Murakami got the possession of Ulungdo. It is only the permission to use the fishing banks of Ulungdo. Rather, it is the Bakuhu"s tremendous mistake that the Joseon fishery was guaranteed from Japanese. Dokdo is the island that is no comparison with Ulungdo and has the deteriorated environment. Therefore, Houki fishers have neglected Dokdo during long time and interested in the Ulungdo. Perhaps, Japanese fishers seem to think of Dokdo as the fishing bank of Ulungdo. Because Dokdo is economically worthless and is no the necessity to use and posses as compared with Ulungdo. Consequently, the issue of license for crossing Ulungdo that is the inshore fishing bank afar off Houki is not the recognition of its dominium but the guarantee of fishing licenses. Because these two islands belong to Joseon and no power was able to argue the dominium and proprietorship of two islands under Bakuhan regime.

      • 동아시아의 해역, ‘서해’와 ‘황해’에 대한 연구

        김보한 ( Kim Bo-han ) 동아시아비교문화연구회 2018 東硏(동연) Vol.4 No.-

        현재 우리는 ‘서해’에 대한 용어의 신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 역사적으로 서해는 중국과 한국의 관계, 남조(북조) - 백제, 당 – 청해진의 교역의 통로였다. 따라서 서해는 고구려, 백제, 고려, 조선의 해상활동의 영역이었다. 시기별로 ‘서해’라는 명칭이 고대부터 현재까지 사용되는 역사적 용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금 우리가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전혀 문제될 것이 없는 용어이다. 한편 고대부터 대한제국까지 ‘황해(Yellow Sea)’라는 용어는 우리의 역사에서 전혀 사용한 적이 없는 용어이다. 1748년경에 제작한 토마스 제프리스의 아시아 고지도에서 ‘Yellow Sea’가 출현한다. 청 말에 서양의 지도와 지도제작 기법이 전래되면서 ‘Yellow Sea’가 한자어 ‘黃海’로 번역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현재의 ‘황해(Yellow Sea)’는 서구인이 만들어낸 서해의 별칭인 것이다. 마찬가지로 19세기 말 조선의 사료에 등장하는 ‘조선해’의 경우도 1748년경에 제작한 토마스 제프리스의 아시아 고지도에 ‘Sea of Corea(조선해)’가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해양사 연구에 자주 등장하는 ‘환황해교역권’과 ‘환황해문화’ 용어 대신에, 역사성을 반영해서 ‘환서해교역권’과 ‘환서해문화’라는 용어로 바꾸어 부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At present, we need to establish the terminology of ‘The West Sea’. Historically, The West Sea was a channel for China-Korea relations, Namjo-Baekje, Tang-Chunghaejin. Therefore, the West Sea was the area of maritime activities in Goguryeo, Baekje, Goryeo, and Chosun. The term ‘The West Sea’ is a historical term used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Therefore, even if we use it now, there is no problem at all. Meanwhile, from ancient times to the empire, the term ‘The Yellow Sea’ has never been used in our history. The ‘The Yellow Sea’ emerges from Thomas Jeffries’ Asian highlands around 1748.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maps and mapping techniques in the Chung Dynasty, the ‘The Yellow Sea’ began to be 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s ‘The Yellow Sea’. Therefore, the present “Yellow Sea” is an alias of West Sea created by Westerners. Similarly, in the case of the ‘Joseon Sea’ appearing in the Joseon Dynasty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Sea of Corea’ is emerging in Thomas Jeffries’ Asian Highlands around 1748.

      • KCI등재

        2011년도 지유샤(自由社) 역사교과서 동아시아사 서술의 변화와 특징

        김보한(Bo-han Kim)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40 No.-

        본고는 2009년판과 2011년판 지유샤 교과서를 비교하여 전근대 동아시아사 서술에 어떤 문제가 있고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각 시대별로 그 문제와 변화의 특징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9년판과 2011년판 지유샤 교과서는 야마토정권을 ‘고대국가’의 범주에 넣어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야마토정권이 ‘고대국가’ 단계에 진입하여 동아시아 국가 발전 단계와 보조를 맞추고 있었다는 역사의 유구함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둘째,2011년판 지유샤의 교과서에서는 서장(序章)의 표지에 이른바 ‘광개토대왕비’의 ‘신묘년‘ 기사 내용을 먼저 소개하고 있다. 서장의 ‘광개토대왕비’와 ‘신묘년’ 기사는 본문의 내용에서 왜의 ‘한반도 남부의 임나(가야)에 영향력 행사’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있다. 셋째, 한반도의 여러 나라가 중국에 ‘책봉’을 받았다는 사실과 대비하여 일본 야마토조정은 독자성을 유지했다는 우월적 역사관을 강조하고 있다. 전근대 동아시아 세계에서 조공책봉 체제가 국제 질서를 주도하는 근간이었던 점을 무시하고 일본의 독자성을 강조하고 있다. 넷째, 일본 신화를 별도의 소항목으로 편성하여 고대 일본의 신국관을 통해서 본래 일본이 천황의 국가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작금에 일본의 우경화 세력이 지향하는 바와 일맥상통하는 바가 크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대단원 〈중세의 일본〉전면 표지에 몽골의 침입에 대비해서 쌓은 하카타만의 석축을 소개하고 있다. 이것은 막부와 조정이 하나로 뭉쳐서 세계 역사상 가장 강력한 몽골과의 싸움에서 일본의 승리하였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기획된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왜구의 근거지로 새롭게 쓰시마ㆍ이키ㆍ마츠우라(松浦) 지방을 수록한 반면에 왜구의 주체와 관련해서 기존에 ‘고려ㆍ조선인의 연합설’에 대해서 새롭게 ‘무장상인단설’을 추가하고 있다. 이것은 본문의 내용에 왜구의 근거지를 삽입하여 내용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는 것 같아 보이지만, 결과적으로 일본학자의 왜구 논리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일곱째, 근세에서는 역사적 시야를 동아시아의 세계를 뛰어 넘어서 서양과 동남아시아로 그 시야를 확대시키고 있다. 즉 교과서의 근세 부분 내용에서는 동아시아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계사적 관점에서 서술 체계를 세우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이처럼 전근대의 동아시아사 서술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2011년판 지유샤 역사교과서는 한반도에 대한 일본 우월적 역사관으로 일관되어 있음을 새삼 실감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e of the East-Asia historical narration in Jiyusha’s middle school textbook of 2009 and 2011.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 First, Jiyusha’s textbook of 2011 narrated Yamato regime under the category of ancient state. Second, Jiyusha’s textbook claimed to support the chauvinistic historical view of the independent Yamato regime hy publishing the fact that the Han-peninsular was invested with govern from China. Third, It emphasized that the ancient Japan was the divine land through the Japan mythology and that Japan was the land of emperor. Fourth, the theory of ‘armed merchant group’ was added in previous theories regarding the substance of Wakou in the medieval age. Fifth, the historical view was expanded to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the East-southern Asian history beyond the East-Asian world in the part of modern age. In the part of modern age of the textbook, it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East-Asia and to establish the system of historical narration in the view of world history. By examining the change of the East-Asia historical narration in Jiyusha’s textbook, it does fed real that the Han - peninsular is the main scapegoat of Japan’s chauvinistic historical recognition.

      • KCI등재

        해적과 약탈경제 : 중세 일본 해적을 중심으로

        김보한(Kim Bo-Ha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9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0

        In the Japanese Islands, the pirate is active from the 8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in the coast along an inland of Seto. They were the trader and the plunderer in the Japanese Islands. The Japanese pirate was not a resistant against the political power but a sea trade. The expansion of the Japanese pirate in Medieval Period was related to the social-political disorder Kamakura shogunate and signified the increasing of pirate and the expansion of piracy. Therefore, Their activity is the plunder economy.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pirate, the discord and the hostile was formed between Joseon Kingdom and Japan. The activity of pirate elevated the importance of sea in the coast of East-Asia while the development of navigation and shipbuilding disappear the pirate. The Japanese pirate stood in the crossing of antiforeign feeling between Korea and Japan. The Japanese pirate brought about the restlessness of popular feelings, the financial difficulty and the crisis of national existence. Then, the looted goods which needed at the Japanese Islands in Koryo Kingdom period passed the buck to Joseon Kingdom. An appeasement measure policy alleviated the economical burden of looted goods. Reception expenses in 『Haedongjekukki』 and 『Kyeongkudaejeon』 accorded with the quantity of cereal that plundered in Koryo Kingdom. Consequently, the Japanese pirate and the plunder economy meant the identity of Japanese pirate.

      • KCI등재

        제주도 ‘環海長城’과 규슈 ‘元寇防壘’의 역사적 고찰

        김보한(Kim, Bo-Han)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5 No.-

        13세기 몽골의 고려 침공 이후 고려 조정에서 항복의사를 밝히고 본격적으로 개경환도를 추진할 때, 삼별초가 고려의 항복결정에 불만을 품고 진도로 내려가 대몽항전을 지속해 나갔다. 이 무렵 고려 조정은 진도 삼별초의 거점이 제주도로 확대되는 것을 미리 저지하기 위해 제주도 해안에 성곽 축조를 추진하게 된다. 이것이 고려 조정에서 삼별초가 제주도에 상륙하는 것을 방비할 목적으로 쌓은 제주도 ‘환해장성(環海長城)’의 시원이다. 한편 몽골의 1차 침공을 막아낸 가마쿠라 막부는 무사를 동원하여 규슈의 하카타(博多) 북쪽 해안에 성곽 축조를 시작하였다. 그리고 몽골의 2차 일본침공을 막아낸 이후에도 수십 년간 계속해서 해안성곽의 보수 및 확장 공사를 진행하였다. 즉 여몽연합군의 침공을 막기 위해 규슈의 북쪽 연안과 도서지역에 쌓은 해안성곽이 ‘원구방루(元寇防壘)’이다. 제주도의 환해장성과 규슈의 원구방루는 현재까지도 섬의 해안과 그 내륙 지역에 몽골 팽창의 역사적 흔적으로 남아있다. 특히 제주도의 환해장성과 규슈의 원구방루는 해안가 평지에 길게 쌓은 방어용 성곽으로서 몽골의 팽창 전쟁과의 관련성을 설명해 주는 매우 독특한 해안성곽들이다. 특히 제주도의 환해장성은 삼별초가 진도에서 제주도로 내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고려 개경정부에서 쌓았지만, 삼별초가 제주도를 장악한 다음에는 여몽연합군에 대항하는데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역시 규슈 북쪽해안의 원구방루는 몽골의 1차 일본침공이 끝난 직후에 쌓기 시작하여 몽골의 2차 일본침공이 끝난 이후에도 수십 년 동안 계속해서 개축된 방어용 해안성곽이다. 따라서 제주도의 ‘환해장성’과 규슈의 ‘원구방루’는 공통적으로 해안가 평지에 길게 쌓은 방어용 성곽이며, 몽골의 팽창 전쟁과 직간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대표적인 해안성곽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두 성곽은 몽골의 대륙적 특성과 제주도와 규슈의 해양적 특성이 충돌하는 과정에서 쌓아진 성곽으로서 동아시아의 해양성을 대표하는 역사 흔적들이다. In the 13th century, the Mongol Empire expanded leading influence in Central Asia, Europe, Goryeo and Japan. Goryeo court yielded to the Mongol Empire in 1270 but Sambyeolcho continued the resistance against Mongol Empire in Jindo. Goryeo court built a castle in the coast of Jejudo in order to block the expansion of Sambyeolcho’s influence. This is Hwanhe-Jangsung in Jejudo. Meanwhile, Kamakura Bakuhu resisted the first invasion of Mongol Empire in 1274 and began to build a castle at the coast of Hacata in 1276. Also, Bakuhu checked the first invasion of Mongol Empire in 1274, and constructed the coastal fortresses. This is the origin of Wonku-Bangru in the northern coast of Kyusyu. Hwanhe-Jangsung in Jejudo and Wonku-Bangru in Kyusyu are the defensive castle which is built in the flatland of shoreline and are the typical coastal fortresses of East Asia which is related to the expansionist war of Mongol Empire. These castles are historical tracks representing the ocean type that is formed in the conflict process between the continentalism of Mongol Empire and the marine character of Goryeo and Japa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