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별자유여행객의 소비가치가 체험관광의 만족과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Kim, Bo-Kyeong),양재호(Yang, Jaeho)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바운드 관광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국내 체험관광상품개발과 마케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국내 체험관광에 대한 개별자유여행객이 지각하는 소비가치가 체험관광상품의 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국내체험관광 경험이 있는 관광객 294명을 대상으로 소비가치, 만족, 방문의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20년 8월 1일부터 2020년 10월 30일 까지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형에서 제시한 개별자유여행객의 소비가치 중 상황적 가치를 제외한 나머지 4개의 가치가 관광객의 체험관광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체험관광에 대한 만족은 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체험관광활동에 있어서 개별자유여행객의 관광상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소비가치의 중요성을 이해하는데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역관광을 바탕으로 하는 관광상품 개발을 위한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r marketing strategies for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s to stimulate the inbound tourism industr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free independent travelers’ perceived consumption values toward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s affected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ducts and intention to visit. [Methodology] The sample of 294 tourists who had used a domestic experienced tourism product responded to the survey designed to assess consumption values, satisfaction, and visit inten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st to October 30th 2020, and were analys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indings] Results showed the significant influences of four type of consumption values(functional, social, emotional, and exploratory consumption values) among free independent travelers on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d tourism product.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d tourism product increased intention to visit. [Impl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t role of perceived consumption values among free independent travelers in evaluating a tourism product incorporating activities designed to experience local culture and indigenous manufacturing.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to develop a tourism product based on regional tourism activities.

      • KCI등재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위한 로그 기반의 B-트리

        김보경,주영도,이동호,Kim, Bo-Kyeong,Joo, Young-Do,Lee, Dong-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5 No.6

        최근 NAND 플래시 메모리는 하드 디스크에 비해 작고, 속도가 빠르며, 저 전력 소모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차세대 저장 매체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쓰기-전-소거 구조, 비대칭 연산 속도 및 단위와 같은 독특한 특징으로 인하여, 디스크 기반의 시스템이나 응용을 NAND 플래시 메모리 상에 직접 구현시 심각한 성능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NAND 플래시 메모리 상에 B-트리를 구현할 경우, 레코드의 잦은 삽입, 삭제 및 재구성에 의한 많은 양의 중첩 쓰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급격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성능 저하를 피하기 위해 ${\mu}$-트리가 제안되었으나, 잦은 노드 분할 및 트리 높이의 빠른 신장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갱신 연산을 위해 특정 단말 노드에 해당하는 로그 노드를 할당하고, 해당 로그 노드에 있는 변경된 데이터를 한 번의 쓰기 연산으로 저장하는 로그 기반의 B-트리(LSB-트리)를 제안한다. LSB-트리는 부모 노드의 변경을 늦추어 추가적인 쓰기 연산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키 값에 따라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삽입할 때, 로그 노드를 새로운 단말 노드로 교환함으로써 추가적인 쓰기 연산의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비교 실험을 통하여 ${\mu}$-트리와 비교함으로써 LSB-트리의 우수성을 보인다. Recently, NAND flash memory is becoming into the spotlight as a next-generation storage device because of its small size, fast speed, low power consumption, and etc. compared to the hard disk. However, due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such as erase-before-write architecture, asymmetric operation speed and unit, disk-based systems and applications may result in severe performance degradation when directly implementing them on NAND flash memory. Especially when a B-tree is implemented on NAND flash memory, intensive overwrite operations may be caused by record inserting, deleting, and reorganizing. These may result in severe performance degradation. Although ${\mu}$-tree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t suffers from frequent node split and rapid increment of its height. In this paper, we propose Log-Structured B-Tree(LSB-Tree) where the corresponding log node to a leaf node is allocated for update operation and then the modified data in the log node is stored at only one write operation. LSB-tree reduces additional write operations by deferring the change of parent nodes. Also, it reduces the write operation by switching a log node to a new leaf node when inserting the data sequentially by the key order. Finally, we show that LSB-tree yields a better performance on NAND flash memory by comparing it to ${\mu}$-tree through various experiments.

      • KCI등재

        재래종(在來種) 율무(의이인(薏苡仁))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에 의한 분류(分類)

        김보경,최봉호,Kim, Bo Kyeong,Choe, Bong Ho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6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13 No.1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하고 있는 율무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우량계통선발(優良系統選拔)에 대(對)한 기초자료(基礎資料) 얻기 위(爲)하여 강원도(江原道)와 제주도(濟州道)를 제외(除外)한 전국(全國) 각지(各地)에서 수집(蒐集)한 재래종(在來種) 율무 148 계통(系統)에 대(對)하여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을 하여 재래종(在來種) 율무를 해석(解析)하고 계통분류(系統分類)를 행(行)하였던 바, 이에 대(對)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특성(特性)의 변이(變異)에서 엽폭(葉幅)과 정곡(精穀) 100립종(粒重)을 제외(除外)하고는 계통(系統)들간의 변이(變異)가 상당(相當)히 심(甚)했다. 2. 모든 형질간(形質間)의 상관(相關)은 비교적 낮았으며 상관계수(相關係數)의 분절(分折)에서 다소(多少) 정(正)의 방향(方向)으로 치우친 정규분포(正規分布)의 양상(樣相)을 보였다. 3. 형질간(形質間)의 상관(相關)에 의해서 율무 계통(系統)을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4 계통군(系統群)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는데 제일군(第一群)은 립(粒)과 초형(草型)에 관(關)한 특성군(特性群), 제이군(第二群)은 조만성(早晩性), 제삼군(第三群)은 분엽수(分葉數), 제사군(第四群)은 발아(發芽)에 대(對)한 특성군(特性群)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4. 13개(個) 형질(形質)에 대(對)한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의 결과(結果) 제사주성분(第四主成分)까지를 가지고 전체변동율(全體變動率)의 약(約) 60%를 설명(說明)할 수 있었고, 제십주성분(第十主成分)까지를 취(取)하면 전체변동율(全體變動率) 89%를 설명(說明)할 수 있었다. 5. 주성분(主成分)에 대(對)한 형질(形質)의 기여도(寄與度)는 차이(差異)가 심(甚)했고, 상위주성분(上位主成分)에서 높았으며 하위주성분(下位主成分)에서 낮았다. 6. 상관계수(相關係數)가 높은 형질간(形質間)에는 그 형질(形質)에 대응(對應)하는 고유(固有) vector의 값이 크기가 비슷하다. 7.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을 이용(利用)한 계통분류(系統分類)의 결과(結果) 4계통군(系統群)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는데 4계통군(系統群)의 특성(特性)은 상관계수(相關係數)에 의한 분류(分類)의 특성군(特性群)과 같은 형질(形質)에 의해 결정(決定)되었다. 8. 계통간(系統間) 거리(距離)에 의해 148 계통(系統)을 4 계통군(系統群)으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는데 계통군(系統群) I에는 79계통(系統)이 속(屬)하였고, 계통군(系統群)II에는 40계통(系統), 계통군(系統群) III에는 22계통(系統), 계통군(系統群)IV에는 7계통(系統)이 각각(各各) 속(屬)하였다. 9. 계통군(系統群)I은 중간(中稈), 소립(小粒), 중생(中生), 단엽계통(短葉系統)들이었고, 계통군(系統群)II는 단간(短稈), 소립(小粒), 조생(早生), 단엽계통(短葉系統)들이었고, 계통군(系統群)III은 장간(長稈), 대립(大粒), 만생(晩生), 장엽계통(長葉系統)들이었고, 계통군(系統群)IV는 단간(短稈), 대립(大粒), 중생(中生), 단엽계통(短葉系統)들이었다. To obtain basic information needed for developing better pearl barley varieties, a total of 148 lines of pearl barley were collected from nationwide survey except for Kangwon and Chejoo provinces and classifi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Variabilities of characters for all lines except for leaf width and 100 K. Wt.(Unpolished) were high enough to indicate variation of lines. 2.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18 characters were high enough and they showed the shape of normal distribution, more or less, inclined toward positive values. 3. The line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correlation coefficient for 18 characters : Group I was characterized as the lines composed of grain and plant type, Group II maturity, Group III the number of tillers, and Group IV the nature of germination, respectively. 4. About 60% of the total variation could be appreciated by the first four principal components and about 89% of the total variation by the first ten principal components. 5. Contribution of characters to principal components was variable and was high at upper principal components and low at lower principal components. 6. The value of eigen vector corresponding to those which had high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haracters was almost of the same value. 7. The line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8. The lines were also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axonomic distance. Group I included 79 lines, Group II 40 lines, Group III 22 lines, and Group IV 7 lines, respectively. 9. Four groups classified by taxonomic distance could be characterized as follow : Group I : medium height plant, small kernels, medium maturity, and narrow and short leaf, Group II : short height plant, small kernels, early maturity, and narrow and short leaf. Group III : tall height plant, large kernels, late maturity, and broad and long leaf. Group IV : short height plant, large kernels, medium maturity, and narrow and short leaf.

      • KCI등재

        일반논문 : 초기사림파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 한 인간의 복원과 조선전기 지성사에 대한 반성적 이해를 위하여 mage Creation

        김보경 ( Bo Kyeong Kim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4 한국고전연구 Vol.0 No.29

        迂拙齋(우졸재) 朴漢柱(박한주)(1459-1504)는 金宗直(금종직)의 門人(문인)으로, 조선전기 지성의 한 면목을 엿보게 해 줄 뿐만 아니라 初期士林派(초기사림파) 문인의 이미지 형성 과정을 흥미롭게 보여 준다. 박한주 생애자료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은 그의 외손 周博(주박)이 찬한 行狀(행장)이다. 이 글에서는 아직 특정 이데올로그로 규격화하지 않은 느슨한 박한주를 볼 수 있다. 현양사업의 추이와 관련해서 살펴보면, 먼저 임란 직전 鄭逑(정구)가 함안의 묘소를 정비하고 제사를 지내면서 그는 충신의 표상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이후 충신의 표상 위에 도학자의 표상이 더해지는데 후자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난후에는 밀양의 향촌질서를 재정비하는 작업과 연동되어 현양사업이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박한주는 김종직과 연결되어 도학적 관점에서 재평가되었다. 17세기 중반을 전후해서는 박한주 현양이 禮林書院(례림서원)·閭表碑(여표비)등 사회적 표식의 형태로 추진되는 가운데 김종직 도학의 嫡傳化(적전화)가 시도되었다. 18세기 현양사업의 특징은 박한주의 족손 朴壽春(박수춘)과 결합되어 전개된 것이다. 그중 南岡書院(남강서원) 請額疏(청액소)는 국가적 공인을 받기 위한 노력으로, 道統(도통)의 관점에서 박한주의 위상을 재정의하였다. 도학자 박한주를 만드는 데는 현양사업의 주체들 즉 密陽(밀양) 士林의 의지, 밀양 박씨 문중의 노력, 그리고 退溪-寒岡 연원 학파의 협조가 공동으로 작용했다. 유의할 것은 도학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김종직이나 金宏弼(금굉필)·鄭汝昌(정여창)과 과도하게 결합, 명명되면서 오히려 박한주의 실체가 왜소하게 제약되었다는 점이다. 박한주가 남긴 작품을 돌아보면 ‘유교국가의 비전과 도덕의 사회적 실현을 위한 분투’라는 주제의식을 문학적 역량을 다해 형상화하고 있는 ‘글 잘 쓰는 사람’ 박한주를 만나게 된다. 經術(경술)과 文才 어느 한쪽으로는 그의 온전한 얼굴을 복원할 수 없다. 性理(성리) 학문을 익히는 박한주, 道(도)·佛書(불서)도 버리지 않은 박한주, 『楚辭(초사)』 읽기를 좋아하고 글을 잘 썼던 박한주. 이것을 아우른 모습이야말로 당대 생생하게 살아있던 실존으로서의 박한주였으리라. 우리가 기록/기억하고 있는 그들은 도학, 도통, 문묘, 서원의 이름으로 기획된 얼굴이 아닌지, 또 지금 우리는 다시 그들을 ‘초기사림파’라는 이름으로 분칠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할 일이다. 특히 박한주의 경우 김종직과 김굉필·정여창에게 강하게 결박된 채 기록/기억되어 왔으므로 이중으로 왜소화(또는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박한주 연구에서 이 점이 각별히 유의되어야 할 것이다. Ohjojjae Park Han-joo(迂拙齋 朴漢柱, 1459-1504) was Kim Jong-jik(金宗直)``s clan member, and he amusingly shows the image creation process of the initial stage Salimpa, a Confucian School. Among the lifetime materials of Park Han-joo, the earliest period material was Haengjang(行狀) compiled by his daughter``s son, Ju Bak(周博). In Haengjang, loose Park Han-joo, who was yet to be standardized with specific ideology, can be viewed. Examining in relation with the trend of his exaltation, Park Han-joo emerged as the symbol of loyal subject, as Jung Goo(鄭逑) reorganized the grave of Park Han-joo in Haman(咸安) and performed ancestral rites, just befor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Since then, the symbol as a moralist was added on top of the symbol as a loyal subject, and the symbol as a moralist was more fortifi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the exaltation of Park Han-joo was conducted in linkage with the reorganization of country order in Milyang(密陽). In such a process, Park Han-joo was re-evaluated from an ethical perspective in connection with Kim Jong-jik. The exaltation of Park Ha-joo in about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was promoted as the type of social marking including Yerim Seowon(禮林書院) and Yeopyobi(閭表碑). In those days, an attempt to make Park Han-joo as Kim Jong-jik ethics`` orthodox disciple was carried out. The exaltation of Park Han-joo in the 18th century was undertaken in combination with Park Su-choon(朴壽春), a sort of his grandchild. Especially, Sa-Aek-So, a pubic appeal of Namgang Seowon(南岡書院請額疏) was an effort to receive national official approval, which re-enhanced the status of Park Han-joo from the moral perspective. Concerning the main players of exaltation of Park Han-joo, a moralist, expecially, the intention of Milyang Salim(密陽士林), efforts of Milyang Park Family and the cooperation of Yeonwon School of Toegye(退溪)-Hangang(寒岡) were jointly operated. Bottom line is that the true nature of Park Han-joo was restricted and underestimated, as he was named in excessive combination with Kim Jong-jik, Kim Goeng-pil(金宏弼) and Jeong Yeo-chang(鄭汝昌) in the process of making him a moralist. Looking at the works Park Han-joo left, readers can meet him as a good writer that embodies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Struggle for the Realization of Confucian Nation``s Vision and Social Morality" through his full literary competency. His true nature cannot be fully restored with only one side between studies researching Confucian Classics and literary talent. Park Han-joo learned Neo-Confucianism(性理), did not throw away Taoism and Buddhism books, loved to read the Chu Ci(楚辭) and was a good writer. All these images could be the vividly living existence of Park Han-joo. We need to reflect on ourselves about whether what we remember or record are the faces planned in the names of ethics, Confucian shrine and Seowon (lecture hall) or whether we decorate the images of Park Han-joo in the name of initial stage Salimpa again. Since Park Han-joo was recorded and has been remembered being bound by Kim Jong-jik, Kim Goeng-pil and Jeong Yeo-chang more than anyone else, there is a huge possibility that he was underestimated or distorted in duplicate way. Attention should be especially paid to this in studying Park Han-joo.

      • KCI등재

        김시습과 남효온, 추방된 비전과 굴원,초사 수용 -조선전기 정신사의 한 조망대로서-

        김보경 ( Bo-kyeong Kim ) 동방한문학회 2016 東方漢文學 Vol.0 No.67

        This study identified the acceptance of Qu Yuan(屈原) and ChuCi(楚辭) by Kim Si-seup(金時習, 1435~1493) and Nam Hyo-on(南孝溫, 1454~1492) during the reign of Sejo(世祖) to Seongjong(成宗)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expelled vision and response. The poetry and prose of the two people were written in a world where the vision of the Confucian country was expelled at a time of long and painful time of alienation. Their critical mind and acceptance of Qu Yuan and ChuCi had clear differences from the King and the bureaucratic writers. Kim Si-seup put the issue of Qu Yuan and ChuCi at the center of the literary controversy in full scale by realizing it using literature and expressing it with logic. He hovered around the outskirt of the crisis of the time but matched with Qu Yuan who constantly expressed his resentment and hope. The immediate equation beyond the time and space elicited strong emotional responses. They not only included the passive and introvert projection such as yearning, sorrow and regret but also expressed the willingness of action with periodical and social significance and suggested the logic of action. He made Qu Yuan as a faithful subjec(忠臣義士) who constantly raised problems against the social contradiction and a model of gansin (諫臣) who did his duty to deal with the Confucian visions. Nam Hyo-on shared the critical mind of Kim Si-seup, more fiercely confronted the world and exploded sharper hostility to the specific objects. This came from recognition of situation that social inconsistency is more intensifying rather than reduced. He symbolized Qu Yuan as dalin(達人) and positively recognized the afterlife. However, the afterlife is a compensatory analogy of the real world. That is the Confucian ideal society(儒家的 理想社會) established Lao-tzu(老莊)``s territory. In this regard, ‘dalin Qu Yuan’ of Nam Hyo-on and ‘gansin Qu Yuan’ of Kim Si-seup are the faces on the front and back sides in pair rather than two conflicting faces. Kim Si-seup and Nam Hyo-on raised problems of the unjust reality and struggled to recover the expelled vision of the Confucian country. Qu Yuan and ChuCi served as a literary passage. In particular, the two pioneered the new stage of literature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bureaucratic writers by developing criticism and rebellion of Qu Yuan and ChuCi and realizing the tragic sense of beauty and vibrant aesthetic ideas. This is the special literary asset of the early Joseon Period that was created upon the critical mind and literary individuality of the two, driven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a during the reign of Sejo to Seongjong(the world where the vision is expelled).

      • KCI등재

        고려전기 묘지명 연구 -지제고(知制誥) 찬 묘지명을 중심으로-

        김보경 ( Bo Kyeong Kim ) 한국한문학회 2013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1

        본고는 高麗前期 知制誥 찬 묘지명을 대상으로 찬자별로 서술방식과 특성을 분석하고 그 시대적 추이를 살핌으로써 고려전기 지제고 찬 묘지명의 문학사적 의의를 구명 하였다. 고려전기 묘지명은 무신집권기나 고려후기처럼 소수 인물이 찬술을 분점하는 양상은 보이지 않는다. 대신 특징적인 것은 지제고 찬 묘지명이 40% 가까이 된다는 점이다. 이것은 王命으로 佛家의 碑銘을 지었던 전통과 관련이 있으며, 한편으로는 분화된 전문작가가 아직 충분히 형성되지 않은 고려전기 문단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제고 찬 묘지명을 통해 찬자별 특성과 함께 시대적 추이를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예종대 韓沖은 崔思諏·崔繼芳이라는 당대 최대 문벌가문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격례를 잘 갖춘, 그러면서도 대상에 알맞춘 구성법을 활용하고 작자 의식을 투입함으로써 문벌사회에 대응하는 글쓰기 방식을 보여 주었다. 인종대에는 金精이 福寧宮主를 유교의 모범적 여성상으로 닦아 세우고, 또 許載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스토리를 만들어 이미지를 덧댐으로써 강직하고 품위 있는 관료상을 구성하였다. 의종대 초반 金子儀는 權適·尹彦이를 위한 묘지명에서 경전 등 典故를 활용하거나 비유교적 행적을 의도적으로 배제하면서 전략적으로 유교적 군자의 전형을 수립하였다. 의종대 중·후반에 金于蕃은 閔瑛과 같은 이채로운 인물형을 받아들이고 崔允儀를 社稷의 元臣으로 특성화함으로써 묘지명의 대상 확장 및 개성화 양상을 확인케 해 준다. 한편, 문체의 방면에서는 간결하고 조리 있고 세련된 古文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런 데는 예·인종~의종대까지 이어지는 유교 정치이념, 고문에 대한 인식, 蘇軾 묘지명의 학습, 그리고 찬자들의 강한 유학적 성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 묘지명에는, 시기별 차이는 있으나, 국가적 정책 방향, 유교이념, 공공윤리 등이 여느 묘지명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묘주들의 공공지수가 대체로 높고 찬자들이 지제고라는 사실과 관련될 것이다. 그로 인해 묘지명에 그려진 인물의 생동감이 다소간 결여되고 이상화된 방향으로 기울어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한계이다. 그러나 비지류 전통에서 묘지명이 양식적으로 안정되고 유가의 문학으로 자리잡는 데는 이들의 기여가 적지 않았다. 한편, 찬자들은 묘지명이라는 양식적 제약과 지제고라는 위치가 의식되는 상황에서도 자신의 문학적 역량을 발휘하면서 자신(또는 찬자가 속한 집단)의 상황인식, 주제의식, 희망, 의지, 지향 따위를 투사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작품을 만들어냈다. 고려전기 지제고 찬 묘지명이 문예적인 개인적 산문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고려전기 묘지명의 전개는 비명의 전통에 힘입는 동시에 그것을 밀쳐내면서, 또 외부적 요인을 의식하고 그것을 소화하면서 자기의 양식과 수준을 마련하는 과정이었다. 지제고 찬 묘지명은 그 역할을 선두에서 수행하였다. 고려전기 묘지명은 그 스스로 의미 있는 역사이며, 동시에 후대 묘지명의 前史로서도 의의를 갖는다. 무신집권기와 고려후기의 묘지명은 고려전기의 시도와 성과가 계승 그리고 극복·지양되는 과정이 있고서야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emorial inscription in the first term of Koryo by analyzing descriptive methods, features, and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epitaphs. The memorial inscription in the first term of Koryo does not demonstrate the people themselves, as the next generation of inscription does. Surprisingly enough, Ji-Jae-Go(知制誥)`s epitaphs nearly occupy forty percent of all inscriptions. The truth is that these distinctive circumstance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inscription on a monument of Buddhist priests. On the other hand, it also seemed that the first term of Koryo was not ready to produce professional letters in literary circles while it reflected the periodical aspects. Ji-Jae-Go`s epitaphs are evenly spread around the period of the first term of Koryo. Through these memorial inscriptions, we can witness the features and the state of society in that time. In the time of Yejong(睿宗), Han Chung(韓沖) demonstrated peculiar writing styles based on those protagonists of renowned lineages such as Choi Sa Choo(崔思諏) and Choi Gye Bang(崔繼芳). He also invigorated writers` consciousness making the most of appropriate syntax, which was equivalent to the well-noted as in upper class which was familiar to the noble, upper class in society. In the time of Injong(仁宗), Kim Jung(金精) exalted the royal mistress, Bok Nyong(福寧), as the shining example of womanhood and showed Heo Jae(許載) as a influential and decent bureaucratic shape. In the early time of Uijong(毅宗), Kim Ja Ui(金子儀) strategically utilized the classical canon on epitaphs for Kwon Jeok(權適) and Yun Eon yi(尹彦이). He also intentionally defended Confucius` achievements and established stereotypical examples of a noble man. In the middle and later years of Uijong(毅宗), Kim Woo Beon(金于蕃) welcomed a distinctive figure like Min Young(閔瑛) and characterized Choi Yun Ui(崔允儀) as a leading statesman and a trustworthy servant, which confirms the extension of epitaphs and his marked individualit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writing style, They preferred concise and sophisticated Gomoon(古文). It seems that their Confucian ideology, recognition of Gomoon, learning of So Sik(蘇軾)`s epitaph and trend of Confucianism played remarkable roles in the shape of their personality. On these inscriptions, although there exist periodical differences, national position papers, Confucian ideology, and public morality are distinctively reflected. It can be seen that he was closely involved in political situations at that time.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portrayal of a man of worth on epitaph lacks vitality and figures are also somewhat idealized. It is a deniable limitation for him. Despite that, he contributed to boost Confucian literature and settle it down in a stable manner. Meanwhile, regardless of the restriction and limitation of epitaph locations, they demonstrated their literary achievements and traced situational recognition, subjective consciousness, hope, willingness, and future-oriented inclination. That`s why epitaphs of the first term of Koryo have been recognized as a distinctive style of prose in literature. The development of the epitaph in the first term of Koryo not only intentionally resorts to the power of the traditional inscriptions but simultaneously excludes it, welcoming it as its own and preparing for a different standard. Ji-Jae-Go`s inscription was the forerunner in terms of this. Epitaphs in the first term of Koryo are meaningful history themselves. The period of power in arms and memorial inscriptions of the second term of Koryo could have entered the stage by overcoming its boundary and taking over it.

      • KCI등재

        김일손의 김해 유교문명담론과 미학

        김보경(Kim, Bo-kye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0 동양한문학연구 Vol.55 No.-

        본고는 濯纓 金馹孫(1464∼1498)의 김해 관련 기문을 분석하여 김해 유교문명담론과 그 미학적 성취를 고찰하였다. 김일손의 본관은 김해이다. 5대조까지 김해에 살았고 그 당대까지 김해에 여전히 인적·재지적 기반이 있었다. 그의 <임금당기>·<함허정기>·<회로당기> 3편은 성리학적 해석을 통해 김해를 유교문명의 공간으로 전환해 낸 글이다. 김일손은 외형적 아름다움이 아니라 그 내포된 함의, 관계적 의미를 탐색해서 공간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했다. <임금당기>는 흐르는 물과 건축물로 어울림·알맞음이라는 주제를, <함허정기>는 네모난 못과 건축물로 심성·수양과 그 사회적 확장이라는 주제까지 담았다. 전자가 성리학적 조화의 공간을 그렸다면 후자는 성리학적 심성수양의 공간을 제시했다. 이것이 향촌 단위로 구현된 형태가 <회로당기>에 그려진 향촌공동체이다. 그의 공동체 담론은 성리학에 기반하여 새 향촌질서를 수립하고 향촌을 교화하려는 노력이다. 주목할 것은 보편적 유교문명, 성리학적 향촌질서의 수립을 목표로 하되 지역의 고유성·개별성을 존중하고 그 표준을 외부가 아니라 우리 내부-나의 지역(김해), 나의 역사(수로왕) 안에서 찾은 것이다. 김일손은 김해를 재발견하고 유교문명 공간으로 전환하는 과제에 선구적으로 기여한 인물이다. 지역인으로서의 자각을 가지면서도 열등감이 없고 유교적 보편주의를 지향하면서도 고유문화·개별성을 결합해 낸 것은 김일손의 김해 유교문명담론이 가지는 가장 중요한 업적이다. 아울러 그 주제를 드러내는 방식으로서 글의 구성, 문체, 어휘, 수사 등 문학적 역량과 미학적 성취로도 그의 기문은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Takyeong Kim Il-son’s (1464∼1498) discourse on Confucian civilization in Gimhae and its aesthetic achievement were examined by analyzing his historical story books related to Gimhae. The family clan of Kim Il-son is Gimhae. His family lived in Gimhae up to five generations ago and his family root and regional background remained in Gimhae until those times. His three historical story books including <Imgeumdanggi>, <Hamheojeonggi>, and <Hoerodanggi> converted Gimhae into the space of Confucian civilization through neo-Confucian interpretation. Kim Il-son discovered a new meaning of space by exploring external beauty as well as its implication and relational meaning. Running water and a building in <Imgeumdanggi> described the subjects containing harmony and appropriateness and a square-shaped nail and a building in <Hamheojeonggi> described the subjects containing the cultivation of mind and its social expansion. While the former described the space of neo-Confucian harmony, the latter presented the space for the cultivation of neo-Confucian mind. The form realized with a country village as a unit is the country community described in <Hoerodanggi >. His discourse on community is an effort to establish a new country order and reform the counties based on neo-Confucianism. It is notable that he respected the local uniqueness and individuality and searched for a standard from inside us, that is, our area (Gimhae) and our history (King Suro of Geumgwan Gaya), not from outside, while aiming for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Confucian civilization and neo-Confucianism country order. Kim Il-son played a leading role in a project to rediscover and convert Gimhae into a space of Confucian civilization.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 of his discourse on Confucian civilization in Gimhae was to combine unique culture and individuality while seeking Confucian universalism without a sense of inferiority as an important awakened local figure.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his historical story books should be highly valued for its method to reveal its subject, literary capacity, and aesthetic achievement including composition, style, words, and figure of speech.

      • KCI등재

        요가 운동과 등척성 운동의 융복합적 접근이 노인 여성의 하지 근수축 특성 및 건강 체력 변인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Kim, Bo Kyeong),원득연(Won, Deuk Yeon),곽동직(Kwak, Dong Jick),정석률(Jung, Suk Yool),이성기(Lee, Sung Ki)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 형태에 따라 노인 여성의 하지 근 수축 변인과 건강체력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다학제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8주 동안 요가와 등척성 운동 프로그램으로 주 8주동안 주당 3회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운동 시간은 60분간 진행하였으며, 운동 강도는 RPE 11-13으로 진행하였다. 근수축 변인 측정을 위해 TMG(tensiomyography)를 이용하여, Tc와 Dm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건강체력 변인으로는 악력과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Tc는 측정 시기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Dm은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요가 운동군에서 운동 후 증가하였으나, 등척성 운동군에서는 감소한 결과를 나타냈다. 건강 체력 결과로 악력은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유연성은 측정 시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운동 프로그램은 노인 여성의 근수축 특성과 건강체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uscle contraction factors of the elderly women and health related fitness factors according to the forms of exercise by multi and interdisciplinary. The study subjects were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to exercise for eight weeks 8 weeks of yoga and isometric exercise program during the week, time to exercise was conducted for 60 minutes, intensity exercise was conducted in the RPE 11-13. Using a TMG (tensiomyography) for muscle contraction measured variables, we compared the change of Tc and Dm, to the health and physical fitness variables measured the grip strength and flex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c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period, Dm is I was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creased after exercise in yoga exercise group, the results showed a decrease in the isometric exercise group. As a result of health and physical fitness grip strengt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flexi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me of measuremen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an effective exercise program on fitness and healthy muscle contractions characteristic of the elderly woman.

      • KCI등재

        고려시대 묘지명 銘詩의 미학적 특성과 변이 양상

        김보경(Kim, Bo-kyeong)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0 No.-

        본고는 고려시대 묘지명에서 명 특히 압운이 된 명시를 중심으로 그 미학적 특성과 변이 양상을 고찰했다. 찬자의 성격, 작자 의식, 형식과 주제적특성 등을 고려하여 모두 네 시기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11세기이다. 50여 년간 6편의 명이 남아 있다. 이 시기는 묘지명 양식이 도입되어 고려에 정착, 현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두 번째는 12세기에 걸쳐 있다. 숙종~의종 초의 명은 50년간 30여 편이 남아 있다. 知制誥가 찬명에 참여하면서 명이 형식의 완정과 전아미를 더해 갔다. 의종초~명종대에는 30여 년간 70편가량 지어졌다. 이 시기에는 명의 양적 확대와 단형화 현상이 보이며, 대체로 간결하고 진솔한 경향을 띤다. 세 번째는 12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이다. 13세기 전반까지 50년간 50여 편이 있다. 이규보가 찬명을 주도하면서 명은 실용양식을 넘어 예술양식의 궤도로 올라서게 되었다. 이어진 시기에는 70년에 30여 편 지어졌다. 패턴화 양상이 보이지만 자찬 묘지명의 출현 등 양식적 실험이 시도되는 성과가 있었다. 네 번째는 14세기에 걸쳐 있다. 사대부의 성 격을 공유하면서도 저마다의 개성을 드러내는 시기이다. 최해는 명의 개성화 방향을 제시했고, 이곡은 명의 관례에 충실한 편이었으며, 이제현은 명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이어진 시기에는 이색이 주도하면서 명을 사대부의 양식으로 가다듬는 역할을 했다. 고려시대 묘지명 명시는 묘지명 양식의 도입과 함께 역사가 시작되어, 적응과 정착, 성숙과 다변화, 운용의 다양성과 양식적 실험, 양식 독점에 따른동질성과 개성의 길항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성장과 변화를 거듭해 왔다. 그 과정에서 명시는 序와 관련을 맺으면서도 부속품의 위치에 머물지 않고 자신의 영역을 구축해 갔다. 그것은 실용적 성격을 기본으로 하되 한편으로는 예술적 성격을 확대하는 방향이다. 이 점에서 명시는 고려시대 묘지명역사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한문학 역사의 특징적이고 핵심적인 굵은 줄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patterns of the inscriptions on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Dynasty, especially rhymed inscribed poems. The time when the poems were written was classified into four time periods based on the writers of inscribed poems, the writers consciousness, and the forms and themes of inscribed poems. The first is the 11th century. There remain 6 inscriptions that were written over 50 years in that period. This period shows the process where the style of the memorial inscription was introduced, settled and localized in Goryeo. The second spans over the 12th century. There remain about 30 inscriptions that were written over 50 years in the period of King Sukjong s reign to the early period of King Euijong’s reign. As Jijego(official transcriber of royal decrees and edicts) participated in writing inscriptions, inscriptions improved in the completeness and chicness of style. About 70 inscriptions were written over about 30 years in the early period of King Euijong’s reign to the period of King Myeongjong s reign. This period had a remarkable tendency towards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shortened forms of inscriptions along with a tendency of their being largely plain and simple. The third is the period from the late 12th century to the early 14th century. There remain about 50 inscriptions that were written over 50 years in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As Lee Gyu-bo took the lead in writing inscriptions, they were on the track of an artistic style beyond a practical style. In the ensuing period, about 30 inscriptions were written over about 70 years. They were patterned and also style experiments, such as self-written memorial inscriptions, were attempted. The fourth spans over the 14th century. It is a period when inscriptions shared the characteristics of scholar officials and revealed their own unique features. Choi Hae presented the direction of individualization of inscriptions; Lee Gok followed the practices of inscriptions faithfully; Lee Je-hyeon opened a new world of inscriptions. In the following period, Lee Saek took the lead in refining inscriptions into the style for scholar officials. The history of the inscribed poems on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dynasty began with the introduction of memorial inscriptions style, and continued to grow and change through the processes of adaptation and settlement, maturity and diversification, the diversity and style experiment of operation, and the antagonism of homogeneity and individuality due to the monopoly of style. In that process, the territory of the inscribed poem was established in the relationship with prefaces and without staying in the position of accessory or attachment. The territory was based on practical characteristics and oriented towards expanding artistic characteristics.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inscribed poem is a characteristic and central branch of not only the history of the memorial inscriptions in the Goryeo period but also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in thi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