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지하 문학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김미미 ( Mi Mi Kim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용봉인문논총 Vol.40 No.-

        이 연구의 목표는 김지하의 시를 다룬 그간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분석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것은 김지하에 대한 문학 연구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시야를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궁극적인 의미를 갖는다. 본론에서는 먼저 그의 생애를 간략히 살펴보고, 그동안 발간된 작품집의 목록을 정리하여, 김지하의 문학적 세계의 규모를 객관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다음으로는 그의 문학적 세계를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는 학위논문 및 학술논문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위논문은 총 40여 편이었으며, 그 중에서 박사학위논문은 5편, 석사학위논문은 35편, 학술논문은 약 99편 정도가 발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사학위논문은 김지하의 시세계가 아니라 그의 사상적 측면을 주로 연구하였는데, 그것을 세분하여 살펴보면 생명·생태를 연구한 것, 김지하의 시세계의 변화 양상을 전체적인 흐름속에서 정리한 것, 기존의 논의들이 사회·정치적인 측면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을 비판한 것 등이 일관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상 김지하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도 사상적인 측면에 치중되어 있다. 향후에 개진될 연구에서는 이러한 편향성이 극복되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사상가가 아니라 시인으로서의 김지하에 더욱 천착하고 그로부터 작품 자체를 꼼꼼히 분석해 내는 연구들이 많아져야만 할 것이다. 그와 더불어 그가 주창하거나 시도한 ‘생명사상’ 혹은 ‘생태시’에 대한 더욱 면밀한 검토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ademic achievements on Kim Ji-ha’s poetry and then to analyze it, and finally to propose some possible directions of discussion. This literary study has a meaning ultimately, which it provides a range of academic vision to present and future about him. Firstly, we observed his life and, arranged his works list published so far and lastly, then simply reported the scale of his literary world. Next, we tried to observe dissertations and academic essays researching his literary world entirely. The number of former was 40, among the number of that, doctoral dissertations were 5, and master’s dissertations were 35, and academic essay were about 99. Doctoral dissertations examined on the ideological aspect mainly more than of Kim Ji-ha’s poetry. They were classified each researches of bio-ecological aspect, of transformational aspect on his poetry in the whole contexts, and of discussions on existing studies more restricted in the social-political aspect in this study. Even until now, the discussions on Kim Ji-ha were attaching importance to the ideological aspect. The subject of succeeding study is to overcome that. It has also to rise to investigate him not as a ideologist but as a poet. Futhermore, well-thought-out researches on his ‘bio-ideology’ or ‘eco-poetry’ should be taken place.

      • KCI등재

        일반논문 : 시어와 "장소" -김영랑의 시를 중심으로-

        김미미 ( Mi Mi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0

        본고는 시작품 속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지역어에 대해 ‘장소’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시어로서 지역어에 대한 연구가 시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할 수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김영랑의 첫 시집인 1935년에 발간된 『영랑시집』을 대상으로 삼아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지역어로 ‘어덕’과 ‘하날’을 확인하고 이는 여러 정황상 의도적이자 필수적 사용이라고 보았다. 먼저 ‘어덕’은 체험적 공간이 장소화된 것으로서 장소는 개인의 인지구조 형성에 기본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관점의 확립에 기여한다. 김영랑의 경우 ‘어덕’이라는 시어는그가 나고 자란 고향집의 지대(地帶)와 관련이 있다. 또한 ‘어덕’에서의 체험을 통해축적된 개인적 경험이나 사유는 해당 지역어에 응축되어 있으므로 단순한 사전적 의미만을 지닌 표준어로는 표현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하날’은 정서적공간이 장소화된 것으로서 하늘이 갖는 거리감은 시간의 축과 결부되는데 김영랑의 경우는 과거와 연결되었다. 유년시절의 경험을 통해 눈물짓고 올려다 본 하늘은 슬픔의 정조를 동반하며 이미지화되어 고정된다. 일련의 과정은 1차 언어라 할 수 있는 해당 지역어에 함축되어 저장되고 성인이 된 이후에도 특정 지역어의 사용을 통해 당시의 정황이나 분위기를 호출하여 시적 장소를 산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어로서 특정 지역어에는 시인 특유의 경험이나 사유가 함축되어 있고 역으로 이를 분석할 경우, 시를 이해하는데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이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또한 이것이 표준어는 불가능한 지역어가 갖는 힘이며 시어로서의 역할일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for the local language used repeatedly in modern poetry, with some ‘place’ theories. Through this, the very fact is manifested, the study of local languages have a major role in understanding poetry. Preferentially, subject matter is a first volume of poetry, Young-rang-si-zip(1935). Unusual enough, not only ‘어덕[eo-deok]’ but also ‘하날[ha-nal]’ is used repeatedly, and so significantly in that volume. This usage of the words is essential and deliberate. In other words, those words are making-place the space he would have experienced. Actually his hometown is situated on the hill(‘어덕’). Experience on there affects his formation of cognitive structure and perspective. This experience, in fact, is impossible to express in standard language. Whereas the sky(‘하날’) is related to past experience. The sky crying and staring at in childhood is made as poetic image, which is implied in the local language. Right through the language, that implied experience revives even after the adult. As a result, analysis of the specific local language illustrates the important point to understand poetry, That’s not the role of the standard language but local language.

      • KCI등재

        공간성 명사의 시간성 획득 양상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해석 -앞, 뒤, 전(前), 후(後)를 중심으로-

        김미미 ( Mi Mi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2 한국어문교육 Vol.12 No.-

        이 글은 한국어의 공간성 명사, 앞, 뒤, 전(前), 후(後)가 시간성을 획득하는 양상을 인지언어학적(cognitive linguistic) 관점에서 해석하고, 그 결과를 다른 언어와 비교해 봄으로써 이 언어 현상이 실제로 인간의 인지 과정에서 비롯된 것인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공간성 명사 ``앞, 뒤, 전(前), 후(後)``가 은유적 확장을 통해 시간성을 획득하는 과정과 획득된 시간성이 다시 분화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의 공간적·시간적 의미가 언어 내부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된 까닭에 생기는 몇몇 제약적인 현상들과, 이들이 언어 외부적인 문화 요소와 접촉하면서 나타나게 되는 흥미로운 현상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의 ``앞, 뒤, 전(前), 후(後)``가 보이는 이 같은 양상을 다른 언어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지 확인한 결과 중국어, 일본어, 만주어 등에서도 한국어와 동일한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와의 비교 과정에서, 한국어의 ``앞, 뒤``가 과거에 지녔던 공간적인 의미와 시간적 개념을 나타냈던 또 다른 공간어에 대해 보다 폭넓은 관찰을 시도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some aspects that several spatial nouns-앞(Ap), 뒤(Dui). 전(前 Jeon). 후(後. Hu)- extend to temporal nouns by a theory of cognitive linguistics. Furthermore, to identify that such a linguistic aspect is really caused by recognition of human, through comparing the Korean`s with other languages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o. As a result, I identified that the spatial nouns-앞(Ap), 뒤(Dui). 전(前, Jeon), 후(後, Lu)- acquire som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nouns by metaphorical extension, the parts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some constrains of using these nouns are caused of that there are close connections among these nouns in internal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interesting linguistic aspects by contacting these nouns with cultural elements, external language. Lastly, I tried to compare the Korean with some other languages(Korean, Chinese, Japanese, Mancurian). As a result, there are some general linguistic points among these languages. Added to this, It was possible to consider the other Korean spatial nouns and temporal nouns which seem to have similar aspects with 앞(Ap), 뒤(Dui), 전(前, Jeon), 후(後, Hu) through such a comparing process.

      • KCI등재

        박용철 시론 연구- "순수"의 의미지평을 중심으로

        김미미 ( Mi Mi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7

        본고는 박용철의 시론을 대상으로 삼아 기존의 평가를 비판적 관점으로 살펴보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먼저 1934년 하우스만의 시론을 번역하여 발표한 것을 기점으로 삼아 박용철의 시론을 분절적으로 인식하는 태도에 대해 그의 시론이 오히려 일관성을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밝혔다. 그러한 일관성을 관통하는 요소로 ‘언어’에 대한 천착을 제시하고, 그로부터 그의 시론을 관통하는 핵심적 개념인 ‘순수’의 한 측면이 순수하게 ‘문학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박용철이 당대의 현실에 대해 무관심했다는 소박한 낭만주의식 이해와 관련하여 프레데릭 바이저가 새롭게 제시한 확장된 낭만주의 개념을 도입하여 통상적 견해 속에 자리한 ‘순수’의 드러나지 않은 이면으로서 문화적 측면을 살펴볼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문학연구에서 문화연구로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려는 이와 같은 시도를 통해 본고는 박용철의 시론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덧붙여 그의 시론이 다양한 차원에서 재-사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shows a new point of view on Park Yong-chul’s poetics. Firstly, his poetics keeps, regardless of his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A.E. Housman’s poetics in 1934, a coherence. The coherent point which he is interest in poetic language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elucidates the literary aspect in his concept of the purity. Secondly, the purity presents an another view which is unexpected before re-thinking of romanticism at that time. Park Yong-chul, the poet practically has been taking common criticism for indifference to reality. But, this paper here present an extensive concept to romanticism ever. In accordance with that referring to the concept of Frederick Beiser, the purity in Park’s poetics has not only literary, but also cultural one. So, We expect this attempt to become an opportunity of re-searching in his poetics.

      • KCI등재

        공백으로서 ‘민족어’와 ‘낭만’ ― 1930년대 임화와 박용철을 중심으로 ―

        김미미 ( Kim Mi-mi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94

        본고는 1930년대에 ‘기교주의 논쟁’을 통해 강한 시차를 드러내었던 임화와 박용철의 문예관을 동시에 살펴보아 ‘민족어’와 ‘낭만’이라는 기표가 어떤 지점에서 이합집산하는지 살펴본다. 방언의 문학적 가치를 폄훼하였던 임화에게 문학어로서 민족어란 표준어에 기반한 것이며 그 표준어는 대중이 사용하는 투명한 일상어를 의미한다. 반면에 박용철에게 문학어로서 민족어는 표준어와 방언의 구분을 뛰어넘는 것이며 의미 지시 관계가 투명할 수 없는, 일상어 이상의 차원에 존재한다. 그런데 임화가 문학어로서 일상어가 함축성·음악성·연상성을 지닌 아름다운 말이라고 하거나 박용철이 생활하는 민족의 언어를 시어로서 강조하는 장면에서 두 사람의 문예관은 서로를 비추어 반영한다. 한편 감상성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제시한 두 사람의 논의는 낭만이라는 기표의 다른 결을 보여준다. 감상성에 대해 혹평했던 임화는 문예사조로서 낭만주의 이해에 기반해 감상성을 과거 회귀를 통한 현실도피 수단으로 본다. 반면에 감상성을 옹호했던 박용철은 오히려 감정해방을 주장하며 시적 체험이 필연에 의해 시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상성은 무목적의 순수한 것이라고 본다. 그런데 임화가 일련의 낭만에 관한 글을 발표하며 문예 원리로서 낭만을 호명하여 감정의 위상을 끌어올렸을 때, 이는 박용철이 옹호하였던 감상성과 다를 바가 없다. 또한 박용철이 보여주었던 낭만의 세계가 미를 통해 사회의 변혁을 시도한 독일 초기 낭만주의자들의 미학적 이상과 닿아있다고 본다면, 이는 임화가 문예로써 현실을 개혁하고자 했던 것과 다를 바가 없다. 즉 임화와 박용철의 문예관을 ‘민족어’와 ‘낭만’이라는 기표의 변주 양상을 통해 살펴본 결과, 두 사람은 각자 다른 방향에서 같은 목표를 향해 달려왔음을 알 수 있다. 모두 민족의 위기 상황에서 문예를 통해 민족국가를 수호하고자 했던 문학적 고투의 결과물인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literary perspectives of Im Hwa and Park Yong-chul, who revealed a strong disparity through the Technicalism Debate in the 1930s, in terms of how the concepts of “national language” and “romance” converge at a certain point. Im Hwa, who criticized the literary value of dialects, viewed the national language as a standard language based on transparent everyday language used by the masses. In contrast, Park Yong-chul regarded the national language as a literary language that transcends the distinction between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 existing in a dimension beyond everyday language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meaning is not transparent. However, their literary perspectives reflect each other in scenes where Im Hwa describes everyday language as beautiful words with connotation, music, and imagery, or when Park Yong-chul emphasizes the language of the people as a poetic language. The two writers’ opposing views on sentimentality demonstrate another aspect of the concept of romanticism. Im Hwa, who criticized sentimentality, saw it as a means of escaping reality through regression based on understanding romanticism as a literary principle. On the other hand, Park Yong-chul advocated for sentimentality, arguing that the sentimentality that arises inevitably through the poetic experience is pure and non-objective. However, when Im Hwa published a series of writings on romanticism and elevated sentimentality as a literary principle, this was no different from Park Yong-chul’s advocacy of sentimentality.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Park Yong-chul showed is in line with the aesthetic ideals of the early German romantics who attempted to transform society through beauty, this differs from Im Hwa’s attempt to reform reality through literature. Thus, by examining the variations of the concepts of “national language” and “romance” in Im Hwa and Park Yong-chul’s literary perspectives, it is evident that both writers aimed for the same goal from different directions. They produced the result of a literary struggle to protect the nation-state through literature in the crisis situation of their country.

      • KCI등재

        1990년대 ‘신세대’작가의 당대형상화양상 고찰

        김미미(Kim, mi-mi)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6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9

        본고는 1990년대에 새롭게 등장한 ‘신세대’작가와 ‘신세대’라는 호칭이 갖고 있는 이중적 면에 주목하였다. ‘신세대’라는 일종의 고유명사는 저널리즘과 기성문단 일각에서 새롭게 등장한 젊은 작가들에 대한 약간의 이질감과 거부감을 담아 표현한 용어인데 여기서 이질감과 거부감이란 이들이 새로운 흐름을 드러낸 것은 의미가 있지만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도출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본고는 ‘신세대’작가들 중에서 함민복과 장정일의 시를 통해 그들이 실현한 것과 실현하지 못 한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함민복과 장정일은 미학적 시도를 통해 인식론적 변화를 드러내었다. 그들은 언어의 사용에 있어서 통합축을 파괴하고 능동형과 피동형의 혼 란을 초래함으로써 1990년대에 혁명이 퇴장한 자리를 자본주의적 문화생산의 조건들이 장악하는 와중에 당대인들이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탈 중심주의적 세계관의 일단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당대현실을 묘사하는 과정에서 당위적인 것에 대한 열망이나 인식을 드러낸다든지 새로운 시 대의 주체로 변모하는데 실패하는 모습을 드러내는 등 한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함민복과 장정일의 시편들을 통해 1980년대를 지나 1990년 대를 겪은 당대인들의 인식론적 · 미학적 변화상의 과도기적 모습을 살펴 볼 수 있었다.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the doable aspect of ‘new generation’ writer and ‘new generation’ which newly appeared in 1990s. A kind of proper noun, ‘new generation’, is a term to express with some kind of sense of difference and repulsion against newly appeared young writers in a part of journalism and the established literary circles, here, sense of difference and repulsion implies deduction of outcome below expectation, nevertheless their appearance was significant in respect of revealing a new stream. This research investigated what they realized and did not through Ham, minbok and Jang, jeong-il’s poems among the ‘new generation’ writers. Ham, minbok and Jang, jeong-il revealed cognitive change through esthetic attempt. They showed an aspect of confusion of identity that the people of that period experienced and post-centralism world view while the conditions of capitalistic culture production occupied the position which revolution of 1990s had left, by destroying integrated axis causing confusion of activeness and passiveness in respect of using language. However, they showed limitation, eg. revealing passion or cognition for normativeness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reality of that period or failure in changing to the subject of a new era, etc.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ould investigate transition period of cognitive-esthetic change of the people of that period who underwent 1990s through 1980s based on Ham, minbok and Jang, jeong-il’s poems.

      • KCI등재

        폐목질 자원을 이용한 인공지반 녹화용 식생기반재의 제조조건에 관한 연구

        김대영 ( Dae Young Kim ),김미미 ( Mi Mi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0 목재공학 Vol.38 No.3

        도시 내 부족한 녹지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 건물의 옥상 등 인공지반에서의 녹화가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으나 인공지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옥상의 경우 건물에 미치는 하중과 강우 및 관수에 관한 문제를 비롯하여 식물의 성장도 원활해야 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인공토양의 경우 원석을 수입하여 가공 생산하는 것으로, 앞으로 인공지반 녹화가 활성화될시 수입으로 인한 비용 등의 문제로 새로운 대체물질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녹화소재의 단점인 하중과 설치 후 유지 관리를 보완하고자 친환경 대체재료로서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이용한 식생기반재를 개발하고 그 제조조건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본 실험은 폐목재칩과 폐지슬러리의 혼합비와 비료의 주입농도를 달리하여 식생기반재를 제조하고 잔디와 보리를 식생기반재당 1 g씩 파종하여 성장률을 분석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는 0.9:0.1~0.5:0.5의 비율로 혼합되었으며, 그 결과 혼합비율이 0.6:0.4 일 때 잔디는 약 1.5배, 보리는 약 1.9배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또한 비료의 농도가 1%일 때 제조된 식생기반재에서 비료가 첨가되지 않았을 때보다 약 1.3~1.5배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식생기반재의 pH는 7.1~8.8로 약알칼리성을 보였으며 주입된 비료의 농도가 높을수록, 폐목재칩의 혼합량이 많을수록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비료 용찰실험 결과 비료를 첨가하지 않은 칩과 비교시 비료를 첨가한 칩에서 인, 칼륨, 몰디브덴의 성분이 높게 나온 것으로 보아 비료의 주입은 성공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cityward tendency of the population caused the building crowd and the skyscrapers, and destroyed the cityscape and ecosystem of the city. For this reason, many researchers studied to make more green spaces in the city. The roof greening is one of the methods to get the green spaces in the city.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is method such as the safety load, growth of the plants on the artificial foundation, and so 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waste woodchips and the waste papers as a new materials for the artificial foundation. The new artificial foundation was made of the waste woodchips and the waste papers with the different ratio of mixture (woodchips, paper slurry, and fertilizer). The artificial foundation was applied to the planting of three different plants (creeping bentgrass, barley, and wheat).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of the plants with 1% of fertilizer was higher than other conditions. The best making condition of foundation was 40% pulp and 60% woodchips in the germination of all plants.

      • KCI등재

        폐목질 자원을 이용한 옥상녹화용 식생기반재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대영 ( Dae Young Kim ),김미미 ( Mi Mi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08 목재공학 Vol.36 No.1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도시 곳곳에 인공구조물이 건설되면서 녹지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녹지공간의 축소는 도시의 열섬현상, 지구온난화 등을 가중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물의 옥상과 같이 버려진 공간을 이용한 옥상녹화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옥상녹화 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것은 건물에 미치는 토양의 하중으로 건물에 부하되는 하중을 줄이기 위해 경량성 녹화소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성 소재인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이용하여 녹화용 식생기반재를 제작하였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의 사용은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의미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60 : 40으로 혼합하고 습윤지력증강제의 처리를 달리하였고, 보수력을 위해 표면사이즈제를 처리하여 각 처리 조건에 따라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15%의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한 식생기반재가 습윤 시 최대의 강도를 보였고, 표면사이즈제를 도포하지 않은 식생기반재에서는 도포한 것에 비해 높은 수분증발량을 보여 표면사이즈제가 보수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흡수 시 두께변화는 1 mm 이하로 그 변화가 적어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식생기반재의 pH는 7.6~8.25로 중성에서 약 알카리성으로 나타났다.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on rooftop greening that can be installed in abandoned spaces on a building roof. The most important issue in rooftop greening is the soil weight problem. The light greening materials are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many alternative materials against the soil were investigated for rooftop greening. In this study, the waste wood chips and the waste paper slurry were evaluated as the lightweight vegetation foundation for rooftop greening. It also has a meaning for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The mixture ratio of waste wood chips to waste paper slurry for the board (the foundation of greening) was 60 to 40. The wet strength resin and the sizing agent were additionally added with different amount. After the forming of the boar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tested with the variation of wet strength resin and sizing agent. As the result of the test, the board with 15% of wet strength resin in the wet condition showed the highest strength. Futhermore, the moisture evaporation loss from the board surface with sizing agent was much lower than that from the board without sizing agent. Therefore, it was clear that the sizing agent was effective for water retention. The change of thickness in the wet condition was less than 1 mm, and it showed that the board is the predominant material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The average pH value of the board was ranged from 7.6 to 8.2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