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플라톤의 유비는 사이비 설명인가?

        김명순,Myoung-soo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5 철학과 문화 Vol.32 No.-

        라이헨바하는 플라톤의 철학을 사이비 설명이라고 비판한다. 이 글 에서는 라이헨바하의 비판이 타당하지 않음을 논증한다. 라이헨바하의 비판은 플라톤의 유비가 무엇이든 설명하려는 대상을 인간 또는 인간의 활동에 유사한 것으로 치부하여 설명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그의 유비가 결국 상상의 산물이라는 것에 근거한다. 이런 라이헨바하의 비판은 유비 일반이 학문의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없음을 주장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필자는 플라톤이 그의 철학을 전개하는데 있어 유비를 진지하게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라이헨바하가 비판 하듯이 인간과 관련 없는 설명대상을 인간 또는 인간의 활동에 유사한 것으로 엮어 설명하는 방식이 아님을 보임으로써 라이헨바하 비판을 반박한다. 또한 유비가 우리에게 설명의 목적인 이해를 가져다주는 기능을 성공적으로 해내고 있으며, 비연역논증의 한 유형을 구성함으로써 주장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I examine Plato's analogies in his works, Politeia and Timaios, and show that his analogies are not pseudo explanations. Reichenbach argues that plato's philosophy covered with analogies gives pseudo explanations because his analogies are based on anthropomorphism. But I argue that Plato's analogies in the works are not based on anthropomophism and help to produce understanding which is an essential function of explanation. And I show analogy works in both argument and explanation and has a special function like Boyd's theory-constitute metaphor.

      • KCI우수등재

        영아반 그림책 읽기 활동, 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행동 및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정지은(Jee Eun Jeung),김명순(Myoung Soon Kim) 한국아동학회 2012 아동학회지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oddlers` vocabulary ability with reading activities and teacher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during book reading. The subjects were 52 teachers and 104 toddlers at age 2. Lee and Kim (2004)`s categories of the Teachers` Verbal Behaviors, the categories of the Nonverbal Behavioral Analysis(Kim. 2005), and the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Kim, et al.1995) were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and Correl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subcategories of reading activities in classrooms, teachers` picture book reading behaviors, and toddler`s vocabulary ability. The toddler`s vocabulary ability increased as the ``interacting time both before and after book reading`` became longer. The toddler`s vocabulary ability increased as ``connecting with previous experience``, ``asking questions for confirmation``, ``acknowledging,`` and ``expanding`` of verbal behavior, as well as the nonverbal behavior, such as ``requesting behavior``, ``emotional contact,`` and ``empathetic behavior.`` In conclusion, teachers` reading behaviors and activities were related to toddlers` vocabulary ability.

      • KCI우수등재

        만 3∼5세 교실 문해환경이 유아의 어휘력과 인쇄물 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명순(Myoung Soon Kim),김혜진(Hye Jin Kim)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n the young children`s vocabulary abilities, and the concepts of print matter. The subjects consisted of 276 children aged 3 to 5 enrolled in 93 classrooms in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e Early Language & Literacy Classroom Observation Pre-K (Smith, Brady, & Anastasopoulos, 2008), the Picture Vocabulary Test (Kim, Jang, Yim, & Bae, 1995) and the Concepts About Print (Kim & Kim, 2004)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means of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vocabulary abilities and print-concepts of children aged 3-5 were more likely to increase when a rich classroom environment was provided for the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be important for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to provide them with an enriched ``language environment`` within the classroom, the quality of ``books and book reading``, and the active utilization of ``print and early writing`` all being important elements of this.

      • KCI우수등재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명순(Myoung Soon Kim),김길숙(Gil Sook Kim),박찬화(Chan Hwa Park) 한국아동학회 2012 아동학회지 Vol.33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 Children`s Playfulness Rating Scale (CPRS) and to analyze it in terms of item discrimin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861 parents whose children were aged from three to six years old. The item discrimination, determined by comparing the highest and lowest group using χ2, Cramer`s V,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The reliability of factors, as measured by Cronbach`s a, ranged from .85 to .95.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4 factors and 35 items were then selected from the 45 items in the original scale. The four factors identified were as follows; (1)leading participation (2)cognitive flexibility (3) expression of joy (4)voluntary full immersion.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established by using correlations between the CPRS and CPS (Children`s Playfulness Scal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hildren`s Playfulness Rating Scale is both reliable and valid.

      • KCI등재
      • KCI등재

        실외놀이터 놀이 영역과 영유아 놀이행동 및 신체활동성 간의 관계

        김명순 ( Kim Myoung Soon ),신혜영 ( Shin Hye Young ),신보원 ( Shin Bo Won ),남진경 ( Nam Jin Ky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실외놀이터의 놀이영역과 영유아의 놀이행동 및 신체활동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S구에 위치한 대학 부설 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영유아 140명을 대상으로, 기관 내 환경적 특성이 다르게 구성된 4개 실외놀이터에서 놀이행동을 관찰하고, 동작가속도계를 착용하도록 하여 신체활동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외놀이터 놀이영역에 따라 영유아의 놀이행동 및 신체활동성 간의 관계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관에서 영유아 놀이 지원 및 신체활동성 향상을 위한 실외놀이터 환경 조성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the outdoor playground areas and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physical ac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0 children aged 2-5 who attended a university-affiliated educational institution located in Seoul. Their play behaviors were observed in the institution’s 4 playgrounds equipped with differ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via accelerome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through the SPSS 25.0 program. The findings revealed a variety of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outdoor playground area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ble methods to create playground environment that can support children’s play and promote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 설정 양상

        김명순 ( Kim Myoung-soon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60 No.-

        본고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서 내용 요소가 설정된 것을 계기로 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요소(학습 요소)가 설정되어 온 양상을 고찰하였다.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요소라는 용어가 쓰였는데, 알아야 할 것으로서의 교육 내용을 의미하며 본질, 원리, 태도 범주의 개별 교육내용(`내용`)을 가리켰다.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개별 교육 내용과 구분하여 내용 요소를 설정하였다. 해당 성취 기준에 도달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상황에서 배우고 가르쳐야 할 학습 내용을 의미하며 개별교육 내용에 부속시킨 하위 내용들(`내용 요소의 예`)을 가리켰다.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내용 요소가 담화와 글의 수용과 생산 활동에서 요구되는 세부적인 지식, 기능, 태도를 의미하고 개별 교육 내용(`내용 성취 기준`)을 가리켰다.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내용 요소와 학습 요소가 모두 설정되었다. 내용 요소는 학년(군)에서 배워야 할 필수학습내용으로, 학습 요소는 성취기준에서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학습 내용을 핵심어로 제시한 것으로 규정되었다. 내용 요소는 개별 교육 내용(`성취기준`)을 추출하는 상위 자원으로, 학습 요소는 개별 교육 내용(`성취기준`)에서 제시되어 나오는 관계로 설정하였지만, 실제로는 내용 요소, 성취기준, 학습 요소가 차별성 없이 반복되는 현상을 나타냈다. 고찰의 결과 전반적으로 내용 요소의 개념이 일관되게 사용되지 못한점, 내용 요소라고 하면서 요소로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점, 내용 요소의 층위 변동이 컸던 점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what was changed on the content elements which should be taught and learned from the 7th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The following table shows its results.

      • KCI등재

        국어 교과서의 변화 경향과 2007 개정 국어 교과서의 특징

        김명순 ( Myoung Soon Kim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1 청람어문교육 Vol.44 No.-

        국어 교과서는 과거 독본에서 출발해 5차 국어 교과서에 와서 언어 사용 활동 교재로서 성격이 분명해졌다. 활동 교재는 이후 국어 교과서의 기본 성격으로 자리 잡았으며, 2007 개정 국어 교과서에서도 변함없이 나타났다. 국어 교과서에서 지식 학습에 대한 강조가 달라져 왔다. 1차, 2차, 3차 국어 교과서에서는 지식 학습에 대한 고려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4차 국어 교과서에서는 국어과 고유 목표가 강조되고 지식적 내용이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5차 국어 교과서에서는 언어 사용 활동이 강조되어 지식 학습에 대한 고려가 약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6차 국어 교과서는 5차 국어 교과서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7차 국어 교과서는 지식적 요소가 보완되는 모습을 보였다. 2007 개정 국어 교과서에서는 지식 학습이 강화되는 특징이 있었다. 그리고 지식적 요소가 기능 학습과 관련되지 않고 직접 다루어지거나 지식 자체의 재인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았다. 국어 교과서의 단원 간 구성 체제는 1단원 1영역 체제에서 1단원 다영역 체제로 변화해 왔다. 1차 국어 교과서로부터 6차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이르기까지 대체로 1단원 1영역 체제였다. 7차 국어 교과서에 와서 제한적이지만 1단원 다영역 체제가 나타났다. 2007 개정 국어 교과서에서는 1단원 다영역 체제가 활성화되고 영역의 결합이 다양해졌다. 이와 관련하여 『국어』와 『생활 국어』의 관계도 다양해지는 변화가 나타났다. 국어 교과서의 전통적인 단원 내 체제에 큰 변화가 나타난 것은 7차 국어 교과서에서였다. 읽기 전 활동과 읽기 중 활동이 도입되어 학습 활동 체제를 과정 중심 체제로 변화시켰다. 2007 개정 국어 교과서는 전체적으로 7차 국어 교과서의 과정 중심 체제를 유지하면서 세부적으로 정교화된 특징이 있었다. 그러나 체제가 과도하게 복잡해진 경향도 있었다. 향후의 교과서 개발에는 2007 개정 국어 교과서가 보인 지식 활동, 1단원 다영역 체제, 단원의 내부 체제가 지닌 문제점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Recently Korean textbooks in the 2007 Revised Korean Curriculum period [the following, 2007 Revised Korean textbook] have introduced in the classroom. It`s tim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2007 Revised Korean textbook in the continuum from the past Korean textbooks. One of the notable feature of Korean textbooks in the early periods is a reading book. Gradually the basal nature of Korean textbook is turned into a activity book intended to use language. This nature is made explicit in the 5th Korean textbook, and succeeded to by now. The Revised 2007 Korean textbook has no difference in this basal nature. The knowledge is not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from the 1st Korean textbook to the 3rd Korean textbook. But it is considerably emphasized in the 4th Korean textbook. It becomes weaken again in the 5th Korean textbook and the 6th Korean textbook. In the 7th Korean textbook, the concern about knowledge is revived as a result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language skills. In the 2007 Revised Korean textbook, the knowledge is remarkab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learning elements, and shaped in various learning activities. Traditionally the unit of Korean textbook is designed for one field among 6 fields-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and literature. But in 7th Korean textbook, it reveals the unit designed for two or three fields in limited range. One characteristics of the 2007 Korean textbook, it reveals the full-range integrated unit in various ways. In the side of internal system of unit, traditionally most of units in Korean textbook have been organized in form of ``guide to unit, materials, learning activities, and the ends of unit``. There is a great change in 7th Korean textbook. It is that reading-before activity and reading-during activity is newly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ystem of unit. In the 2007 Revised Korean textbook, this system is elaborated and complicated.

      • KCI등재

        혼합연령과 동일연령 학급 구성 및 놀이성에 따른 유아의 놀이행동

        김명순(Kim Myoung-Soon),유정은(Yoo Jung-Yeun),이민주(Lee Min-Joo),조항린(Cho Hang-R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혼합연령반과 동일연령반 만 3, 4세 유아의 놀이행동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혼합연령반과 동일연령반 유아의 놀이행동이 학급연령 구성과 놀이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대학부설유치원의 만 3, 4세 유아 총 1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동일 연령반에 속한 유아가 75명이었고, 혼합연령반의 유아가 총 84명이었다. 동일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학급의 연령 구성을 달리하여, 한 해는 동일연령반으로, 한 해는 혼합연령반으로 구성하여 각 유아의 사회·인지적 놀이행동을 관찰하였다. 놀이성은 Barnett(1990, 1991)의 척도를 이용하여 교사평정으로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연령반이 동일연령반보다 혼자놀이는 적게 하였고, 집단놀이, 상징놀이는 더 많이 하였으며, 비참여 및 공격적 행동은 적게 나타났다. 둘째, 학급 연령 구성과 놀이성 수준에 따라 유아의 놀이행동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놀이성 수준이 낮을수록 혼자놀이를, 놀이성 수준이 높을수록 집단놀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놀이 중 상징놀이에서는 놀이성 수준 상, 중, 하 집단 모두에서 동일연령반보다 혼합연령반에서 상징놀이가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s and playfulness in mixed- and same-age classrooms for two years. The subjects were 159 3- and 4-year-old children from a university lab in Seoul, 75 children in same-age classrooms in the first year and 84 children in mixed-age classrooms in the second year. Direct observations using time sampling were conducted. For two years, the operated program had been identical except age organizations of classrooms. The teachers rated each child's playfulness using CPS(Barnet, 199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and two-way ANOVA using SP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mixed-age classrooms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group play and dramatic play than children in same-age classrooms, but less engaged in solitary play and non play such as aggressive behaviors. Second, children's play behavio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composition of the classroom and the playfulness. The higher score the children were rated in playfulness, the more they participated in group play. In all groups of playfulness' level, children in mixed-age classrooms showed more dramatic play than children in same-age class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