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김동식(Kim Dong-shik) 한국현대문학회 201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0

        이 글은 한국문학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규정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겪어왔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이 주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는 주로 고전문학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다보니 근대문학 관련 자료들이 참조의 대상에서 많은 부분 누락되었다. 이 글에서는 근대문학 관련 자료들을 폭넓게 참조하면서 역사적으로 한국문학의 자기규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주제화되었는지를 살폈다. 1910년대 안확과 이광수의 논의들, 1920년대에 있었던 이광수와 경성제대의 대립, 1930년대의 『삼천리』의 설문과 임화의 『신문학사』, 1950년대 초반 정병욱의 한문학=한국문학 논의, 이병기 · 백철의 『국문학전사』와 조윤제의 『한국문학사』, 1970년대 김윤식 · 김현의 『한국문학사』에서 이루어진 근대성 논의, 1980년대 구비문학을 통해서 문학사를 재구성한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 그리고 최근에 구체화된 북한문학, 디아스포라 문학, 이중어 문학공간 등에까지 연구의 대상을 확대하였고 역사적 맥락을 재구성했다. 한국문학은 자기규정의 역사 속에서 중층적으로 구성되어왔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복잡성을 증대시키는 쪽으로 움직여왔다. ‘한국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은 한국문학의 역사적 무의식들을 드러내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에 대한 자기배려의 의지를 생성하는 계기였다. This article inquires how the regulations regarding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Korean literature historically have been changed.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is theme have mostly carried out with and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o far. Hence the substantial portion of research materials referred to in Korean modern literature has undergone left out. The methods by which the self-definition of Korean literature stipulated and thematized in historic phases are supplied herein with the ample consultations on diverse Korean modern literature references: Ahn Hwak and Lee Kwang-su's opinions in 1910s, Lee Kwang-su's confrontation with Kyoungseong Imperial University in 1920s, a questionnaires of SamCheonli(三千里) in 1930s, Jung Byung-wook's controversial opinions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Korean Chinese Literature) equal to Korean literature' in early 1950s, Lee Pyoung-ki & Paek Cheol's The Whol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國文學全史) and Cho Youn-je's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史), the 1970s' modernity discourses brought up by Kim Yun-sik & Kim Hyun's in their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史), Cho Dong-il'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韓國文學通史) which was based on the oral literature studies. Furthermore, North Korean literatures, the diaspora literatures and bilingual literary sphere are engaged herein as well to reshape the historical context within my expanding process of study objects. Korean literature has constituted itself onto the multiplicity of layers in the self-stipulation-wise history and moved toward increasing the complexity both inwards and outwards in the meantime. The question or the quest on ‘What is the Korean Literature?’ has not only uncovered its unconscious, but also served as a momentum to beef up the will to take care itself.

      • KCI등재

        1930년대 비평과 주체의 수사학

        김동식(Kim Dong-shik)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임화ㆍ최재서ㆍ김기림은 각자의 주제적인 관심에 따라 비평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문학적 주체의 근거를 탐색했던 1930년대의 대표적인 비평가들이다. 이들은 원래부터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자아(moi)가 아니라 비평공간의 상징적 질서 속에서 재/구성되는 주체(subject)를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에서 본격적으로 문제삼은 최초의 비평가들이다.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 부분은 임화 최재서 김기림이 비평적 주제를 공유하고 논의를 펼쳤던 지점들에 대한 검토이다. 기교주의를 둘러싸고 임화와 김기림이 벌였던 논의, 김기림과 최재서에 의해서 논의된 풍자문학의 의미, 최재서의 리얼리즘 논의에 대한 임화의 대응 등이 그것이다. 두 번째 부분은 세 사람의 비평에 등장하는 주체의 수사학 또는 구성 원리에 대한 검토이다. 최재서의 경우 전통에 뿌리를 둔 자생적이고 통일적인 주체를 꿈꾸었다. 과도기적 혼돈성으로 요약되는 현대의 위기를 통일적인 주체성의 확립을 통해서 버텨나가고자 한다. 반면에 김기림은 시대적인 변화를 움직이며 관찰하는 주관성을 지향한다. 그의 이러한 원칙은 비평을 시작한 1930년대부터 납북되기 이전까지 조금의 변화도 보이지 않는 원칙이었다. 임화의 경우 변증법의 정지상태를 넘어설 수 있는 실천적 근거를 작품 또는 텍스트 속에서 집요하게 찾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주체는 변증법의 살아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었다. 2008년은 이들 세 사람의 비평가가 탄생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2007 is th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the three representative literary critics in the 1930s, Choi Jae-Seo, Im Hwa, and Kim Gi-Rim. This article reviews interconnections between them through examining their criticisms. Kim and Im argued with each other in the technicalism debate, and as a result, Kim reorganized the composition of poetry of totality and Im moved forward the great romanticism. Meantime, Kim and Choi met in the field of satire. While Kim perceived sarcasm as a vehicle in that it made intellectualism go forward criticism of civilization, Choi suggested a split model of the subject from the satirical literature. Finally, Choi and Im met in the sphere of realism. Choi focused on the post-delimitation of realism but Im insisted the victory of realism which Balzac managed. In conclusion, Choi suggested a forming process of the unified subject as a principle of critique, Kim maintained the flexible subjectivity, and Im intended creative criticisms which could produce themselves.

      • KCI등재

        논문 : 신소설과 철도의 표상 ; 이인직과 이해조의 소설을 중심으로

        김동식 ( Dong Shik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9 No.-

        이 글은 신소설에 나타나는 철도의 표상에 대한 연구이다. 이인직의 『혈의누』, 『혈의누 하편』, 『귀의성』, 『은세계』와 이해조의 『고목화』, 『빈상설』, 『모란병』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일반적으로 철도는 근대의 표상으로 이해되지만, 이 글에서는 철도가 형성하는 교통-통신의 네트워크에 주목했다. 철도는 단순히 근대적 문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화륜선, 우편, 전신 등과 결합하여 교통-통신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기축이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가 형성하고 있는 교통-통신의 네트워크가 어떠한 양상으로 신소설에 재현되고 있는지를 살피고자 하였다. 『혈의누』는 교통-통신의 네트워크가 세계(globe)에 대한 공간적 인식을 새롭게 구성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작품이며, 『귀의성』은 외견상 축첩제도의 비극을 다룬 작품으로 보이지만 철도-우편-전신의 통합적 네트워크에 근거한 소설이라는 사실을 고찰했다. 『빈상설』을 통해서는 세계표준시가 사회적으로 제도화되는 양상을 살폈고, 『은세계』를 통해서는 철도가 전근대적 시간에서 근대적 시간으로 이어지는 시간의 스펙트럼을 제시하는 미디어라는 사실을 고찰했다. 『고목화』와 『모란병』을 통해서는 조선의 철도역 부근 지역이 식민화된 장소로 표상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쌍옥적』의 경우 철도 범죄와 기차 안 독서 장면을 통해서 익명적 대중의 출현을 반영하고 있음을 밝혔다. 철도의 네트워크는 신소설에게 동시대성을 부여하는 현실적 근거였으며, 그와 동시에 신소설은 철도에 대한 상징적으로 일반화된 미디어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railroad shown in ``Sinsosoel``.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 Lee In-Jik`s novels such as Hyul-eui-nu(Tears of Blood), the sequel to Hyul-eui-nu, Kwi-eui-seong(The Sound of Ghost), and Eun-se-gye(The World of Silver) and Lee Hae-Jo`s Ko-mok-wha(The flower of Old Tree), Bin-sang-seol(Hair on Snow), and Mo-ran-byeong(Peony Porcelain Bottle). Railroad is generally understood as a representation of modern times, however, much attention is paid to the traffic-communication networks which the railroads laid in this paper. Railroads did merely not belong to the products of modern civilization, but did the key role to make the traffic-communication networks combining with steamers, posts, and telegraphic communications. I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 traffic-communication networks formed by railroads are represented in the above mentioned novels. With that purpose, I found out these: Hyul-eui-nu is a literay work that demonstrates how the traffic-communication networks shaped the spatial recognition of the globe anew. Kwi-eui-seong is seemly a novel dealing with the tragedy of concubinage or domestic tragedy, and is supposedly founded on the integrated railroad-post-telegraphic communication networks besides. And by investigating into Bin-sang-seol, the process and aspects of which GMT(Greenwich Mean Time) has been socially institutionalized was sought. In addition, through Eun-se-gye, the railroad is considered as a medium which paved the spectrum extending from the premodern to the modern times. Finally, I discovered that the adjunct areas of railroad station in Chosun was represented as colonized space in Ko-mok-wha and Mo-ran-byeong, and seized the appearance of the anonymous public committing the crimes or reading books on the train and neighboring stations. Thus, the railroad networks was, so to speak, a practical evidence assigning ``Sinsosoel`` with the simultaneousness. On the contrary, ``Sinsosoel`` was the symbolically generalized media of the railroad.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의 교차하는 텍스트와 이야기의 새로운 기원(起源) : 소설 『아랑은 왜』와 영화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의 비교

        김동식 ( Kim Dong-shi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0 No.27

        이 글은 장편소설 『아랑은 왜』와 영화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를 비교한 것이다. 『아랑은 왜』는 2001년 김영하가 발간한 장편소설로서, 한국의 아랑 전설을 현대적 기법으로 고쳐쓴 작품이다.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는 미타니 고키[三谷幸喜] 감독이 1997년에 연출한 영화로서, 라디오 생방송 드라마를 제작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아랑은 왜』는 메타소설과 인터랙티브소설의 기법을 활용하면서 전근대적인 전설을 근대적인 추리소설과 포스트모던한 판타지소설로 변형시켜간다. 또한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는 「운명의 여」라는 상투적인 대본에서 출발하여 법정드라마, SF적 요소, 재난영화, 페미니즘 드라마 등의 장르를 거치며 원래의 대본과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두 작품은 이야기를 고쳐쓰는 과정을 통해서 ‘새로운 이야기는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탄생하는가’라는 물음과 ‘이야기를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제기하고 있다. 두 작품이 이러한 물음을 제기한 이유는 1990년대 이래로 제기된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에서 문학의 위상을 새롭게 인식하고 문학의 위기를 헤쳐나갈 방법을 모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비슷한 시기에 발표된 한국의 장편소설과 일본의 영화를 비교함으로써 21세기 동아시아의 문화적 현재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compare the novel “Why Arang” with the movie “Welcome! Mr. McDonald”. The full-length novel “Why Arang” was published in 2001 and re-written by Kim Young-ha. His modification work can be said to the result from his penchant for Korean age-old legend “Arang” and his elaborate literature transformation using modern literary techniques. “Welcome! Mr. McDonald” is a Japanese movie premiered in 1997, directed by Mitani Koki, where he dealt with the process of making the live radio drama 'Dame Fortune'. “Why Arang” parlayed the meta-fiction and the interactive novel techniques into transformation. As for that result, the modern detective and post-modern fantasy novel broke from the pre-modern legend. Meanwhile, “Welcome! Mr. McDonald” which started from a stereotypical screenplay, came to an utterly different story from the original one, way through the various genres such as courtroom drama, disaster film, SciFi movie, and feminism soap-opera. Both raised the questions: (1) In which process would it be necessary to make the story anew?, (2) What could be done with the story? in the process of rewriting, or conversion. The major causes of posing questions are likely conjured up: Firstly, both the artists had been finding for the breakthrough which help them win on the crisis of the literature since 1990s. And secondly, they had been aware of the changed literary status in the digital media surroundings since then. As I have already mentioned, this article is to ascertain the 21st century's east-asian cultural nowness by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from a Korean novel and a Japanese film released about the same time.

      • KCI등재

        철도의 근대성 - 「경부철도노래」와 「세계일주가」를 중심으로

        김동식(Kim Dong-Shik) 돈암어문학회 2002 돈암어문학 Vol.- No.15

        문화적 문학연구는 근대성의 미시적 영역에 대한 고고학적인 탐색이며, 근대성을 경험적인 차원으로 불러들여 술어화(術語化)하는 과정이다. 근대성을 이념형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경험으로서 재서술(再鉉述)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철도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의 근대성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철도는 근대성의 이념적 표상이자, 한국사회가 경험한 압축적 근대를 유비적으로 보여주는 상징이며, 근대성과 관련된 경험의 역사(성)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이 글의 목표는 철도와 관련된 문화사적인 맥락을 원용하여 보다 섬세하고 풍요로운 문학해석의 충위를 열어 보이는 과정에 있다.<br/> 한국인으로서 최초로 철도를 경험한사람은 1876년 수신사(修信使)의 자격으로 일본에 다녀온 김기수(金統秀)이다. 열차를 앞에 두고도 알아보지 못한 것을 보면, 기차에 대한 사전 정보나 지식이 전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의 철도 체험은 파노라마적인 풍경과 균질적인 공간으로 대변되는 근대적 공간에 대한 한국인 최초의 경험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철도가 부설되면서 한국사회에도 변화가 밀려왔다 기차는 자연적인 지형의 종속으로부터 자유로운 길, 또는 왕실의 권위와 무관한 곳에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직선 형태의 평평한 길을 만들어 내었다. 그것은 새로운 풍경이었다.<br/> 철도가 가져온 공간적인 변화는 놀라운 것이었다. 하지만 전적으로 조선인들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는 점에서 한없이 착잡한 것이기도 했다. 당시에 철도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규정한 것은 전쟁이었다. 철도의 소유권은 해당 영토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권과 직결되는 문제였고, 실질적으로는 국경(의 대체) 개념이기도 했다. 철도가 닿는 곳까지가 그 나라의 영토라는 생각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는 문명개화의 상징이었다. 기차의 고동소리는 완고한 꿈을 깨우는 각성의 소리였다. 자연스럽게 새로운 세계에 대한 기대감의 표현으로 이어졌다. 반면에 철도부설과 관련된 농촌사회의 피폐함을 지적하는 시가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시가들에서 기차의 기적소리는 땅을 빼앗긴 농민들의 울음이다. 철도는 계몽(반봉건 문명개화)과 취몽(제국주의적 침탈) 사이에 놓여진 현실적인 경계선이었으며, 교통의 편리와 식민지적 종속의 모순적인 결합 양태였다.<br/> 철도와 관련해서 가장 주목할 만한 작가는 최남선이다. 최남선은 「경부철도노래」를 통해서 철도가 만남의 형식이자 문학적 상상력의 원천이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동시에 그의 「세계일주가」는 철도가 땅 위에 그려진 거대한 글쓰기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철도와 관련된 최남선의 공간인식이 지리학적인 공간(지도의 기호 차원으로 환원되는 공간인식)에 입각해 있으며, 구체적인 도시들은 이름의 차원 달리 말하면 기호의 차원으로 균질화되어 있다는 점이다. 자연 풍경과 유기적으로 결부되어 있던 공간인식이 아니라, 좌표축 위의 일정한 시점 아래에서 통일적으로 규정되는 기하학적인 공간 파악으로 옮겨간 것이다. 「경부철도노래」와 「세계일주가」는, 철도라는 글쓰기로부터 분절되어 나오는 체계적인 주석이며, 일종의 기호 놀이이다. 철도 노선이 그려진 지도를 앞에 놓고 기차역들을 따라가면서 바로 그 지도 위에다 기차역과 관련된 사항들을 기록하는 상상력의 놀이와 같다.

      • KCI등재
      • KCI등재

        IEEE 802.15.4g SUN 시스템용 RF 주파수 합성기의 구현

        김동식(Dong-Shik Kim),윤원상(Won-Sang Yoon),채상훈(Sang-Hoon Chai),강호용(Ho-Yong Kang) 대한전자공학회 2016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3 No.12

        본 논문은 0.18㎛ 실리콘 CMOS 기술을 이용한 IEEE802.15.4g SUN 체계의 센서노드 무선통신부에 적용할 수 있는 RF 주파수 합성기의 구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안한 주파수 합성기는 고속 저잡음 특성을 얻기 위하여 VCO, 프리스케일러, 1/N 분주기, Δ-Σ 모듈레이터 그리고 PLL 공통 회로 등의 설계 최적화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VCO는 NP 코어 구조와 13단 캡 뱅크를 각각 적용하여 고속, 저잡음 및 광대역 튜닝 범위를 확보하였다. 제안된 주파수 합성기를 칩으로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 출력 주파수 범위는 1483MHz∼2017MHz, 위상잡음은 100KHz 오프셋에서는 -98.63dBc/Hz, 1MHz 오프셋에서는 -122.05dBc/Hz로 양호한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paper describes implementation of the RF frequency synthesizer with 0.18㎛ silicon CMOS technology being used as an application of the IEEE802.15.4g SUN sensor node transceiver modules. Design of the each module like VCO, prescaler, 1/N divider, Δ-Σ modulator, and common circuits of the PLL has been optimized to obtain high speed and low noise performance. Especially, the VCO has been designed with NP core structure and 13 steps cap-bank to get high speed, low noise, and wide band tuning range. The output frequencies of the implemented synthesizer is 1483MHz∼2017MHz, the phase noise of the synthesizer is –98.63dBc/Hz at 100KHz offset and –122.05dBc/Hz at 1MHz offs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