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구조 장기전망: 인구구조 변화의 영향을 중심으로

        김동석,Kim, Dongseok 한국개발연구원 2006 韓國 開發 硏究 Vol.28 No.2

        가구원의 연령 및 성별, 가구원 수 등 인구학적 특성이 가계의 소비구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는 우리나라 전체의 가계소비지출 구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짐작된다. 인구학적 특성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가계소비지출 통계자료에 Quadratic Almost Ideal Demand System(QUAIDS) 모형을 적용하여 소비지출 항목별 구성비 함수를 추정하였으며, 경제 성장률, 인구, 가구구성 등 추정에 사용된 설명변수들의 전망치를 이용하여 2005~2020년 기간 중 우리나라 가계소비지출의 구성 변화를 전망하였다. 전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가계소비지출은 향후에도 상당한 변화를 보일 것이며, 이 가운데 많은 부분은 인구학적 특성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비구조의 변화는 산업구조의 변화를 야기한다. 따라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위해서는 생산요소의 유연한 산업 간 이동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본 논문의 전망 결과는 기업의 투자계획 수립에 있어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Considering the fact that household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 consumption decision, it is conjectured that rapid demographic changes would lead to a substantial change in the composition of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This paper estimates the demand functions of various consumption items by applying the Quadratic Almost Ideal Demand System(QUAIDS) model to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data, and then provides a long-term forecast of the composition of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for 2005-2020. The paper shows that Korea's consumption expenditure will maintain the recent years' rapid change, of which a considerable portion is due to rapid demographic changes. Results of the paper can be utilized in forecasting the change i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the economy, as well as in firms' investment planning.

      • 센서 융합 기반 정밀 측위를 위한 노면 표시 검출

        김동석(Dongseok Kim),정호기(Hogi Ju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4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4 No.5

        This paper presents camera-based road surface marking detection methods suited to sensor fusion-based positioning system that consists of low-cost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NS (Inertial Navigation System), EDM (Extended Digital Map), and vision system. The proposed vision system consists of two parts: lane marking detection and road surface marking detection. The lane marking detection provides regions that are highly likely to contain road surface marking. The road surface marking detection detects road surface markings in ROI (Region of Interest) established between the lane markings, and classifies their types. In order to ensure real time operation, the proposed system varies the gating for lane marking detection and changes det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FSM (Finite State Machine) about the driving situation. Further, a single template matching is used to extract features for both lane marking detection and road surface marking detection, and it is efficiently implemented by horizontal integral image.

      • 농경지 표토 함수비의 공간 변동성 분석을 위한 맵핑 기법 개발

        김동석 ( Dongseok Kim ),박재성 ( Jaesung Park ),송지수 ( Jisu Song ),정은지 ( Eunji Jeong ),황현정 ( Hyunjung Hwang ),박건휘 ( Gunhui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토양은 같은 필지 내에서도 불균일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각 위치에 따라 토성, 공극률, 투수계수, 유기물 함량, pH, EC 등 토양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중 함수비는 가장 기초적인 흙의 특성 중 하나로, 공간 변동성 뿐만 아니라 시간 변동성도 가지고 있어 기상 조건에 따라 수시로 변하며 이에 따라 토양의 강도 특성도 변하게 된다. 대표 지점에서 측정된 함수비를 농지 전 구역에 적용하는 것은 정확성이 부족하며, 이로 인해 공간 특성을 고려한 지점별 적정 관개량을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대학교 농장에서 UAV를 이용해 농지 전체를 중복 영역이 80% 수준 이상이 되도록 촬영하고, 취합된 RGB 이미지들로 SfM 기법을 통해 농지의 3D 모델링을 한다. 소형 센서를 통해 측정한 토양의 함수비 데이터를 위치 정보와 함께 3D 모델 위에 맵핑하여 농지 내 토양 함수비 분포 특성을 평가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험실에서 현장 채취 시료에 대해 함수비 조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가며 이미지를 획득하고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해 함수비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현장에서 농기계에 부착한 RGB 센서와 GPS를 통해 얻은 RGB 이미지를 활용해 함수비 예측 모델을 적용하고 실시간으로 3D 모델에 특정 구역별 함수비 데이터를 기록하여 시간대 별 농지 전체의 구역별 함수비의 모니터링을 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허사 there의 병합과 이동

        김동석(Dongseok Kim) 한국영미어문학회 2011 영미어문학 Vol.- No.101

        Critically reviewing Chomsky’s (2001, 2004~2005) [Spec, TP] approach to the expletive there, this paper argues for Kim and Lee’s (2004) proposal that expletive there externally merges in [Spec, υP], which is supported by the complementarity of Object Shift and Transitive Expletive Construction, as observed in Richards and Biberauer (2005). [Spec, υP] analysis is shown to have advantages over [Spec, TP] analysis with respect to the following: There, merged in [Spec, υP], raises to [Spec, TP] like any other formal subject. Since [Spec, υP] is in T’s c-command domain, there can be probed and valued by T like any other nominal. And, like other nominals, it is rendered active by a Case feature. There is, therefore, no need to assume that its defective ø-set is unvalued: its [Person]-feature has default, third-person value, hence it is not entitled to be a probe, contra Chomsky (2005). If there merges inside T’s Agree domain, then the EPP problem in Chomsky’s analysis is also naturally overcome, since it satisfies T’s EPP via Move in the same way that nominal arguments do. In the current analysis, [Person]-feature of there being interpretable, there is no need to assume, contra Kim and Lee (2004), that there enters Agree with its associate. The Case features of the expletive and its associate are valued via multiple Agree with T, which implies that the two share the same Case. As for the locus of Merge-there, it is argued that there is allowed to merge in [Spec, υP], provided that this position is not occupied by a thematic element (an external argument or causing event). On the observation that only a subset of un-accusative verbs allows there-construction, we specify this to be the specifiers of non-inchoative unaccusatives.

      • KCI등재

        이중목적어 구조의 격자질 점검

        Kim Dongseok(金東錫) 현대문법학회 1997 현대문법연구 Vol.10 No.-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Larson’s(1988) and Fujita’s(1996) analyses of double object construction, and proposes an alternative one that can effectively explain the asymmetries shown in dative and double object constructions. The major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In dative construction the argument assigned the role of Goal is not a complement of V but an argument merged with V’. (b) The thematic role of indirect object in double object construction is different from that of dative construction. The former assumes Benefactive or Affective, while the latter, Goal. (c) The verb in dative construction and the corresponding one in double object construction are separate lexical items that have the same phonological features but are different in their semantic and formal features. The former selects Theme and Goal as its internal arguments while the latter selects Theme and Benefactive, Experiencer or Affective. (d) The difference in thematic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s in dative and double object constructions is not from the syntactic relation but from the difference in the properties of semantic selection of the verbs. (e) Indirect object of double object construction moves to the SPEC of V to satisfy the [+SPEC] feature of V. The movement is not for Case assignment or checking of Case feature.

      • 표토 이미지를 통한 토양 입경 분류를 위한 딥러닝 모델 개발

        김동석 ( Dongseok Kim ),송지수 ( Jisu Song ),정은지 ( Eunji Jeong ),황현정 ( Hyunjung Hwang ),박재성 ( Jaesung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토성은 토양 내 입도 분포 정도에 따른 토양의 구조, 용적밀도, 공극률 등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필수적인 정보다. 토양의 입경 크기에 따라 체 분류법과 비중계법을 통한 토성의 분류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필요로 하는 시료의 양 및 완전 건조를 위한 시간, 반복적인 실험과정 등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표토의 영상 및 이미지에서 입경 별로 분류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선정된 농경지의 6개 지점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들을 이용해 체 분류법을 통해 입경 크기별로 분리하여 실내 환경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영상 및 이미지을 획득하였다. 완전 건조 상태의 입경 별로 촬영한 이미지를 수집하여 Gray Scaling 및 edge detection 등의 DIP기법과 생성된 데이터셋에 대한 딥러닝 방법을 통하여 토양의 입경 별분류 모델을 설계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토성 분류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다수의 농경지를 대상으로 하는 토성 분류 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토성에 대한 정보 이외에 함수비, 용적밀도 등의 정보들을 수집하여 모델 성능을 개선한다면 영상 기반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일괄적인 판단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