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방법 및 연구자를 중심으로-

        이석진 ( Seokjin Lee ),김남숙 ( Namsook Kim ),이윤진 ( Yoonjin Lee ),이승진 ( Seungjin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1

        미래교육의 새로운 비전으로 융합과 창의성을 기조로 한 융합인재교육이 초중등교육 현장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동안 융합인재교육 연구는 영재교육 영역에서 초등학생 대상 연구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개별적 단위로서의 효과성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적용하여 선행연구결과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결론을 정리해봄으로써 융합인재교육을 활용한 창의성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분석은 2012년부터 2015년 까지 최근 4년간 발표된 융합인재교육의 효과를 분석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분석대상 논문 75편의 논문으로부터 총 18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고, 연구의 종속변인인 창의성과 그 하위변인, 문제해결력과 중재변인인 연구자, 대상지역, 학생구분, 실험설계유형, 학교급 별에 따라 효과크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창의성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가 0.776로 나타났고, funnel plot에서 대칭성을 만족하고 있어 출판편의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으며, fail-safe N이 780개로 8,945보다 작으므로 이 연구 결과는 신빙성이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또한, 문제해결력에 있어서는 0.584로 나타나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funnel plot에서 대칭성을 만족하고 있으므로 출판편의가 존재하지 않으며, fail-safe N이 780개로 1,170보다 작으므로 이 연구 결과는 신빙성이 있다고 주장할 수 있다. 창의성 하위변인들의 연구방법에 따른 차이를 보면 유창성이 0.92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융통성 0.881, 독창성 0.838, 정교성 0.653, 제목의 추상성 0.705, 종결에 대한 저항 0.527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의 효과를 메타분석으로 그 평균의 효과크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결과 통합교육의 효과는 판단할 수 있었으나 효과의 원인, 학습원리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발견이 어려웠다. 융합인재교육의 효과는 학령에 따라 상승 또는 하향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으며, 창의력에 있어서는 연구방법과 연구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meta-analysis on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that analyzed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between 2012 and 2015. From the total number of 75 dissertations and articles analyzed, 183 different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analysis was done to find out the kinds of differences that would be created according to the effect size of creativ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researcher, target area, student division research design type, and level of schools. The total effect size of creativity scored 0.776, and demonstrated satisfaction in symmetry of funnel plot, with no publication biases. The fail-safe N scored 780, and since the number is smaller than 8,945,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s credibility. Furthermore, problem-solving ability shows intermediate level of effect size with a score of 0.584. It also showed satisfaction in symmetry with funnel plot, with no publication bias. With the different research methods of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fluency scored the highest with 0.929, flexibility with 0.881, originality with 0.838, sophistication with 0.653, abstractness with title 0.705, and resistance to termination, 0.527.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the demonstration of average effect size of STEAM education through meta-analysis.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the effects of inclusive education could be determined, yet the specific effect cause or learning principles were difficult to fin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STEAM education do not rise or fall depending on school age, and demonstrated differences in creativ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s or the researchers.

      • KCI등재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지경미 ( Kyungmi Ji ),김남숙 ( Namsook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노인계층은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정치정보를 습득하고 온라인 커뮤니티를 정치참여의 경로로 활용한다. 노년기의 디지털 활용은 사회적 관계의 확장으로 인한 사회적지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결과 첫째, 디지털리터러시와 사회적지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와 정치효능감 간에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은 정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디지털리터러시 하위 요인 중 정보활용능력, 의사소통능력, 규범준수능력이 정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과 정치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는 두 변인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이 정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디지털미디어가 노인의 사회적 관계 확장, 정치참여의 도구로 중요시됨에 따라 노인 대상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요구된다. The elderly get political information through digital media, and use the online community as a channel for political participation. The elderly's digital use affects the expans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of the influence of the elderly's digital literacy ability on political efficac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social suppor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olitical efficacy. Second, the elderly’s digital literacy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litical efficac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digital liturgy, the ability to use inform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compliance with norms influenced political efficac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digital literacy ability and political efficacy, social support was found to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effect of digital liturgy ability on political efficacy depends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As digital media is regarded as an important tool for expanding social relation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for the elderly,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required.

      • KCI등재

        고령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

        이윤진(Yoonjin Lee),김남숙(Namsook Kim) 한국노년교육학회 2023 노년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고령자학습자 대상 교육 운영 경험이 있는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고령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D자치구 평생학습기관 및 단체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실무자 8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개념을 도출하였고, 도출한 개념은 다양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지원, 수준별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 증가, 학습기본권 실현을 지향, 무한한 교육의 효용성,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적 토대로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교육에 있어 세대별 계층화를 고려, 디지털 시민성 및 전문적 직업교육 영역을 포함, 변화된 삶의 적극적 참여를 위한 교육관점 구축, 학습동아리 형태의 교육지원, 기초문해교육패러다임의 전환이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the elderly and to examine policy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To this end, 8 practitioners in charge of education at a local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e concept was derived through open coding, and it was categorized as a basis for differentiated educational support considering diversity, increasing need for education by level, realization of basic learning rights, infinite usefulness of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nsidering the stratification by generation, policy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an educational perspective for active participation in a changed life, including digital citizenship and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educational support in the form of learning clubs, and a shift in the basic literacy education paradigm were suggested.

      • KCI등재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와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서 인지유연성의 매개효과

        박진숙 ( Jinsook Park ),김남숙 ( Namsook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는 사회적 관계 확장과 삶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와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리터러시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는 인지적 유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인지적 유연성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디지털리터러시와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은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는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인지적 유연성이 높으면 성공적 노화를 보일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해석된다. 연구 결과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는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며 노년기의 변화와 위기에 적응력을 높이는 인지적 유연성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digital literacy of the elderly affects the expansion of social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gital liter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ccessful aging. Second, the digital literacy of the elder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flexibility. Third, cognitive flex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ccessful aging.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successful aging, cognitive flexibil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The digital literacy of the elderly is directly related to successful aging, and it is interpreted that high cognitive flexibility increases the likelihood of successful ag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igital literacy in the elderly affects successful aging and the importance of cognitive flexibility to increase adaptability to changes and crises of old age.

      • KCI등재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에 따른 단위학교 교육복지 운영사례 비교분석

        하봉운(Bongwoon Ha),장덕호(Deokho Jang),김남숙(Namsook Kim),송지훈(Jihoon Song),유명현(Myunghyun Yoo),명준희(Junhee 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단위학교의 교육복지 운영과정을 비교분석하고 한계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 학교급, 학교소재지, 학생 수를 고려하여 8개 대상학교, 16명의 교육복지 담당 인력을 대상으로 서면 사례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서면 사례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 질문은 CIPP모형에 기반하여 구성되었으며, 인터뷰는 2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CIPP모형에 근거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단위학교 교육복지 운영과정의 양태는 교육복지사 배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첫째, 교육복지사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다양한 교육복지 욕구충족에 초점을 두는 보편적 복지를 실현하고자 노력한 반면, 미배치학교는 교육복지의 대상 및 범위를 특정계층 학생에게 초점을 두었다. 둘째, 대부분의 교육복지사 배치학교는 조직, 예산편성, 배치된 인력의 기능과 역할 등이 체계적으로 조직화 되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반면, 미배치학교는 제한적인 인력과 조직, 예산의 투입으로 어려움이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복지사 배치학교의 경우, 학교 내⋅외 협력체제를 바탕으로 다양한 영역의 지원이 이루어지는 반면, 미배치학교는 대상 학생 선별, 사례관리, 외부자원과의 연계 등에 어려움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 성과와 관련하여, 교육복지사 배치학교는 학생의 성장, 지역사회의 변화, 교육의 형평성 제고 등을 성과로 제시한 반면 미배치학교는 학업성취도 향상, 또래 관계 긍정적 변화 등 가시적인 변화를 교육복지 성과로 제시하였다. 결론 단위학교는 모든 학생을 잠재적 교육복지의 대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일상적 교육활동에서의 교육복지 실현을 위하여, 조직적 기반으로 ‘통합성장지원팀’을, 내용적 기반으로 ‘통합성장사례관리’를, 전문성 기반으로 ‘협업적 거버넌스’를 강화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peration process of educational welfare at schools, identify limita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methods. Methods Considering the placement of educational workers, school level, school location, and number of students, focus group interview and written investigation were conducted on 8 target schools, 16 school faculties. Written investigation and focus group interview question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CIPP mode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CIPP model. Results The educational welfare operation process of the unit school differed depending on the placement of educational workers. First,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tried to realize universal welfare that focuses on satisfying various educational welfare needs for all students,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focused on the target and scope of educational welfare for students of a specific class. Second, most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were systematically organized into departments, budgeting, and functions and roles of manpower,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had difficulty operating due to limited manpower, organization, and budget input. Third, in the case of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various types of support are provided based on the school's internal and external cooperation system, while schools without educational workers have difficulty in selecting target students, case management, and linking with external resources. Finally, regarding the achievements of educational welfare, schools with educational workers presented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student growth, community change, and improvement of educational equity, while non-arranged schools presented visible achievements such as improved academic achievement and positive peer relations. Conclusions Schools should view all students as potential targets of educational welfare. In order to realize educational welfare in daily educational activities, ‘integrated growth support team’ should be established or strengthened on an organizational basis, ‘integrated growth case management’ on a content basis, and ‘cooperative governance’ on a professional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