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반도 서식 자생곤충종의 확증표본 시스템 구축

        김기경 ( Ki Gyoung Kim ),안능호 ( Neung Ho Ahn ),박선재 ( Sun Jae Park ),전미정 ( Mi Jeong Jeon ),서홍렬 ( Hong Yul Seo ) 한국토양동물학회 2013 한국토양동물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ocumentation system of voucher specimens of indigenous insects in Korean peninsula. Voucher specimens in this study are defined as biological specimens having the collection data, taxonomic information and correct scientific identification, which are preserved as the evidence of biological species in Korean peninsula.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11,853 biological species were recorded in Korean peninsula until in 1996. According to the newly compiled national inventory of indigenous species of the Korean peninsula, 14,145 biological species were recorded until in 2012. Among them, 8,245 species were confirmed with information for voucher specimens and image data by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NIBR) since 2008 untill 2013. All confirmed species information including collection, taxonomic and image data for each species was deposited as DB in national management system for biological resources in NIBR.

      • KCI등재

        New Host Records of Ichneumonidae (Hymenoptera), with List of Ichneumon Wasps Parasitizing Ivela auripes (Butler) (Lepidoptera: Lymantriidae) from Korea

        최진경,김기경,서홍렬,전미정,신영민,김일권,정종철,김영진,이종욱,Choi, Jin-Kyung,Kim, Ki-Gyoung,Suh, Hong-Yul,Jeon, Mi-Jeong,Shin, Young-Min,Kim, Il-Kwon,Jeong, Jong-Chul,Kim, YoungJin,Lee, Jong-Woo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2

        We report new host records of four ichneumonids from Korea. They were discovered from the pupae of Apatura metis Frever (Lepidoptera: Nymphalidae), Allotraeus sphaerioninus Bates (Coleoptera: Cerambycidae) and Ivela auripes (Butler) (Lepidoptera: Lymantriidae) respectively. Diagnoses, illustrations, host records of the four species, and a list of ichneumon species parasitizing of I. auripes are provided. 본 연구에서는 기생성 맵시벌과의 4종에 대하여 새로운 숙주를 보고하고자 한다. 4종의 맵시벌과는 황오색나비 (나비목: 네발나비과), 밤색하늘소 (딱정벌레목: 하늘소과), 황다리독나방 (나비목: 독나방과)의 번데기에서 각각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맵시벌과 4종의 간략한 식별형질과 사진정보, 황다리독나방에 기생하는 맵시벌과의 목록을 제시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Notes on the Genus Asiacentistes Belokobylskij (Hymenoptera: Braconidae: Euphorinae) from Korea

        안태호,김효중,김기경,서홍렬,구덕서,An, Tae-Ho,Kim, Hyojoong,Kim, Ki-Gyoung,Seo, Hong-Yul,Ku, Deok-Se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를 통해 2종의 Asiacentistes Belokobylskij(아시아넓은칼고치벌속: 신칭)(벌목: 고치벌과)를 보고한다. 그 중 Asiacentistes sinica Chen and Belokobylskij(긴칼집아시아넓은칼고치벌: 신칭)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식별형질과 동아시아내 분포 정보를 포함하였다. Two species of the genus Asiacentistes (Hymenoptera: Braconidae) are reported in this study. One of them, Asiacentistes sinica Chen and Belokobylskij is new to Korea. Diagnosis and distribution data in East Asia are included.

      • KCI등재

        The Subgenus Exosyntretus Belokobylskij of the Genus Syntretus (Hymenoptera: Braconidae: Euphorinae) from Korea

        안태호,김효중,김기경,서홍렬,구덕서,An, Tae-Ho,Kim, Hyojoong,Kim, Ki-Gyoung,Seo, Hong-Yul,Ku, Deok-Se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Syntretus속의 Exosyntretus아속(벌목, 고치벌과)에 속하는 2종을 보고한다. 그 중 Syntretus (Exosyntretus) nevelskoii Belokobylskij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전세계 기록종 목록, 식별형질과 분포 등의 정보를 포함하였다. Two species of the subgenus Exosyntretus (Hymenoptera: Braconidae: Euphorinae) in the genus Syntretus are reported from Korea in this study. Among them, Syntretus (Exosyntretus) nevelskoii Belokobylskij is new to Korea. The world checklist, diagnosis and distribution data are included.

      • KCI등재

        Notes on the Genus Cosmophorus Ratzeburg (Hymenoptera: Braconidae: Euphorinae) from Korea

        안태호,김효중,서홍렬,김기경,구덕서,An, Tae-Ho,Kim, Hyojoong,Seo, Hong-Yul,Kim, Ki-Gyoung,Ku, Deok-Se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1

        본 연구를 통해 2종의 큰턱고치벌속(벌목, 고치벌과)을 보고한다. 수원큰턱나무좀고치벌 Cosmophorus (Cosmophorus) klugii Ratzeburg 1종은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식별형질과 분포 등의 정보를 포함하였다. Two species of the genus Cosmophorus (Hymenoptera: Braconidae) are reported in this study. Among them, Cosmophorus (Cosmophorus) klugii Ratzeburg is new to Korea. Diagnosis and distribution data are included.

      • KCI등재

        제주도 한라산 나비군집 모니터링1a

        김도성 ( Do Sung Kim ),박성준 ( Seong Joon Park ),김동순 ( Dong Soon Kim ),조영복 ( Young Bok Cho ),이영돈 ( Yeong Don Lee ),안능호 ( Nung Ho Ahn ),김기경 ( Ki Gyoung Kim ),서홍렬 ( Hong Yul Seo ),차진열 ( Jin Yeol Cha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6

        제주도 한라산은 나비 학자들로부터 주요 관심의 대상지로 남방계와 북방계의 나비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월별로 선조사법으로 모니터링하여 각 구간별 나비군집과 유사도를 분석하고 과거 기록과 비교하여 고도분포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5과 26종 3,397개체의 나비류가 조사되었다. 이중 상위 4종(가락지나비, 산굴뚝나비, 먹그늘나비, 조흰뱀눈나비)가 2,578개체(75.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한라산의 나비는 초지대에서 서식하는 특정종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 나비 유사도는 교목층의 수관부와 열린 초지대와 같은 단일경관지역보다는 수관부와 열린 초지 공간이 함께 있는 지역에서 유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고도별 나비분포는 해발 1,665∼1,700m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관찰되어 한라산 백록담 아래에 형성된 열린 초지공간이 주요 서식지로 나타났다. 또한 아고산대에 서식하던 종들은 고도가 좀 더 높은 쪽으로 이동하고 낮은 지역에 서식하던 종들이 새롭게 아고산대에서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t. Hallasan in Jejudo has been well known as a habitat for both northern and southern limited butterflies and attracts the interests of many lepidopterists. In this study, the line transect method was used to monitor the community and similarity of butterflies monthly monitoring from May to September 2013,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data. Through monitoring, 3,397 individuals in 26 species of 5 families were found in the present study. The monitored individuals belonging to 4 species (Aphantopus hyperantus, Eumenis autono, Lethe diana and Melanargia epimede) was 2,578 (75.9%), showing the prevalent species among the butterflies observed in the grassy area of the Mt. Hallasan. The butterflies inhabiting Mt. Hallasan showed higher similarity in the area where the open grassy space and the crowns of tree layer coexist than in landscape consisting of solely the tree layer or open grassy space. The habitation of butterflies by heights showed the altitudes between 1,665 to 1,700 m, located beneath the Baekrokdam (the crater) of Mt. Hallasan, possessed the most species and individuals. And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species that previously inhabited the subalpine zone moved to the area of higher altitudes together with the species that previously inhabited rather lower altitudes than the subalpine zone.

      • 제5분과 : 환경관리 및 도시녹지 ; 자생 토양 절지동물을 이용한 제주도 토양 등급 분석 연구

        서홍렬 ( Hong Yul Seo ),김기경 ( Ki Gyoung Kim ),박선재 ( Sun Jae Park ),안능호 ( Neung Ho Ah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토양 서식 절지동물은 토양 생물상의 핵심 구성요소로서 개체수가 풍부하며, 토양의 형성이나 변화에 대한 역할이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토양의 상태를 나타내는 좋은 지표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이탈리아에서는 토양에 서식하는 절지동동물을 대상으로, 분류군별로 토양에서의 역할 정도에 따라 고유의 지수를 할당하고, 이 지수들을 이용하여 토양의 상태 판정에 활용하는 기법(QBS, Biological Quality of Soil)을 개발하여 토양생태계 관리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Parisi, 2005) 우리나라에서도 이 기법을 도입하여 토양의 질을 판정하는 시도가 있었다. QBS에서는 토양환경에 적응한 절지동물들의 적응 수준을 평가하고, 토양에서의 역할과 적응 정도에 따라 분류군별로 목 수준에서 생태·형태학적 지수(EMI, Eco-morphologic index)를 부여하기 때문에, 토양에 서식하는 동물들을 종수준에서 동정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개발된 것이다. 예를 들면 토양에 서식하는 미소절지동물들은 토양 환경에 대한 적응을 나타내는 형태학적 특징들을 잘 보여주는데, 체색이나 시각기구의 감소나퇴화, 부속지(털, 더듬이, 다리)들이 감소하거나 빽빽한 형태로 된 유선형의 체형, 비행능력이 퇴화하거나 없고 도약이나 달리는 것의 적응, 그리고 큐티클 층이 얇고 바깥쪽 표면에 소수성 화합물이 부족해서 수분보유능이 감소한것 등이다. QBS에서는 이런 토양환경과 관련된 특징들의 존재 유무만 집중하여 조사하고 토양에 사는 절지동물을 복잡하고 까다롭게 종 수준에서 동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토양서식 절지동물 동정에 비전문가인 사람들도 손쉽게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사지역 토양의 상태를 나타내는 QBS 값을 구하는 순서는 이탈리아에서 사용된것과 동일하게 먼저 대상지역의 토양을 채취하고 미소절지 동물을 분리한 후 주로 목 수준에서 동정하고 최종적으로 분류군과 맞는 EMI를 계산하여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에 따라, 토양 심층에 서식하는 분류군(eu-edaphic)의 지수는 20, 중층서식 분류군(hemi-edaphic)은 적응 정도에 따라 보통 5∼20, 표층에 서식하는 분류군(epi-edaphic)은 1을 부여하였다. 낫발이목이나 좀붙이목처럼 토양에 적응한 정도가 유사한 종들로 구성된 분류군들은 단일 EMI를 갖는데, 이들은 심충에 서식하기 때문에 여기에 속하는 종들은 모두 20을 갖게 된다. 그렇지만 톡토기목이나 딱정벌레목처럼 토양에 적응한 정도가 다른 종들로 구성된 경우에는 종의 특성에 따라 다른 EMI를 갖게 된다. 만약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분류군에 속하는 다른 EMI를 갖는 생태·형태형이 존재하면 최종 점수는 높은 EMI를 갖는 분류군으로 결정하였다. 즉 최고로 토양에 잘 적응한 분류군이 그 전체 분류군의 대표적인 EMI를 결정하는 것이다. 최종 QBS 점수는 모든 조사된 분류군들의 EMI를 합산하여 산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4개 지역을 대상으로 토양 절지동물상을 조사하고 한국형 QBS시스템을 적용하여 토양의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서, 2012). 제주도 내 토양 무척추동믈 채집은 4곳(St.1∼4)에서 진행되었다. St.1은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신례리로서 한라산 자락의 해발 664m지역으로 자연이 잘 보존된 지역으로서어나무, 조릿대가 우점하였다. St.2는 제주도 제주시 오등동 지역으로 한라생태숲 내의 관리사가 있는 지역으로 인간의 간섭이 일부 존재 했던 곳이며 서어나무, 쥐똥나무, 억새가 우점하였다. St.3는 제주시 월평동 지역으로 한라산 국립공원의 관음사 인근지역이다. 숲이 잘 보존된 지역이다. St.4는 조사지역 중 표고가 가장 낮은 103m였고, 곶자왈이 잘 보존된 동백동산 내의 폐원된 밀감과원 지역으로 종가시나무, 사스레피나무, 감귤나무 등이 많이 분포하였다. 조사지에서 토양 절지동물의 채집과 분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먼저 조사지점에 토양 샘플러(10×10×30㎝, 스테인레스 소재)를 설치하고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깊이 10㎝로 박은 다음에 토양 샘플러를 조심스럽게 회수하고 안에 있는 1,000㎖ 분량의 토양을 지퍼백에 보관하여 실험실로 가급적 빨리 운반한 후 Tullgren 장치에 넣어 토양 절지동물들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토양동물은 75% 에타놀에 액침표본으로 보관 한 후 동정하였다. 동정은 토양동물학(최, 1996)과 일본산 토양동물도감(Aoki, 1996)의 검색표를 이용하여 QBS 분석에 필요한 목 또는 강 수준까지 진행하였다. 조사지점의 QBS 결과는 다음과 같다. St.1에서는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순각강, 배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 점수는 총 11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2에서는 톡토기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의갈목, 순각강, 배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점수는 총 15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3에서는 톡토기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유충, 완전변태 곤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순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 점수는 총 120으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St.4에서는 좀붙이목, 톡토기목, 집게벌레목, 노린재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유충, 완전변태 곤충 유충, 불완전변태 곤충 유충, 진드기목, 거미목, 의갈목, 등각목, 순각강, 배각강이 조사되었고 각 분류군별 EMI를 활용하여 환산된 QBS점수는 총 192로 상태가 양호한 2등급 토양을 나타냈다. 조사된 4개 지역의 토양 상태는 QBS가 나눈 토양의 7개 등급 중 전부 2등급으로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조사된 지역들이 생태계가 잘 보존된 한라산 국립공원 인근지역이거나 한라생태숲 지역, 곶자왈 지역이기 때문에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며, QBS가 한국의 토양 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 진딧물과 Maculolachnus paiki Seo, 1994의 유시형 기재

        서홍렬 ( Hong Yul Seo ),김기경 ( Ki Gyoung Kim ),전미정 ( Mi Jeong Jeon ) 한국토양동물학회 2014 한국토양동물학회지 Vol.18 No.1

        The genus Maculolachnus Gaumont, 1920 (Sternorrhyncha: Aphididae) has been known poorly in Korea. The alate of Maculolachnus paiki Seo, 1994 is redescribed and illustrated for more taxonomic information. The alate of Maculolachnus paiki Seo, 1994 is similar to Maculolachnus submacula (Walker, 1848), but differs from latter by just 3-4 of secondary rhinaria on antennal segment III. A key to known the alate of the genus Maculolachnus from Korean peninsula is giv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