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중첩증을 초래한 소아의 회장 고등급 MALT 림프종: 1예 보고

        김교남,우정주,김순용,Kim, Gyo-Nam,U, Jeong-Ju,Kim, Sun-Yong 대한영상의학회 200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6 No.3

        소아에서 림프종은 백혈병과 중추신경계 종양에 이어 세번째로 많은 종양이다. 소아연령에서 발생한 비호지킨 림프종은 성인의 림프종과는 달리 임파절 이외의 침범이 흔하며 호발 부위로는 위장관, 신장, 췌장을 포함하는 복부이고 그 다음이 두경부 순이다. 성인에서는 위장관에 생기는 림프종의 상당수가 림프절에 생기는 림프종과는 다른 MALT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림프종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소장의 MALT 림프종의 보고는 많으나 소아의 소장에서 문헌상 보고된 것은 드물다. 우리는 최근 9세 된 남아의 회장에 발생한 고등급 MALT림프종이 장중첩을 일으킨 1예를 경험하였기에 초음파 및 전산화단층소견을 보고 하고자 한다. Lymphoma is the third most common childhood malignancy after leukemia and brain tumor. In contrast to adult non-Hodgkin's lymphoma, that occurring in children is usually found extranodally. The most common site is the abdomen, including the gastrointestinal tract, kidney and pancreas, and the next most common is the extranodal head and neck. Gastrointestinal non-Hodgkin's lymphoma in adults is usually considered to be MALT lymphoma, a distinct B-cell type, but the occurrence of this variety in the small bowel of children is relatively rare. We report a case of high-grade MALT lymphoma occurring in a nine-year-old boy who presented with ileoileal intussusception.

      • KCI등재

        인삼 다당체의 항비만 활성 평가 및 기능성 소재 개발

        손명수 ( Myung-soo Shon ),김교남 ( Gyo-nam Kim ) 대한본초학회 2016 大韓本草學會誌 Vol.31 No.4

        Objectives: Adipogenesis was defined as a differentiation process of preadipocytes into the adipocytes. Thus, to control of this process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ategies to prevent obesity.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A. Meyer)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dicinal herbs. Although multiple biological activities of Korean ginseng, particularly ginsenosides, have been known, the anti-adipogenic role and function of polysaccharides from Korean ginseng are still unclear. In this study, we examined anti-adipogenic activity of polysaccharides and its molecular basis mechanisms are further investigated. Methods : The cytotoxicity of KGP in 3T3-L1 was evaluated by MTT assay. Anti-adipogenic effect of KGP was examined by Oil Red O (ORO) staining and microscopy observation in 3T3-L1 mature adipocytes.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dipogenic transcriptional factors were analyz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 chain reaction (RT-PCR). To elucidate the adipogenic molecular mechanism of KGT, SB431542 (TGF-β specific inhibitor) was used. Results : We found that polysaccharides showed no effect on the viability of 3T3-L1 preadipocytes. Dose dependent inhibitory effect of polysaccharides on 3T3-L1 adipogenesis was observed as judged by ORO staining and microscopic image analysis. To obtain further mechanistic insight into anti-adipogenic function of polysaccharides, we then tested the effect of polysaccharides treatment on the adipogenic marker genes. The mRNA expressions level of C/EBPα, PPARγ, C/EBPβ, and fatty acid synthase (FAS) were dose-dependently inhibited by KGP treatment in 3T3-L1 mature adipocytes.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GP could be used in treatment of obesity and over-weight related diseases.

      • KCI등재

        Lactobacillus plantarum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및 열처리가 마늘의 향기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의수 ( Eui Su Kim ),송지혜 ( Ji Hye Song ),정하열 ( Ha Yull Chung ),정헌상 ( Heon Sang Jeong ),장해동 ( Hae Dong Jang ),김교남 ( Gyo Nam Kim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2 산업 식품공학 Vol.16 No.4

        마늘의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은 잘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휘발성 황 화합물을 비롯한 마늘의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해 가공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하는데 있어 제한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김치 발효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KCTC 3104를 이용하여 마늘을 유산 발효시키고, 발효 마늘을 다시 적정 온도로 가열 처리함으로써 발효과정과 열처리가 마늘의 휘발성 황화합물과 항산화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i) 마늘에 존재하는 주요 휘발성 황 화합물인 allyl methyl sulfide 및 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는 발효과정과 발효와 열처리 병행과정에서 감소하였으며 특히 열처리는 마늘의 자극적 향미성분을 감소시키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ii) 무처리한 G와 발효를 한 FG, 그리고 발효와 열처리를 병행한 FG-H 간에 유의적인 pe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차이는 없었다. (iii) 발효와 열처리를 병행한 FG-H는 마늘시료 G에 비하여 hydroxyl raidcal 소거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이 증가된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발효 및 열처리를 통해 새로이 생성된 물질에 의한 환원력 및 metal chelating 활성 증가에 기인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발효 및 열처리를 통해 마늘의 자극적 향미를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발효 및 열처리 마늘은 항산화 활성, 특히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된 식품개발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Garlic (Allium sativum L.) has been used as a spicy and folk medicine in many Asian countries. Although it is known to possess various beneficial functions in biological system,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food industries since its pungent flavor derived from sulfur containing-volatile components such as allyl methyl sulfide, allyl sulfide, and diallyl disulfide. Here, we prepared both fermented garlic (FG)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nd FG with heat processing at 100 for 2 h (FG-H). We analyzed the contents of allyl methyl sulfide, allyl sulfide, and diallyl disulfide in dried garlic (G), FG, and FG-H. We also demonstrated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G, FG, and FG-H against peroxyl and hydroxyl radical as judged by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G, FG and FG-H against peroxyl and hydroxyl radicals were 2.96, 1.46, 2.28 and 0.18, 1.36, 3.43 TE (Trolox equivalents), respectively. We elucidated that the scavenging activities of FG and FG-H against hydroxyl radicals are mediated by their reduction capacities and metal chelating activiti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nd heat processing could contribute to the alleviation of pungent flavor in garlic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These results provide the scientific evidence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using garlic which has anti-oxidant function.

      • KCI등재

        바나나(Musa acuminate Colla) 껍질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

        김령현(Ryeong-Hyeon Kim),이승철(Seung-Cheol Lee),김교남(Gyo-Nam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2

        식생활 및 생활습관의 서구화, 내분비 장애, 유전적인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질환으로 알려진 비만은 열량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체내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이다(Park 등, 2015). 전 지방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인 adipogenesis의 조절은 비만의 예방 및 관리에서 중요한 타겟이 되며, 최근 식품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 및 영양성분을 이용한 adipogenesis 억제 기전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바나나(Musa acuminate Colla)는 다년생 목상 초본으로 열대 및 아열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과일로 대부분이 생과나 디저트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바나나 껍질은 대부분이 부산물로서 폐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나나 껍질의 활용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바나나 껍질의 숙성기간에 따른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3T3-L1전 지방세포에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범위의 농도를 설정하였으며, 10, 100 ㎍/mL 농도의 바나나 껍질 물, 에탄올 추출물(BPE-W, BPE-E)과 2일간 숙성된 바나나 껍질물, 에탄올 추출물(MBPE-W, MBPE-E)의 처리는 농도 의존적으로 adipogenesis를 조절하여 지방구 생성을 억제하였고, 숙성시키지 않은 신선한 바나나 껍질 추출물을 숙성된 바나나 껍질 추출물과 비교하여 항비만 활성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것은 숙성과정 중 바나나 껍질에 존재하는 탄닌류의 성분이 분해되면서 바나나 껍질이 항비만 활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바나나 추출물 처리는 adipogenesis 초기 단계의 중요한 전사인자로 알려진 C/EBPβ와 PPARγ의 mRNA 발현 수준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부산물로 폐기되는 바나나 껍질의 항비만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생각되며, 추후 바나나 껍질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규명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nana (Musa acuminate Colla) is widely grown in tropical regions. Banana peel is normally discarded and thrown away as waste.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e nutritional value of bananas,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banana peel are relatively unknow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anana peel (BPE-W and BPE-E, respectively) and banana peel matured for 2 days at room temperature (MBPE-W and MBPE-E, respectively) on 3T3-L1 adipocyt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extracts on 3T3-L1 adipogenesi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10 and 100 μg/mL of the extracts from day 2 to day 6. Treatment with 100 ㎍/mL of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adipocytes. The BPE-W and BPE-E showed strong anti-adipogenic activities compared to MBPE-W and MBPE-E. Furthermore, 3T3-L1 adipocytes treated with the extracts down-regulated the transcription factor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 beta (c/EBPβ)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expressions.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hydrolysis of components such as tannins in banana peel during maturation could affect the anti-adipogenic activities of banana peel extract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a potential role for banana peel extracts as ingredients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for obesity.

      • KCI등재

        하고초(Spica prunellae) 추출물의 항비만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활성

        김난슬 ( Nan Seul Kim ),손명수 ( Myung Soo Shon ),김교남 ( Gyo Nam Kim ),황용일 ( Yong Il Hwang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4 산업 식품공학 Vol.18 No.4

        체내에 과도하게 생성되는 활성산소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세포 구성성분들을 손상시키고 각종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만한 사람은 정상체중을 가진 일반인들에 비해 높은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임이 알려졌다(Furukawa et al., 2004). 본 연구에서는 전통 한약재로 잘 알려진 하고초 ethanol 추출물의 항비만 및 스트레스 억제활성을 3T3-L1 및 HepG2 세포에서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50 및 100 μg/mL의 하고초 추출물은 각각 대조군 대비 78.4%, 및 72.3%의 3T3-L1 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였다. 둘째, 100 μg/mL의 하고초 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ethanol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멸을 유의적으로 보호하였다(대조군 대비 79.3%). 셋째, 10, 100 및 200 μg/mL의 하고초 추출물은 60 μM의 AAPH 및 10 μM의 Cu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농도 의존적이며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하고초 추출물이 항비만 및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를 통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생각된다. Spica prunellae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in Asian countries. In the present study, anti-obes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runellae spica ethanol extract (PSE) was investigated in 3T3-L1 and HepG2 cells. The 50 and 100 μg/mL of PSE treatment for 4 days (Day -2 to Day 2) dose dependently suppressed 3T3-L1 adipogenesis. We further examined the protective activity of PSE against ethanol-induced cell death. While 800 mM ethanol treatment for 24 h induced significant cell death, the PSE treatment significantly protected ethanol-induced cell death. In additi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SE to reduce th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AAPH or Cu2+ ions, which are important ROS to release peroxyl and hydroxyl radicals, were observed. These results provid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using PSE which has anti-obese and antioxidant activities.

      • KCI등재

        홍삼 추출물이 두부의 저장성과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이정숙(Jung-Suk Lee),김교남(Gyo-Nam Kim),장해동(Hae-Dong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1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를 제조함에 있어 홍삼 추출물 첨가량이 두부의 품질과 저장성 그리고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조 대두를 기준으로 홍삼 추출물을 0.5~2%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와 첨가하지 않은 두부의 물성, 색도, 관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두부의 texture는 견고성과 탄력성에서만 홍삼 추출물의 첨가량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으로 홍삼 추출물을 2% 첨가한 두부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고, 두부의 색도는 L, a, b값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color에 대한 기호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홍삼 특유의 맛이 유의적으로 감지되면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통계상 유의적 차이가 보이지 않아 홍삼 추출물의 첨가가 소비자의 기호에 특별한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부를 15oC에서 보관하면서 pH, 탁도 그리고 총 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저장 초기에는 변화가 없다가 pH와 총 균수는 저장 4일부터, 탁도는 저장 6일부터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홍삼 추출물이 첨가된 두부가 홍삼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두부보다 미생물 생육이 억제되어 두부의 저장성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ORAC assay를 이용한 두부의 항산화 활성은 첨가된 홍삼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antioxidant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ORACOHㆍassay에서는 홍삼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 추출물이 홍삼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pro-oxidant 활성을 보여 주었다. In relation to making tofu with red ginseng extract, the effects of added red ginseng extract on the storag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fu were investigated. When red ginseng extract was added in 0.5%~2% of dried soybean, differences in texture, color and sensory properties were compared. The textural properties of tofu slightly increased depending on the added amount of red ginseng extract in terms of the hardness and springiness: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monstrated in the tofu with 2% red ginseng extract, and the color propertie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erms of the values of L, a, and b.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although the preference to color tended to diminish, as the peculiar taste of red ginseng was significantly perceived, the overall preferenc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 Therefore, the addition of red ginseng extract may be interpreted as not having nega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of consumers. There was no change at the early stage of storage in pH, turbidity and total microbial count when the tofu was stored at 15℃. However, the changes in pH and in turbidity, and total microbial counts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red ginseng extract took place from the second day and from the sixth day of storage,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the shelf-life of tofu may be extended due to its antimicrobial effect. Especially, the highest antimicrobial effect was observed tofu with 2% red ginseng extract. Concern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ofu using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the antioxidant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along with the increase in concentration of red ginseng extract. In ORACOH?assay, the pro-oxidant activity was shown in the tofu added with red ginseng extract.

      • KCI등재

        얌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과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이아름 ( Ahreum Lee ),김교남 ( Gyo-nam Kim ),김혜옥 ( Hae-ok Kim ),송원정 ( Weonjung Song ),노성수 ( Seong-soo Roh ) 대한본초학회 2017 大韓本草學會誌 Vol.32 No.2

        Objectives : Yam bean (Pachyrhizus erosus ) possess various nutrients, it has been widely used as traditional cosmetic material in Indonesi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Yambean (Pachyrhizus erosus ) extract and its fractions.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y of yam bean extract assessed based on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To evaluate anti-melanogenic effects and cytotoxicity of Yambean extract and its fractions, B16F10 melanoma cell was used. Results : In results, total polyphenol content of yam bean water extract (YW) and Yambean 70% ethanol extract (YE) were 1.18±0.03 ㎎/g (㎎ of gallic acid/g of sample), 1.16±0.01 ㎎/g. Total flavonoid contents of YW, YE were 3.55±0.06 ㎎/g (㎎ of naringin/g of sample), 1.78±0.03 ㎎/g. Moreover, YE scavenged DPPH and ABTS effectively in 4 ㎎/㎖ compared to YW. Cytotoxicity of YE and its fractions in B16F10 melanoma cell was measured using MTT assays. It had no cytotoxicity up to 500 ㎍/㎖. Melanin accumulation in B16F10 melanoma cell was induced using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and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B16F10 melanoma cell treated with 10-500 ㎍/㎖ YE and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H<sub>2</sub>O fractions for 24h. Non treated B16F10 melanoma cell (Control) markedly increased melanin contents. In contrast, YE ethylacetate fraction effectively suppressed melanin accumul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Yambean extract has the potential as a cosmetic material which possess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 KCI등재

        HepG2 및 PC12 세포에서 혼합 한약재 발효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활성 평가

        이윤정(Yunjeong Lee),김난슬(Nan-Seul Kim),손명수(Myung-Soo Shon),김교남(Gyo-Nam Kim),황용일(Yong-Il Hwang),박은주(Eunju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7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ROS)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체내의 항산화 효소와 물질에 의해서 소거되지만, ROS가 과도하게 생성되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천연물을 이용하여 이러한 ROS를 경감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은 만성 질병을 예방하고 각종 질병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식이 전략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화, 영지, 가시오가피, 오미자, 지구자, 구기자, 그리고 산수유를 공통으로 한 혼합 한약재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조성에 따라 하고초와 쇠비름이 추가된 FHM-A 및 석창포와 산해박이 추가된 FHM-B로 구분하였으며, 혼합 한약재 발효물을 활용하여 차 및 음료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FHM-A 및 FHM-B의 총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FHM-B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총페놀 함량이 나타났다. ORAC value는 FHM-A가 FHM-B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ROS 생성 억제 활성은 FHM-A와 FHM-B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세포인 HepG2 세포에서 에탄올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발효액 FHM-A 및 FHM-B는 10~100 μg/mL에서 모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HM-A와 FHM-B 모두 에탄올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FHM-A와 FHM-B 모두 에탄올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증가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신경세포인 PC12 세포에서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발효액 FHM-A 및 FHM-B의 분석 결과 1~50 μg/mL에서 FHM-A와 FHM-B 모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HM-A와 FHM-B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H₂O₂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FHM-B는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비타민 C와 같은 수준의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발효액 FHM-A와 FHM-B가 간 기능 및 신경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 예방을 위한 식품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ed herbal mixtures (FHMs) in HepG2 and PC12 cells. Two different types of fermented herbal mixtures consisted of Chrysanthemum morifolium, Ganoderma lucidum, Acanthopanax senticosus, Schisandra chinensis, Hovenia dulcis thumb, and Lycii fructus. FHM-A and FHM-B were separately fermented with Prunellae Spica, Portulaca oleracea (FHM-A) and Acorus gramineus, Pycnostelma paniculatum (FHM-B). Total phenolic content of FHM-B was higher than that of FHM-A. ORAC values in both FHM-A and FHM-B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ntioxidant activities against peroxyl radicals were higher in FHM-A than FHM-B. Both FHM-A and FHM-B effectively ameliorated AAPH- and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They also suppressed lipid formation induced by ethanol treatment. In addition, FHM-A and FHM-B prevented H₂O₂-induced PC12 cell death. FHM-B showed a relatively stronger protective effect than that of FMB-A.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how that a fermented herbal mixture could be used in healthy and functional food design for oxidative stress-related diseases.

      • KCI등재

        북한 학술지에 게재된 식품학/영양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박재희(Jae-Hee Park),안덕순(Duck Soon An),김교남(Gyo-Nam Kim),최선욱(Sun-Uk Choi),박은주(Eunju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2

        전 세계의 정치적 관심 중 하나인 북한의 비핵화와 남북한 관계를 살펴볼 때, 장기적인 관점에서 북한 과학기술에 대한 활용방안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북한의 과학기술 동향 파악과 관련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2017년 2월 동안 북한 과학기술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북한 학술지 중 11개(경공업과학, 고려의학, 과학원통보, 기술혁신, 기초의학,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내과, 생물학, 소아산부인과, 예방의학, 조선의학)에 게재된 식품학/영양학 분야의 논문 분석을 통해 북한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분야의 연구자들은 선정된 426편의 논문을 검토하여 다른 분야(전자, 축산학, 의학, 농업, 화장품 등)로 분류된 33개의 논문을 제외한 393개의 논문을 최종으로 선정한 후, 각 전공분야의 전문가들이 원문검토하여 논문의 구조적 특징, 기술적 특징, 연구 경향, 논문의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북한 학술지의 구성은 서론, 재료 및 방법, 연구결과 및 고찰, 맺음말, 참고문헌으로 이루어져 국내외 학술지와 유사한 형식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논문의 양은 1/2~3페이지로 매우 짧았으며 참고문헌은 생략되거나 기재되어 있더라도 평균 2~4편의 참고문헌을 인용하고 있었다. 식품학/영양학 분야 논문 연도별 게재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 87편, 2015년 74편, 2016년 152편, 2017년 36편이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분야별 논문 게재 분포는 식품화학 17편, 식품기기분석 17편, 식품가공학 62편, 식품조리과학 26편, 품질관리 6편, 달리 분류되지 않는 식품과학 4편, 식품공정공학 37편, 식품저장/유통/포장 4편, 식품미생물학 18편, 식품발효학 25편, 효소/생물전환 반응 5편, 식품위생/품질관리 11편, 식품 위해성 평가관리 3편, 식품 중금속 1편, 기능성식품 93편, 영양대사조절 4편, 보건영양/영양역학 1편, 영양조사/평가모니터링 3편, 임상영양 18편으로 분류되었다. 전반적으로 북한의 식품학/영양학 관련 연구 수준은 매우 낮았으며 대부분의 논문은 이론보다는 실용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식품학/영양학 분야에서는 최초로 북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북한의 연구현황 및 기술수준을 검토한 데에 의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지속적인 식품학/영양학 분야의 북한 학술지 모니터링은 통일 대비 식품학/영양학 분야에 대한 남북한 과학기술 전문용어 이질성 및 기술 격차를 해소할 수 있고 관련분야에서 남북한 과학기술교류 협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articles of North Korean journals published in 2014∼2017 were examined for their research trends and levels, focusing on food science/nutrition. Researchers in each field reviewed 426 papers and finally selected 349 papers, excluding 77 papers classified in different fields. These papers were reviewed in the original text to evaluate the structur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research trends, and quality. The structure of North Korean journals has a format similar to that of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On the other hand, the papers were very short, and an average of two to four references were cited, with some papers even omitting references.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 food science/nutrition by year was 87 in 2014, 74 in 2015, 152 in 2016, and 36 in 2017.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each field was classified as 200 for food science, 26 for cookery science, 4 for food safety management, 102 for food nutrition science, 1 for public health, and 21 for nutrition management. The research level in North Korea in these fields was evaluated to be very low. The majority of articles emphasized practicality rather than theory.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n reviewing the research status and technology level in North Korea through North Korean academic journals for the first time in the field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