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역 유출량 추정을 위한 TANK 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에 따른 적용성 평가

        김계웅,송정헌,안지현,박지훈,전상민,송인홍,강문성,Kim, Kye Ung,Song, Jung Hun,Ahn, Jihyun,Park, Jihoon,Jun, Sang Min,Song, Inhong,Kang, Moon Seong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6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f the Tank model in simulating runoff discharge from rural watershed in comparison to the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The model parameters of SWAT was calibrated by the 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Arizona (SCE-UA) method while Tank model was calibrated by genetic algorithm (GA) and validated. Four dam watersheds were selected as the study areas. Hydrological data of the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and geological data were used as an input data for the model simulation. Runoff data were used for the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root mean square error (RMSE), Nash-Sutcliffe efficiency index (NSE) were used to evaluate the model performances. The result indicated that both SWAT model and Tank model simulated runoff reasonably during calibration and validation period. For annual runoff, the Tank model tended to overestimate, especially for small runoff (< 0.2 mm) whereas SWAT model underestimate runoff as compared to observed data. The statistics indicated that the Tank model simulated runoff more accurately than the SWAT model. Therefore the Tank model could be a good tool for runoff simulation considering its ease of use.

      • KCI등재

        저수지 관개 광역 논의 영양물질 수지 분석

        송정헌,강문성,송인홍,황순호,박지훈,전상민,김계웅,장정렬,Song, Jung-Hun,Kang, Moon-Seong,Song, Inhong,Hwang, Soon-Ho,Park, Jihoon,Jun, Sang-Min,Kim, Kye-Ung,Jang, Jeong-Ryeol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trient load balance in the reservoir irrigated paddy block during growing seasons. Idong reservoir irrigation paddy block of 10.3 ha in size was selected to collect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data. Irrigation, canal flows, and paddy field drainage were measured using a water level gauge, while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for water quality. The water balance analysis showed that 81 % and 75 % of total outflow were through paddy and irrigation canal drainage during 2011 and 2012, respectively. The water quality of paddy field drainage varied greatly depending on rice cultivation stage ranging from 0.05 to 24.55 mg/L and from 0.01 to 0.76 mg/L for T-N and T-P, correspondently. Paddy field drainage loads during May through June account for 64 % and 76 % in 2012 and 2013, while 82 % and 81 % for T-P in 2011 and 2012, respectively.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rainfal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utrient loads during July through August due to runoff, and irrigation was related with nutrient loads of drainage during some period of July through September due to irrigation return flow. This study results showed characteristics of inflow and outflow nutrient loads from plentiful irrigated paddy block.

      • 물꼬높이 조절에 따른 논 비점 배출부하 저감효과 모니터링

        송정헌 ( Jung Hun Song ),강문성 ( Moon Seong Kang ),송인홍 ( Inhong Song ),김계웅 ( Kye Ung Kim ),장정렬 ( Jeong Ryeol Jang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서는 농경지내 발생원 관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비 방법 개선, 효율적인 물관리 등을 통한 비점오염원 발생 저감 방안 개발이 요구 되고 있다. 특히, 논의 물꼬 높이를 올리면, 강우 또는 관개수를 저장함에 따라 배수량이 감소하여 배출부하량을 크게 저감할 수 있으며, 관개수량을 절약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논에서의 물꼬높이 조절에 따른 비점오염 배출량 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물꼬 높이 조절 처리구 및 대조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처리구와 대조구의 비점오염 배출부하량을 비교ㆍ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물꼬 높이 조절에 따른 비점오염 배출량 저감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용연리 일대에 시험포장을 구성하였다. 시험포장의 처리방법은 관행 영농방법 적용 시험포, 물꼬 높이 조절 시험포로 2처리 2반복으로 하였다. 대조구의 물꼬 높이는 관행 물꼬 높이를 반영하였으며, 대조군은 관행 물꼬 높이를 기준으로 5 cm 높게 구성하였다. 시비량은 새만금 유역에서의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양으로 시비하였다. 물수지 분석을 위하여 관개수량 측정을 위한 유량계, 침투량 측정을 위한 침투량계, 담수심 측정을 위한 초음파 수위계, 포장 배수량 측정을 위한 위어 및 부자식 수위계를 설치하여 물수지 요소를 측정하였다. 물질수지 분석을 위하여 2주 1회 빈도로 정기 조사를 실시하여 관개수와 논물의 수질을 측정하였으며, 영농 초기 및 강우 시에는 집중조사를 위해 10분 ∼ 2시간 간격으로 논물 및 유출수의 수질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논에서의 주요 물관리 인자인 물꼬 높이 조절에 따른 비점오염 배출기작을 구명하고, 영농방법개선 방안 수립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관개지구 물관리기법에 따른 논벼 생육 및 수확량 분석

        이도길 ( Do Gil Lee ),강문성 ( Moon Seong Kang ),김계웅 ( Kye Ung Kim ),류정훈 ( Jeong Hoon Ryu ),이현지 ( Hyunji Lee ),이재남 ( Jaenam Lee ),이재주 ( Jaeju Lee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으로 인해 농촌 지역에서 수자원 부족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수자원의 부족은 안정적인 농업 생산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하지만 농업용수의 수요자인 농민들은 여전히 물 절약에 대한 인식이 미비한 실정이며, 그로 인해 용수의 과잉 사용 및 무효 방류에 따른 용수 손실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있다. 농업용수를 관리하는 물관리기법 중 하나인 간단관개는 하루 또는 며칠 간격으로 관개하는 방법으로서, 제한된 수량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간단관개의 적용을 위하여, 시험지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간단관개 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수문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물수지 분석을 통해 유입량을 분석하고, 물관리기법에 따른 논벼의 생육과 수확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물관리기법 적용을 위한 연구 대상지는 경기도 화성시 장안면에 위치한 6개 논 포장이며, 각 2개 포장씩 묶어 대조구(관행 관리담수심 유지), 절수 처리구A(관리담수심: 20∼80 mm), 절수 처리구B(관리담수심: -100 mm)로 시험포장을 구성하였다. 수문 모니터링을 위해 초음파 수위계, 부자식 수위계, 물꼬 및 위어, 감수심계, 침투량계 등을 설치하였으며, 수문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논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물관리기법이 논벼의 생육 특성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처리구별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뭄시 농업용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