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교육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비교와 현직교사의 유아수학교육 실천적 지식의 내용에 대한 연구

        김경본(Kim, Kyung Bon),박영란(Park, Young Ran),고연경(Ko, Yeoun 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유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교육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을 비교하고 현직교사의 유아수학교육 실천적 지식의 내용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25명,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교사 25명이다. 유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교육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을 알아보기 위해 개념도를 사용하였고, 현직교사의 유아수학교육 실천적 지식의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Clements(2004)가 NCTM(2000)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준하여 제시한 유아수학교육 내용을 토대로 유아 수학교육 인식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모두 수학적 사고에 대한 지식 정도가 부족하였다. 지식의 위계정도 역시 수학교육 내용에 대하여 단편적이고 분리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현직교사의 유아수학교육 실천적 지식의 내용 정도는 ‘수세기’, ‘비교하기와 순서짓기’, ‘도형’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으며 ‘수의 합성과 분해’, ‘자료 분석’은 중요하게 인식하는 정도가 낮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eservice and inservic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knowledge about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rough a concept map. Twenty-fiv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ho attended college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and 25 in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same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asked to draw a concept map on the content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o explore the gap between the subjects’ perception and their implementa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s, 25 questionnaires for each of them were employed.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NCTM’s content standards(2000), and the Clements(2004) sche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bout superordinate concept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 most frequent answers were ‘number and operations’, used by preservice and in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rarest answers were ‘algebra and patterns’ and ‘data analysis’. About subordinate concept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 most frequent answer was ‘counting’. Second,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that ‘counting’ w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The most frequent practice in the field was also ‘counting’.

      • KCI등재후보

        상상놀이터 그리기를 통해 나타난 유아의 실외놀이터와 놀이시설에 대한 이미지

        김정원(Kim, Jung-Won),최은영(Choi, Eun-Young),김경본(Kim, Kyung-B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실외놀이의 주된 참여자인 유아가 상상하는 놀이터 그리기를 통해 나타난 실외놀이터와 실외놀이시설에 대한 유아의 이미지를 조사함으로써 놀이터 및 실외놀이에 대한 유아의 바람을 이해하고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상상하는 놀이터는 자연과 함께하는 놀이터, 도전하고 싶은 놀이터, 쉼과 여유가 있는 놀이터, 접근 가능성이 높은 놀이터, 놀이시설물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놀이터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가 선호하는 놀이시설물은 미끄럼틀, 그네, 시소 등이었고 유아는 이러한 놀이시설물을 활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관점을 고려한 놀이터를 설계하고 놀이시설물을 구성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about young children’s wishes about the outdoor playgrounds and the play equipments. For this, children’s images about outdoor playgrounds and play equipments were analyzed through their drawings about imaginative playground and interviews about their drawing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presented that young children want to have playgrounds with the nature, one to challenge, one with the rest and the leisure, one with high accessibility, and one balancing with various outdoor play equipments. Second, children’s favorite play equipments are slides, swings, and seesaws in order, and it was appeared that they played various types of games in utilizing such play equipment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to design outdoor playground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부모 및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김정원(Kim, Jung Won),이주영(Lee, Joo Young),김경본(Kim, Kyung B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와 다문화교육의 경험이 있거나 현재 담임을 맡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의 필요성 및 다문화교육 실시과정에 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부모 37명과 다문화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37명 등 총 7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67.6%, 유아교사 73%가 다문화교육의 경험이 있었고, 부모들은 교육기관, 이웃과 친구를 통하여, 교사들은 교육기관이나 매스컴을 통하여 다문화교육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둘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81.1%, 유아교사의 100%가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문화가정 부모들은 국제화시대에 필요한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유아교사들은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하여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 부모와 유아교사들은 모두 민족, 인종, 성 등에 관계없이 모든 인간은 평등하며 공동체 속에서 서로 존중하고 협동해야 함을 알려주는 것을 다문화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부모는 부모 스스로가 그릇된 편견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유아교사들은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하여 부모의 협조가 필요하므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이 연계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부모는 각 나라에는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함께 살고 서로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유아교사는 장애인과 보통사람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한 것을 다문화교육의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여섯째, 다문화가정 부모와 유아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부족, 교육 자료의 부족을 다문화교육 실시과정에서의 어려운 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par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preschool teachers with teaching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childre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37 parents and 37 teachers in An-san city and Hwa-sung city in Gyeonggi-Do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more than 2/3 of research sample have had multicultural experiences through various educational institutes, neighbors and friends, and mass communications. Second, 4/5 parents and all teachers who h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eel needy of multicultural education. Parents thought multicultural education to learn the essential skills for international society, and teachers to let children know everybody has equal right in this society. Third, parents and teachers recognized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teach children about human equality regardless of ethnicity, race, sex, etc and everybody has to respect each other and cooperate in this society. Fourth, parents recognized that home-school relationship is essential for them to overcome their own prejudice and stereotypes and teachers to let parents participate to their children's classrooms. Fifth, parents thought the fact that various people live together in this society harmoniously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content and teachers thought especially about disabled people. Sixth, parents and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teaching process because of their lack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ack of teaching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