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20대와 30대의 정신건강 관련요인 연구 -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김경나(Kyeong-N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0

        본 연구는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정신건강 관련 특성을 알아보고 20대와 30대의 정신건강 관련 세부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체 대상자는 48,942명이었으며, 이들 중 20대 23,649명(남자 11,545명, 여자 12,104명), 30대 25,293명(남자 12,146명, 여자 13,147명)이었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별, 거주지, 교육수준, 주택유형, 세대유형, 경제활동여부, 직업분류, 가구소득, 하루평균수면시간, 일반 건강관련 변수로는 현재 흡연여부, 평생음주여부, 체중조절경험여부, 코로나 격리입원여부, 주관적 건강평가를 보았고, 정신건강 변수로는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상담 여부, 우울감 경험여부, 우울증상으로 인한 정신상담 여부 및 우울증 유병 증상들(일에 대한 흥미, 우울감, 수면장애, 피로감, 식욕, 불행감, 집중저하, 불안행동, 자기비하)을 보았다. 그 결과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은 20대보다는 30대가 높게 나타났고,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높았으며, 연령, 성별, 경제활동여부, 직업분류, 평균수면시간, 현재 흡연여부, 평생음주여부, 주관적 건강평가, 우울경험등이 주관적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본 연구가 20대와 30대들이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치료 및 예방 활동 뿐 아니라 사회적 분위기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ntal health factors of adult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by examining the socio-demographic and ment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20. A total of 48,942 subjects (twenties 23,649, thirties 25,293) were evalua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χ²-tes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ver. 18.0. The results revealed that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residential area, educational levels, type of house, household type, economic activity, classification of occupation, house income, average sleep time, smoking status, drinking status, weight control experience, isolation hospitalization status for COVID-19, and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and ment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subjective stress levels, mental counseling status for stress, experienced depression, mental counseling status for depression, and symptoms of depres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factors related to the mental health of adult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p <.05). Mental health-related factors were determined to be closely related to subjective stress level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cused on mental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for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 KCI등재

        일개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의 이유식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김민서(Min-Seo, Kim),김건엽(Keon-Yeop Kim),김경나(Kyeong-Na Kim),김광환(Kwang-Hw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의 이유식 실태와 지식, 태도 등을 살펴보고자 2015년 12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92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가구 및 아기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 이유식 실태, 이유식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등이었다. 이유식 지식 평균점수는 3.79였고, 태도 평균점수는 4.07이었으며, 실천군은 25.0%였다. 이유식 지식에서는 총 자녀수가 2명 이상, 아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은 경우, 출신국적이 중국 또는 일본, 한국어 능력이 상급, 아기 아버지의 학력이 높은 경우, 결혼생활 기간이 6년 이상, 아기 할머니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 이유식 주담당자가 아기 어머니인 경우, 이유식 상담 및 교육을 받은 경우에서 높았다(p<0.05). 이유식 태도에서는 총 자녀수가 2명 이상, 아기 어머니 한국어 능력이 상급, 이유식 주담당자가 아기 어머니인 경우와 이유식 상담 및 교육을 받은 경우에서 높았다(p<0.05). 이유식 실천에서는 아기 어머니 출신국적이 일본과 캄보디아인 경우, 직업이 없는 경우, 이유식 주담당자가 아기 어머니인 경우에서 높았다(p<0.05). 이유식 실천에 따른 지식과 태도 점수를 보면, 이유식 실천군에서 지식(p<0.001) 및 태도가 미실천군보다 높았다. 다문화가정의 영유아 이유식 실천을 위해서 우선 이유식 주담당자인 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주변 동료 지지자를 활용해서 이유식과 관련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문화를 이해하면서 출신국적에 따른 차별화된 맞춤형 교육 및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Abstract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15 toMarch 2016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baby food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rvey includ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and infant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baby foo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an score of baby food knowledge was 3.79, 4.07 for attitudes, and the practice group was 25.0%. In the knowledge of baby food, the groups with a total number of two or morechildren, high educational background for both the father and mother, Chinese or Japanese nationality, high Korean language ability, and marriage for at least 6 or more years was higher (p<0.05). In the attitude of baby food, the groups with a total number of two or more children, a higher mother"s Korean language, and the mother in charge of the baby food were higher (p<0.05). In the case of baby food practice, the groups the baby mother was from Japan and Cambodia, there was no occupation, and the mother was in charge of the baby food were higher (p<0.05). Knowledge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baby food showed a higher knowledge (p <0.001) and attitude in the weaning practiced group than unpracticed. To producebaby food for inf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ability of infant mothers who are in charge of baby food,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related to infant formula utilizing the supporters of the neighboring moth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and support that is contingent upon the nationality of the native people while remaining mindful of the cultural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요인

        남행미 ( Hang Me Nam ),김건엽 ( Keon Yeop Kim ),김경나 ( Kyeong Na Kim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2015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0 No.3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food parenting practice, nutrient knowledge and home food environment on the dietar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1,006 middle school students, of which 469 were male and 537 were female studen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by setting food parenting practice and family environment as the exogenous variable, and nutrient knowledge, home food environment and dietary behavior as the endogenous variable. Results: As food parenting practice had direct effects on nutrient knowledge and home food environment, nutrient knowledge and home food environment also had direct effects on dietary behavior. Food parenting practice indirectly affects dietary behavior by having the home food environment as a parameter. Conclusions: Positive parenting practices and a healthy home food environment are necessary in constructing a desirable dietary behavior for adolesc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and support targeted for parents could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