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자본주의적 ‘포획’의 현실과 그 ‘너머’의 윤리

        김겸섭(Kim Kyoum-sup)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人文科學硏究 Vol.35 No.-

        Deleuze stresses the conceptual autonomy of the State. Deleuze's notion of the State operates on many different conceptual levels. He argues that the State is an abstract form of power not wholly identifiable with its particular concrete realisations. Deleuze refers to a 'State-form' an abstract model of power: "the apparatus of the State is a concrete assemblage which realises the machine of overcoding of a society ... This ma-chine in its tum is thus not the State itself, it is the abstract machine which organises the dominant utterances and the established order of a society, the dominant languages and knowledge, conformist actions and feelings, the segments which prevail over others." For Deleuze the State is an abstract machine rather than a concrete institution, which essentially "rules" through more minute institutions and practices of domination. The State overcodes and regulates these minor dominations, stamping them with its imprint. What is important about this abstract machine is not the form in which it appears, but rather its function, which is the constitution of a field of interiority in which political sovereignty can be exercised. The State may be seen as a process of capture. Similarly to Stimer, Deleuze breaks with the Marxist analysis of the State. The function and origins of the State cannot be wholly explained by an economic analysis. The State is an apparatus which codes economic flows and flows of production, organizing them into a mode. This apparatus did not rise as a result of an agrarian mode of production as Marx argued, but in fact predates, and is presupposed by, this mode of production. For Deleuze the State cannot be attributed to the mode of production. Turning this traditional Marxist analysis on its head they suggest that the mode of production may in fact be derived from the State. As Deleuze says: "It is not the State that presupposes a mode of production; quite the opposite, it is the State that makes productions a 'mode'" For Deleuze there has always been a State - the Urstaat, an eternal State which comes into existence fully formed, at one stroke. This non-economic analysis of the State opens up a radical philosophical terrain in which power is theorised in its own right.

      • KCI등재후보
      • 정치적인 것의 윤리와 진리

        김겸섭(Kim, Kyoum Sup)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硏究 Vol.38 No.-

        Slavoj Zizek is a Slovenian philosopher and cultural critic who works in the traditions of Hegelianism, Marxism and Lacanian psychoanalysis. He uses examples from popular culture to explain the theory of Jacques Lacan and uses Lacanian psychoanalysis, Hegelian philosophy and Marxist economic criticism to interpret and speak extensively on immediately current social phenomena, including ongoing financial crisis. He described himself as "communist in a qualified sense" and "radical leftist". For instance, his speech on Wall-street shows his recent work vividly. Recently, Zizek emphasizes the ethics of "action". For him, truth and action are deeply related concepts. This paper tries to explain how Zizek uses these concepts and appropriates them to ongoing political situations. Zizek recognizes Lenin, St. Paul, Marx, Lacan etc. as "Apostles" who practiced "Politics of Truth". His concept of "Truth of Apostles" is an attempt to go beyond the limits of post-ism and post-politic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문학(文學) : 칼럼 기반의 대학 글쓰기 교육 모델 연구

        김겸섭 ( Kyoum Sup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70 No.-

        한국 대학들은 글쓰기 능력의 중요성을 실감하고 이를 필수화하고 있다. 하지만 가치평가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그러한 난제들이 당장 해결될 수 있을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여기에는 학교마다 해결해야 할 제도적, 물적 선결 과제들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공유하는 수업의 큰 틀 속에서 나름의 출구를 찾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대구대학교의 경우 교수자들은 공유된 수업계획서를 활용하고 있다. 다만 그것은 큰 틀에서의 합의일 뿐 미시적인 부분들은 교수자들의 자율에 맡겨져 있다. 이러한 유연함은 현실과 교육적 고민 양태들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은 대구대학교가 공유하는 글쓰기 수업 프레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필자 나름의 경험과 고민을 나누고자 하는 목표를 지닌다. 사실 간단하게 보일 수 있지만 글쓰기 과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은 보통 일이 아니다. 특히 글쓰기는 읽기의 과정을 전제한다. 물론 집에서야 보다 긴 분량의 글을 읽을 수 있겠지만, 어떤 지식과 정보를 읽고 추려내는 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이 강의실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다시 말해 ‘독서-확장적 독서-반성적 독서’라는 글쓰기 준비 과정의 핵심을 학생들에게 소개하는 대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이는 자료를 정리하고 요약하는 과정, 개요를 파악하고 구성을 연습하기 위해 긴 분량의 글을 수업 시간에 이용하는 것도 무척 난감한 일이다. 물론 학생들이 정한 자기 주제를 가지고 과제를 수행하는 작업은 자료의 성격과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신문 칼럼을 활용한다면 짧은 수업 시간 안에 글쓰기의 전 과정을 추체험하는 노고를 훨씬 덜어줄 수 있다. 칼럼은 일급 필진들의 글쓰기 진경(眞景)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언론사에서 칼럼을 쓰는 이들은 오랜 글쓰기 경험과 내공을 지닌 사람들이다. 그들의 글을 통해 우리는 모델로 삼을 수 있는 문체와 글의 구성법을 익힐 수 있다. 칼럼은 쉽고 간결하게 쓰기의 전형을 보여준다. 이는 모든 글쓰기의 원칙이다. 하지만 그게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학생들의 글을 보면 자신들의 ‘지력’(知力)이 감당할 수 없는 용어나 내용이 자주 발견된다. 베낀 것이라고 볼 수밖에 없는 표현과 내용들이 자주 눈에 띠는 것이다. 사실 학생들은 표절이나 왜곡 등의 글쓰기 윤리에 대한 일종의 ‘죄의식’이 없다. 하지만 칼럼은 자신의 정보나 지식을 자신의 언어로 옮겨 쓰는 일의 중요성을 체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학습자가 읽고 추린 자료를 세상일과 연결짓다보면, 그리고 그 작업의 결과를 글로 풀다보면 자신의 성장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신문 칼럼은 학습자들의 언어 사용기능의 신장을 통해 사고력을 기른다는 글쓰기 교육의 목표에 부합할 수 있는 다양한 특성들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대구대학교에서 필자가 실험 중인 칼럼 기반의 글쓰기 교육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전체 글쓰기 교육 과정을 압축적으로 추체험하는 데 4차에 걸친 수업 과정은 나름의 효과를 지닐 수 있다. 이 모델이 대학 글쓰기 교육 현장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아이디어가 되길 희망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 new solution that can help to overcome some difficulties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lthough countless education courses teach students the right and wrong ways of writing, most students still have trouble being able to put their own words on paper. Many writing educators have tried this problems, by introducing writing theories and applying them to writing lessons. Teaching methods such as formalism, constructivism, social constructivism enriched Educational discourse of writing in the Korean` university. However, despite some achievements and developments in theoretical field, one still faces many tantalizing problems in education as lack of teaching hours, financial problems, learning environments etc. But we couldn``t expect that these problems would be handled immediately. Thus we need other reasonable solutions. Newspaper columns have many benefits that can be harnessed for educational purposes of writing lessons. Columns help to learn construction methods and styles, and provide typical examples of concise writings. Columnists are master of good writing. We can acquire diverse viewpoints of reality and world, proper expressions. This paper will present a writing educational model that I have tried in Daegu university. It consisits of 4 steps: 1. the concept and conditions of column, 2. how to write colum, 3. reflexive deep-reading of column, 4. expansive Reading and expressions of critical thoughts. Each of these steps aim at a effective condensation of one-semester writing lesson. It depends on circumstances of each university, this project can be flexible. Writing education based on colums can be reagarded as a kind of NIE(Newspaper in Education). It has potential to be used as a learning tool for writing.

      • KCI등재후보

        놀이학'의 선구자, 호이징하와 까이와의 놀이담론 연구

        김겸섭(Kim Kyoum-Sup)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人文硏究 Vol.- No.54

        놀이는 인간 활동의 중요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인문학적인 관심으로부터 소외되어왔다. 교육학이나 심리학, 민속학 등의 분과학문을 통해 간헐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놀이 자체에 대한 연구는 아니었다. 그러나 포스트주의적 담론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놀이와 놀이성이 재조명되기 시작하고, 놀이 연구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증대되기 시작했다. 호이징하와 까이와는 일찍이 놀이를 독자적인 학문적 영역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호이징하의 경우 인류 문화의 기원을 노동이 아닌 놀이에서 찾으려 했고, 놀이성에 비추어 현대의 문화를 비판하였다. 더 나아가 까이와는 호이징하 놀이이론의 비판적 재구성을 통해 체계적인 놀이의 사회학을 구성하려 하였다. 이들의 논의는 이후의 놀이담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두 사람의 논의는 놀이의 복잡한 사태들을 포괄해야 하는 '놀이학'의 정립의 필요조건을 채우지는 못한다. 호이징하의 경우 엘리트주의적인 태도로 인해 알레아적인 요소와 일링크스적인 요소를 간과한다. 문화와 관련된 놀이에 대한 편향적 관심, 종교적 의례와 놀이의 동일시 등은 까이와에 의해 비판을 받게 된다. 까이와의 경우 놀이에 대한 정교한 분석틀과 범주를 만들어 내지만, 경직된 범주 적용으로 인해 놀이의 복잡하고 유동적인 사태를 간과하고 만다. 특히 전통적인 놀이문화의 경우 종교성과 긴밀한 연관을 가질 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애써 그것을 부인하는 태도는 까이와의 심각한 결함이라 할 수 있다. 놀이의 통시태에 주목하는 호이징하와 놀이의 공시태를 강조하는 까이와의 종합과 균형 회복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의 분과학문들은 놀이의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주체의 구성 영역에만 집중해 왔다. 하지만 놀이는 이러한 구심적 기능 이외에도 사회적 탈주, 즉 원심적 기능을 함유하고 있기도 하다. 놀이는 구 심력과 원심력의 통일체로서 인간 삶의 근본 원리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호이징하와 까이와는 그 한계에도 불구하고 종합적 놀이연구의 첫 행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As a theoretical concept, is challenging to define. Rather than collapsing all views of this quality into a singular definition, play may be best envisioned as descriptive of a range of activities that may be ascribed to humans and non-humans. This Paper studies critically play-discourses of Huizinga and Caillois who opened new field of play-studying. 『Homo Ludens』of Huizinga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he play element of culture and society. He makes it clear in the foreword of his book that he means the play element of culture, and not the play element in culture. 『Les jeux et les hommes』of Caillois is builds on the theories of Huizinga and disputes many of them. They have many theoretical problems, but their insights into phenomena of play and playing contributed to promotion of 'play studies'. If one can overcome their limits, it may also quicken a construction of 'Paidology'(integrated field of play-studying).

      • 제3부 한국인의 가치관과 인성교육 : 대화와 협력 기반의 청소년 교양 교육 미디어, 디지털게임

        김겸섭 ( Kyoum-sup Kim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6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7 No.-

        게임은 우리시대의 대표적 놀이문화가 되었다. 경제적 이유에서 전 세계 디지털 강국들은 게임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기도 한다. 가상현실 기기나 증강현실 기술은 게임의 발전과 뗄 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다. 게임의 중독성과 폭력성에 대한 우려 속에서도 게임은 여전히 진화하고 있다. 불안과 공포의 시선으로 게임에 쏠리는 관심을 막기에 그것은 일상적 미디어가 되었다. 분명 다양한 이유에서 상업적 주류 게임에 문제가 있고 그 자체로 엄밀한 평가와 경계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부 문제게임들을 이유로 모든 게임을 금기시한다면 우리는 창조산업 후진국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나아가 이는 게임을 차세대 청소년 교육의 플랫폼으로 활용하려는 전 세계의 흐름에 반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는 게임생태계 안의 주체들이 다양한 이유로 그것을 플레이하고, 그들이 그려내는 게임 세상자체는 문화적 복합체(cultural complexity)임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에 게임을 연구할 때에는 다양한 시각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우루과이의 게임개발자이자 이론가인 곤잘로 프라스카(GonzaloFrasca)를 경유하여 게임을 인간화와 대화교육의 수단으로 삼을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오락게임이 업계의 주류이기는 하지만 게임업계에서는 교육과 치유의 도구로 게임을 활용할 가능성에 을 보여 온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프라스카는 이른바 시중의 ‘시리어스 게임’(serious games)과 다른 인문적 대화를 위한 플랫폼으로 게임을 이용하자고 제안한다. 물론 어떤 점에서 그가 제안하는 게임은 상업적이지도 않고 게임 고유의 상호작용성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인문적 소양과 인성교육의 차세대 플랫폼으로 게임이 활용될 수 있다는 아이디어는 미래세대의 인성교육을 위해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이 의의를 입증하기 위해 그의 대안 게임 프로젝트 중 ‘나의 억압을 플레이하라’(PMO)를 사례로 들어 구체화하고 그 의미를 살펴본다. This paper tries to investigate educational functions of ‘serious games’, which is a game designed for a primary purpose other than pure entertainment. Especially, it will pay attention to work and alternative models of Gonzalo Frasca who is game designer and academic researcher. He claims that videogames could indeed deal with human relationships and social issues, while encouraging critical thinking. For Frasca, Boal is a practical spiritual mentor. ``The Theatre of the Oppressed`` is Augusto Boal``s most academically influential work, in which the reader follows Boal’s detailed analysis of the Poetics of Aristotle and the early history of Western theatre. Boal contends that the Aristotelian ethic means of oppressing the masses, the Gonzalo Frasca will follow Boal’ theatrical idea and alternative methods, particularly, spect-actor. The term “spectator” brands the participant to be less than human hence is necessary to humanize them, to restore them their capacity of action in all its fullness. Digital Games can provide best conditions for performance that can promote social discussion and critical consciousness-raising. Mod games are good examples. < Videogames of the Oppressed > by Gonzalo Frasca is an interesting thesis on taking video games and making them much like Augusto Boal’s ``Theater of the Oppressed``. ``The Theater of the Oppressed`` is a model of theater in which a situation is presented to the audience and they have to come up with a real world solution in order to solve it. Of course, many will probably disagree with this assertion that Frasca is suggesting but I think games could benefit from this type of interaction rather than the typical binary interaction video games typically have. In the game the player must make changes in time in order to help various characters improve themselves. It’s a bit more complicated than that of course cause there are many things you could change to change the outcome of the character. His Ideas of alternative gam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youth humanist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