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규모 공공건설사업의 낙관적 편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건식(KonShik Kim)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7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7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istence of optimism bias in the initial cost and schedule estimates and to suggest trial estimates for the degree of optimism bias in large public investment projects. The approach named as reference class forecasting based 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reference group was applie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expenditure of large-scale public engineering/construction projects showed average cost overrun of 24.1% and 87.4% of the total 430 cases have experienced cost overrun. The average schedule overrun was 46.1%, and 95.3% of the projects meets or exceeds the planned project period. In addition, the number and amount of design changes had impacts on the cost overrun, and the actual remuneration, amount of design changes, amount of cost overrun affected the schedule overrun. Further, the cost uplifts for 50 percentile was 15% and for 80 percentile was 35.1%. The schedule uplifts for 50 percentile was 35%, and for 80 quantile was 80.4%.

      • KCI등재

        가치사슬 내부 및 외부의 지식원천이 급진적 혁신 및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

        김건식(KonShik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중소 제조기업에서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 지식원천들이 급진적 혁신 및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원천들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지식원천이 연구개발투자와 상호작용하여 급진적 혁신 및 점진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술혁신조사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3,218개의 종단패널데이터를 구성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 제조기업에서 가치사슬 외부의 지식 원천을 많이 활용할수록 급진적인 혁신성과가 증가하며, 가치사슬 내부의 지식 원천에 관한 채널이 많을수록 점진적인 혁신성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의 지식 원천은 혁신성과와 역 U자형 관계가 있음을 실증하였다. 이는 가치사슬 외부의 지식 원천과 혁신성과 간에 수확체감(diminishing returns)의 기제가 작용함을 의미한다. 셋째, 가치사슬 외부의 지식 원천과 내부의 지식원천 간에는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가 존재하여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 지식 채널이 많아지면 지식원천-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선형적인 기제(linear mechanism)가 더욱 강화되고 있다. 넷째, 가치사슬 외부 및 내부의 지식원천은 모두 연구개발투자와 급진적 혁신성과 간의 관계에서 시너지를 창출하여 지식원천의 채널을 많이 활용할수록 혁신성과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nonlinear relationships between external knowledge sources and the innovation performance of 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Using 3,218 firm-year panel data in South Korea, this study found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external knowledge channels out of the value chain increases radical innovation. Meanwhile, increasing the number of external knowledge channels within the value chain increases the incremental innovation. Further, the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both out of and in the value chain had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s on radical and incremental innovation respectively. This finding implies that a mechanism of diminishing returns work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and innovation.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synergistic effects between the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out of the value chain and within the value chain, and confirmed that the synergistic effects strengthen the linear mechanism between the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and innovation.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sources of knowledge both out of and within the value chain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D investment and radical innovation of SMEs.

      • KCI등재

        한국 제조업에서 혁신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인과경로

        김건식(KonShik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1

        기술혁신을 포함한 기업의 혁신이 기업과 산업의 성장 및 경쟁우위에 기여한다는 연구는 많으나, 주로 연구개발 집약도 또는 특허로 측정되는 기술적 혁신의 성과 검증에 집중되어왔다. 또한 혁신의 단계 또는 프로세스에 관한 기존 모형들은 대부분 기술 혁신을 대상으로 아이디어 창출-기술개발-혁신성과 도출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모형들은 지식의 창출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이거나 기술적인 혁신에 국한된 지식의 변환구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혁신 모형을 확장하여 혁신활동부터 기업의 운영성과와 재무적 성과까지를 포괄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간의 경로들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 인과적인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혁신활동이 늘어나면 신제품 출시, 공정혁신, 특허출원과 같은 혁신의 성과가 늘어나고, 혁신성과는 기업의 운영성과를 높이며, 운영성과는 매출성장률을 향상시키는 경로가 검증되었다. 둘째, 종속변수가 혁신성과, 기업운영성과, 재무적 성과의 방향으로 혁신의 직접적인 성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혁신활동의 영향력이 점차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혁신성과가 매출성장률에 미치는 효과는 소기업이 중기업보다 높으며, 중기업의 경우 혁신성과는 매출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영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가 존재함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대기업의 경우 혁신성과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혁신의 전유성은 혁신성과, 특허출원건수, 기업운영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Extant studies have explained that firm’s innovations including technological product and process innovations contribute to its competitive advantage and growth, thereby supporting competitiveness and growth of industry. These studies, however, have focused mainly on the role and effect of technological change that is primarily measured by the patent numbers and R&D intensity. Aside from these traditional stream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on the impact by various dimensions of innovation including non-technological innovations. Apart from the discussions on the dimensions and scope of innovation, stages or processes of innovation also have been studied. Extant studies on innovation process model, however, has limited its interests in the structure of the transformation of knowledge. This study have established a comprehensive model embracing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to investigate the causal paths between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Using multi-level generalized linear model with path analysis, this study have found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rocesses from innovative activities to innovation output and outcomes including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at firm level were verified. Secondly, the influence of innovation decreases gradually as the distance away from the direct outputs of the innovation increase in the direction of financial outcomes. Third, the effect of innovation on the sales growth rate is higher for small businesses than for medium-sized businesses. The effect of innovation on the profit rate, however, is significant only for medium-sized businesses. For large businesses, innovation has no positive significant impact on any financial performance at all. Fourth, Fourth, the appropriability of innovation has positive impacts on innovative performance, patent application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청년의 일자리 질을 매개하여 주관적 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

        김건식(KonShik Kim) 한국고용정보원 2022 세미나 자료 Vol.- No.-

        본 연구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청년의 소득의 질, 경성 일자리 질, 연성 일자리 질로 구성되는 일자리의 질을 매개하여 주관적 건강과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2016년에서 2020년까지 조사된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의 원자료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자리의 질에 양(+)의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일자리 질 차원 중에서 소득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가장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소득의 질, 경성 일자리 질, 연성 일자리 질로 구성된 일자리의 질은 주관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연성 일자리 질의 효과가 소득의 질이나 경성 일자리 질보다 상당히 큰 직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역시 주관적 건강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청년의 일자리 직은 주관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으며, 연성 일자리 질의 효과가 소득의 질이나 경성 일자리 질보다 상당히 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역시 주관적 웰빙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청년의 일자리 질을 매개하여 주관적 건강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연성 일자리 질을 매개한 효과가 가장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청년의 일자리 질을 매개하여 주관적 웰빙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연성 일자리 질을 매개한 효과가 가장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좋은 일자리가 청년의 능력과 노력만이 아니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받아 청년의 건강과 웰빙에서 체계적인 차이가 발생함을 실증하였다. 이는 기업과 조직에서 일자리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 활동이 오히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청년에게 더 많은 편익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일자리 질 개선이라는 개별 조직의 노력에 따른 성과 및 정부의 일자리 정책 효과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불평등하게 배분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기술혁신에 미치는 영향

        김건식(Konshik Kim)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1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조직성과 간의 경로와 기제를 설명하는 연구는 인적자원관리의 이론 정립과 실무적인 유용성의 제고를 위해 매우 중요한 분야이나 최근까지도 연구가 많지 않고, 특히 조직분위기나 인적 자본 등을 매개로 하는 간접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한편, 기업의 경쟁 우위확보에 필수적인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해서 인적자원관리 또는 고성과 작업시스템은 중요한 선결조건이다. 그러나 연구개발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혁신 연구 및 주로 구성원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주목하는 인적자원관리 연구는 모두 기술혁신과 인적자원관리 간의 관계에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다.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정책과 제도들은 직접적으로 구성원의 능력을 제고하여 인적 자본의 형성과 축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신호와 메시지로서 구성원들의 공유된 인지와 해석을 통해 조직의 혁신 분위기를 조성하고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본 연구는 HPWS이 성과에 미치는 기제를 내용적 측면과 맥락적 측면으로 구분하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인적자본, 맥락적 측면에서는 혁신 분위기를 매개하여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수립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인적자본 기업패널자료를 사용하여 316개의 제조업 및 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랩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성과 작업시스템은 인적자본에 직접적인 정(+)의 효과가 있으며, 인적자본을 통해 기술혁신에 간접적인 정(+)의 효과가 있음을 실증하였다. 또한 고성과 작업시스템이 혁신 분위기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혁신 분위기를 통해 기술혁신에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간접효과들을 제외하면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기술혁신 간의 직접적인 정(+)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고성과 작업시스템은 혁신분위기와 인적자본을 매개하여 기술혁신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인 효과는 총 효과의 61%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거의 조직성과를 통제한 피드백 효과의 존재, 실무적 관점에서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효과 크기 등을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Many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benefits of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HPWS) in maximizing employee contributions toward competitive advantage.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consists of rigorous and selective staffing, extensive training and development, developmental and performance-based appraisal, competitive compensation, flexible job assignments, autonomous and participative work practices, and extensive benefits. The underlying mechanisms explaining how HPWS relate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have not been well established, however. In particular, researchers have not analyzed the mediating factors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HPWS and performanc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mediating factors through which HPWS relates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ferencing content-based frameworks such as human capital theory, the resource-based view, and theories on creativity, the author hypothesizes that HPWS is related to human capital, and through human capital impacts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author subsequently references context-based frameworks such as social exchange theory and social network theory to hypothesize that HPWS is also related to innovative organizational climates, and through innovative organizational climates impacts technological innovation. Using data from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s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of 316 firms with more than 100 employees, the author analyzed the following hypotheses: Hypothesis 1. HPWS is positively related to an organization’s human capital. Hypothesis 2. HPWS is positively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its effects on human capital. Hypothesis 3. HPWS is positively related to an innovative organizational climate. Hypothesis 4. HPWS is positively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its effects on an innovative organizational climate. The author considered the challenges of measurement, single respondent error, common method bias, and inversed causal relationships in the design of this research and construction of the empirical model,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se results. The results support all four relationships hypothesized above. HPW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 collective innovative climate, as well as with human capital collectively perceived. HPWS, in turn, is related to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innovative climates and intellectual capital. These indirect causal paths from HPWS to technical innovation mean that HPWS not only has direct and content-based impa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but also has indirect and context-based impact. Furthermore, using past innovative performance as a control variable, the study shows that the direct effect of HPWS on innovative performance is not significant, and therefore the author suggests that study of the direct relationships between HPW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out any mediating path is irrelevant to our knowledge in these fields. <Figure 1> measures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causal relationship effects between HPW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as mediated by an innovative climate and human capital.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are used to quantify the effect and significance level. <Figure 1> The Relationships between HPW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o my best knowledge, this is one of the first empirical studies to hypothesize and investigate the mediating mechanisms between HPWS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n detail, using data from multiple responses and controlling past performance. I believ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both theoretically and methodologically to explaining how HR systems influence firm performance.

      • KCI등재

        고성과작업시스템, 고용불안정성, 그리고 조직성과

        김건식(KonShik Kim)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2

        고성과작업시스템(HPWS)은 공동체적인 가치와 철학에서 출발하여 종업원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동기를 부여하여 기업의 성과를 높이려는 경영시스템이다. 고용불안정성은 종업원 개인이 현재의 고용상태가 앞으로도 존속할 것인가에 대한 위협 및 우려를 말하며, 해고의 위협을 느끼는 개인뿐만 아니라 해당 조직 수준에서도 고용불안정성은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HPWS가 종업원 개인과 기업 수준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및 고용불안정성이 개인의 심리적 기제와 기업 수준의 성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연구들은 적지 않으나, 이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HPWS 및 고용불안정성이 각각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과 고용불안정성이 HPWS의 긍정적인 영향을 억제한다는 가설을 수립하고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WPS) 3개년도 자료에서 추출한 4755개의 표본으로 패널을 구성하여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이 강화되면 자발적 이직인원수가 줄어들고 인지된 조직성과가 향상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고용불안정성이 높아지면 자발적 이직인원수가 늘어나며 인지된 조직성과가 저하되는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고성과 작업시스템과 고용불안정성 간의 상호작용이 자발적 이직인원수 및 인지된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시스템 수준에서는 유의하지 않지만 일부 하위 정책수준에서는 상승적이거나 완충적인 상호작용이 혼재함을 검증하였다. 즉, 성과평가의 정책이 강화되면 자발적 이직인원이 늘어나는 효과는 고용불안정성이 증가함에 따라 강화되며, 높은 보상의 정책이 강화되면 자발적 이직인원이 감소하는 긍정적인 효과는 고용불안정성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며, 정보공유 및 소통 정책이 증가하면 조직성과가 향상되는 효과는 고용불안정성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Based on the communitarian values and philosophy,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HPWS) is one of the management systems to develop the ability of and motivate employees, thereby enhancing the firm performance. Job insecurity is the perceived threat of job loss and the worries related to that threat, concerning regarding the future continuity of the current job. Job insecurity affects not only individuals who feel the threat of unemployment, but also have impact on firm’s survival and performance. Researchers agree in general that HPWS positively impacts on firm’s collective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Studies on job insecurity continues to report that voluntary turnover and downsizing due to job insecurity negatively affect performance at the firm level 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at the personal level. However, research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job insecurity and HPWS are very limited. Using longitudinal panel data from Work Place Survey of Korea Labor Institute, This study confirmed that voluntary turnover is reduced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improved as the level of HPWS is enhanced, and voluntary turnover increases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ecome worse when job insecurity is intensified, and Increased job insecurity moderates, in part, the effects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on percei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voluntary turnover.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careful design be needed when firms select and integrate some compens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policies not to negatively interact with other work system policies, and job security policy be adopted to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