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주제도 표현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김감영 ( Kam Young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uss what kinds of problems thematic maps have from cartographic perspective and how these problems influence to student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Related to making world maps, inadequate cases in selecting appropriate map projections for area symbolization, using a graphic bar scale, setting up central meridian, or presenting the lines of longitude and latitude or the outline of a map were observed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In addition, there were several cases that do not comply the designing principles of thematic map such as mapping total data with a choropleth map, do not including meaningful break values which come from a theme to be mapped itself rather than classification methods, and using inadequate color schemes which do not reveal characteristics of data.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principles of thematic mapping clearly and specifically in the writing guideline of textbooks in the short run and to enhance courses related to cartography in curriculum at higher education in the long term to improve these problems.

      • KCI등재
      • KCI등재

        GIS와 공간 군집기법을 활용한 잠재적 도시재생 구역 식별

        김감영 ( Kam Young Kim ),박지혜 ( Jee Hye Park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GIS와 공간 군집기법을 이용하여 블록 수준의 공간 스케일에서 잠재적인 도시재생 구역을 식별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시가지의 물리적 특성과 건설자본의 투자를 통한 도시재생이 주를 이루어 왔기 때문에,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공급 측면의 설명논리를 이용한 재생구역 설정이 보다 적합하다. 따라서 지대차를 계산하는 핵심 개념인 실질 지대(capitalized ground rent)를 조작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지가와 건축물의 노후도를 이용하였다. 블록 수준의 기본 공간 단위에 대하여 지가변동률과 노후 건축물의 비율을 계산한 후, 두 기준을 모두 반영하는 결합 확률면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확률면에 Getis-Ord의 Gi* 통계량을 적용하여 도시재생의 가능성이 높은 군집을 식별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대구광역시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구의 경우 기존 도시화된 지역의 상당 부분이 도시재생을 필요로 하는 노후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도시재생을 필요로 하는 지역은 기존 도심 전체가 아닌 부분적인 군집의 형태로 나타났다. 군집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군집의 강도와 공간적 범역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ct potential urban regeneration districts using GIS and spatial clustering analysis at detailed spatial scale like blocks. Because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have been enforced generally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uilt-up areas and the investment of capital, the production explanation for gentrification seems to be more appropriate to our situation. Therefore, the land value of parcel and degree of buildings`s deterioration were selected in order to operationally measure capitalized ground rent, which is a key concept of Smith`s rent-gap theory. After the fluctuation rate of land value and the rate of a aged building were calculated for each basic spatial unit, a combined probability surface which simultaneously satisfies two criteria was generated and spatial clusters with high probability of urban regeneration were detected by applying Getis-Ord`s Gi*. This procedure was applied to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patial clusters which could be regenerated with high probability within an urbanized area.

      • KCI등재

        GWR과 공간 군집 분석 기법을 이용한 중심지 식별: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김감영 ( Kam Young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1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4 No.3

        중심지 식별을 위하여 임계치 방법, 모수 방법, 비모수 방법 등이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접근들은 공통적으로 개별 공간 단위 별로 평가된 결과를 바탕으로 중심지를 식별하기 때문에 결과만으로 공간 단위의 집합인 중심지의 위계(중심성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중심지 식별과 관련된 국내의 기존 연구의 경우, 동과 같은 행정구역을 분석의 기본 공간 단위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 단위는 내적 이질성 때문에 중심지를 포함한 지역이지 중심지 자체의 범역이라 볼 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속적이면서 위계를 갖는 중심지 범역을 식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블록 수준에서 측정된 지가 데이터에 비모수 통계 기법인 GWR을 적용한 후 산출된 잔차에 공간 군집 분석 기법의 하나인 AMOEBA를 적용하여 중심지를 식별하였다. 대구 광역시를 사례로 분석을 수행한 결과, GWR의 잔차에 AMOEBA 군집 분석을 적용함으로써 중심지의 위치, 범역, 위계의 식별이 향상되었다. Threshold,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methods have been utilized in order to identify centers in urban areas. These approaches commonly derive centers by evaluating individual spatial units rather than relationships among spatial units consisting of the center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hierarchy of centers or difference in centrality. In addition, as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topic in Korea have been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like Dong being spatially heterogeneous, identified centers are the regions containing their actual spatial boundary. Given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spatial area of continuous and hierarchical centers. For this, GWR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d AMOEBA (A Multidirectional Optimal Ecotope-Based Algorithm) which is a spatial clustering method were utiliz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at the scale of block with land value. The method was applied to Daegu Metropolitan City.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ethod could improve the identifications of location, spatial area, and hierarchy of centers compared with the existing approaches.

      • KCI등재

        공간분석 및 모델링을 이용한 지방행정구역 재설정에 관한 연구

        김감영(Kam Young Kim),이건학(Gun Hak Lee),신정엽(Jung Yeop Shi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분석 및 모델링을 이용하여 지방행정구역을 재설정하는 최적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지방행정체제 개편과 관련된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구역 설정을 위한 기준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준을 바탕으로 행정구역 재설정을 위한 최적화 모델을 정의하였다. 구역내 동질성, 구역간 형평성, 공간적 배열이라는 세 가지 요소를 행정구역 재설정 최적화 모델의 주요 기준으로 고려하였다. 행정구역과 실제 생활권(경제권)을 일치시키기 위한 구역내 동질성은 구역에 포함된 단위 지역간 상호작용의 형태로 정량화되었다. 인구, 면적, 재정력 등의 차이를 이용하여 구역간 형평성을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조밀하고 연속적인 구역이 형성되도록 공간적 배열을 제약하였다. 제시된 행정구역 재설정 최적화 모델은 GIS 환경에서 자동구획절차(AZP)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구현되었으며, 시군 공간 단위의 합역을 통한 광역체계 행정구역을 설정하는 문제에 적용되었다. 적용 결과 제시된 모델은 목적함수 대안에 따른 최적화된 구획체계를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ptimization model for reconstructing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For this, literature related to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was critically reviewed and criteria for redistricting were extracted. An optimization model for reconstructing administrative districts was formulated based on these criteria. The model considered three criteria; homogeneity within a reconstructed district, equity among reconstructed districts, and spatial arrangement. Homogeneity for relieving spatial mismatch between administrative and living(economic) boundaries is measured by spatial interaction within a district. Equity among districts is evaluated using population, area, and financial independence. Finally, spatial arrangement is measured by compactness and contiguity. The developed optimization model was implemented using Automated Zoning Procedure(AZP) in GIS environment and applied to a problem aggregating Si-Gun administrative units into broader districts. Applic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odel can provide optimal districts according to alternative objective functions.

      • 도시 공간 구조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의 비판적 재고찰과 향후 연구 방향 모색

        신정엽 ( Jung Yeop Shin ),김감영 ( Kam Young Kim ) 한국지리학회 2014 한국지리학회지 Vol.3 No.1

        도시 공간의 역동성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은 교외화와 더불어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논의의 비판적 재고찰을 통하여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 Smith와 Ley를 중심으로 한 공급 측면과 수요 측면의 논의, 그리고 이들 간의 논쟁을 고찰하였다. 또한 최근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는 세계화와 다양한 국가의 젠트리피케이션, 이주와 소셜 믹스(Social Mix), 젠트리피케이션의 다양한 공간성, 신규 개발 젠트리피케이션 등의 주제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 공간의 역동성 이해, 다양한 젠트리피케이션 요인의 복합적 고려, 다양한 공간 스케일의 고려, 국내 도시 현상에의 적용 측면에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erms of dynamics of urban space, gentrification is very important research theme in company with suburb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view the discussion of gentrification, and then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research. In order to do it, the concepts of gentrification, researches on gentrification in production-side and supply-side explanations, and debates between the two sides were critically reviewed. In addition, topics which have been the focus of attention such as globalization and gentrification worldwide, displacement and social mix, various spatiality of gentrification, and new-build gentrification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em, future research direction is suggested in terms of understanding dynamics of urban space,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consideration of various kinds of scales, and application to domestic urban phenomena.

      • KCI등재

        논문 : 도시 스프롤 측정 방법으로서 밀도 기반 스프롤 지수 특성 평가

        임수진 ( Su Jin Lim ),김감영 ( Kam Young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2

        교외화 현상의 하나로 저밀도·분산·비계획적인 토지 이용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 스프롤은 도시문제 그리고 환경문제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 스프롤을 측정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그 중 인구밀도만을 사용한 단일지수인 스프롤 지수는 측정이 용이하고 이해하기 쉬워 여러 연구에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비지적 발달과 같은 스프롤의 핵심 특성을 담아내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고 인구밀도 측정의 공간스케일, 구획 방식, 밀도구분 임계값 등에 민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의 데이터와 경험적 데이터를 사용하여 스프롤 지수가 갖는 특징을 다각도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인구밀도에서의 변화는 스프롤 지수에 반영되지만 인구 분포 패턴 변화는 감지할 수 없었다. 둘째, 인구밀도 측정의 공간 스케일과 구획 방식 변화에 따라 스프롤 지수는 상당히 달라졌다. 셋째, 고밀도 지역과 저밀도 지역을 구분하는 임계값을 증가시킴에 따라스프롤 지수 또한 증가하였다. 따라서 스프롤 지수를 이용하여 도시 스프롤을 측정할 경우 이러한 점들을 인지하고 그 적용과 해석에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As one of suburbanization phenomena, urban sprawl characterized by low density, dispersion and haphazard land use has been pointed out as the main cause of urban and environmental issues. Thus, measuring the urban sprawl has been an abiding research topic in urban studies. The sprawl index as a single indicator using only population density has been applied in a number of studies, because it is easy to understand and measure. However, the sprawl index might not be able to reflect the key characteristics of urban sprawl like leapfrog development and might be sensitive to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 and the threshold dividing high and low population dens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rawl index in various aspects such as change in spatial arrangement, scale and zoning effects and change in the density threshol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sprawl index could reflect the change in population density but could not detect the change in the pattern of population density. Second, the value of sprawl index was sensitive to the changes in spatial scale and zoning system. Third, the sprawl index also increased as the threshold dividing the low and high population density increases. This findings imply that when measuring urban sprawl using the sprawl index, we need to recognize these characteristics and pay attention to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index.

      • KCI등재

        지오컴퓨테이션 접근에 의한 주택시장지역의 설정: 우리나라 수도권에의 적용

        이상일 ( Sang Il Lee ),김감영 ( Kam Young Kim ),제갈영 ( Jaegal Yo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2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5 No.3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목적은 주택시장지역(HMA) 개념을 명료화하고, HMA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법을 지오컴퓨테이션 접근에 기반하여 고안하고, 제안된 방법론을 수도권의 주택시장지역 설정 연구에 적용하는 것이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MA는 공간적 아비트리지 개념에 근거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인구이동, 자족성, 노동시장지역이 궁극적인 구성 개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근거해 본 연구에서는 HMA를 "인구이동의 출발지와 도착지 대부분을 포괄하여 높은 수준의 주택시장 자족성을 보여주며, 통근지역과 상당한 수준의 중첩도를 보여주는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이러한 개념 하에서 기능지역을 설정할 방법론으로 지오컴퓨테이션 접근을 채택하였으며, 인트라맥스 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ZP-기반 방법론을 고안하였다. 셋째, 이 방법을 우리나라 수도권 읍면동간 인구이동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전역적 자족도 70% 기준에서 17개의 HMA로 구성된 주택시장 시스템이 도출되었다. 17개 HMA 모두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에서 국지적 자족도 60% 기준을 만족시켰다. AZP-기반 방법과 인트라맥스 기법에 의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자율성과 동질성 규준 모두에서 AZP-기반 방법이 인트라맥스 기법보다 우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The main objectives of the paper include: (i) the clarification of the concept of HMA (housing market area); (ii)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method of delineating HMAs based on a geocomputational approach; and (iii)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 to the migration data of the Capital Region in South Kore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recognized that the concept of spatial arbitrage plays a pivotal role in the conceptualization of HMA and is associated with three fundamental concepts, that is, migration, self-containment, and labor market areas which collectively constitute the concept of HMAs taken in the study. Therefore, HMAs can be defined as "geographical areas which are characterized by a high level of housing market self-containment in terms of migration flows and are overlapped with labor market areas to a large extent." Second, an AZP-based method is devised on the basis of the geocomputational notions and is expected to overcome some defects of the popular intramax technique. Third, by applying the method to migration flows among basic spatial units in the Capital Region, a housing market system consisting of 17 HMAs was delineated at the global self-containment criterion of 70% and the local self-containment criterion, both supply-side and demand-side, of 60%. A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AZP-based method performs better than the intramax technique in terms of both the autonomy and homogeneity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