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7종 갈조류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최형주,길정하,박순선,공창숙,박건영,서영완,임선영,Choi, Hyung-Ju,Kil, Jeung-Ha,Bak, Soon-Sun,Kong, Chang-Suk,Park, Kun-Young,Seo, Young-Wan,Lim, Sun-Young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7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 생리활성물질을 검색하여 발암물질 생성 방지 및 생체 방어 물질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Ames test를 이용하여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와 간접돌연변이원인 $AFB_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AFB_1$에 대해서 괭생이모자반(S. horneri)이 실험에 사용된 다른 해조류들 중에서 가장 높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첨가농도 1.25mg/plate일 때, 괭생이모자반의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은 각각 96%, 91%로 실험에 사용된 다른 해조류들의 추출물들 중에서 가장 높았으며 양성 대조군인 다시마의 용매 추출물보다도 높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AFB_1$과 같은 농도인 0.6mg/plate의 농도의 MNNG를 사용하여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한 해조류의 항돌연변이성 실험을 한 결과, 간접 돌연변이원인 $AFB_1$에 비해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다소 항돌연변이 효과가 떨어지지만, 여기서도 실험에 사용된 해조류들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경우가 methanol 추출물보다 다소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돌연변이 실험에서 효과가 뛰어난 괭생이모자반과 짝잎모자반을 중심으로 인체 암세포(위암세포, AGS 및 결장암 세포, HT-29) 증식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용매 추출물을 0.5%, 1% 및 2%의 농도별로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acetone+methylene chloride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은 둘 다 가장 낮은 농도인 0.5%에서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7종의 갈조류 추출물들은 Ames test에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괭생이모자반 및 짝잎모자반은 인체 암세포에 대해서도 높은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살펴 볼 수가 있었다.

      • KCI등재

        한국산 및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제조한 한국식 김치와 일본식 김치의 품질 특성과 기능성 비교

        김희영(Hee-Young Kim),길정하(Jeung-Ha Kil),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4

        한국산 배추와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한국식 및 일본식 김치를 제조하여 5℃에서 4주간 발효시켰다. 발효 2주차부터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는 일본산 배추로 만든 김치보다 pH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산도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가 일본산으로 만든 것보다 발효 시간이 지날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발효 3주차부터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는 일본산 배추로 만든 김치에 비해 총균은 낮고 유산균은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중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의 총균수가 가장 낮았고 유산균수는 가장 높았다. 조직감은 김치 제조 직후부터 4주차까지 한국산 배추의 조직감이 일본산 배추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종합적인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였으며,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assay에서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의 저해율이 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한국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92%), 일본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91%),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88%)로 나타났다. AGS 인체 위암세포를 이용한 in vitro 항암실험에서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의 저해율이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는 57%, 일본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38%,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 26%로 나타나 DPPH assay와 같은 경향을 보여 일본산 배추보다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의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이 더 높았다(p<0.05). 따라서 한국산 배추가 일본산 배추보다 김치의 주재료로서 더 적합하며, 이러한 한국산 배추를 이용하여 한국 전통 제조 방법으로 만든 김치가 일본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방법으로 만든 김치보다 맛과 기능적인 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o determine the kimchi with the best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 manufactured and compared recipes for Korean and Japanese kimchi made either Korean or Japanese baechu cabbages. All batches were fermented for 4 weeks at 5℃, and tested for pH, texture, microbial count, sensory evaluation,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cell proliferation (using the MTT assay o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By the third week of fermentation, Korean kimchi made with Korean baechu (KK) and Japanese kimchi made with Korean baechu (KJ) showed a higher acidity than Korean or Japanese kimchi made with Japanese baechu (JK and JJ, respectively). KK ranked highest in springiness, followed by KJ, JK, and JJ. Therefore, the texture of kimchi produced with Korean baechu was appears better than kimchi produced with Japanese baechu. This was confirmed in masticatory tests. Kimchi produced with Korean baechu (KK and KJ) showed lower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while the total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were higher (p<0.05). In sensory evaluation test, KK receiv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core, while JJ earned the lowest score. In the DPPH assay for anti-oxidative activity, KK showed a 94% anti-oxidative effect, followed by KJ (92%), JK (91%), and JJ (88%) (p<0.05). In the MTT assay for analyzing the cell proliferation of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KK showed a 64% anticancer effect in vitro, followed by KJ (57%), JK (38%), and JJ (26%). Therefore, the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functionalities of kimchi made with Korean baechu were higher than those made with Japanese baechu, regardless of the kimchi recipe applied. Overall, Korean baechu had important and superior effects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kimchi.

      • 한국산 및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제조한 한국식 김치와 일본식 김치의 품질 특성과 기능성 비교

        김희영 ( Hee Young Kim ),길정하 ( Jeung Ha Kil ),박건영 ( Kun Young Park ) 부산대학교 김치연구소 2013 김치의 과학과 기술 Vol.16 No.-

        To determine the kimchi with the best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 manufactured and compared recipes for Korean and Japanese kimchi made either Korean or Japanese baechu cabbages. All batches were fermented for 4 weeks at 5oC, and tested for pH, texture, microbial count, sensory evaluation,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cell proliferation (using the MTT assay o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By the third week of fermentation, Korean kimchi made with Korean baechu (KK) and Japanese kimchi made with Korean baechu (KJ) showed a higher acidity than Korean or Japanese kimchi made with Japanese baechu (JK and JJ, respectively). KK ranked highest in springiness, followed by KJ, JK, and JJ. Therefore, the texture of kimchi produced with Korean baechu was appears better than kimchi produced with Japanese baechu. This was confirmed in masticatory tests. Kimchi produced with Korean baechu (KK and KJ) showed lower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while the total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were higher (p<0.05). In sensory evaluation test, KK receiv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core, while JJ earned the lowest score. In the DPPH assay for anti-oxidative activity, KK showed a 94% anti-oxidative effect, followed by KJ (92%), JK (91%), and JJ (88%) (p<0.05). In the MTT assay for analyzing the cell proliferation of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KK showed a 64% anticancer effect in vitro, followed by KJ (57%), JK (38%), and JJ (26%). Therefore, the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functionalities of kimchi made with Korean baechu were higher than those made with Japanese baechu, regardless of the kimchi recipe applied. Overall, Korean baechu had important and superior effects on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kimchi.

      • KCI등재

        현미 및 수수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

        성리(Li Cheng),김신정(Sin-Joung Kim),길정하(Jeung-Ha Kil),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4

        밀가루에 현미가루와 수수가루의 비율을 달리하여 혼합하고 1회 죽염 2%를 첨가하여 3가지의 생면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밀가루와 정제염으로 만든 생면과 품질특성 및 in vitro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품질특성 중 중량, 수분흡수율, 탁도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WBSN-b가 39.5 g, 97.4%, 0.62로 나타나 밀가루로 제조한 WN-p 측정 결과인38.5 g, 92.5%, 0.59와 유사하였다. 탄력성은 WN-p(73.5%)와 WBSN-b(68.3%)에서 높았으며, 다음으로 WBN-b, WSN-b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WBSN-b가 6.4점으로 가장 높았고, WSN-b, WBN-b, WN-p는 6.1, 5.3, 5.3점이었다. 생면의 pH는 WBN-b는 7.4, WBSN-b는 7.5, WSN-b는 7.5, WN-p는 6.6로 1회 죽염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첨가한 생면이 pH가 높게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및 hydroxy radical 소거 효과에서는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10%씩 혼합한 생면WBSN-b와 수수가루 20%를 혼합한 WSN-b가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현미가루와 수수가루를 각각 10%씩 그리고 1회 죽염 2%를 첨가한 생면이 밀가루로 제조한 생면의 품질특성에 가장 근접하였고, 기호면과 항산화 효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fortified by adding brown rice and sorghum powders. Wet noodl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N-p (wheat flour 100%, purified salt 2%), WBN-b (wheat flour 80%, brown rice powder 20%, bamboo salt (×1) 2%), WBSN-b (wheat flour 80%, brown rice powder 10%, sorghum powder 10%, bamboo salt (×1) 2%), and WSN-b (wheat flour 80%, sorghum powder 20%, bamboo salt (×1) 2%). The wet noodles were evaluated for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apacities to scavenge free radicals. The weight, volume, capacity to absorb water, and turbidity of cooked WBSN-b were close to those of cooked WN-p.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of cooked WBSN-b were the highest among all cooked noodles added with brown rice or sorghum powders and textural properties of cooked WBSN-b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N-P.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acceptance of WBSN-b received the highest score of 6.4 points, which was higher than the score for WN-p.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ddition of brown rice and sorghum powder,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WBSN-b and WSN-b were the highest. In conclusion, wet noodles added with 10% brown rice powder, 10% sorghum powder, and 2% bamboo salt (×1) exhibited the same quality properties of WN-p. Addition of 10% brown rice powder, 10% sorghum powder, and 2% bamboo salt (×1) increased the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eat flour noodles.

      • KCI등재

        HaCaT 피부각질세포에서 들깻잎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과

        지나(Na Ji),송가락(Jia-Le Song),길정하(Jeung-Ha Kil),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2

        들깻잎 메탄올추출물(PLME)이 가지는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2O2으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HaCaT 피부 각질세포의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PLME의 항산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hydroxyl free radical 소거능 및 총 항산화물질(페놀류, 플라보노이드류 및 아스코르브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H2O2(500μM)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HaCaT세포에 PLME를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생존율이 증가하였고, 세포 지질과산화물질 MDA의 생성효과는 PLM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H2O2로 인하여 세포내 항산화효소인 SOD, GSH-px와 CAT 등의 활성이 감소된 HaCaT세포에 PLME를 처리했을 때, 이들 효소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PLME의 DPPH와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50 μg/mL 이상 농도의 PLME의 DPPH 소거능은 60%의 저해율을 나타낸 천연항산화제인 아스코르브산(50 μg/mL)과 유사한 효과를 보였고, OH radical 소거능은 아스코르브산(50 μg/mL)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PLME가 함유하고 있는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류, 플라보노이드류,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류화합물은 52.2±1.1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화합물은 33.7±4.7 mg RUE/g,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 17.0±0.5 mg AA/g으로 나타났다. HaCaT 세포에서 H2O2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PLME는 세포 사멸을 방지하고, 세포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을 억제하여 세포내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들깻잎 메탄올추출물은 인체 피부각질 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과 in vitro에서의 항산화 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 from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 var. japonica) leaves (PLME) on oxidative injury from hydrogen peroxide (H2O2) in humanm HaCaT keratinoctyes. Cells were co-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200 μg/mL) of PLME for 24 hr, and then exposed to H2O2 (500 μM) for 4 hr. H2O2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p<0.05). However, PLME provided protection from H2O2-induced HaCaT cell oxid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further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PLME on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HaCaT cells, the cellular levels of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nd catalase (CAT)) were measured. PLME decreased cellular levels of lipid peroxidation, and also increased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additi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LME were also determined by DPPH and hydroxyl (?OH)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major antioxidant compounds of PLME were measured by colorimetric methods. DPPH and ?O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LME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and was similar to the DPPH scavenging activity of ascorbic acid at 50 μg/mL; however PLME activities were stronger than ascorbic acid (50 μg/mL) in the ?OH scavenging assay. The amounts of antioxidant compounds, including total poly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total ascorbic acid from PLME were 52.2±1.1 mg gallic acid (GAE)/g, 33.7±4.7 mg rutin (RUE)/g, and 17.0±0.5 mg ascorbic acid (AA)/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LME has a strong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a protective effect against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the keratinocytes.

      • KCI등재

        상황버섯 및 카레를 첨가한 잡곡밥 추출물의 LLC-PK1 세포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보호 효과

        이정숙(Jung-Sook Lee),송가락(Jia-Le Song),길정하(Jeung-Ha-Kil),정병진(Byung-Jin Jeong),정종성(Jong-Sung Jeong),허태곤(Tae-Gon Huh),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1

        잡곡밥 메탄올 추출물이 가지는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H₂O₂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LLC-PK1 세포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250 μM의 H₂O₂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LLC-PK1 세포에 시료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WR, TMR, GR 순으로 H2O2 처리군에 비해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P<0.05). 특히 GRS와 GRK에서 정상군에 가까운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H₂O₂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발된 세포 손상에 대한 잡곡밥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세포 내 활성산소(ROS)의 수준과 세포 내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 억제 효과 역시 WR, TMR, GR, GRK, GRS 순으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H₂O₂로 인하여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인 SOD, CAT와 GSH-px 등의 활성이 감소된 LLC-PK1 세포에 잡곡밥 추출물을 처리했을 때 이들 효소의 활성이 증가했으며 특히 GRK, GRS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LLCPK1 세포에서 H₂O₂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잡곡밥 추출물은 세포 손상을 억제하고 세포 내 활성산소(ROS)의 수준과 지질과산화물질(MDA)의 생성을 억제하며,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항산화 효소 유전자 발현에서도 위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잡곡밥 메탄올 추출물, 특히 기능성 물질인 카레가루와 상황버섯 추출물이 첨가된 잡곡밥은 LLC-PK1 세포에 대한 보호 작용과 in vitro에서의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s of cooked mixed grain rice samples, including grain rice (sorghum, black bean, proso millet, and Job"s tears) mixed with fermented brown rice (GR), GR added with 0.5% water extract of Sanghwang mushroom (GRS) or 0.1% curry (GRK), and traditional five grain mixed rice (TMR, Ohgokbap), on H₂O₂-induced oxidative injury in LLC-PK1 pig renal epithelial cells. White rice (WR)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Cells were first exposed to H₂O₂ (250 μM) for 4 hr, followed by treatment with 100 μg/mL of different GR extracts for 24 hr. H₂O₂ significantly induced cell damage (P<0.05). Cellular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catalase (CAT),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were measured. In addition,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were determined by RT-PCR assay. Mixed grain rice, particularly GRS and GRK, were able to reduce cellular levels of ROS, decrease lipid peroxidation, and also increase mRNA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compared to other samp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ed grain rice, specifically GRS and GRK, have strong protective effects against H₂O₂-induced oxidative injury in LLC-PK1 cells through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reduction of ROS levels, and elevation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 KCI등재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의 Sarcoma - 180 암세포에 대한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

        공창숙(Chang-Suk Kong),박순선(Soon-Sun Bak),이숙희(Sook-Hee Rhee),길정하(Jeung-Ha Kil),노치웅(Chi-Woong Rho),황해준(Hae-Jun Hwang),김낙구(Nak-Ku Kim),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0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의 항암효과를 S-180 암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에 대한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일반 열무 및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는 5℃의 저장온도에서 적숙기 pH 4.3까지 발효시켰다. 열무김치의 메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S-180 cell 이식 마우스에 대한 고형암 성장 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에서 일반 열무김치에 비해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를 투여한 군에서 고형암 성장 저해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열무김치 YR kimchi-SL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GST활성 및 GSH 함량도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를 투여한 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암상태에서 열무김치추출물은 친전자성 발암물질의 활성대사산물의 해독작용에 관여하는 GST활성을 증가시켜 독성물질을 체외로 배설시킴으로서 고형암 성장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유황처리에 의해서 열무자체에 항암성 유황화합물의 농도가 증가하여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고 하겠다. Young radishes (YR, yeolmu in Korean) were cultivated in the soil with and without sulfur. Young radish kimchi-general (YR kimchi-G) was prepared with YR commonly cultivated in the soil without sulfur. Young radish kimchi-sulfur (YR kimchi-S) and young radish kimchi-sulfur with lime mortar (YR kimchi-SL) were prepared with the YR cultivated in the soil with sulfur and sulfur added lime mortar on it, respectively. Antitumor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YR kimchis were investigated in sarcoma-180 tumor cell transplanted mice. The solid tumor growth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YR kimchi-SL prepared with YR grown in the soil with sulfur (p<0.05). The treatment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YR kimchi-S and -SL increased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and glutathione contents in the livers, compared to those of YR kimchi-G and the control. One of the antitumor effects by the YR kimchis was due to the increased the glutathione levels and the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which is phase 2 enzyme. Thes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the antitumor effects of YR kimchi can be enhanced by using YR cultivated differently in the presence of sulfur that can help to produce sulfur-containing compounds in Y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