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령통합척도 개발 및 타당성 연구

        정순둘 ( Chung Soondool ),이은진 ( Lee Eunjin ),기지혜 ( Ki Jeehye ),최혜지 ( Choi Hye-ji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연령통합의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을 검토하고 전문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연령통합 현상을 나타내는 다차원적인 문항으로 예비문항 33개를 개발하였다. 전국의 시도에 거주하는 45세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33개의 문항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전체 문항 간 상관관계가 낮은 1개 문항을 제거한 후 32개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5개 요인의 28개 문항이 최종적으로 연령통합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지역사회에서의 세대교류, 연령무관한 고용 및 사회보장제도, 연령무관한 사회참여의 기회, 가족 내 세대교류, 고령친화 인프라 등 5개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연령통합척도는 연령통합의 개념을 측정하는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후속연구를 통한 척도의 검증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the concept of age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of experts in the area of social work and gerontology were conducted to develop 33 preliminary questions of age integration with various levels. A total of 700 people (male:350, female:350) over the age of 45 were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o validate this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ne of the 33 questions was deleted as it was found to have low correlations with all the other question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final 32 questions, 5 factors composed of 28 items were extracted: `cross generational interaction in community`, `age-irrelevant opportunity in the employment and benefits of social security systems`, `age-irrelevant opportunity of social participation`, `cross generational interaction with family`, and `age-friendly infrastructur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ge integration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has proved valid to measure the concept of age integration. Further studies would be requir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scale.

      • KCI등재

        연구논문 :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순둘 ( Soondool Chung ),박애리 ( Aely Park ),기지혜 ( Jeehye Ki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손자녀 돌봄의 지속 여부에 따라 손자녀 돌봄을 종단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러한 유형과 조부모의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1차년도(2005년)에 만 50세 이상의 가구원 중 4차년도(2011년) 조사까지 설문에 모두 참여한 대상자를 개인별로 병합하여 사용하였다. 손자녀 돌봄은 종단적으로 돌봄지속, 돌봄중단, 돌봄전이, 비돌봄의 4가지 형태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비돌봄 노인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돌봄중단 노인이 비돌봄 노인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돌봄전이 노인이 비돌봄 노인에 비해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연령층에 따라 손자녀 돌봄의 종단적 유형과 삶의 만족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돌봄중단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는 중년층에서만 나타났으며, 돌봄전이와 가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또한 중년층에서 나타났다. 넷째,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돌봄중단을 경험한 조모의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손자녀 돌봄에 참여하는 노인의 건강한 노후생활을 위한 제고방안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atterns of grandparenting role on grandparents`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We employed data from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d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waves of data were utilized. In this study grandparents taking care of grandchildren wer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indicating duration of care for their grandchildren-those who were continuously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began to raising a grandchild;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at all. 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were lower levels of life-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at all. Also, those who began to raising a grandchild were higher levels of family-relationship-satisfaction compared with those who were not raising a grandchild. The significant group effects were only discovered among grandparents under 65 and grandmothers who stopped raising a grandchild showed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We discuss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on the grandparenting roles for grandparents` healthy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