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수은에 의한 마우스의 면역반응 조절장애

        기노석,고대하,김종서,이정상,김남송,이황호,Ki, No-Suk,Koh, Dai-Ha,Kim, Chong-Suh,Lee, Jung-Sang,Kim, Nam-Song,Lee, Hwang-Ho 대한예방의학회 1994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7 No.1

        수은($HgCl_2$)이 마우스의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Balb/c 마우스를 대상으로 시험관내 및 생체내 단계적 시험을 실시하였다. Lipopolysaccharide, pokeweed mitogen 및 phytohemagglutinin 등의 미토겐(mitogen)에 대한 비장세포의 반응성은수은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되었다. 수은에 의한 비장세포의 증식반응억제는 배양기간 중 수은 노출시기에 관계 없었으며 수은 전처치에 의해서도 그 증식반응은 억제되었다. 그러나 수은은 pokeweed mitogen으로 유도한 비장세포의 항체생산은 항진시켰다. 실험동물을 음용에 의하여 수은에 3주간 노출시켰을 때 투여기간 중 체중의 증가는 현저히 둔화되었으나, 흉선 및 비장의 무게, 신장, 골수, 비장 및 슬와 림프절의 병리학적 변화는 유발되지 않았다. 그러나 혈청 면역 글로불린(immunoglobulin) 농도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증가된 혈청 $IgG_1$및 IgE농도는interleukin-4 (IL-4)에 대한 항체투여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수은투여 마우스의 면양적혈구(SRBC)에 대한 항체반응을 측정한 결과 면양적혈구에 대한 총응집소가에는 대조군의 그것과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IgM 및 IgG농도는 오히려 대조군의 그것보다 현저히 높았다. 이상의 성적들은 수은의 면역계에 대한 독작용은 그 측정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수은노출에 따른 림프조직의 병변이 발생하기 전에 면역계의 기능적 변화가 일어나고, 수은에 의한 혈청 면역 글로불린 농도의 증가는 특정항원에 대한 항체반응과는 무관할 수 있는 등 수은이 면역반응에 이상을 초래함을 시사한다. The studies reported here were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rcury chloride on immune system of Balb/c mouse employing a flexible tier of in vitro and in vivo assays. Mercury chloride inhibited the proliferative responses of spleen cells to lipopolysaccharide, pokeweed mitogen, and phytohemagglutinin as a dose-dependent manner. This inhibitory effect was observed not only when $HgCl_2$ was added 2nd or 3rd day of 3 days culture period but also when spleen cells was pretreated with $HgCl_2$ for 2 hours. Mercury chloride, however, potentiated the production of IgM and IgG from spleen cells. During the $HgCl_2$ administration by drinking for 3 weeks, the weight gain of mice was significantly blunted than that o control group mice, while no overt signs related to mercury toxicity were noted in any mice of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no change in thymus and spleen weights, and in histological findings of kidney, bone marrow of femur, thymus, spleen, and popliteal lymph node after 3 weeks of mercury exposure. However, $HgCl_2$ induced a significant increase of total serum IgM, IgG including $IgG_1,\;IgG_{2a}\;and\;IgG_{2b}$, and IgE in Balb/c mice. Treatment in vivo with anti-IL-4 monoclonal antibody significantly abrogated the $HgCl_2$-induced increase in total serum IgG1 and IgE. Whereas $HgCl_2$ potentiated total serum IgM and IgG,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tal serum hemagglutinin to SRBC (Sheep Red Blood Cell)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mice when these mice were immunized with SRBC. All these findings observed in Balb/c mice suggest that mercury perturbates well-orchestrated regulation of immune responses before developing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lymphoid tissues.

      • SCOPUSKCI등재

        고려 인삼 투여가 흰쥐 갑상선 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임병무,기노석,Rim, Byung Moo,Ki, No Suk 대한수의학회 1980 大韓獸醫學會誌 Vol.20 No.2

        Changes in fine structure of thyroid follicular cells were studied in rats given oral administration of Korean Panax Ginseng for 60 days. The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 was distended and formed large cisternae, the Golgi complex was hypertrophic, and enlarged colloid droplets and lysosomes were more numerous in the follicular cells of ginseng treated rats. Morphologic changes observed may represent stimulating effects on the thyroid gland in ginseng treated animals.

      • SCOPUSKCI등재

        항암제 Mitomycin C가 배양임파구의 자매염색분체 교환에 미치는 영향

        황인담,기노석,이정상,김남송,문태일,Hwang, In-Dam,Ki, No-Suk,Lee, Jeong-Sang,Kim, Nam-Song,Mun, Tae-Il 대한예방의학회 1986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19 No.2

        항암제 mitomycin C가 정상인 배양 임파구의 SC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분열지수, 자매염색분체빈도, 세포분열주기 변동 및 염색체군별 SCE 빈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세포당 SCE빈도는 항암제 mitomycin C의 최저농도인 $6.25{\pm}{\times}10^{-9}$ M에서는 $13.1{\pm}2.8$이었고, 최고 농도인 $1.00{\times}10^{-7}$에서는 $75.8{\pm}8.2$로써 농도 증가에 따라 대수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세포분열지수는 완만한 감소경향을 나타냈다. 2) 세포분열주기 변동은 항암제 mitomycin C의 농도 $2.50{\times}10^{-8}M$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세포분열지연 현상을 보였으며 (p<0.05), $5{\times}10^{-8}M$ 이상에서는 세포분열지연이 매우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3) 염색체군별 단위염색체당 SCE빈도는 항암제의 농도 증가에 따라 절대 빈도는 증가되었다 할지라도 A군에서 G군으로 갈수록 감소되어 특정염색체군과 SCE와의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Sister chromatid exchanges(SCEs) and cell cycle kinetics were proposed as a sensitive and quantitative assay for mutagenicity and cytotoxicity in short-term cultures of phytohema-gglutinin(PHA)-stimu1ated human 1ymphocyte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cytotoxic effects and sister chromatid exchanges. The result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SCEs per cell are $13.1{\pm}2.8$ in the lower concentration of $6.25{\times}10^{-9}M\;and\;75.8{\pm}8.2$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1.00{\pm}10^{-7}M$. Mitotic index is decreased i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mitomycin C. The result indicates that mitomycin C led to a dose dependent increase in SCE frequency, but decease in mitotic index. 2) Chromosomal analysis was performed on metaphase cells that have divided one, two, and three or more times for cell cycle kinetics by fluorescence-plus-Giemsa(FPG) technique. According to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mitomycin C, the proportion of metaphase cells in the first are profoundly increased but the cells of third division are greatly decreased. 3) The frequency of SCEs per chromosome by chromosomal group are decreased gradually from A group to G group. But relationships between specific chromosomal group and SCE frequency are not found.

      • SCOPUSKCI등재

        일부 중소도시 기혼여성의 혈액 및 뇨중 중금속 함량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황인담,기노석,이재형,박인서,Hwang, In-Dam,Ki, No-Suk,Lee, Jae-Hyung,Park, In-Seo 대한예방의학회 1987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0 No.1

        전라북도 전주, 이리지역에 거주하는 $31{\sim}49$세의 여성 72명을 조사 대상으로 혈액 및 뇨를 채취하여 일부 중금속을 원자 흡광 광도법으로 측정하고 각각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상관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액내 중금속 농도는 카드뮴 $0.010{\pm}0.014({\mu}g/ml)$, 납 $0.028{\pm}0.138({\mu}g/ml)$, 구리 $0.899{\pm}0.513({\mu}g/ml)$ 및 아연 $0.277{\pm}0.192({\mu}g/ml)$였다. 2) 뇨중 중금속 농도는 카드뮴 $0.003{\pm}0.002({\mu}g/ml)$, 납 $0.025{\pm}0.018({\mu}g/ml)$, 구리 $0.031{\pm}0.012({\mu}g/ml)$ 및 아연 $0.277{\pm}0.192({\mu}g/ml)$였다. 3) 혈액과 뇨중 카드뮴, 납, 구리 및 아연의 농도에 대한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아연 (r=0.363, p<0.01)에서 유의 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4) 혈액내 카드뮴 농도와 납, 구리, 아연의 농도에 대한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납(r=0.518, p<0.01)과 아연(r=0.367, p<0.01)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5) 혈액내 카드뮴 농도와 뇨중 납, 구리, 아연의 농도에 대한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아연(r=0.241, p<0.05)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had been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women's blood and urine, their correlation degree and significane of cadmium as indicator of accumulated heavy metals are as follows. 1) In blood, concentrations of Cd, Pb, Cu and Zn are respectively $0.0110{\pm}0.14ug/ml,\;0.308{\pm}138ug/ml,\;0.899{\pm}0.153ug/ml$ and $5.432{\pm}1.020ug/ml$. 2) In urine, concentratitons of Cd, Pb, Cu and Zn are respectively $0.003{\pm}0.12ug/ml,\;0.025{\pm}0.18ug/ml,\;0.013{\pm}0.12ug/ml$ and $0.277{\pm}0.192ug/ml$. 3)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lood and urine are only significant in Zn (r=0.363, p<0.01). 4) In bloo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Cd concentration and Pb, Zn are respectively 0.518 (p<0.01). 5)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d concentration in blood and Pb, Cu and Zn in urine are respectively r=-0.012, r=0.027, r=0.241 (p<0.05), and only Cd concentration and Zn is significant.

      • SCOPUSKCI등재

        항암제(抗癌劑)가 배양임파구(培養淋巴球)의 세포분열주기(細胞分裂週期) 및 자매염색분체교환(姉妹染色分體交換)에 미치는 영향(影響)

        황인담,기노석,박원길,김영오,이정상,Hwang, In-Dam,Ki, No-Suk,Park, Won-Kihl,Kim, Young-Oh,Lee, Jeong-Sang 대한예방의학회 1987 예방의학회지 Vol.20 No.1

        항암제와 세포독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인혈배양 임파구에서 SCE빈도, 세포분열지수 및 세포분열주기변동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항암제 농도증가에 따라 SCE빈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P<0.01), methotrexate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P>0.05). 2) 세포분열지수는 cyclophosphamide를 제외한 공시 항암제에 대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3) 항암제의 농도증가에 따라 세포분열주기는 현저하게 지연되었으며 고농도에서는 현저한 세포분열 억제로 정상적인 세포분열이라 할 수 없는 강한 세포독성효과를 보였다. 이 결과는 알킬계 약제가 다른 항암제에 비해 강한 SCE 유발제이며 SCE유발과 세포분열주기 지연과는 깊은 상관성이 인정되지만 methotrexote경우에서는 그 상관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이는 SCE유발과 세포분열주기지연이 서로 다른 기전에 의해서도 나타남을 제시해주고 있다. Sister chromatid exchanges (SCEs) observed by means of bromodeoxyuridine substitution and fluorescence plus Giemsa (FPG) technique were proposed as a sensitive and quantitative assay for mutagenicity and cytotoxicity in short-term cultures of phytohaemagglutinin (PHA)-stimulated human lymphocytes.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nticancer agents and cytotoxic effects. Chromosomal analysis was performed on metaphase cells that had divided one, two, or three or more times after treatment for SCEs, mitotic indices (MI) and cell cycle kinetics by FPG technique. The results indicate that anticancer agents led to a dose dependent increase in SCE frequency except methotrexate. But, highly inhibited mitotic indices and delayed cell cycle kinetics were observed except for cyclophosphamide. The author suggest that the difference of SCE frequency is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cytotoxic action of anticancer agents, but although the induction of SCEs has a correlation with cell cycle delay, in some cases the induction of SCEs is not always related to cell cycle delay because of different cytotoxic action of anticancer agents.

      • SCOPUSKCI등재

        Selenium이 mercury, cadmium 및 chromium에 의한 자매염색분체교환(姉妹染色分體交換)의 빈도(頻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고대하,기노석,Koh, Dai-Ha,Ki, No-Suk 대한예방의학회 1990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3 No.1

        The protective effect of sodium selenite($Na_2SeO_3$) against the cytogenetic toxicity of heavy metals was investigated on human whole-blood cultures in relation to induction of sister chromatid exchange (SCE) in secondary metaphase chromosome. Methylmercury chloride($CH_3HgCl$), cadmium chloride($CdCl_2$), potassium dichromate($K_2Cr_2O_7$), and sodium selenite caused to the typically dose-dependent increase in sister chromatid exchanges (SCEs) by the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3{\mu}M\;to\;10{mu}M$. However, the inductions of sister chromatid exchanges by methylmercury chloride or cadmium chloride were inhibited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sodium selenite $1.2{mu}M$. The frequencies of SCE were decreased to the level of control in the molar ratios as 2:1, 1:1, 1:2, and 1:4 of selenium selenite vs. methylmercury chloride, and as 1:1 and 1:2 of selenium selenite vs. cadmium chloride, while the frequencies of SCE induced by potassium dichromate were not changed by the addition of sodium selenite in culture condition. Mitotic indices were decreased in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chemicals and not significantly changed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sodium selenite to the culture condition containing each chemicals. 셀레늄이 수은, 카드뮴 및 크롬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이들 중금속을 $0.3{mu}M$에서 $10{mu}M$까지 6개 농도로 각각 희석하여 $1.2{mu}M$의 셀레늄과 함께 혈액 배양에 첨가하고, 48시간 경과후 fluorescence-plus-Giemsa 염색에 의해 2차분열 중기의 염색체에서 자매염색분체교환(SCE)현상을 관찰하여, 셀레늄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셀레늄을 다른 중금속들의 경우와 동일한 농도로 단독 첨가한 경우 SCE빈도는 $5.9{\pm}2.64$회에서 $12.3{\pm}3.99$회의 범위로 변하였고, 수은은 $6.5{\pm}2.70$회에서 $15.7{\pm}2.75$회, 카드뮴은 $6.7{\pm}2.65$회에서 $11.2{\pm}4.13$회, 크롬은 $7.0{\pm}2.58$회에서 $14.9{\pm}6.43$회의 범위로 농도증가에 비례하여 SCE빈도가 상승하였으며, 이때 세포분열지수는 공히 농도증가에 반비례하여 고농도군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중금속들과 $1.2{mu}M$의 셀레늄을 동시에 첨가시킨 조건에서는 수은의 경우, 셀레늄과 수은의 몰(mol)농도비가 1:1, 1:2, 1:4의 조건에서, 카드뮴의 경우 1:2 및 1:4의 조건에서 SCE빈도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크롬의 경우는 셀레늄의 첨가와 무관하였으며, 세포분열지수는 전반적으로 셀레늄의 첨가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 SCOPUSKCI등재

        Mercury Chloride가 마우스 복강대식세포 및 EMT-6 세포의 Nitric 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권근상,고대하,기노석,염정호,Kwon, Keun-Sang,Koh, Dai-Ha,Ki, No-Suk,Youm, Jung-Ho 대한예방의학회 1997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30 No.2

        Balb/c 마우스의 복강대식세포와 동종 마우스의 유선암에서 기원한 EMT-6 세포를 배양하는 조건에 여러 농도의 수은을 첨가하여 nitrite와 nitrite 생성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복강대식세포 및 EMT-6 세포가 생성하는 nitrite와 nitrate 양은 공히 배양시작 12시간 후에 생성량에 비해 24 시간 후에는 2배, 36시간 후에는 3배의 농도로 측정되었다. 이때 nitrite와 nitrate 농도 사이에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수음첨가에 따라 nitrite 및 nitrate 생성량은 용량 의존적 관계로 현저한 감소를 보이며, 24 시간 또는 36시간 후의 세포생존률도 역시 수은농도에 비례하여 감소되는데, 복강대식세포의 생존률 감소가 EMT-6 세포의 것에 비해 더욱 현저하였다. 이들 세포내에서 생성되는 ATP의 양은 복강세포의 경우 그 생존률과 비례하는 경향이었으나, EMT-6세포의 경우는 비교적 높은 생존률에도 불구하교 배양액내에 수은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ATP생산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면역세포인 복강대식세포 뿐아니라 암세포인 EMT-6 세포에서도, L-arginine으로부터 nitric oxide를 생성하는 생화학적 반응이 수은에 의해 공히 억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수은의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독성은 수은이 면역세포의 ATP생성과 관련한 에너지 대사과정의 장애을 초래하여 nitric oxide 생성에 필요한 반응에너지의 공급을 억제시키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mercury chloride on the nitrite and nitrate syntheses were observed in peritoneal macrophages from Balb/c mice and EMT-6 cells in vitro. The cells were cultured in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with cytokines. Amounts of nitrite and nitrate in the culture media after 24 and 36 hours of culture were about 2-fold, and 3-fold of those measured after 12 hours respectively. There were very close associations Between the amounts of nitrite and nitrate measured in the culture media according to culture time. The survival rate of peritoneal macrophage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mercury chloride added into the media in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the survivals of EMT-6 cells were not influenced by mercury chloride concentration in media. Nitrite and nitrate syntheses were dose-dependently decreased by mercury chloride added in culture media. ATP synthesis also decreased in EMT-6 cells by mercury chloride. These results reported here suggest that the disorder of cell mediated immunity by mercurials could b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synthesis which seems to be caused by the inhibition of ATP syn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