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ollaboration in Higher Education to Prepare Teacher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권현수 ( Hyun Soo Kwon ),( Suzanne M. Robins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1

        협력이란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구성원들이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위해 서로 동등한 입장에서 의견을 교환하며 대화를 통해 목적을 달성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협력은 교육과정의 통합과 교사들의 일정 조정,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수용하는교실 환경의 조성 등 교육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화와 적응을 요구하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최근 장애아동의 일반학급으로의 통합이 보편화 되면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간의 협력이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모든 아이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협력에 대해 올바른이해와 준비를 할 수 있도록 교사양성교육기관인 대학에서부터 협력에 대한 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에서도 교수들 간에 원활한 협력을 통해 효과적으로 연구를 시행하고 다른 분야의 교수들과 다양한 학문적 교류를 통해 협력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은 협력을 실천하는 교수들의 모습을 보며 협력을 통해 다 학문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교육 환경 속에서 학문을 익힘으로서 졸업 후 일선 교육현장에서도 자연스럽게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아이들을 지도하는 교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최근의 추세에 따라 일반적인 협력의 특성을 살펴보고 대학에서의 협력의 장점과 대학이라는 특징적 상황에서 협력을 하는데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알아보고 대학에서의 교수들의 협력의 정도와 그로인해 교사들이 얼마나 통합을 위해준비되고 있는지를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학에서의 협력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수들이 서로 협력을 하며 함께 연구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해주고, 협력을 통한 업적이 개인의 연구나 성과에 못지않게 인정받을 수 있어야하며, 공동의 목표를 위해 꾸준히 협동 연구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하고, 시간과 업무량들을 고려해 짧은 시간에 효과적으로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Collaboration requires teachers to integrate curriculum, create block schedules, develop multicultural classrooms, design site-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lans, raise academic standards, and refine school leadership committees (Friend & Cook, 2000). Therefore, collaboration in higher education level is even more important whe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re considered as the first place to affect and change future educators`` attitudes toward inclusion. If preservice program of the future intend to prepare teachers who have expertise related to trends in educational services for all students, preservice faculty must also have expertise in those areas. For that reason, several guidelines have been introduced to ensure a successful collaboration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중등 일반교사의 통합학급 수업과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인식

        권현수 ( Hyun Soo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2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의 통합학급에서의 수업과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서울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장애학생이 포함된 통합학급의 수업을 맡고 있는 일반교과 담당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교사들은 중등학교에서의 통합교육 실시에 대해 필요하지만 아직은어렵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합학급 수업에서 중요한 것은 장애에 대한 이해이며 수업 시 어려운 점은 문제행동관리와 교수적 지원이라고 답하였다. 통합학급에서의 수업이 성공하기위해 장애에 대한 인식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학급 인원수 감소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교수적 수정에 대해서는 필요하지만 실천 가능성은 필요성에 비해낮게 인식하고 있었고 교수환경 영역의 수정을 가장 필요하고 실천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육내용에 대한 수정을 가장 필요하지 않고 실천하기 어렵다고 답하였다. 학교급별에 따라 교수적 수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지만 담당 교과목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중등 통합학급의 운영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함과 학교급별 차이를 고려한 교수적 수정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안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second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about teaching and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inclusive classrooms. For that purpose, 228 second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s in inclusive schools in Seoul were surveyed.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1) the inclusion was necessary but it was difficult to put in practice, (2) it wa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sabilities t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lassrooms, (3) it was difficult to manage behavior and provide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classrooms, (4) the instructional adaptations were necessary in secondary inclusive classrooms but it was difficult to practice, (5) the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environment were more necessary and possible than in contents area, and (6)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high school teachers’ about i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systematic supports for secondary inclusive education as well as it was necessary to develop the appropriate support systems for inclusion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respectively.

      • KCI등재

        일반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 조사

        권현수 ( Hyun Soo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4

        본 연구는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에 대한 인식과 특수교육 전공과목 수강 선호도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편의표집된 294명의 일반 유, 초, 중,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대다수의 일반교사가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이 없었고 일반교사 대상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 기회가 부족하다고 하였으며 전문지식 습득을 위해 특수교육관련 연수를 받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연수를 통해 전문성 신장 및 업무력 향상을 기대 한다고 답한 교사가 가장 많아 통합교육이 확대 실시됨에 따라 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수교육 전공 교과목의 선호도를 살펴본결과, 가장 수강하고 싶은 과목으로 심리 및 상담을 선택하였고 진단 및 평가, 행동수정 등의 교과목이 장애아동을 교육하는데 필요한 과목이라고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연수기회의 대폭적인 확대와 함께 특수교육 관련 기술인 치료, 의사소통기술, 교수법 수정 등을 습득할수 있는 협력학습 형태의 실질적인 경험 중심의 과목을 강화하여 아동과 교사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The 294 general education teachers from kindergarten to highschool responded the survey about perceptions about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preference about special education cour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because of lack of opportunities, most of the teachers did not take the inservice training courses about special education however, they were eager to take the programs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the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support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The respondents also reported that the most favorable special education courses were psychology and counseling, teaching strategies, and assessments. They mentioned that they liked to learn about practical skills to use in their inclusive classrooms but did not want to take foundational knowledge courses such as teaching philosophy, history of special education, or understandi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a conclusion, several guidelines were suggested for teacher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improve the inservice training opportunities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service programs for beginning teachers, middle school teachers, high school teachers, as well as inclusion teachers are recommended. Second, the practical courses for inclusion such as behavior management, communication skills, and adapting the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as collaborative ways so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get benefit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 KCI등재

        일반학교 중등교사의 통합학급 수업에서의 교수적 수정 실천정도 분석

        권현수 ( Hyun Soo Kw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중등 일반교사들이 통합학급에서의 수업 시 교수적 수정을 실천하는 정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서울의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일반교과 담당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교수적 수정을 실천하는 정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등 교사들은 어느 정도 교수적 수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교육환경적 측면에서의 교수적 수정을 가장 잘 실천하고 있고 교육내용적 측면에서의 교수적 수정을 가장 실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성별, 경력, 담당학년에 따라 교수적 수정 실천 정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교수적 수정 실천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성별과 학력, 담당학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등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 수정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how often general secondary school content teachers adapted their instructions while they taught in inclusive classrooms. The researcher surveyed 203 general secondary content teachers in Seoul and revealed that they did moderate adaptations in their classroom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er reported that the environmental adaptations were the most often used and the content adaptations were the least used areas. Also, depend on teachers ``sex, experience, and the grade they taught, the frequency of teachers`` instructional adaptations differed. Finally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variables such as sex, educational level, and the grade they taught affected how often teachers adapted their instructions. Consequentially, the researchers suggested several ways to improve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secondary inclusive classroo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저시력 학생 부모들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요구조사

        최복례 ( Bok Rye Choi ),권현수 ( Hyun Soo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4

        본 연구는 저시력 학생 부모들의 저시력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86명의 저시력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한 결과 저시력 자녀의 부모들은 저시력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은 갖추고 있었으나 시기능, 시효율성 등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였고 저시력과 환경과의 관계 등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문가에 의한 강연회 방식의 부모교육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이루어지는 것보다 자주, 강의형식 이외에 실습형태의 부모교육을 받고싶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가장 교육받고 싶은 관심분야는 권리ㆍ진로ㆍ복지에 관한 내용이라고 응답하였고 특히 고등교육, 직업교육에 관한 내용에 관심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 영역별 특성과 요구에 맞춰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함을 언급하면서 저시력 학생의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할 만한 특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low vision about parent education programs. The 86 parents who have a child with low vis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answered about their knowledge about low vision, perceptions about parent education programs. From the study the researcher found that most of thelow vision children’s parents didn’t know about sight function and sight effectiveness although most of them knew about low vision itself. Also parents wanted to be educated by professors, professional therapists as well as other professionals depends on the topics of programs. Parents revealed that they needed more practical programs more often than current situations. They also reported that they wanted to learn about rights, transition, and welfare as well as study methods and early educations for their children. Based on that findings, further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various disabilities, especially for low vision.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들의 학교활동 및 학교밖 학습활동에 대한 종단적 연구: 2014년과 2017년 비교

        김경화 ( Kim Kyeong-hwa ),권현수 ( Kwon Hyun-soo ),오영석 ( Oh Young-seo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2

        본 연구는 2014년과 2017년 특수교육 종단조사 비교를 통해 장애학생들의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교활동과 학교밖 학습활동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동일 패널에 대해 2014년 보호자와 교사 1,750명, 2017년 보호자와 교사 1,282명의 응답 결과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학교활동에서 관련서비스와 학업성취도 평가 방법은 비교 연도 간에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소속학교급 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패널의 학년이 올라가더라도 관련서비스와 학업성취도 평가 방법에서는 커다란 변화가 없었으나, 소속학교급 내에서 학년이 올라감에 따른 변화가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지역사회 체험학습활동의 횟수와 방과후교육 참여 여부, 가정학습과제 부여 빈도, 통학방법에서는 비교 연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패널의 학년이 올라갈수록 이러한 학교활동에서 변화가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겠다. 학교밖 학습활동은 2014년도와 2017년도 비교 시 통계적으로 학습활동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패널의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교 밖에서 보내는 학습활동 시간이 감소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종단연구 연구 결과는 동일한 집단의 특성을 반복 측정함으로써 그 집단에게 어떤 자원이 투입되었으며,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떤 성과를 내고 있는지 파악해주기 때문에 특수학교, 특수학급, 일반학급에 배치되어있는 특수교육대상자들의 교육 현황을 확인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함으로써 특수교육의 교육활동에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how in school activities and out of school activities have changed as school year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get higher through the comparison of 2014 and 2017 Specia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According to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comparisons, for the in school activitie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areas of related services and achievement evaluation methods, while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areas of community based activities, after school programs, homework, and commute to school. The hours spent from the out of school activities in 2017 statistically decreased the ones in 2014. These findings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resource to explain how the content and the quality of what students go through the in school and out of school activities will influence special education outcomes.

      • KCI등재

        일반유치원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과 가족참여에 대한 인식

        문성옥 ( Seong Ok Moon ),권현수 ( Hyun Soo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일반유치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장애유아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통합학급 담당교사에 의한 특수교육 서비스 제공의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유치원 통합학급 담당교사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과 가족참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통합유치원의 특수교육 서비스 질을 개선하기위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학급 담당교사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고 특수교육 서비스 과정에서의 가족참여에 대해서도 유치원 설립형태나 특수교사의 지원이 있는가 여부에 따라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유아의 의무교육 시행이 성공적인 성과를 거두기위해서는 사립유치원에 대한 정책적, 재정적 지원이 보장되고 장애유아가 있는 일반유치원에 대해 특수교사 배치를 의무화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면서 더불어 일반교사와 가족을 위한 교육기회를 확대하고 실질적인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Because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been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are increased, there are enormous needs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knowledge and skills about special education.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studied about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IEP and family participations in inclusive kindergarten. As a result, the researcher reported that general education teachers did not know well about IEP and showed perceptional differences depend on variables such as educational level, organization status as well as availabil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ed several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in inclusive environments: (1) there should be more systematic supports for private schools, (2)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placed in every inclusive school, (3)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eachers as well as families, and (4) many practical ways to encourag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families in speci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