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양 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 한양대 사례를 중심으로

        권성호(Kwon, Sung Ho),강경희(Kang, Kyung Hee) 한국교양교육학회 2008 교양교육연구 Vol.2 No.2

        This study is to present as an exemplary case an integrated curriculum approach to liberal arts education developed at Hanyang University. Changes in social environments and individual demands on university necessitate integrated approaches to existing liberal arts education. Integrated curriculum refers to fusing knowledge and values of more than two different disciples into one course and providing a systematic array of such fused courses. Such need for integrated curriculum corresponds to changing society and competitive efforts of integrated education among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to incubate global leaders as well as demands from faculty and students for reform on campus. Much advance is expected in academic learning through the integrated liberal arts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curriculum remodelling for 2009-2012 has set into a direction toward consilience-oriented liberal arts education. The College of General Studies has played a leading role, working with Academic Affairs, Curriculum Committee, and participating professors from diverse areas to reform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o execute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liberal arts courses. This approach redefines the required abilities for Hanyang educated men as CULTURE and characterizes the traits of 2009-2012 liberal arts curriculum as CIRCLES. 12 integrated and multi-disciplinary courses have been developed in details including course description, syllabus, weekly teaching plan, and weekly instruction content, which are scheduled to be held in either Spring or Fall semester in 2009. Quality improv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can not be achieved by mere the development of courses, but it demands understanding of problems at class and in the field and resolving efforts. Solutions are suggested in terms of the Hardware aspects such as classroom assignment according to the class size and information network infrastructure for on-line learning, the Software aspects such as research and cours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Humanware aspects such as change in the appreciation of liberal art education among faculty and students and a quality improvement program for teachers, and the Systemware aspects such as open development for new liberal art courses, the execution of analysis-evaluation-research, and the establishment of a regular research center. In conclusion,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not only administrate conventional general education, but try to find various ways for strengthening students capacity.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ums is a case of such trials to promote required changes in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의 만족도와 효과성 분석 - 학생, 교사, 학부모를 중심으로 -

        권성호 ( Sung Ho Kwon ),강경희 ( Kyung Hee Kang ),방선희 ( Sun Hee Bh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참여주체인 학생, 교사, 학부모를 대상으로 만족도와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웹 서베이를 통해 만족도와 효과성, 개선사항을 조사하였다. 학습 주체인 학생은 교사나 학부모보다 만족도와 효과성에 있어 높게 나타났으며,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가정학습이 사용이 용이하고, 재미있으며, 학교 수업 보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컨텐츠 제공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교사는 학부모보다 효과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학급배정형을 운영하는 교사가 그렇지 않는 교사보다 만족도와 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업성취나 자신감, 흥미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교사를 위한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과 학부모들의 지원을 요구했다. 자녀의 학습관리자인 학부모는 교사보다 만족도 측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규모에 따라 대도시 거주 학부모들이 읍면 거주 학부모보다 만족도와 효과성에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부모는 사이버선생님의 지도 방법과 학습관리시스템에 대한 만족이 높았으며, 흥미 고취를 통한 적극적 학교활동에 효과가 있다고 보았으며, 학습내용의 다양화와 자녀의 학습정보 공유를 원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습기회 제공과 공교육 내실화라는 본래의 취지를 살리고 보다 나은 교육서비스가 되기 위한 기초 자료로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who are the main participator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in elementary school level. Research method is web survey for investigating the satisfaction, effectiveness and suggestions for more improvement. The students` satisfaction rate was higher than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The satisfaction rate was also higher in the lower class than the upper class. Students expressed that Cyber Home Learning System was easy for use, interesting and effective to complement the school`s learning. The teachers evaluated the effectiveness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They also gave higher point to the cyber-class assigned type than the others. The result showed that Cyber Home Learning System was effective for students` achievement, confidence and interest for learning. The satisfaction rate of the parents was higher than the teachers` group. The parents who live in metropolitan city were expressed higher than rural area in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Students needed more various learning contents. Teachers needed more incentive and supporting for parents. Parents wanted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ir kids.

      • KCI등재
      • 결혼·출산 친화적 가치관 정립에 관한 연구

        권성호 ( Sung Ho Kwon ),이준 ( Ju Lee ),송기민 ( Ki-min Song ),( Sung Mi Kim ) 인구교육센터 2010 인구교육 Vol.3 No.-

        저출산 문제를 야기하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나, 결혼 및 자녀 출산 등 가치관 변화에 대한 분석은 등한시한 채 논의되거나 정책이 입안되고 있다. 이에, 결혼과 출산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봄으로서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소중함을 인식하고 긍정적·적극적·실천적인 마인드’를 갖춘 ‘결혼 및 출산 친화적(親和的)’ 가치관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저출산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보다 접근할 수 있는 인구 정책과 올바른 가치관 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따라 저출산 원인인 ‘결혼 및 출산 가치관 요인’을 세 가지 관점에서 제시 하였다. 첫째, 한국 사회가 외환위기의 여파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결혼 및 출산 가치관의 특징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결혼 및 출산 기피를 조장하는 매스 미디어에 나타난 현상을 분석하였다. 셋째, 가정과 사회에서의 양성 평등 문제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혼과 출산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이에 대한 친화력(소중함을 인식하고 긍정적·적극적·실천적인 마인드)을 높임으로서 지향해야 하는 결혼·출산 친화적 가치관이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그 다음으로 결혼과 출산에 대한 현재의 인식에서 추가 및 강화되어야 하는 가(加)의 요소와 반대로 집중적으로 약화 및 제거시켜야 하는 감(減)의 요소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결혼·출산 친화적 가치관의 효과가 극대화되기 위해서 가감(加減)의 요소는 동시적이며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Despite various factors contributing to low birthrate, there have been quite a few discussions and policies neglecting the analysis on changes in values of marriage and childbirth.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through analysis of those factors affecting marriage and birth-related values, proposes the right direction for ‘marriage and birth-friendly values’ which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marriage and childbirth as well as is based on positive, active, and action-oriented mind. This will, in turn, help not only set up demographic policies ever closer to solving the root causes of low birthrate but also establish proper values. According to necessity and objective of the research, factors of marriage and birth-related values leading to low birthrate have been suggested from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the paperhas studied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marriage and birth-related values witnessed in line with the efforts of the Korean society to overcome the aftermath of financial crisis. Secondly, the paper has analyzed specific contents of mass media discouraging people from getting married and giving birth. Thirdly, the paper has scrutinized gender equality at home and in the society. The paper, in order to change the viewpoint of marriage and birth, has defined what ‘marriage and birth-friendly values’ we pursue are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marriage and birth and at the same time, encouraging positive, active, and action-oriented mind toward them Then, the paper has identified various factors and divided them into those factors to be strengthened or added to the current perspective of marriage and birth, and those to be weakened or removed. To maximize the effects of marriage and birth-friendly values, both of these plus and minus factors should be analyzed based on simultaneous and complementary manner.

      • KCI등재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육상수업의 재미 및 내적동기 변화

        권성호 ( Sung Ho Kwon ),성창훈 ( Chang Hoon Seo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8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체육을 진공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육상수업에 심리기술훈련을 접목하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재미요인이나 재미저해요인에 변화가 있는지를 귀납적으로 분석하고, 체육 수업에서 발생하는 학생 들의 내적동기를 양적으로 분석하여 수업 전, 후 흥미- 즐거움, 지각된 유능감, 노력- 중요성 등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학생들은 심리기술훈련을 통한 육상수업방식에서 가장 큰 재미요인을 찾는 것으로 보였으며, 육상수업 전 ·후 내적동기는 지각된 유능감 요인에서 t값이 6.64 (P< D5) 로 가장 큰 차이 값을 보였고, 흥미- 즐거움과 노력- 중요성 요인에서도 t값이 6, 46, 5. 37 (P< D5) 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기수업에서 심리기술훈련이 학생들의 재미와 내적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 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학교체육 전반에 심리기술훈련을 도입하거나, 대학 실기 강좌의 경우 체조나 수영과 같이 기초종목으로 육성해야 함에도 학생들의 재미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강좌에 적용시킴으로서 본 연구에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who major physical education, applying mental training to track and field classes and examine the change of students` promotive and interruptive source of enjoyment. In addition, it makes an analysis of intrinsic motivation of students and studies the change of the interest-enjoyment, perceived competence, and effort-importance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The analysis shows that track and field classes` promotive enjoyment was increased and interruptive enjoyment of the classes was decreased through mental training. In addition, the intrinsic motivation of students had been increased in the interest-enjoyment, perceived competence, and effort-importance before and after the classes, and as a result of a paired sample T-test, students make the biggest difference, the value of t was 6.64(p<.05)in the factor of perceived competence. The interest-enjoyment and effort-importance factor comes the value of t had been changed to 6.46, 5.37(p<.O5) after track and field classes. This result represents that mental training affects students`` enjoy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f we introduce mental training throughout physical education or apply this research to college classes, such as swimming and gymnastics, which fail to stimulate students even though the classes are needed to be developed, we may have a good effect like this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권성호 ( Sung Ho Kwon ),박선희 ( Sun Hee Park ),유숙영 ( Sook Young Ryu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은 미디어와 미디어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더 나아가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우선, 창의성 및 미디어 교육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창의성 정의와 요인을 찾아내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 방법을 조사하였다. 유아들의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미디어 교육 방법은 미디어에 노출, 미디어 작품 감상, 미디어 내용 분석, 미디어 제작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창의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학습활동으로 언어 및 신체 표현, 그리기, 만들기, 역할놀이 등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는 유치원 교사 2인이 참여하였다. 분석과 설계 단계에서는, 서울 S유치원 6~7세 유아 160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즐겨보는 비디오 프로그램과 주제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유아의 관심 주제에 따른 교수자료와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적용과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7세 20명에게 적용하여 관찰 결과에 따라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10개의 주제로 구성된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개발 과정과 결과를 토대로 하여 세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미디어 교육프로그램은 각각의 미디어가 갖고 있는 특성들을 고려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의 인지적,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대상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들이 직접 미디어 제작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이를 통해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develop media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Through examining literature we derived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and analyzed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media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learners. Second, we derived design principles of a media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creativity based on eight factors. Finally, we developed a media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based on the designed framework. The framework of this program is focused on drawing out the factors of creativity that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lready have. The factors can be extracted when the early childhood learners are exposed to visual and auditory components and movement in the media. And children learn to appreciate media works, discuss their thought with friends, and produce thei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according to the diverse features of media that more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econd, media education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systematically based on deeper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Third, the media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learners should allow learner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ir own medi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